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032B1 - 스위칭 기능을 갖춘 커넥터 - Google Patents

스위칭 기능을 갖춘 커넥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032B1
KR0153032B1 KR1019940040785A KR19940040785A KR0153032B1 KR 0153032 B1 KR0153032 B1 KR 0153032B1 KR 1019940040785 A KR1019940040785 A KR 1019940040785A KR 19940040785 A KR19940040785 A KR 19940040785A KR 0153032 B1 KR0153032 B1 KR 0153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lug
terminal
electrical connection
convex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40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083A (ko
Inventor
슈지 가또
겐지 오꾸라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기요스께
마쯔시따 덴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기요스께, 마쯔시따 덴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기요스께
Priority to KR1019940040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3032B1/ko
Publication of KR960027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는 내부 전원을 갖춘 휴대형 무선 전화기에 장착되도록 적용된 소켓 및 외부 전원으로부터 무선 전화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코드를 갖춘 플러그로 구성된다. 소켓은 한쌍의 입력 단자, 가동 단자 및 고정 단자를 갖는다. 가동 단자는 접촉부를 각각 갖는 한쌍의 토션 부재로 형성된다. 접촉부들은 고정 단자에 대해 힘을 받아 제1전기 접속을 이룸으로써, 내부 전원을 사용하는 무선 전화기의 제1작동을 허용한다.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간에 놓인 실오라기 또는 먼지로 야기된 제1전기 접속의 해제를 방지하기 위해, 한 접촉부와 고정 단자간의 접촉점은 다른 한 접촉부와 고정 단자간의 접촉점으로부터 플러그와 소켓으로 끼우는 방향으로 이격된다. 플러그가 소켓에 접속될 때, 플러그의 출력 단자는 입력 단자에 접속되어 그 사이에 제2전기 접속을 이룸으로써 외부 전원을 사용하는 무선 전화기의 제2작동을 허용하며, 동시에, 제1전기 접속은 해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플러그를 소켓에 접속함으로써 무선 전화기의 제1작동을 제2작동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칭 기능을 갖춘 커넥터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커넥터의 플러그 및 소켓의 사시도.
제2도는 플러그가 접속되는 소켓을 장착한 휴대형 무선 전화기의 사시도.
제3a 내지 3d도는 본 발명의 소켓에 대한 정면, 평면, 측면 및 배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제3d도의 라인 Ⅰ-Ⅰ을 따라 취해진 소켓의 횡단면도.
제5도는 제3d도의 라인 Ⅱ-Ⅱ를 따라 취해진 소켓의 횡단면도.
제6a 내지 6c도는 본 발명의 플러그에 대한 정면, 평면 및 측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
제7a 내지 7c도는 본 발명의 가동 단자 부재의 평면, 측면 및 저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
제8a 및 8b도는 본 발명의 고정 단자 스트립에 대한 상단 및 하단을 각각 도시한 도면.
제9도는 가동 단자 부재와 고정 단자 스트립간에 접촉점을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소켓에 접속된 플러그의 횡단면도.
제11도는 MBB(Make Before Brake)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12도는 BBM(Brake Before Make)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13도는 MBB 동작을 실행하는 볼록부의 부분 횡단면도.
제14도는 BBM 동작을 실행하는 볼록부의 횡단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볼록부의 수평벽과 경사진 벽간의 각도 θ를 설명하는 도면.
제16도는 가동 단자 부재와 고정 단자 스트립간의 클린(clean)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
제17도는 안테나 플러그의 횡단면도.
제18도는 안테나 소켓의 횡단면도.
제19도는 안테나 소켓에 접속된 안테나 플러그의 횡단면도.
제20a도 및 20b도는 제1접촉점 및 제2접촉점의 배열을 설명하는 도면.
제21도는 한쌍의 쳐킹(chucking) 부재 및 플러그를 도시한 사시도.
제22도는 제21도의 쳐킹 부재의 부분 확대도.
제23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변형예의 소켓에 대한 횡단면도.
제24도는 종래 기술의 커넥터에 대한 사시도.
제25도는 종래 기술의 회로도.
