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4476B1 -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출중계선 점유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출중계선 점유제어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476B1
KR0154476B1 KR1019950042457A KR19950042457A KR0154476B1 KR 0154476 B1 KR0154476 B1 KR 0154476B1 KR 1019950042457 A KR1019950042457 A KR 1019950042457A KR 19950042457 A KR19950042457 A KR 19950042457A KR 0154476 B1 KR0154476 B1 KR 0154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going line
line
processor
rout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2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1702A (ko
Inventor
조남각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50042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4476B1/ko
Publication of KR970031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1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4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 H04Q3/545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 H04Q3/54541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using multi-processo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4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 H04Q3/545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 H04Q3/54508Configuration, initialisation
    • H04Q3/54533Configuration data, translation, passwords, 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06Microcomputer; Microproces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출중계선 점유제어장치 및 방법은 다수의 프로세서를 구비한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각 프로세서별로 번호번역 및 루트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여 하나의 프로세서가 다운되어도 다운되지 않은 프로세서내에서의 출중계선 점유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장치는 각 프로세서들이 가입자 제어부; 가입자 제어부에 의해 요구에 의하여 가입자가 인가한 번호를 번역하고, 번호번역결과 가입자로부터 인가된 번호가 출중계선 점유에 대한 호인 경우에는 가입자 제어부로 루팅요구신호를 출력하는 번호번역부; 가입자 제어부에 의하여 출중계선 점유를 위한 루팅요구신호가 인가되면, 사용가능한 중계선이 존재한는 지를 검색하는 루트제어부; 루트제어부에 의해 사용가능한 중계선이 존재한다고 판단되어 출중계선 점유요구가 인가되면, 재차 출중계선 점유가 가능한지를 체크하고, 출중계선 점유가 가능한 경우에 출중계선 정합을 위한 점유신호를 출력하는 중계선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출중계선 점유제어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종래의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출중계선 점유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제2도는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출중계선 점유제어장치의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출중계선 점유제어방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210,220 : 메인 프로세서 201,211,221 : 가입자 제어부
202,212,222 : 번호번역부 204,214,224 : 중계선 제어부
205,215,225 : 중계선 정합 프로세서
본 발명은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출중계선점유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메인프로세서(Main pProcessor ; 이하 MP라 함)를 구비한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출중계선 점유루트를 제어하기 출중계선 점유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메인 프로세서를 구비한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에는 번호번역 기능과 루트(Route)제어기능을 갖는 하나의 번호번역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각 MP에서 요구되는 번호번역은 물론 루트제어까지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번호번역 프로세서를 다수의 프로세서가 공유하는 종래의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내의 블록도로서, 제1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출중계 점유에 대한 루트제어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MP(100)의 가입자제어부(101)에 의하여 번호번역이 요구되면, 번호번역 프로세서(110)는 번호번역처리부(111)에서 번호번역을 한다. 