KR0154688B1 -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 - Google Patents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688B1
KR0154688B1 KR1019960025605A KR19960025605A KR0154688B1 KR 0154688 B1 KR0154688 B1 KR 0154688B1 KR 1019960025605 A KR1019960025605 A KR 1019960025605A KR 19960025605 A KR19960025605 A KR 19960025605A KR 0154688 B1 KR0154688 B1 KR 0154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train
emergency braking
distanc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5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1608A (ko
Inventor
김봉택
Original Assignee
김봉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택 filed Critical 김봉택
Priority to KR1019960025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4688B1/ko
Publication of KR980001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1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6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1/00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ing or retard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ations of apparatus of different kinds or types
    • B61H11/02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ing or retard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ations of apparatus of different kinds or types of self-applying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자의 설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ATS(AUTOMATIC TRAIN STOPPER: 열차 자동 정지 장치) 제동기의 비상 제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상자의 설치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음번에 통과할 지상자가 설치된 위치를 독출하고, 열차가 주행하고 있는 당해 지상자 설치구간에 설치된 지상자를 통과한 후의 운행거리를 검출하여 다음번에 통과할 지상자가 설치된 설치위치까지의 잔여거리를 지속적으로 산출하다가, 열차의 운행속도가 지상자 설치구간에서 지령된 운행 최고 허용 속도를 초과할 경우, 이를 나타내는 소정의 경보신호를 소정의 방법으로 발생한 후, 열차의 현재 속도에 대한 제동안전거리가 다음번에 통과할 지상자 설치위치 까지의 잔여거리 이상인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여, 제동안전거리가 잔여거리 이상이 되는 지점에서 비상제동을 실시하도록 하므로써, 불합리한 비상제동으로 인한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막을 수 있음은 물론, 지상자 설치구간에서 지령된 속도를 초과하여 운행하면서도 제동안전거리를 항시 확보할 수 있어, 운행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이로인한 교통체중의 감소나 기기의 마모로 부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이다.

Description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
제1도는 ATS 지상자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3도는 종래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제4도는 종래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을 나타낸 운전곡선.
제5도는 본 발명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을 나타낸 운전곡선.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상장치부 10A : 지상자
10B : 지상자제어계전기 10C : 신호기
20 : 차상장치부 20A : 차상자
20B : 발진기 20D : 속도검출기
20C : 주파수검출기 20G : 표시제어장치
20F : 경보장치 20E : 제동기
20H : 마이컴 20I : 주행거리계
20J : 운행경로입력부 20K : 데이터베이스부
210 : 데이터독출단계 220 : 속도비교단계
230 : 경보단계 240 : 제동안전거리판단단계
250 : 비상제동단계
본 발명은 지상자의 설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ATS(AUTOMATIC TRAIN STOPPER: 열차 자동 정지 장치) 제동기의 비상 제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상자의 설치위치에 대한 데이터(DATA)를 이용하여 다음번 지상자가 설치된 위치를 독출하고, 열차의 주행거리계를 이용하여 당해 지상자 설치구간에 설치된 지상자를 통과한 후의 운행거리를 검출하여, 다음번 지상자가 설치된 위치까지의 잔여거리를 지속적으로 산출하다가, 열차의 운행속도가 지상자 설치구간에서 지령된 운행 최고 허용 속도를 초과할 경우, 열차의 현재 속도에 대한 제동안전거리가 다음번 지상자 설치 위치 까지의 잔여거리 이상인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여, 제동안전거리가 잔여거리 이상이 되는 지점에서 비상제동을 실시하도록 하므로 인해, 효율적인 열차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한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시하다시피 ATS의 지상자는, 제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로의 