제26도는 종래 기술의 커넥터의 소켓 및 플러그의 횡단면도.
제27도는 종래 기술의 소켓에 접속된 플러그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넥터 2 : 소켓
3 : 플러그 4 : 토션 암(torsion arms)
26 : 리드 암(lead arm)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내부 전원을 갖춘 휴대형 전기 장치가 외부 전원을 사용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소켓 및 플러그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 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장치의 제1작동을, 플러그와 소켓의 접속에 응답하여, 외부 전원을 사용하는 제2작동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개시]
무선 전화기와 같은 휴대형 전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무선 전화기에 장착된 재충전 배터리 또는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배터리 팩등의 내부 전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내부 전원을 적합한 DC 충전 유닛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그런데, 내부 전원을 연장된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전기 장치를 사용하기에 항상 충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휴대형 무선 전화기가 차내에서 사용될 때, 무선 전화기는 내부 전원을 사용하지 않은채 차내의 휴즈 박스 또는 담배용 라이터 소켓과 같은 외부 전원을 사용하여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 특허 초기 공보[KOKAI] 제05-174905호는 내부 전원(E1)을 갖는 휴대형 무선 전화기(4E)에 장착된 소켓(2E) 및 외부 전원(E2)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데 사용된 플러그(3E)를 포함하는 커넥터(1E)를 제안하고 있다. 제24도 및 2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2E)은 직사각형 오목부(11E)를 갖는 소켓 하우징(10E), 상기 오목부(11E)내의 돌출된 소켓 단자(12E), 상기 소켓 하우징(10E)상에 돌출된 한쌍의 충전 단자(13E), 가동 단자 부재(20E) 및 고정 단자 스트립(30E)으로 형성된다.
가동 단자 부재(20E)는 소켓 하우징(10E)상에 고정될 베이스 플레이트(21E) 및 이 베이스 플레이트(21E)로부터 뻗어나온 토션 암(22E)으로 형성된다. 토션 암(22E)은 가동 접촉부(23E)를 갖는다. 고정 단자 부재(30E)는 가동 접촉부(23E)가 토션 암(22E)의 스프링 바이어스에 의해 고정 단자 스트립(30E)에 대향하도록 힘을 받아 제1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소켓 하우징(10E)내에 장치된다. 따라서, 플러그(3E)가 소켓(2E)에 접속되지 않을 때, 내부 전원(E1)을 사용하는 무선 전화기(4E)의 제1작동을 실행할 수 있다(제25도 참조). 도면 번호(5E)는 무선 전화기(4E)의 구동 회로를 나타낸다. 충전 단자(13E)는 내부 전원(E1)을 충전시키기 위해 적정 DC 충전기(도시안됨)에 접속된다.
플러그(3E)는 직사각형 볼록부(41E)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40E), 외부 전원(E2)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된 전원 코드(42E), 상기 볼록부(41E)에 장착된 플러그 단자(43E) 및 이 볼록부(41E)의 경사진 벽으로 형성된 스위치부(45E)로 형성된다. 플러그(3E)의 볼록부(41E)가 소켓(10E)의 오목부(11E)에 끼워질 때, 소켓과 플러그 단자(12E)와 (43E)간의 제2전기 접속이 이루어져, 외부 전원(2E))을 사용하는 무선 전화기(4E)의 제2작동을 실행한다. 동시에, 토션 암(22E)이 경사진 벽(45E)을 따라 이동되므로, 가동 접촉부(23E)는 고정 단자 스트립(30E)으로부터 이격된다(제26도 및 27도 참조). 제1전기 접속은 플러그(3E)와 소켓(2E)의 접속에 응답하여 분리될 수 있다. 환언하면, 내부 전원(E1)을 사용하는 무선 전화기(4E)의 제1작동은 무선 전화기(4E)의 소켓(2E)과 플러그(3E)의 접속에 의해 외부 전원(E2)을 사용하는 제2작동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된 무선 전화기의 경우, 의류, 카페트등의 실오라기 또는 먼지가 가동 접촉부(23E)와 고정 단자 스트립(30E)간에 우연히 놓일 수 있으므로, 무선 전화기(4E)의 제1작동을 실현하는 제1전기 접속이 해제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특히, 약 5mm 이상의 길이 및 약 20μm 이상의 직경을 갖는 실오라기에 의해 상기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약 20μm의 실오라기가 가동 접촉부(23E)와 고정 단자 스트립(30E) 사이에 우연히 놓일 때, 토션 암(22E)의 스프링 바이어스에 의해 압착되어 약 3 내지 5μm의 두께를 갖는 실오라기 시트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실오라기 시트에 의해 제1전기 접속은 해제될 가능성이 크다.