번호번역결과, 출중계로 확인되면 루트제어부(RCO(Rout Control), 112)로 루팅(Routing)요구를 한다. 이에 따라 루트제어부(112)는 해당 루트에 비사용중인 출중계선이 존재하는 지를 체크한 후에 해당 출중계선이 존재하는 MP(100 또는 120)의 중계선 제어부(102 또는 122)로 출중계선 점유요구를 한다. 중계선 제어부(102 또는 122)는 점유를 요구한 중계선에 대하여 사용여부를 다시 판단하고, 사용하지 않고 있으면 해당되는 중계선 정합프로세서(Line Processor; LP, 103 또는 123)로 출중계선 점유요구를 하여 출중계선 점유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출중계선 점유요구가 MP(120)에 해당되는 가입자에 의해 요구될 때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출중계선 점유를 위한 루트제어처리를 할 때 번호번역 프로세서가 다운될 경우에는 출중계에 대한 전반적인 호처리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프로세서를 구비한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각 프로세서별로 번호번역 및 루트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여 하나의 프로세서가 다운되어도 다운되지 않은 프로세서내에서의 출중계선 점유제어하는 출중계선 점유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다수의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에 사용되는 출중계선 점유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들은 해당 가입자 정합을 위한 제어를 하기 위한 가입자 제어부; 가입자 제어부에 의해 요구에 의하여 가입자가 인가한 번호를 번역하고, 번호번역결과 가입자로부터 인가된 번호가 출중계선 점유에 대한 호인 경우에는 가입자 제어부로 루팅요구신호를 출력하는 번호번역부; 가입자 제어부에 의하여 출중계선 점유를 위한 루팅요구신호가 인가되면, 자신의 프로세서내에 사용가능한 중계선이 존재하는 지를 검색하고, 사용가능한 중계선이 존재하지 않으면 타 프로세서에 해당 중계선이 존재하는 지를 검색하여 해당 중계선이 존재하면 재루팅을 요구하는 루트제어부; 루트제어부에 의해 사용가능한 중계선이 존재한다고 판단되어 출중계선 점유요구가 인가되면, 재차 출중계선 점유가 가능한지를 체크하고, 출중계선 점유가 가능한 경우에 출중계선 정합을 위한 점유신호를 출력하는 중계선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임의의 가입자가 다이얼링을 하면, 번호번역을 요구하는 단계; 번호번역 결과, 출중계선 점유를 위한 호인 경우에, 해당되는 출중계선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 요구되는 출중계선이 사용가능한 루트인지를 검색하는 제1검색단계; 제1검색단계에서 검색한 결과, 사용가능한 루트인 경우에는 자신의 프로세서내에 할당을 요구하는 출중계선이 존재하는 지를 검색하는 제2검색단계; 제2검색단계의 검색결과, 자신의 프로세서내에 할당을 요구하는 출중계선이 존재하면, 해당 중계선 정합을 위한 점유요구를 하는 단계; 제2검색단계의 검색결과, 자신의 프로세서내에 출중계선이 존재하지 않으면, 자신의 프로세서내에서 우회루트를 검색하는 제3검색단계; 우회루트 검색결과, 할당을 요구하는 출중계선이 존재하지 않으면, 타 프로세서에 할당을 요구하는 출중계선이 존재하는 지를 검색하는 제4검색단계; 타 프로세서에 할당을 요구하는 출중계선이 존재하면, 출중계선이 존재하는 프로세서로 재루팅이 요구되고, 가입자로부터 요구되었던 출중계선 루트정보를 타 프로세서로 수록한 다음 자신의 프로세서내에 할당된 출중계선에 대한 검색과정으로 리턴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출중계선 점유제어장치의 블록도로서, 2개의 MP가 구비된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의 경우를 예로 든 것이다.
제2도에 도시된 출중계선 점유제어장치는, 각각 구비되어 있는 MP(200, 210, 220)내에 수용가능한 해당 가입자와의 정합을 위한 가입자 제어부(201, 211, 221), 번호번역부(202, 212, 222), 루트제어부(203, 213, 223), 중계선 제어부(204, 214, 224)를 구비하고, 각 MP(200, 210, 220)에 대응되는 중계선 정합 프로세서(205,215,225)로 구성된다.
제3a, 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출중계선 점유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그러면 제2도와 제3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 대한 동작설명을 하기로 한다.
제301단계에서 MP(200)에 속해 있는 임의의 가입자가 수화기를 들고 다이얼링을 하면, 제302단계로 진행되어 가입자제어부(201)에서 번호번역부(202)로 번호번역을 요구한다. 번호번역부(202)의 번호번역결과 출중계호로 판단되면, 제303단계에서 제304단계로 진행되어 번호번역부(202)는 가입자 제어부(201)를 통해 루트제어부(203)로 출중계선 할당을 위한 루팅을 요구한다.
제305단계에서 루트제어부(203)는 해당 루트를 검색하고, 사용가능한 루트인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사용가능한 루트가 아니면 제306단계에서 제307단계로 진행되어 가입자 제어부(201)로 할당된 출중계선 점유 실패를 통보하고 리턴된다.
그러나 제306단계의 판단결과, 사용가능한 루트이면 제308단계로 진행되어 해당 루트에 할당된 중계선이 자신의 프로세서에 할당되어 있는 가를 검색한다.
검색결과, 자신의 프로세서에 중계선이 존재하면 제309단계를 통해 제310단계로 진행되어 중계선 사용여부를 검색하고, 사용중이 아니면 제311단계에서 제312단계로 진행되어 해당 중계선 정합프로세서(205)로 해당 중계선에 대한 출중계 점유요구를 하고 리턴된다.
그러나 제309단계의 판단결과, 자신의 프로세서내에 할당된 출중계선이 존재하지 않거나 제311단계의 체크결과, 사용중이지 않은 중계선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313단계로 진행되어 우회루트 검색을 한다.