경사정도, 굴곡정도, 제동안전거리, 정지위치 및 교통혼잡도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선로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열차의 운행 최고 허용 속도를 소정의 방법에 의해 지시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열차의 선로에 설치된 지상자(10A)의 설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ATS는,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덴서와 코일로 이루어져 LC공진회로를 구성하는 지상자(10A)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계전기와 콘덴서로 이루어져, 상기 지상자의 콘덴서에 다수개 병렬로 접속되므로 인해,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지상자(10A)의 정전용량을 가변시켜 공진주파수를 변경하는 지상자제어계전기(10B)와,
이 지상자제어계전기(10B)에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속도지령신호인 소정의 계전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므로 인해, 상기 지상자제어계전기(10B)의 계전기를 제어함과 동시에 신호등 등을 제어하는 신호기(10C) 등으로 이루어진 지상장치부(10)와;
1차코일과 2차코일이 소정의 결합도로 유도결합 되어 있어 상기 지상자(10A)의 공진 주파수를 주파수 인입현상에 의해 감지하는 차상자(20A)와,
증폭회로부와 발진회로부 등으로 이루어져, 소정의 주파수로 상시 발진을 행하여 상기 차상자(20A)의 코일을 통해 궤환시킴과 동시에 상기 차상자(20A)의 코일에 응동된 주파수를 발진, 증폭하는 발진기(20B)와,
다수의 밴드패스필터(BAND PASS FILTER)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발진기(20B)에 접속되므로 인해, 상기 발진기(20B)에서 출력되는 주파수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주파수검출기(20C)와,
열차의 차륜 측에 부착되어 열차의 실제속도를 검출하는 속도검출기(20D)와, 열차의 운행거리를 산출하는 주행거리계(20I)와,
열차를 운행할 운행경로를 입력하는 운행경로입력부(20J)와,
열차 선로에 설치된 지상자(20A) 각각의 위치가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부(20K)와,
경보신호를 발생하라는 소정의 경보발생신호가 인가되었을 시, 소정의 시간동안 경보음 및 표시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장치(20F)와,
정상적인 운행을 할 경우에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상용제동을 실시하다가, 상기 경보장치(20F)가 동작한 후 소정의 시간 내에 열차의 실제속도가 운행 최고 허용 속도보다 작아지지 않을 경우에는, 비상제동을 실시하라는 소정의 비상제동신호에 의해 열차를 급제동 시키는 제동기(20E)와,
상기 주파수검출기(20C)와 속도검출기(20D)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방법에 의해 비교 판단하여 열차의 실제속도가 지상장치부(10)에서 지령된 운행 최고 허용속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소정의 경보를 발생하라는 경보발생신호를 상기 경보장치(20F)에 인가하며, 상기 경보발생신호를 발생한 후,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여 열차의 운행속도를 감속시키는데 필요한 소정의 시간안에 열차의 속도가 감속되지 않을 경우에는 열차를 급제동시키라는 비상제동신호를 상기 제동기(20E)에 인가하며, 상기 운행경로입력부(20J)에 의해 선택되어진 열차 운행 경로상에 설치된 지상자의 설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K)로부터 독출하여 소정의 처리과정을 수행하는 마이컴(20H)과,
상기 경보장치(20F)와 마이컴(20H)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경보장치(20F)에서 표시제어신호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시각적인 경보표시를 해주며, 운전자에 의한 복구명령이 지령되었을 경우에는 그 신호를 상기 마이컴(20H)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마이컴(20H)에서 발생하는 소정의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제어장치(20G)로 이루어진 차상장치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운행경로입력부(20J)는, 다수의 숫자로 구성된 키패드(KEYPAD)나, 키보드,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K)는, 씨디롬(CD-ROM), 롬(ROM),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하드 디스크(HARD DISK), 메모리 카드(MEMORY CARD) 및 그 구동장치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종래 비상제동 방법은,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당해 열차가 주행하는 지상자 설치구간에 지령된 열차 운행 최고 허용 속도를 검출하는 지령속도검출단계(110)와; 속도검출기(20D)를 통해 열차의 실제 운행 속도를 검출하는 실제속도검출단계(120)와, 상기 실제속도검출단계(120)를 수행하여 검추한 열차의 실제운행속도가, 상기 지령속도검출단계(110)를 수행하여 검출한 운행 최고 허용 속도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초과할 경우에는 이를 나타내는 소정의 경보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그 초과한 시간이 일정시간(예: 국철의 경우 5초) 이상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비교경보단계(130)와; 상기 비교경보단계(130)를 수행한 결과, 열차의 실제 주행 속도가 지상자 설치구간에서 지령된 운행 최고 허용속도를 일정시간 이상 초과할 경우에는 상기 제동기(20E)를 작동시켜 열차를 정지시키는 비상제동단계(140) 등으로 구성되어 안전거리 미확보로 인한 열차의 추돌사고를 방지하였다.
