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089A - 이동통신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089A
KR20000015089A KR1019980034816A KR19980034816A KR20000015089A KR 20000015089 A KR20000015089 A KR 20000015089A KR 1019980034816 A KR1019980034816 A KR 1019980034816A KR 19980034816 A KR19980034816 A KR 19980034816A KR 20000015089 A KR20000015089 A KR 20000015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bypass
bypass route
registrat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4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용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34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5089A/ko
Publication of KR20000015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089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가입자 또는 입중계루트를 통해 수신된 국신호를 분석하여 원하는 목적지로 호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해당코드에 저장된 중계선 그룹내 유휴한(IDLE) 중계선을 점유하려 했을 때, 해당 루트 내 유휴중계선이 없을 경우 우회루트를 지정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의 우회루트 지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기의 우회루트 지정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교환기에서 제공하는 제한된 우회루팅기능으로 인해 정상적인 호처리가 불가능한 경우 루팅계획을 재 설정하지 않고, 1차루트에서 기존에 사용되던 우회루트의 끝단에 새로운 루트를 첨가시키거나, 1차루트에서 기존에 사용되던 우회루트에 새로운 루트를 삽입시키거나, 1차루트에서 기존에 사용되던 우회루트의 첫단에 새로운 루트를 첨가시키거나 또는 기존에 사용되던 하나의 우회루트를 새로운 루트로 대치시키므로써, 기존의 1차루트 및 우회루트외에 별도의 우회루트가 형성되어, 루트에 대한 경우의 수가 증가되므로써 호처리 효율을 증가 시킬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가입자 또는 입중계루트를 통해 수신된 국신호를 분석하여 원하는 목적지로 호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해당코드에 저장된 중계선 그룹내 유휴한(IDLE) 중계선을 점유하려 했을 때, 해당 루트 내 유휴중계선이 없을 경우 우회루트를 지정하는 이동통신 교환기의 우회루트 지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교환기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국신호입력부(100,110)를 통해 수신되는 국신호의 코드별로 발신 트래픽형태에 따라 번호를 번역하고, 그 결과로서 1차루트(DR; DIRECT ROUTE) 및 8개의 우회루트(AR1∼AR8; ALTERNATIVE ROUTE)로 구성되는 하나의 루트 시퀀스(200; ROUTE SEQUENCE)를 지정하여 순방향의 순차적 호제어절차 만이 가능하였다.
즉, 우회중계기능은 목적지 코드별로 우회루트를 구분지정하게 되고, 다수의 국번에 대한 1차루트는 동일하나 우회루트를 국번별 또는 발신형태별(가입자 및 입중계 트래픽 타입 등)로 서로 다르게 지정하는 기능으로서, 하나의 1차 루트에 대하여 최대 8까지의 우회루트를 지정하여 순방향의 순차적 제어만이 가능하였다.
또한, 상기 1차루트와 8개의 우회루트로 구성되는 루트시퀀스(200)는 최대 5000개까지 지정가능하고, 상기 루트시퀀스에 대해 지정될 수 있는 루트(300)는 최대 1024개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루팅계획은 1개의 1차루트와 최대 8개의 우회루트를 가진 순차적 제어가 이루어지므로, 만약, 정상적인 호처리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 처음부터 다시 루팅계획을 수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상적인 호처리기능이 불가능한 경우 운영자의 우회루트등록에 의해 기존의 1차루트 및 우회루트외에 별도의 우회루트경로를 마련하여 루트에 대한 경우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불가능한 호를 가능하게 하여 호처리 효율을 증가 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동통신 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장치는 운용자로부터 우회루트등록명령을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우회루트등록시그널을 출력하는 명령어수행제어부와, 상기 명령어수행제어부에서 우회루트등록시그널을 입력받아 조회하여 루트시퀀스 및 우회루트번호의 적합성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우회루트시퀀스를 제어하고, 상기 명령어수행제어부로 우회루트등록사항 및 루트등록정보를 알리기위한 시그널을 출력하는 루트데이터처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방법은 루트데이터 처리부가 명령어 수행제어부에서 우회루트 등록 시그널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우회루트등록시그널을 조회하는 제 1단계와, 루트데이터처리부가 루트시퀀스의 적합성여부를 판단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 루트시퀀스가 존재하는 루트시퀀스이면 루트데이터처리부는 우회루트번호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우회루트번호가 존재하는 루트번호이면 루트데이터처리부는 우회루트의 등록방법 및 등록위치를 조사하는 제 4단계와, 루트데이터처리부가 상기 제 4단계에서 조사된 우회루트등록방법 및 등록위치에 따라 루팅테이블을 작성하는 제 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교환기에서의 국신호코드별 루트시퀀스와 1차루트 및 우회루트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플로우챠트,
도 4a 내지 도 4d는 이동통신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방법에 의해 예시적으로 작성된 루팅테이블을 우회루트등록방법에 따라 분류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국신호입력부 110 : 국신호입력부
200 : 루트시퀀스 300 : 루트
400 : 운용관리프로세서 410 : 명령어수행제어부
500 : 번호번역프로세서 510 : 루트 데이터처리부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장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장치에 대한 제어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징치는 명령어수행제어부(410)와 루트데이터처리부(5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명령어수행제어부(410)는 운용자로부터 우회루트등록명령을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우회루트등록시그널을 상기 루트데이터처리부(51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운용관리프로세서(400)내에 실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루트데이터처리부(510)는 번호번역프로세서(500)내에 실장되고, 시스템에 할당된 루트 및 트렁크(TRUNK)정보를 등록, 삭제 및 변경하고, 또한 이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고,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루트에 대한 구성정보, ASP(ACCESS SWITCHING PROCESSOR)별 루트구성정보 그리고 출중계루트에 할당된 국신호정보 등을 상기 명령어수행제어부(410)에 출력하는 처리블록으로서, 특히 상기 명령어수행제어부(410)에서 우회루트등록시그널을 입력받아 조회하여 루트시퀀스 및 우회루트번호의 적합성여부를 판단하고, 이에따라 우회루트시퀀스를 제어하고, 상기 명령어수행제어부(410)로 우회루트등록사항 및 루트등록정보를 알리기위한 시그널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교환기의 우회루트 지정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플로우챠트로서 여기서 S는 스텝(STEP)을 나타낸다.