[발명의 개요]
따라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커넥터는 내부 전원을 갖춘 전기 장치에 장착될 소켓 및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사용된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소켓의 개선된 단자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소켓은 오목부를 갖는 하우징, 한쌍의 소켓 단자, 가동 단자 및 고정 단자를 구비한다. 가동 단자 및 소켓 단자는 오목부에 돌출된다. 본 발명에서 가동 단자는 각각 접촉부를 갖는 한쌍의 토션 부재로 형성된다. 접촉부들은 토션 부재의 스프링 바이어스에 의해 고정 단자에 대향하도록 힘을 받게 되어, 내부 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장치의 제1작동을 실행하는 제1전기 접속을 이룬다. 접촉부들은 그 한 접촉부와 고정 단자간의 제1접촉점이, 다른 한 접촉부와 고정 단자간의 제2접촉점으로부터 플러그의 소켓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토션 부재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접촉점중의 한 접촉점이 먼지, 실오라기등에 의해 그 전기적 접속이 우연히 해제될 때 조차도, 다른 접촉점에 의해 제1전기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접촉점이 제2접촉점으로부터 상기 끼워지는 방향으로 분리되므로, 먼지 또는 실오라기에 의해 야기된 제1전기 접속의 해제 가능성은 나란히 장치된 접촉부를 갖는 토션 암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욱 작아진다.
플러그는 볼록부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볼록부의 경사진 벽으로 형성된 스위치부 및 플러그 단자를 구비한다. 플러그 단자는 볼록부가 오목부에 끼워지도록 볼록부내에 장치되며, 플러그 단자는 소켓 단자에 접속되어, 외부 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장치의 제2작동을 실행하는 제2전기 접속을 이룬다. 동시에, 가동 단자는 두 접촉부가 고정 단자로부터 이격되도록 경사진 벽을 따라 이동되므로, 제1전기 접속은 플러그와 소켓의 접속에 응답하여 해제될 수 있다. 즉, 전기 장치의 제1작동은 전기 장치의 소켓에 플러그를 접속함으로써 제2작동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MBB(Make Before Brake)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며, 플러그가 소켓에 접속될 때 제2전기 접속은 제1전기 접속을 해제하기에 앞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무선 전화기는 플러그를 소켓에 끼움으로써 전화 호출동안 분리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고정 단자는 한쌍의 점형의 돌출부를 갖는데, 이 돌출부들은 각각 토션 부재의 접촉부들에 대해 힘을 받게 된다.
