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644B1 - 자동차의 도어래치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래치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644B1
KR0153644B1 KR1019950062947A KR19950062947A KR0153644B1 KR 0153644 B1 KR0153644 B1 KR 0153644B1 KR 1019950062947 A KR1019950062947 A KR 1019950062947A KR 19950062947 A KR19950062947 A KR 19950062947A KR 0153644 B1 KR0153644 B1 KR 0153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atch plate
door
screw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2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5226A (ko
Inventor
강태영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62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3644B1/ko
Publication of KR970035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5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4Stri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래치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측에 설치되어 도어개폐시 차체측에 고정되어 있는 걸림구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클램프레버를 구비하는 래치플레이트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의 도어래치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에 고정되는 걸림구와 상대결합하는 클램프레버를 갖는 래치플레이트(30)를 구비하고, 이 래치플레이트(30)상에 세개의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래치플레이트를 관통구멍을 통해 도어(20)의 개방단에 형성되는 나사구멍에 나사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래치플레이트(30)상에는 도어(20)상의 어느 하나의 나사구멍과 대응하여 래치플레이트의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제 1관통구멍(61)과; 상기 제 1관통구멍(61)과 반대측에 형성되고, 도어(20)상의 다른 하나의 나사구멍과 대응하며, 삽입되는 나사가 어느 일측으로만 유동할 수 있는 여유를 갖는 제 2관통구멍(62)과; 상기 제 1관통구멍(61)과 제 2관통구멍(62)과 대략 삼각형태를 이루도록 배열되고, 도어상의 또 다른 어느 하나의 나사구멍과 대응하며, 삽입되는 나사가 방사상으로 유동가능한 여유를 갖는 제 3관통구멍(63)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래치 플레이트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도어래치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도어래치 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래치 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 12 : 걸림구
20 : 도어 30 : 래치플레이트
32 : 클램프레버 51,52,53 : 나사
61 : 제 1관통구멍 62 : 제 2관통구멍
63 : 제 3관통구멍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래치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측에 설치되어 도어개폐시 차측에 고정되어 있는 걸림구와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클램프레버를 구비하는 래치플레이트를 손쉽게 조립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의 도어래치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10)에 힌지결합되는 도어(20)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20)의 개방단에 클램프레버(32)를 갖는 래치플레이트(30)가 고정된다. 그리고 차체(10)측에는 상기 클램프레버(32)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걸림구가 구비되어 있다.
제2도에는 상기 래치플레이트(3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플레이트(30)상에 동일한 크기를 갖는 세개의 고정용 관통구멍(31)(32)(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31)(32)(33)들은 클램프레버(32)가 설치되어 상기 걸림구(12)가 출입하는 체결부(30a)주연에 대략 삼각형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도어(20)측에도 상기 관통구멍의 배열과 동일한 배열을 갖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래치플레이트(30)의 관통구멍(31)(32)(33)을 도어(20)의 나사구멍에 일치시키고 나사결합하여 고정을 이루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래치플레이트의 결합구조는 가공성 및 조립성이 매우 불량한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래치플레이트(30)에 형성되는 세개의 관통구멍과 도어(20)에 형성되는 나사구멍(도시되지 않음)과의 상관치수를 정확히 유지하지 않을 경우 조립이 되지 않게 되므로 관통구멍(31)(32)(33)과 나사구멍의 중심간의 거리 및 위치를 정확히 일치시켜야 하므로 가공공차를 엄격히 하게 되고, 따라서 가공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갖고 있었으며, 특히, 일반적으로 공차여유가 작은 나사구멍을 관통구멍을 통한 나사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구멍(31)(32)(33)을 모두 필요 이상 크게 하고 있어 조립시 래치플레이트의 유동발생으로 인해 조립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으므로 도어 개폐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것은 물론 조립작업이 지연되는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래치플레이트(3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위치결정을 손쉽게 할 수 있어 도어의 개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래치 플레이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에 고정되는 걸림구와 상대결합하는 클램프레버를 갖는 래치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이 래치플레이트상에 세개의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래치플레이트를 관통구멍을 통해 도어의 개방단에 형성되는 나사구멍에 나사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래치플레이트상에는 도어상의 어느 하나의 나사구멍과 대응하여 래치플레이트의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제 1관통구멍과; 상기 제 1관통구멍과 반대측에 형성되고, 도어상의 다른 하나의 나사구멍과 대응하며, 삽입되는 나사가 어느 일측으로만 유동할 수 있는 여유를 갖는 제 2관통구멍과; 상기 제 1관통구멍과 제 2관통구멍과 대략 삼각형태를 이루도록 배열되고, 도어상의 또 다른 어느 하나의 나사구멍과 대응하며, 삽입되는 나사가 방사상으로 유동가능한 여유를 갖는 제 3관통구멍을 형성하여 달성될 수 있다.
즉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구성은 부호를 동일하게 설명한다).
제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래치 플레이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체(10)에 고정되는 걸림구(12)와 상대결합하는 클램프레버(32)가 형성되는 체결부(30a)를 갖는 래치플레이트(30)가 구비된다. 이 래치플레이트(30)상에 세개의 관통구멍(61)(62)(63)을 형성하여 래치플레이트(30)가 관통구멍(61)(62)(63)을 통해 도어(20)의 개방단에 형성되는 나사구멍(도시되지 않음)에 나사(51)(52)(53)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래치플레이트(30)상에는 도어(20)상의 어느 하나의 나사구멍과 대응하여 래치플레이트의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제 1관통구멍(61)이 형성된다. 이 제 1관통구멍(61)은 나사(51)의 진입은 허용하되 진입후에는 회전만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최소한의 여유만을 부여하여 래치플레이트(30)의 기준위치를 설정하게 된다.