먼저, 루트데이터처리부(510)가 명령어수행제어부(410)에서 우회루트등록시스널을 수신하면(S1), 상기 루트데이터처리부(510)는 수신된 우회루트등록시스널을 조회한다(S2).
상기 스텝(S2)의 조회결과, 루트시퀀스번호가 등록된 루트시퀀스번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즉, 루트시퀀스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여(S3), 만약, 상기 루트시퀀스번호가 0에서 5000 사이의 번호이면(YES), 우회루트번호가 적합한 우회루트번호인지의 여부, 즉 입력된 우회루트 번호가 0과 1023 사이의 루트번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
상기 스텝(S4)에서 입력된 우회루트번호가 0과 1023사이의 루트번호이면(YES), 루트데이터처리부(510)는 우회루트등록방법 및 등록위치를 조사한다(S5). 상기 우회루트등록방법에는 첨가, 삽입 및 대치로 구분된다.
이어서, 우회루트의 등록방법 및 등록위치에 따라 루팅테이블을 작성하고(S6), 모든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루팅테이블의 작성방법을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이동통신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방법에 의해 예시적으로 작성된 루팅테이블을 우회루트등록방법에 따라 분류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사용가능한 최대 9개의 루트중 사용되는 루트를 1차루트 R과 우회루트 A, B 및 C 라고 가정한 상태에서, 1차루트 R에서 우회루트 A,B 및 C의 끝단에 새로운 루트 X가 첨가되는 것을 예로 들었고, 도 4b는 사용가능한 최대 9개의 루트중 사용되는 루트를 1차루트 R과, 우회루트 A, B 및 C 라고 가정하는 동시에, 상기 우회루트 B와 C사이에는 빈 루트가 존재한다는 가정하에, 루트 R에서 기존 우회루트 A, B 및 C사이에 루트 X가 삽입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며, 도 4c는 사용가능한 최대 9개의 루트중 사용되는 루트를 1차루트 R과 우회루트 A, B 및 C라고 가정하는 동시에 1차루트 R과 우회루트 A사이에 빈 루트가 존재한다는 가정하에, 1차루트 R과 우회루트 A, B 및 C사이의 첫단에 루트 X가 첨가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며, 도 4d는 사용가능한 최대 9개의 루트중 사용되는 루트를 1차루트 R과 우회루트 A, B 및 C라는 가정하에, 1차루트 R에서 우회루트 C를 루트 X로 대치한 것을 예로 들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기의 우회루트 지정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교환기에서 제공하는 제한된 우회루팅기능으로 인해 정상적인 호처리가 불가능한 경우 루팅계획을 재 설정하지 않고, 1차루트에서 기존에 사용되던 우회루트의 끝단에 새로운 루트를 첨가시키거나, 1차루트에서 기존에 사용되던 우회루트에 새로운 루트를 삽입시키거나, 1차루트에서 기존에 사용되던 우회루트의 첫단에 새로운 루트를 첨가시키거나 또는 기존에 사용되던 하나의 우회루트를 새로운 루트로 대치시키므로써, 기존의 1차루트 및 우회루트외에 별도의 우회루트가 형성되어, 루트에 대한 경우의 수가 증가되므로써 호처리 효율을 증가 시킬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운용자로부터 우회루트등록명령을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우회루트등록시그널을 출력하는 명령어수행제어부와,
    상기 명령어수행제어부에서 우회루트등록시그널을 입력받아 조회하여 루트시퀀스 및 우회루트번호의 적합성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우회루트시퀀스를 제어하고, 상기 명령어수행제어부로 우회루트등록사항 및 루트등록정보를 알리기위한 시그널을 출력하는 루트데이터처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교환기의 루트시퀀스지정장치.