즉, 열차가 어느 특정의 지상자 설치구간에 진입할 경우, 첫째, 당해 열차가 진입한 지상자 설치구간에 지령된 운행 최고 허용 속도를 소정의 방법에 의해 검출하고, 둘째, 열차의 실제 주행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실제속도가 지령된 최고 허용 속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이를 나타내는 소정의 경보신호를 발생하여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여 상용제동을 실시하도록 하다가, 운전자가 상기 경보신호를 듣고 즉시 열차의 속도를 감하는데 소요되는 소정의 시간이 지나도록 열차의 실제속도가 상기 지령된 최고 허용 속도보다 작아지지 않을 경우에는 운전자가 상용제동을 실시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하여 비상제동을 실시하므로써 안전거리 미확보로 인한 열차의 추돌 방지하였다.
제4도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비상제동을 실시하는 국철용 ATS의 운전곡선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열차가 지상자 설치구간에서 지령된 최고 허용 속도를 초과한 상태로 어느 특정의 지상자 설치구간을 진입할 경우, 일정시간(5초) 내에 상기 지령 속도 이하로 감속되지 않으면 강제적으로 비상제동이 실시됨을 나타내고 있다.
참고로, 상기 제4도의 운전곡선은, 5개의 신호형태(G신호, YG신호, Y신호, YY신호, R신호)로 동작하는 ATS의 운전곡선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종래 비상제동 방법은, 다음번 지상자가 설치된 구간까지의 잔여거리에 상관없이 일률적인 소정의 시간후(예: 5초)에 비상제동을 실시하므로 인해, 효율적인 운행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말해, 다음번 지상자 설치구간 까지의 잔여거리가 현재의 실제속도에 대한 제동 안전거리보다 충분히 길어, 즉시 비상제동을 실시할 필요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비상제동을 실시하여 열차를 정지시킴으로 인해 열차의 운행 효율을 저감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다음번 지상자 설치구간까지의 거리가 1,000m이고, 열차의 현재 주행 속도에 대한 제동 안전거리가 300m일 경우, 효율적인 열차운행을 위해서는 700m를 더 전진한 후에 비상제동을 실시하여야 하나, 상기 700m에 대한 여유거리를 무시한 채 즉시 비상제동을 실시하여 열차를 정지시키므로 인해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지하다시피, 지상자는 제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로의 경사정도, 굴곡정도, 제동안전거리, 정지위치 및 교통혼잡도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그 설치 거리를 설정하는 것으로, 구간에 따라 그 설치구간의 거리 차이가 심하며, 지상자 설치구간에서 지령되는 열차 운행 최고 허용 속도 또한, 선행하는 열차의 선로 점유상태에 따라 가변적이다.