상기 끼우는 방향에 대해 경사진 벽의 각도는 45°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성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이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당업자에게 분명히 인식될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제1도 내지 22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커넥터(1)는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다. 커넥터(1)는 니켈-카드뮴 재충전 배터리등의 내부 전원을 갖춘 휴대형 무선 전화기(4)에 장치된 소켓(2) 및 제1도에 도시된 바대로, 외부 전원으로부터 무선 전화기(4)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코드(42)를 갖는 플러그(3)로 구성된다. 커넥터(1)는 플러그(3)의 소켓(2)으로의 접속에 응답하여, 재충전 배터리를 사용하는 무선 전화기(4)의 제1작동을, 차내의 담배용 라이터 소켓등의 외부 전원을 사용하는 무선 전화기(4)의 제2작동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제2도에 도시됨). 소켓(2)은 직사각형 오목부(11)를 갖는 소켓 하우징(10),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한쌍의 입력 단자를 포함한 소켓 단자(12), 안테나 소켓(14), 상기 소켓 하우징(10)상에 고정될 한쌍의 충전 단자(13), 가동 단자 부재(20) 및 고정 단자 스트립(30)으로 형성된다(제3a 내지 3d도에 도시됨). 소켓 단자(12) 및 안테나 소켓(14)은 오목부(11)내에 장치된다. 가동 단자 부재(20)는 소켓 하우징(10)에 고정될 베이스 플레이트(2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로부터 뻗어나온 한쌍의 토션 암(22), 상기 토션 암(22)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 팁(engaging tip)(25) 및 재충전 배터리의 전극과 접속시키기 위해 회로 기판상에 납땜될 리드 암(26)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토션 암(22)은 접촉부(23)를 가지며, 이 접촉부들(23)중의 한 접촉부와 고정 단자 스트립(30)간에 형성된 제1접촉점(P1)은 가동 단자 부재(20)의 길이 방향으로 다른 한 접촉부와 고정 단자 스트립(30)간에 형성된 제2접촉점(P2)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제5도, 7a 내지 7c도 참조). 상기 길이 방향은 플러그(3)를 소켓(2)에 끼우는 방향과 일치한다. 고정 단자 스트립(30)은 삼각형 단부를 갖는 한쌍의 점형의 돌출부(31)를 갖는다(제8a 및 8b도 참조). 고정 단자 스트립(30)은 접촉부(23)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토션 암(22)의 스프링 바이어스에 의해 돌출부(31)의 상단 엣지에 대향하도록 하여 가동 단자 부재(20)와 고정 단자 스트립(30)사이에 제1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소켓 하우징(10)내에 장착된다. 따라서, 플러그(3)가 소켓(2)에 접속되지 않을 때, 무선 전화기(4E)의 제1작동을 실행할 수 있다. 종래 기술과 동일한 회로 패턴인 제26도의 회로도가 본 실시예에서 적용될 수 있다. 충전 단자(13)는 재충전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적정 DC 충전기에 접속된다.
플러그(3)는 전원 코드(42), 직사각형 볼록부(41)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40),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한쌍의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 단자(43), 안테나 플러그(44) 및 상기 볼록부(41)의 경사진 벽(45)으로 형성된 스위치부로 구성된다(제6a도 내지 6c도 참조). 플러그 단자(43) 및 안테나 플러그(44)는 볼록부(41)내에 장치된다. 플러그(3)의 볼록부(4)가 소켓(2)의 오목부(11)내에 끼워질 때, 플러그와 소켓 단자((12)와 (43)) 사이의 제2전기 접속이 이루어져 무선 전화기의 제2작동을 실행한다. 동시에, 가동 단자 부재(20)의 결합 팁(25)은 접촉부(23)들이 고정 단자 스트립(30)으로부터 분리되어 제1전기 접속을 해제하도록 경사진 벽(45)을 따라 밀어올려진다(제10도 참조). 따라서, 소켓(2)에 플러그(3)를 접속시킴으로써만, 무선 전화기(4)의 제1작동이 제2작동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진 벽(45)은 제2전기 접속이 제1전기 접속을 해제하기 전에 이루어지게 한다(제11도 및 제13도 참조). 즉, 플러그(3)의 볼록부(41)가 소켓(2)의 오목부(11)에 끼워질 때, 가동 단자 부재(20)의 결합 팁(25)이 경사진 벽(45)의 전방으로 뻗어있는 수평 벽(46)을 따라 먼저 이동되므로, 제2전기 접속은 제1전기 접속을 해제하지 않은채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스위칭 동작은 MBB(Make Before Brake) 동작으로 언급된다. MBB 동작에서, 플러그(3)가 소켓(2)에 끼워지거나 분리될 때 무선 전화기(4)가 분리되는 불합리함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BBM(Brake Before Make) 동작이 취해질 때, 제1전기 접속은 제2전기 접속에 앞서 해제되며, 수평 벽(46)없이 경사진 벽(45A)을 갖는 볼록부(41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12도 내지 14도 참조). BBM 동작에서, 플러그(3)가 소켓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끼워질 때 무선 전화기(4)를 리셋할 수 있다.