  2. 루트데이터 처리부가 명령어 수행제어부에서 우회루트 등록 시그널을 수신하고, 그 수신된 우회루트등록시그널을 조회하는 제 1단계와,
    루트데이터처리부가 루트시퀀스의 적합성여부를 판단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 루트시퀀스가 존재하는 루트시퀀스이면 루트데이터처리부는 우회루트번호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우회루트번호가 존재하는 루트번호이면 루트데이터처리부는 우회루트의 등록방법 및 등록위치를 조사하는 제 4단계와,
    루트데이터처리부가 상기 제 4단계에서 조사된 우회루트등록방법 및 등록위치에 따라 루팅테이블을 작성하는 제 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 및 제 3단계에서 루트시퀀스가 존재하지 않는 루트시퀀스이거나, 우회루트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우회루트번호이면 루트데이터처리부에서 명령어수행제어부로 입력에러메시지시그널을 출력하는 제 6단계가 추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교환기의 우회루트 지정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의 루팅테이블은 1차루트에서 기존에 사용되던 우회루트끝단에 새로운 루트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의 루팅테이블은 1차루트에서 기존에 사용되던 우회루트 사이에 새로운 루트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의 루팅테이블은 1차루트에서 기존에 사용되던 우회루트 첫단에 새로운 우회루트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의 루팅테이블은 기존에 사용되던 우회루트들 중 하나의 루트가 우회루트로 새로운 루트로 대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방법.
KR1019980034816A 1998-08-27 1998-08-27 이동통신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150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816A KR20000015089A (ko) 1998-08-27 1998-08-27 이동통신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816A KR20000015089A (ko) 1998-08-27 1998-08-27 이동통신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089A true KR20000015089A (ko) 2000-03-15

Family

ID=19548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4816A KR20000015089A (ko) 1998-08-27 1998-08-27 이동통신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508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754A (ko) * 1991-11-26 1993-06-24 정용문 교환기 시스템의 망관리를 위한 중계선 그룹 제어방법
KR950023136A (ko) * 1993-12-16 1995-07-28 양승택 분산처리 구조방식의 출중계선 선택 제어 방법
US5600630A (en) * 1993-08-31 1997-02-04 Hitachi, Ltd. Path chang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ATM communication apparatus
KR970031702A (ko) * 1995-11-21 1997-06-26 유기범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출중계선 점유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outgoing trunk seizure in the small and medium electronic witching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754A (ko) * 1991-11-26 1993-06-24 정용문 교환기 시스템의 망관리를 위한 중계선 그룹 제어방법
US5600630A (en) * 1993-08-31 1997-02-04 Hitachi, Ltd. Path chang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ATM communication apparatus
KR950023136A (ko) * 1993-12-16 1995-07-28 양승택 분산처리 구조방식의 출중계선 선택 제어 방법
KR970031702A (ko) * 1995-11-21 1997-06-26 유기범 중소형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출중계선 점유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outgoing trunk seizure in the small and medium electronic witching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20688B1 (en) Method of rerouting telecommunications traffic
JP3983886B2 (ja) 電話呼処理方法及び装置
US5384840A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SS7 signaling interface with signal transfer capability
CZ298813B6 (cs) Telekomunikační zařízení, systém a způsob se zlepšeným uzlem přenosu signálu
EP0632667A2 (en) Method for releasing unnecessary trunks from a telephone call
CA1296795C (en) Circuit for a central control time division multiplex pcm telecommunications system with groups of terminals connected to a switching network
CA22685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digital data calls between different destinations
KR100320907B1 (ko) 넘버 7 신호망에서의 신호 트래픽 루팅 방법
EP0200721A1 (en) DEVICE FOR CONNECTING BETWEEN EQUIPMENT BELONGING TO DIFFERENT NETWORK CONFIGURATIONS.
KR20000015089A (ko) 이동통신교환기의 우회루트지정장치 및 그 방법
CN1870764B (zh) 信令点进行负荷分担的方法及系统
US6205137B1 (en) Multimedia processing system with controller exclusively operating on extracted control signals
KR100319384B1 (ko) 지능망 서비스 국번과 이동 통신 서비스 국번의 공동 사용장치 및 방법
JPH0638257A (ja) 交換機の回線選択方式
KR100293386B1 (ko) 공통선 신호망에서의 신호점 변경방법
KR100205041B1 (ko) 논리적 지시자를 이용한 공통선신호망 링크세트 자원 제어 방법
KR100374994B1 (ko) 광역노드 교환통신망간 가입자 위치 자동 탐색방법
KR19980056918A (ko) No.7 신호 프로토콜을 이용한 제어국과 교환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KR0146490B1 (ko) 홈위치 등록기 시스템에서의 데이타 통신방법
JP2845189B2 (ja) Atm交換網呼受付制御方法とその装置
JP2001016257A (ja)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による局間通信システム
KR100405851B1 (ko) 넘버 세븐 신호망에서 신호 메시지 처리부의 성능 개선 방법
JP2000224626A (ja) 交換機間のルーチング方式
JPS61137453A (ja) 信号局コ−ド変更制御方法
KR100299315B1 (ko) 통신망에서 점대다중점 호에 대한 동적 라우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