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0723B1 -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 - Google Patents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0723B1
KR100290723B1 KR1019990006117A KR19990006117A KR100290723B1 KR 100290723 B1 KR100290723 B1 KR 100290723B1 KR 1019990006117 A KR1019990006117 A KR 1019990006117A KR 19990006117 A KR19990006117 A KR 19990006117A KR 100290723 B1 KR100290723 B1 KR 100290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output connector
power system
power
system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6633A (ko
Inventor
윤여순
Original Assignee
윤여순
골든콘넥터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순, 골든콘넥터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여순
Priority to KR1019990006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0723B1/ko
Publication of KR20000056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7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무선통신기기 단말기의 통신 및 배터리 충전, 데이터 및 화상의 전송과 컴퓨터와 연결하여 이동 중에도 업무가 가능하도록 전기적 신호에 접속되는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본체(3)의 전면에는 삽입홈(18)이 형성된 삽입부(1)가 형성되고 후면으로는 터미널(10,12,14)이 돌출된 납땜부(2)가 형성되며 양측 후면으로 수용홈(26)이 형성되어 유동 방지 가이드(16)를 갖는 파워 터미널(10)이 끼워져 수용되되, 삽입홈(18)에는 데이터 터미널(14)의 일측(14a)이 합성수지재 지지판(20)의 지지벽(22) 사이에 지지되어 돌출되며 상기 파워 터미널(10)은 내측으로 3차 굴곡되어 유동 방지 가이드(16)가 연장 형성되고 걸림턱(17)에 걸리게 되는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터미널(14)의 일측(14a)의 전면에는 지지판(20)에서 연장된 이탈 방지 부재(24)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파워 터미널(10)이 3차 굴곡되어 형성된 3차면(10c)에 유동 방지 가이드(16)가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를 제공하여, 플러그 단자 삽입시 안쪽으로 말려 들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충격 흡수에 강하게 하며 또한 제조가 용이하고 탄성 복원력이 배가되도록 하는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 {POWER SYSTEM I/O CONNECTOR}
본 발명은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무선통신기기 단말기의 통신 및 배터리 충전, 데이터 및 화상의 전송과 컴퓨터와 연결하여 이동 중에도 업무가 가능하도록 전기적 신호에 접속되는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는 무선통신기기의 다기능화에 필수적인 제품으로 무선통신기기 단말기의 통신 및 배터리의 충전, 데이터 및 화상의 전송과 컴퓨터와 연결하여 이동 중에도 업무가 가능하도록 전기적 신호의 접속에 사용된다.
즉,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는 휴대폰이나 PCS폰과 같은 무선통신기기의 PCB에 장착, 외부의 충전기에 연결되어 배터리를 충전시키거나, 외부의 컴퓨터 또는 팩시밀리 등과 연결되어 화상이나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무선통신기기의 기능을 다양화할 하는 데 필요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입출력 콘넥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입출력 콘넥터의 일부절단 저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본체(3)의 전면(前面)에는 삽입홈(18)이 형성된 삽입부(1)가 형성되고 후면으로는 터미널(10,12,14)이 돌출된 납땜부(2)가 형성되며 양측 후면으로 수용홈(26)이 형성되어 유동 방지 가이드(16)를 갖는 파워 터미널(10)이 끼워져 수용된다.
삽입홈(18)의 가운데 부위에는 데이터 터미널(14)의 일측(14a)이 합성수지재 지지판(20)의 지지벽(22) 사이에 지지되어 지지판(20) 및 지지벽(22)과 함께 돌출된다.
상기 데이터 터미널(14)의 일측(14a)은 플러그 삽입시 플러그 단자와 접촉되고 타측(14b)은 납땜부(2) 쪽으로 돌출되어 PCB에 납땜된다.
상기 유동 방지 가이드(16)는 파워 터미널(10)의 양측에 형성되어 파워 터미널(10)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게 하고 이에 의해 파워 터미널(10)이 가압에 의해 눌려 지고 난 후 수용홈(26)에서 파워 터미널(10)이 복원력에 의해 걸리지 않고 바로 복원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파워 터미널(10)은 내측으로 3차 굴곡되며 2차 굴곡되어 형성된 2차면(10b)에 유동 방지 가이드(16)가 연장 형성되고 1차 굴곡되어 형성된 1차면(10a)은 유동 방지 가이드(16)의 걸림턱(17)에 걸리게 된다.
파워 터미널(10)의 정점(頂點)을 이루는 2차 굴곡면은 무선통신기기에 장착되는 배터리에 연결된 단자에 접촉되어 무선통신기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파워 터미널(10)이 형성된 본체(3)의 후면에는 스위치 터미널(12)이 가로로 형성되어 자동차의 시가 잭에 연결하여 사용할 때 스위치 터미널(12)과 파워 터미널(10) 사이에 접점이 형성되지 못하게 하여 무선통신기기에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의 공급을 중단한다.