또한, 제15도에서 θ로 정의된 수평 벽(46)과 경사진 벽(45)의 각도는 45도 이상이 바람직하다. 플러그(3)가 소켓(2)에 접속될 때, 제16도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경사진 벽(45)이 가동 단자 부재(20)의 결합 팁(25)을 밀기 때문에, 접촉부(23)는 제1전기 접속을 유지하면서 와이핑 운동(travel) 동안 고정 단자 스트립(30)의 돌출부(31) 상단 엣지상에서 먼저 미끄러지며, 그후, 경사진 벽(45)을 따라 상향으로 이동되어 제1전기 접속은 해제된다. 경사진 벽(45)의 각도가 증가할수록 와이핑 운동은 더욱 연장된다. 와이핑 운동의 연장이 돌출부(31)의 상단 엣지와 접촉부(23) 사이에 클린 효과를 나타내므로, 그 사이의 청결한 접촉점을 만들 수 있다.
입력 단자를 제외한 소켓 단자(12) 및 출력 단자를 제외한 플러그 단자(43)는 전화 회선을 통해 전화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데 사용된다(제4도 참조). 안테나 소켓(14) 및 안테나 플러그(44)는 무선 전화기(4)의 내부 안테나(6)의 사용과 차내의 외부 안테나(도시 안됨)의 사용간을 스위칭하는데 사용된다. 안테나 플러그(44)는 동축 케이블(56)의 중앙 도체(54)에 접속된 NO 단자(50)와, 동축 케이블(56)의 외부 도체(55)에 접속된 차폐 단자(51) 및 실린더형 튜브(52)로 형성된다(제17도 참조). NO 단자(50)와 차폐 단자(51)는 절연층(57)을 그 사이에 둠으로써 일체로 형성되며, 실린더형 튜브(52)내에 돌출핀(58)을 형성한다. 핀(58)은 절연 고정체(59)를 사용하여 실린더형 튜브(52)의 중앙에 고정된다. 한편, 안테나 소켓(14)은 공통 단자(60), NC 단자(61) 및 상단 개구부(65)를 갖는 차폐 케이스(64)로 형성된다(제18도 참조). 공통 단자(60) 및 NC 단자(61)는 절연 캡(66)에 의해 차폐 케이스(64)내에 고정되어 공통 단자(60)가 NC 단자(61)에 대향하여 그 사이에 NC-공통 접속을 형성하게 한다. 플러그(3)가 소켓(2)에 접속될 때, 핀(58)은 차폐 케이스(64)의 상단 개구부(65)를 통해 공통 단자(60) 및 NC 단자(61)로 맞물려서, 공통 단자(60)가 NO 단자(50)에 접속되고 NC 단자(61)가 접지 전위로 유지되도록 차폐 단자(51)에 접속된다(제19도 참조).
제2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접촉점을 통해 가동 단자 부재(20E)와 고정 단자 스트립(30E)간에 제1전기 접속을 이루는 종래 기술의 커넥터(1E)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두 접촉점(P1 및 P2)를 갖는 커넥터(1)는 그 사이에 우연히 발생된 먼지 또는 실오라기로 인해 야기되는 제1전기 접속 해제 가능성이 감소된다. 제1전기 접속을 해제할 수 있는 실오라기의 최소 크기를 조사하기 위해, 다른 두께를 갖는 절연 시트를 가동 단자 부재(20)와 고정 단자 스트립(30) 사이에 위치시키면서, 그 사이의 도전성을 테스터에 의해 관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에서, 한 접촉부(23)가 절연 시트에 의해 고정 단자 스트립(30)으로부터 이격될 때, 다른 한 접촉부(23)에 의해 제1전기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접촉부(23)를 갖는 토션 암(22)이 베이스 플레이트(21)를 통해 다른 접촉부(23)를 갖는 토션 암(22)과 일체로 형성되므로, 65μ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절연 시트가 한 접촉부(23)와 고정 단자 스트립(30) 사이에 놓일 때, 두 접촉부(23)가 모두 고정 단자 스트립(30)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전기 접속이 해제됨을 조사하게 되었다. 한편, 종래 기술의 커넥터(1E)의 경우, 제1전기 접속이 단일 접촉점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므로, 얇은 절연 시트에 의해서도 간단히 해제될 수가 있다.