즉, 같은 길이의 지상자 설치구간이라 하더라도 선행하는 열차의 선로 점유상태에 따라 어떤때는 YG호구간(최고속도: 105㎞/h)으로, 또 어떤때는 YY신호구간(최고속도: 25㎞/h)으로 변하게 되는 것으로, 그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안전거리가 확보되도록 설계되어 있다(제4도의 운전곡선 참조). 아래의 표[1]은, 각 신호형태에 다른 최고 허용 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G신호의 현시에 대비한 지상자 설치구간에 YY신호가 현시하였을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비효율적인 운행을 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지상자의 설치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음번 지상자가 설치된 위치를 독출하고, 열차의 주행거리계를 이용하여 당해 지상자 설치구간에 설치된 지상자를 통과한 후의 운행거리를 검출하여, 다음번 지상자가 설치된 위치까지의 거리를 지속적으로 산출하다가, 열차의 운행속도가 지상자 설치구간에서 지령된 운행 최고 허용 속도를 초과할 경우, 열차의 현재 속도에 대한 제동안전거리가 다음번 지상자 설치 위치까지의 잔여거리 이상인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여, 제동안전거리가 잔여거리 이상이 되는 지점에서 비상제동을 실시하므로 인해, 효율적인 열차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한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은, 지상자의 설치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음번에 통과할 지상자가 설치된 위치를 독출하고, 열차가 주행하고 있는 당해 지상자 설치구간에 설치된 지상자를 통과한 후의 운행거리를 검출하여, 다음번에 통과할 지상자가 설치된 위치까지의 잔여거리를 지속적으로 산출하다가, 열차의 운행속도가 지상자 설치구간에서 지령된 운행 최고 허용속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이를 나타내는 소정의 경보신호를 소정의 방법으로 발생한 후, 열차의 현재 속도에 대한 제동안전거리가 다음번에 통과할 지상자가 설치된 설치위치 까지의 잔여거리 이상인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여, 제동안전거리가 잔여거리 이상이 되는 지점에서 비상제동을 실시하도록 구성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경보신호는, 특정의 경보음이나 음성안내장치로 이루어진 청각표시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경보신호는, 경광등이나 LED(LIGHT EMITTING DIODE), LCD(LIQUID CRYSTAL DIODE), 또는 화면표시장치로 이루어진 시각표시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보신호 발생방법은, 열차가 주행하고 있는 선로의 현재 위치로부터 다음번에 통과할 지상자가 설치된 설치위치까지의 잔여거리가, 열차의 실제 주행 속도에 대한 제동안전거리에 점점 가까워짐에 따라 그 가까워진 상태를 다단계적으로 나타내도록 발생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를 들어 그 동작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첨부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는 본 발명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운전자에 의해 열차를 운행할 운행경로의 입력이 완료되기를 기다려, 운행경로의 입력이 완료되었을 경우에는, 해당 운행선로에 설치된 지상자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부(20K)로부터 독출하는 데이터독출단계(210)와;
상기 데이터독출단계(210)를 수행하여 독출한, 열차의 운행선로상에 존재하는 지상자의 설치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음번에 통과할 지상자 설치구간에 설치된 지상자까지의 거리를 산출한 후, 상기 지상자(10A), 차상자(20A), 발진기(20B), 주파수검출기(20C) 및 마이컴(20H) 등을 통해당해 열차가 주행하는 지상자 설치구간에 지령된 열차 운행 최고 허용 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속도검출기(20D)를 통해 열차의 실제 주행 속도를 검출하여, 다음번에 통과할 지상자 설치구간에 진입할 때까지 열차의 실제 운행 속도가 지상자 설치구간에서 지령된 운행 최고 허용속도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는 속도비교단계(220)와;
상기 속도비교단계(220)를 수행한 결과, 열차의 실제 운행 속도가 상기 지상자 설치구간에서 지령된 운행 최고 허용속도를 초과하였을 경우에는 이를 나타내는 소정의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단계(230)와;
상기 경보단계(230)를 수행한 후, 당해 열차가 주행하는 지상자 설치구간에 설치된 지상자(10A)의 위치로부터 열차가 운행한 거리를 상기 주행거리계(20I)를 통해 산출하고, 다음번에 통과할 지상자 설치구간에 설치된 지상자까지의 잔여거리를 산출하여, 열차의 현재 속도에 대한 제동안전거리가 다음번에 통과할 지상자가 설치된 설치위치까지의 잔여거리 이상인지 여부를 검출하여, 제동안전거리가 잔여거리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속도비교단계(220)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이후로 복귀하는 제동안전거리판단단계(240)와;
상기 제동안전거리판단단계(240)를 수행한 결과, 열차의 현재 주행 속도에 대한 제동안전거리가 다음번에 통과할 지상자가 설치된 설치위치까지의 잔여거리 이상을 경우, 비상제동을 실시하는 비상제동단계(2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운행경로입력부(20J)를 통해 운전자가 열차를 운행할 경로를 입력하게 되면, 마이컴(20H)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K)로부터 당해 열차가 운행할 선로에 설치된 지상자(10A)의 설치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독출하는 상기 데이터독출단계(210)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독출단계(210)를 수행하여 운행경로상에 설치된 지상자(10A) 설치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K)로부터 독출한 후에는, 상기 독출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열차가 다음번에 통과할 지상자 설치구간에 설치된 지상자 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게 된다.