또한 체결부(30a)를 기준으로 상기 제 1관통구멍(61)의 반대측에는 형성되고, 도어(20)상의 다른 하나의 나사구멍과 대응하는 제 2관통구멍(62)이 형성된다. 이 제 2관통구멍(62)은 삽입되는 나사(52)가 어느 일측으로만 유동할 수 있는 여유를 갖도록 장공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관통구멍(61)과 제 2관통구멍(62)과 대략 삼각형태를 이루도록 배열되고, 도어(20)상의 또 다른 어느 하나의 나사구멍과 대응하는 제 3관통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3관통구멍(63)은 삽입되는 나사(53)가 방사상으로 유동가능한 여유를 갖도록 제 1관통구멍(61)보다 비교적 내경이 크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먼저 제 1 관통구멍(61)을 통해 나사(51)결합을 이루게 되면 제 1관통구멍(61)이 나사(51)에 대해 유동여유가 작으므로 래치플레이트(30)의 일지점, 즉, 제 1관통구멍(61)의 중심부가 예정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나사(51)는 가조립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관통구멍(62)을 통해 나사(52)를 결합하게 되면 제 2관통구멍(62)은 나사(52)를 일방향으로 직선 왕복이동가능하게 형성되므로 일정범위의 가공오차를 수용하며 나사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3관통구멍(63)에 나사(53)를 결합할 때에는 제 1 및 제 2관통구멍(61)(62)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제 3관통구멍(63)은 유동할 수 없으나 나사가 제 3관통구멍(63)내에서 방사상의 유동을 가능하게 되므로 최종오차를 수용하며 조립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래치플레이트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조립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제 1관통구멍(61)으로 기준위치를 잡게 되어 래치플레이트(30)를 예정된 위치에 정확히 일치시키고, 제 2 및 제 3관통구멍(62)(63)에서 가공 및 조립시 발생되는 오차를 흡수보상하며 조립을 수행하게 되므로 관통구멍과 나사구멍간의 불일치로 인한 조립장애를 최소화하여 순조로운 조립작업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래치 플레이트는 기준위치를 잡는 제 1관통구멍과, 어느 일방향으로의 나사유동을 허용하는 제 2관통구멍과, 방사상으로 일정범위의 나사유동을 허용하는 제 3관통구멍을 형성하여 래치플레이트의 조립을 손쉽게 이루게 될 뿐만 아니라 정확한 조립위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도어 개폐작동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차체에 고정되는 걸림구와 상대결합하는 클램프레버를 갖는 래치플레이트(30)를 구비하고, 이 래치플레이트(30)상에 세개의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래치플레이트를 관통구멍을 통해 도어(20)의 개방단에 형성되는 나사구멍에 나사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래치플레이트(30)상에는 도어(20)상의 어느 하나의 나사구멍과 대응하여 래치플레이트의 설치위치를 설정하는 제 1관통구멍(61)과; 상기 제 1관통구멍(61)과 반대측에 형성되고, 도어(20)상의 다른 하나의 나사구멍과 대응하며, 삽입되는 나사(51)가 어느 일측으로만 유동할 수 있는 여유를 갖는 제 2관통구멍(62)과; 상기 제 1관통구멍(61)과 제 2관통구멍(62)과 대략 삼각형태를 이루도록 배열되고, 도어상의 또 다른 어느 하나의 나사구멍과 대응하며, 삽입되는 나사가 방사상으로 유동 가능한 여유를 갖는 제 3관통구멍(63)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래치 플레이트.
KR1019950062947A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도어래치 플레이트 KR0153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2947A KR0153644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도어래치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2947A KR0153644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도어래치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226A KR970035226A (ko) 1997-07-22
KR0153644B1 true KR0153644B1 (ko) 1998-10-15

Family

ID=19446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2947A KR0153644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도어래치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3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841A (ko) 2016-12-20 2018-06-28 율촌화학 주식회사 무 기재 타입 전사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전사필름이 전사된 전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1841A (ko) 2016-12-20 2018-06-28 율촌화학 주식회사 무 기재 타입 전사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전사필름이 전사된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226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9449A (en) Self-mounting automobile dome lamp assembly
US20070227207A1 (en) Motor-Actuated Lock for Vehicle Doors or Flaps
JPH04267591A (ja) 電子器具を取付け壁に固定するための装置
US11746562B2 (en) Quick install method and apparatus for door locks
US5823583A (en) Latch mechanism for glove box door
JPH07208007A (ja) 車両スライド扉用ドアロック装置
KR0153644B1 (ko) 자동차의 도어래치 플레이트
US5469664A (en) Pivoting below belt glass run channel
JPH0771157A (ja) ヒンジ
JP2000077869A (ja) 電子制御式油圧パワーステアリングの制御器
KR100435863B1 (ko) 자동차용 스트라이커
JP2601215B2 (ja) 開閉機構
GB2415743A (en) Mounting structure for key cylinder cap
JP2965228B2 (ja) 車体に対するランプの取付構造
KR0132041Y1 (ko) 자동차의 에어콘 콘트롤스위치 하우징 조립구조
JPH0450779Y2 (ko)
KR100507005B1 (ko) 차량의 도어 조립구조
JP2000328831A (ja) ピボット蝶番
JP2007503537A (ja) フロアスプリング
KR960007605Y1 (ko) 차량의 외부 도어 핸들레버구조
KR0120907Y1 (ko) 트렁크 리드의 키 실린더 결합용 가이드판
JPH0218205Y2 (ko)
KR0162564B1 (ko) 자동차도어의 힌지구조
JPH0450781Y2 (ko)
JPH10299736A (ja) 開閉部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