또한, 접촉점(P1,P2)은 제20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촉점(P1)과 제2접촉점(P2)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제20b도에 도시한 한 라인상에 나란히 배치된 접촉점(P'1과 P'2)의 경우에 비해, 고정 단자 스트립(30)과 접촉부(23)간에 약 10μm 직경의 실오라기 D가 놓일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고정 단자 스트립(30)과 두 접촉부(23)간에 실오라기가 놓일 확률은 제20a도의 경우에서 14°/360°, 즉 1/26으로 나타난다. 한편, 제20b도의 접촉점 배치의 경우는 그 확률이 24°/360°, 즉, 1/15이 될 것이다.
플러그(3)와 소켓(2)간의 안정한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플러그(3)는 쳐킹(chucking) 장치를 갖는다. 쳐킹 장치는 플러그 하우징(40)과 일체된 한쌍의 쳐킹 버턴(47) 및 후크(71)를 갖춘 쳐킹 부재(70)를 구비한다. 각각의 쳐킹 버턴(47)이 힌지(48)를 통해 플러그 하우징(40)에 접속되므로, 쳐킹 부재(70)를 플러그(3)에 부착하기 위해 힌지(48)의 피벗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제21도 참조). 쳐킹 부재(70)의 후크(71)는 플러그(3)가 소켓(2)에 접속될 때, 소켓 하우징(10)의 오목부(11)내에 형성된 후크 결합부(16)와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71)는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72)을 갖는다. 이 경우, 각각의 후크(71)가 결합부(16)로부터 순조롭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플러그(3)가 과잉된 힘으로 소켓(2)으로부터 당겨질 때조차도 쳐킹 부재(70)의 변형 또는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면 번호(49)는 볼록부를 오목부에 끼울 수 있도록, 오목부(11)의 홈(15)에 고정된 볼록부(41B)상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rail)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소켓(2)대신에 제23도에 도시된 가동 단자 부재(20B)를 갖춘 소켓(2B)을 사용할 수 있다. 가동 단자 부재(20B)는 소켓 하우징(10B)에 고정될 베이스 플레이트(21B) 및 이 베이스 플레이트(21B)로부터 뻗어 있는 한쌍의 토션 암(22B)으로 형성된다. 토션 암(22B)은 접촉부(23B)를 가지며, 이 접촉부는 고정 단자 스트립(30B)에 대향하게 힘을 받아 가동 단자 부재(20B)와 고정 단자 스트립(30B)간에 제1전기 접속을 실현한다. 플러그(3B)가 소켓(2B)에 접속될때, 그 접촉부(23B)가 고정 단자 스트립(30B)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전기 접속을 해제하도록, 토션 암(22B)은 플러그(3B)의 볼록부(41B)의 상단부에 의해 당겨진다. 본 변형예의 또다른 특징 및 목적은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공통 부분에 대한 중복 설명은 피하겠다. 동일 부분은 문자 B로 도면 번호를 표시했다.
상기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 소켓(2 및 2B)은 니켈-카드뮴 재충전 배터리등의 내부 전원을 갖춘 무선 전화기내에 장착된다. 그런데, 분리형 배터리 팩을 사용하여 휴대형 무선 전화기내에 소켓(2 및 2B)을 장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배터리 팩은 무선 전화기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차내의 무선 전화기를 사용하는 경우, 배터리 팩을 사용하는 무선 전화기의 제1작동은 무선 전화기로부터 배터리 팩을 제거하지 않고도 소켓(2 및 2B)에 플러그(3 및 3B)를 접속시킴으로써 차내의 외부 전원을 사용하는 제2작동으로 스위칭된다.