여기서, 다음번에 통과할 지상자(10A)가 설치된 설치위치까지의 거리는 데이터베이스부(20K)에 기 입력된 값이다.
또한, 상기의 과정을 수행한 후에는, 당해 열차가 주행하는 지상자 설치구간에 지령된 열차 운행 최고 허용 속도와 열차의 실제속도를 검출하여 열차의 실제 주행 속도가 상기 지상지 설치구간에서 지령된 운행 최고 허용 속도를 초과하는 지의 여부를, 다음번에 통과할 지상자 설치구간에 도달할 때까지의 지속적으로 판단하는 상기 속도비교단계(220)를 수행하여, 열차의 실제 주행 속도가 지상자 설치구간에서 지령된 운행 최고 허용 속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이를 나타내는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경보단계(230)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경보단계(230)의 경보신호는 특정의 멜로디나 싸이렌 소리, 또는 상황을 알리는 음성을 선택적으로 조합한 청각표시장치나, 경광등, LED, LCD, 또는 화면표시장치를 선택적으로 조합한 시각표시장치를 상황에 따라 조합하여 사용하며, 그 발생방법에 있어서는, 열차가 주행하고 있는 선로의 현재 위치로부터 다음번에 통과할 지상자가 설치된 설치위치까지의 잔여거리가, 열차의 실제 주행 속도에 대한 제동안전거리에 점점 가까워짐에 따라 그 가까워진 상태를 다단계적으로 나타내도록 한다.
예를 들어, 열차의 진행에 따라 다음 지상자까지의 잔여거리가 일정 퍼센터(%)씩 가까워질 때마다, 또는 비상제동시기가 임박해지는 소정의 시간단위마다(예: 5초단위, 또는 10초 단위 등) 싸이렌의 주파수나 음량을 높이거나, 경광등의 점멸주기를 빠르게 하는 방법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보단계(230)를 수행한 후에는, 당해 열차가 주행하는 지상자 설치구간에 설치된 지상자(10A)의 위치로부터 열차가 운행한 거리를 상기 주행거리계(20I)를 통해 산출하고, 다음번에 통과할 지상자 설치구간에 설치된 지상자까지의 잔여거리를 산출하여, 열차의 현재 속도에 대한 제동안전거리가 다음번에 통과할 지상자가 설치된 설치위치까지의 잔여거리 이상인지 여부를 검출하여, 제동안전거리가 잔여거리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속도비교단계(220)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 이후로 복귀하는 상기 제동안전거리판단단계(240)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비상제동을 실시하여 열차를 정지시키는 상기 비상제동단계(250)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제6도는 본 발명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운전곡선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비상제동 실시 시기가 각 구간에 따라 A1초, A2초, A3초 등으로 달라짐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불합리한 비상제동으로 인한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막을 수 있음은 물론, 지상자 설치구간에서 지령된 속도를 초과하여 운행하면서도 제동안전거리를 항시 확보할 수 있어, 운행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이로인한 교통체증의 감소나 기기의 마모로 부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은, 특히, 지상자의 설치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음번 지상자가 설치된 위치를 독출하고, 열차의 주행거리계를 이용하여 당해 지상자 설치구간에 설치된 지상자를 통과한 후의 운행거리를 검출하여 다음번 지상자가 설치된 위치까지의 거리를 지속적으로 산출하다가, 열차의 운행속도가 지상자 설치구간에서 지령된 운행 최고 허용 속도를 초과할 경우, 열차의 현재 속도에 대한 제동안전거리가 다음번 지상자 설치 위치까지의 잔여거리 이상인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여, 제동안전거리가 잔여거리 이상이 되는 지점에서 비상제동을 실시하므로 인해, 효율적인 열차운행을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지상자의 설치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음번에 통과할 지상자가 설치된 위치를 독출하고, 열차가 주행하고 있는 당해 지상자 설치구간에 설치된 지상자를 통과한 후의 운행거리를 검출하여, 다음번에 통과할 지상자가 설치된 위치까지의 잔여거리를 지속적으로 산출하다가 열차의 운행속도가 지상자 설치구간에서 지령된 운행 최고 허용 속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이를 나타내는 소정의 경보신호를 소정의 방법으로 발생한 후, 열차의 현재 속도에 대한 제동안전거리가 다음번에 통과할 지상자가 설치된 설치위치까지의 잔여거리 이상인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여 제동안전거리가 잔여거리 이상이 되는 지점에서 비상제동을 실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경부신호는, 특정의 경보음이나 음성안내장치로 이루어진 청각표시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경부신호는, 경광등이나 LED, LCD, 또는 화면표시장치로 이루어진 시각표시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신호 발생방법은, 열차가 주행하고 있는 선로의 현재위치로부터 다음번에 통과할 지상자가 설치된 설치위치 까지의 잔여거리가, 열차의 실제 주행속도에 대한 제동안전거리에 점점 가까워짐에 따라 그 가까워진 상태를 다단계적으로 나타내도록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