미설명 부호 28은 후크 홀더이다.
상술한 종래의 입출력 콘넥터는 삽입홈(18)에 플러그의 잦은 삽탈로 인해 데이터 터미널(14)의 일측(14a)단을 플러그 단자가 접촉하면서 밀고 들어가는 상태가 되어 데이터 터미널(14)의 일측(14a)이 들고일어나서 플러그 단자 삽입시 안쪽으로 말려 들어가게 되고 또 삽입홈(18)의 외곽 모서리 4개소가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어 외부의 충격 흡수에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2차 굴곡되어 형성된 2차면(10b)에 유동 방지 가이드(16)가 연장 형성되어 파워 터미널(10)의 정점(頂點)을 이루는 2차 굴곡면(11b)을 눌렀을 때, 2차 굴곡면(11b)이 응력 집중 부위가 되어 탄성 모멘트가 길이(l)만큼 증가하게 되고 그 만큼 탄성 복원력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2차면(10b)에 유동 방지 가이드(16)가 연장 형성되기 때문에 유동 방지 가이드(16)가 형성된 상태에서 다시 한 번 굴곡해야 되는 제조상 어려움이 있었다.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고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스위치 터미널(12)이 필요(시가 잭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의해서만 파워 터미널(10)과 접점을 이루지 아니하여야 하나 필요치 않은 상황에서 오동작을 하여 배터리 전원을 무선통신기기에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곤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삽입홈의 외곽 모서리에 라운드를 주고 지지벽에서 연장한 이탈 방지 부재를 데이터 터미널의 일측 전면에 형성함으로써 플러그 단자 삽입시 안쪽으로 말려 들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충격 흡수에 강하게 하며 파워 터미널의 3차면에 유동 방지 가이드가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탄성 복원력이 배가되도록 하는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의 전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후면으로는 터미널이 돌출된 납땜부가 형성되며 양측 후면으로 수용홈이 형성되어 유동 방지 가이드를 갖는 파워 터미널이 끼워져 수용되되, 삽입홈에는 데이터 터미널의 일측이 합성수지재 지지판의 지지벽 사이에 지지되어 돌출되며 상기 파워 터미널은 내측으로 3차 굴곡되어 유동 방지 가이드가 연장 형성되고 걸림턱에 걸리게 되는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터미널의 일측 전면에는 지지판에서 연장된 이탈 방지 부재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파워 터미널이 3차 굴곡되어 형성된 3차면에 유동 방지 가이드가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입출력 콘넥터의 일부절단 저면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콘넥터의 일부절단 저면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삽입부, 2: 납땜부, 3: 본체, 10: 파워 터미널, 12: 스위치 터미널, 14: 데이터 터미널, 16: 유동 방지 가이드, 17: 걸림턱, 18: 삽입홈, 20: 지지판, 22: 지지벽, 24: 이탈 방지 부재, 26: 수용홈, 28: 후크 홀더.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콘넥터의 일부절단 저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본체(3)의 전면에는 삽입홈(18)이 형성된 삽입부(1)가 형성되고 후면으로는 터미널(10,12,14)이 돌출된 납땜부(2)가 형성되며 양측 후면으로 수용홈(26)이 형성되어 유동 방지 가이드(16)를 갖는 파워 터미널(10)이 끼워져 수용되되, 삽입홈(18)에는 데이터 터미널(14)의 일측(14a)이 합성수지재 지지판(20)의 지지벽(22) 사이에 지지되어 돌출되며 상기 파워 터미널(10)은 내측으로 3차 굴곡되어 유동 방지 가이드(16)가 연장 형성되고 걸림턱(17)에 걸리게 되는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터미널(14)의 일측(14a) 전면에는 지지판(20)에서 연장된 이탈 방지 부재(24)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파워 터미널(10)이 3차 굴곡되어 형성된 3차면(10c)에 유동 방지 가이드(16)가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3)의 전면(前面)에는 삽입홈(18)이 형성된 삽입부(1)가 형성되고 후면으로는 터미널(10,14)이 돌출된 납땜부(2)가 형성되며 양측 후면으로 수용홈(26)이 형성되어 유동 방지 가이드(16)를 갖는 파워 터미널(10)이 끼워져 수용된다.