Claims (5)

  1. 내부 전원을 갖춘 휴대형 전기 장치에 장착되도록 적용된 소켓 및 상기 전기 장치에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하도록 사용된 플러그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전원을 사용하는 상기 전기 장치의 제1작동과 상기 외부 전원을 사용하는 상기 전기 장치의 제2작동간을 스위칭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오목부를 갖는 소켓 하우징, 한쌍의 소켓 단자 및 가동 단자와 고정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 단자 및 소켓 단자는 상기 오목부에 돌출하며, 상기 가동 단자는 상기 고정 단자에 대향하도록 힘을 받아 상기 제1작동을 제공하기 위한 제1전기 접속을 이루며, 상기 플러그는 볼록부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 스위칭 수단 및 한쌍의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에 끼워질 때, 상기 플러그 단자가 상기 소켓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제2작동을 제공하는 제2전기 접속을 이루도록 상기 플러그 단자가 상기 볼록부내에 장치되며,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볼록부의 경사진 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의 경사진 벽을 따라 상기 가동 단자가 이동되어 상기 고정 단자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에 끼워 맞추어져 상기 제1전기 접속을 해제하게 되며, 상기 가동 단자는 접촉부를 각각 갖는 한쌍의 토션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중의 한 접촉부와 고정 단자간의 제1접촉점이 상기 접촉부중의 다른 한 접촉부와 상기 고정 단자간의 제2접촉점으로부터, 상기 볼록부를 상기 오목부에 끼우는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스위칭 기능을 갖춘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자는 한쌍의 점형의 돌출부를 갖는데, 이 한쌍의 점형의 돌출부에 대해 상기 접촉부들이 각각 힘을 받게 되는 스위칭 기능을 갖춘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우는 방향에 대한 상기 경사진 벽의 각도가 45°이상인 스위칭 기능을 갖춘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상기 경사진 벽은, 상기 플러그가 상기 소켓에 접속될 때 상기 제1전기 접속이 해제되기 전에 상기 제2전기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조화되는 스위칭 기능을 갖춘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상기 경사진 벽은, 상기 플러그가 상기 소켓에 접속될 때 상기 제2전기 접속을 이루기 전에 상기 제1전기 접속이 해제되도록 구조화되는 스위칭 기능을 갖춘 커넥터.
KR1019940040785A 1994-12-30 1994-12-30 스위칭 기능을 갖춘 커넥터 KR0153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40785A KR0153032B1 (ko) 1994-12-30 1994-12-30 스위칭 기능을 갖춘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40785A KR0153032B1 (ko) 1994-12-30 1994-12-30 스위칭 기능을 갖춘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083A KR960027083A (ko) 1996-07-22
KR0153032B1 true KR0153032B1 (ko) 1998-11-16

Family

ID=1940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40785A KR0153032B1 (ko) 1994-12-30 1994-12-30 스위칭 기능을 갖춘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303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083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4713A (en) Electrical connector
JPH09134757A (ja) コネクタ嵌合構造
CN109713764B (zh) 电池包
JP3763703B2 (ja) 無線通信機および電池パックおよびコネクタ
US6923688B1 (en) Charging interface
US5954531A (en) Releasable locking mechanism
KR0153032B1 (ko) 스위칭 기능을 갖춘 커넥터
US7402979B1 (en) Charger contact with protective actuator
JP2000069137A (ja) 無線通信機と電池パック
JP2010073353A (ja) インタフェースコネクタ及びプラグ
GB2347553A (en) Battery pack
CN214708037U (zh) 可以连接3.5音频设备的真无线蓝牙对耳
KR100290723B1 (ko)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
CN219801433U (zh) 电连接器组件
CN117878673B (zh) 电连接器及电子设备
KR100272089B1 (ko) 공용잭이 구비된 이동전화기의 배터리 및 충전용 아답터
CN109687542B (zh) 蓝牙耳机的充电装置
KR1005857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구조
CN215869899U (zh) 插接装置和连接设备
KR100531890B1 (ko) 이동단말기
CN213636366U (zh) 电子装置
CN210430969U (zh) 不间断电源及呼吸系统
JPH0521112A (ja) インターフエイスコネクタ
JP2595745Y2 (ja) 携帯電話の電源コネクタ
JPH0620290Y2 (ja) バツテリ−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