KR1019960025605A 1996-06-29 1996-06-29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 KR0154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5605A KR0154688B1 (ko) 1996-06-29 1996-06-29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5605A KR0154688B1 (ko) 1996-06-29 1996-06-29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608A KR980001608A (ko) 1998-03-30
KR0154688B1 true KR0154688B1 (ko) 1999-02-18

Family

ID=19464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5605A KR0154688B1 (ko) 1996-06-29 1996-06-29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46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9204A (zh) * 2017-02-13 2017-06-09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车辆紧急制动距离计算及记录的控制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657A (ko) * 2001-10-24 2003-05-01 주식회사 로템 정차역 통과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9204A (zh) * 2017-02-13 2017-06-09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车辆紧急制动距离计算及记录的控制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608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72415B2 (en) Train control system integrating dynamic and fixed data
EP1493610B1 (en) Automatic train stop system
US5864304A (en) Wireless railroad grade crossing warning system
AU735893B2 (en) Integrated cab signal rail navigation system
KR100965894B1 (ko)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제한 커브 추종 시스템및 방법
KR100858119B1 (ko) 열차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049176B1 (ko) 열차 정위치 정차 장치
KR0154688B1 (ko) 지상자 위치 인식 ats의 비상제동 방법
KR100741504B1 (ko) 열차탈선방지장치
KR0154690B1 (ko) 열차운행 종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41963B1 (ko)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제한 커브 추종 시스템 및 방법
KR100381043B1 (ko) 열차자동정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83319B1 (ko) 에이티에스 지상자 무응동 검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지상자 무응동 검지 에이티에스 및 그 제어방법
KR101061230B1 (ko) Ats 지상자를 이용한 atp 속도제한 커브 추종 시스템 및 방법
KR100598002B1 (ko) 열차자동정지장치 및 그 운행 자동제어방법
KR20000009567A (ko) 열차의 승강장 운행 제어/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8130807A (ja) 車上装置、地上装置及び車両制御装置
KR200176547Y1 (ko) 열차자동정지장치
KR100365699B1 (ko) 열차자동정지장치의 운전제어방법
JP3992783B2 (ja) 踏切制御装置
KR200165233Y1 (ko) 정시간제어철도건널목제어장치
KR20200032967A (ko) 철도 선로 작업자를 위한 안전 경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안전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38679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철도 차량의 건널목 정시간 제어시스템
JP2005271722A (ja) 停車駅誤通過防止システム
JP3973392B2 (ja) 自動列車制御装置、及び自動列車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