우회루트 검색결과, 루트가 존재하면 제314단계에서 제315단계로 진행되어 우회루트 카운트값을 검색한다. 카운트값 검색결과, 카운트값이 5이상이면 제 316단계에서 제317단계로 진행되어 가입자제어부(201)로 출중계선 점유 실패통보를 하고 리턴된다.
그러나 카운트값이 5이상이 아니면 제316단계에서 제318단계로 진행되어 해당루트를 검색하고 제306단계로 리턴되어 상술한 과정을 반복처리한다.
그러나 제314단계의 판단결과, 자신의 프로세서내의 우회루트도 존재하지 않으면 제319단계로 진행되어 타 MP(210 또는 220)에 할당된 중계선이 있는 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타 MP(210 또는 220)에 할당된 중계선이 없으면 제321단계로 진행되어 모든 MP를 다 검색하였는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모든 MP를 다 검색하였으면, 제322단계로 진행되어 가입자제어부(201)로 출중계선 점유실패통보를 하고 리턴된다. 그러나 모든 MP를 다 검색한 것이 아니면 제319단계로 리턴된다.
한편, 제320단계의 체크결과, 타 MP(210 또는 220)에 할당된 중계선이 존재하면 제323단계로 진행되어 중계선이 존재하는 MP(210 또는 220)가 정상상태인지를 체크한다. 이는 해당 MP(210 또는 220)이 비정상상태인지를 체크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비정상상태이면 제319단계로 리턴되어 다른 MP를 검색한다. 그러나 해당 MP가 정상상태이면, 제324단계로 진행되어 해당 MP(210 또는 220)로 재루팅을 요구하고, 처음에 요구된 루트번호를 해당 MP(210 또는 220)의 루트제어부(213 또는 223)에 기록하여 해당 MP(210 또는 220)가 출중계 점유제어를 처리하도록 제304단계로 진행된다.
상술한 경우는 MP(200)에 해당되는 가입자에 의하여 출중계선이 요구된 경우를 예로 든 것이나 만약 MP(210)에 해당되는 가입자가 요구하는 경우에 타 MP는 (200)과(220)이 되고, MP(220)에 해당되는 가입자가 요구하는 경우에 타 MP는 (200)과(210)이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프로세서를 구비한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각 프로세서별로 루트제어 및 번호번역 기능을 갖도록 구비하여 타 프로세서의 영향을 받지 않고 출중계선 점유를 위한 호처리를 하도록 함으로써, 출중계선 점유를 위한 호처리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수 있으며 시스템의 모듈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다수의 프로세서(200, 210, 220)를 구비하는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에 사용되는 출중계선 점유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들(200, 210, 220)은 해당 가입자 정합을 위한 제어를 하기 위한 가입자 제어부(201, 211, 221); 상기 가입자 제어부(201, 211, 221)에 의해 요구에 의하여 상기 가입자가 인가한 번호를 번역하고, 번호번역결과 상기 가입자로부터 인가된 번호가 출중계선 점유에 대한 호인 경우에는 상기 가입자 제어부(201, 211, 221)로 루팅요구신호를 출력하는 번호번역부(202, 212, 222); 가입자 제어부(201, 211, 221)에 의하여 출중계선 점유를 위한 루팅요구신호가 인가되면, 자신의 프로세서내에 사용가능한 중계선이 존재하는 지를 검색하고, 사용가능한 중계선이 존재하지 않으면 타 프로세서에 해당 중계선이 존재하는 지를 검색하여 해당 중계선이 존재하면 재루팅을 요구하는 루트제어부(203); 루트제어부(203)에 의해 사용가능한 중계선이 존재한다고 판단되어 출중계선 점유요구가 인가되면, 재차 출중계선 점유가 가능한지를 체크하고, 출중계선 점유가 가능한 경우에 출중계선 정합을 위한 점유신호를 출력하는 중계선 제어부(20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중계선 점유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트제어부(203)는 자신의 프로세서내에 해당 출중계선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할 때 우회루트도 고려하여 검색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중계선 점유제어장치.
  3. 다수의 프로세서(200, 210, 220)를 구비하는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에 사용되는 출중계선 점유제어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가입자가 다이얼링을 하면, 번호번역을 요구하는 단계; 번호번역결과, 출중계선 점유를 위한 호인 경우에, 해당되는 출중계선 할당을 요구하는 단계; 요구되는 출중계선이 사용가능한 루트인지를 검색하는 제1검색단계; 제1검색단계에서 검색한 결과, 사용가능한 루트인 경우에는 자신의 프로세서내에 할당을 요구하는 출중계선이 존재하는 지를 검색하는 제2검색단계; 상기 제2검색단계의 검색결과, 자신의 프로세서내에 할당을 요구하는 출중계선이 존재하면, 해당 중계선 정합을 위한 점유요구를 하는 단계; 상기 제2검색단계의 검색결과, 자신의 프로세서내에 상기 출중계선이 존재하지 않으면, 자신의 프로세서내에선 우회루트를 검색하는 제3검색단계; 상기 우회루트 검색결과, 할당을 요구하는 출중계선이 존재하지 않으면, 타 프로세서에 할당을 요구하는 출중계선이 존재하는 지를 검색하는 제4검색단계; 상기 타 프로세서에 할당을 요구하는 출중계선이 존재하면, 출중계선이 존재하는 프로세서로 재루팅이 요구되고, 상기 가입자로부터 요구되었던 출중계선 루트정보를 상기 타 프로세서로 수록한 다음 상기 자신의 프로세서내에 할당된 출중계선에 대한 검색과정으로 리턴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중계선 점유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중계선 점유제어방법은 상기 제3검색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우회루트검색시 우회루트 카운트값이 소정치 이상이면 우회루트가 존재하여도 출중계선 점유 실패통보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중계선 점유제어방법.
KR1019950042457A 1995-11-21 1995-11-21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출중계선 점유제어장치 및 방법 KR0154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2457A KR0154476B1 (ko) 1995-11-21 1995-11-21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출중계선 점유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2457A KR0154476B1 (ko) 1995-11-21 1995-11-21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출중계선 점유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702A KR970031702A (ko) 1997-06-26
KR0154476B1 true KR0154476B1 (ko) 1998-11-16

Family

ID=19434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2457A KR0154476B1 (ko) 1995-11-21 1995-11-21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출중계선 점유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44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082B1 (ko) * 1997-06-30 2000-08-16 강병호 전전자교환기의중계선할당시점선택방법
KR20000015089A (ko) * 1998-08-27 2000-03-15 김영환 이동통신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장치 및 그 방법
KR100298292B1 (ko) * 1998-12-16 2001-10-26 서평원 교환시스템에서의출중계신호에러시호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702A (ko) 199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4476B1 (ko)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출중계선 점유제어장치 및 방법
US4095054A (en) Electronic telephone switching system of the stored program type comprising two active stages and one passive stage
US6141343A (en) Channel division control equipment of the ISDN primary rate interface circuit
KR940005530B1 (ko) 사설 교환기 정합시의 호 손실방지 방법
JP2636731B2 (ja) 構内交換機のシステムデータ転送方式
KR960016273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음성정보 서비스 호처리 방법
KR20000018874A (ko) 교환 시스템에서의 중계선 검색 방법
KR100239064B1 (ko) 사설 교환기의 착신번 테이블 탐색 방법
RU2137316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регистрационными сигналами r-2 по странам в 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истеме
US6954528B2 (en) Message path bypass for intelligent network elements
KR100594069B1 (ko) 교환시스템에서 센트릭스 내선번호 부여에 의한 광역호 처리방법
JP2684990B2 (ja) 時分割多重化装置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経路探索方法及び時分割多重化装置
KR100270648B1 (ko) 사설교환기의 공동회선 호출시스템 및 그 방법
KR19990086364A (ko) 사설 교환기에서 가상 포트를 이용하는 멀티라인 서비스 방법
JP2000269916A (ja) ネットワーク帯域管理方式
JPH0583381A (ja) 局線着信接続制御方式
JPH01248727A (ja) 移設端末専用ルーチング方式
JPS6187497A (ja) デイジタル電子交換機
KR19990038247A (ko) 사설 교환기의 착신번 번역 방법
KR930011556A (ko) 호 서비스 여부의 제어방법
KR960027828A (ko) 패킷 처리 모듈 형상 데이터 처리방법
JPS6086957A (ja) 回線共用方式
JP2004120793A (ja) 電話交換機
KR20000046548A (ko) 교환기의 트렁크 점유 방법
JPH1042348A (ja) 電話端末の位置検索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