삽입홈(18)의 가운데 부위에는 데이터 터미널(14)의 일측(14a)이 합성수지재 지지판(20)의 지지벽(22) 사이에 지지되어 돌출되되 전면에는 지지판(20)에서 연장된 이탈 방지 부재(24)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각져있던 삽입홈(18)의 외곽 모서리 4개소에 라운드를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 흡수에 강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 데이터 터미널(14)의 일측(14a)단은 이탈 방지 부재(24)에 가려 보이지 않게 되고, 플러그의 잦은 삽탈로 인해 데이터 터미널(14)의 일측(14a) 상부를 플러그 단자가 접촉하면서 삽입하는 상태가 되어 데이터 터미널(14)의 일측(14a)이 들고일어날 염려가 없고 플러그 단자 삽입시 이탈되어 안쪽으로 말려 들어갈 염려가 없는 것이다.
상기 데이터 터미널(14)의 일측(14a)은 플러그 삽입시 플러그 단자와 접촉되고 타측(14b)은 납땜부(2) 쪽으로 돌출되어 PCB에 납땜된다.
이때 데이터 터미널(14)의 일측(14a)을 지지판(20)의 중간 부위에서 지지벽(22)보다 높게 상부로 라운드되게 돌출시켜 플러그 단자의 삽입시 접촉을 용이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 방지 가이드(16)는 파워 터미널(10)의 양측에 형성되되 파워 터미널(10)은 내측으로 3차 굴곡되며 3차 굴곡되어 형성된 3차면(10c)에 유동 방지 가이드(16)가 연장 형성되고 1차 굴곡되어 형성된 1차면(10a)은 유동 방지 가이드(16)의 걸림턱(17)에 걸리게 된다.
3차 굴곡되어 형성된 3차면(10b)에 유동 방지 가이드(16)가 연장 형성되어 파워 터미널(10)의 정점(頂點)을 이루는 2차 굴곡면(11b)을 눌렀을 때, 유동 방지 가이드(16)가 연장 형성되는 3차면(10c)이 응력 집중 부위가 되어 탄성 모멘트가 종래 2차 굴곡면까지의 길이(l)만큼에서 3차면(10c) 길이(m)만큼 감소하게 되고 그 만큼 탄성 복원력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3차면(10b)에 유동 방지 가이드(16)가 연장 형성되기 때문에 유동 방지 가이드(16)가 형성된 상태에서 굴곡해야 되는 작업이 종래보다 줄어들어 제조상 용이한 것이다.
파워 터미널(10)의 정점(頂點)을 이루는 2차 굴곡면(11b)은 무선통신기기에 장착되는 배터리에 연결된 단자에 접촉되어 무선통신기기에 전원을 공급한다.
파워 터미널(10)이 형성된 본체(3)의 후면에는 종래에 가로로 형성된 스위치 터미널(12)이 없어 항시 접촉된 상태이기 때문에 항상 무선통신기기에 배터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삽입홈의 외곽 모서리에 라운드를 주고 지지벽에서 연장한 이탈 방지 부재를 데이터 터미널의 일측 전면에 형성함으로써 플러그 단자 삽입시 안쪽으로 말려 들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충격 흡수에 강하게 하며 파워 터미널의 3차면이 유동 방지 가이드에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탄성 복원력이 배가되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본체(3)의 전면에는 삽입홈(18)이 형성된 삽입부(1)가 형성되고 후면으로는 터미널(10,12,14)이 돌출된 납땜부(2)가 형성되며 양측 후면으로 수용홈(26)이 형성되어 유동 방지 가이드(16)를 갖는 파워 터미널(10)이 끼워져 수용되되, 삽입홈(18)에는 데이터 터미널(14)의 일측(14a)이 합성수지재 지지판(20)의 지지벽(22) 사이에 지지되어 돌출되며 상기 파워 터미널(10)은 내측으로 3차 굴곡되어 유동 방지 가이드(16)가 연장 형성되고 걸림턱(17)에 걸리게 되는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터미널(14)의 일측(14a) 전면에는 지지판(20)에서 연장된 이탈 방지 부재(24)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파워 터미널(10)이 3차 굴곡되어 형성된 3차면(10c)에 유동 방지 가이드(16)가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터미널(14)의 일측(14a)이 지지판(20)의 중간 부위에서 지지벽(22)보다 높게 상부로 라운드되게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8)의 외곽 모서리에 라운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터미널(10)이 형성된 본체(3)의 후면에 가로로 형성된 스위치 터미널(12)이 구비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
KR1019990006117A 1999-02-24 1999-02-24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 KR100290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117A KR100290723B1 (ko) 1999-02-24 1999-02-24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117A KR100290723B1 (ko) 1999-02-24 1999-02-24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633A KR20000056633A (ko) 2000-09-15
KR100290723B1 true KR100290723B1 (ko) 2001-05-15

Family

ID=19574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117A KR100290723B1 (ko) 1999-02-24 1999-02-24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07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945B1 (ko) * 2007-11-29 2009-10-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216A (ko) * 2000-08-17 2002-02-25 윤종용 무선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접속 및 충전 장치
KR200446031Y1 (ko) * 2007-06-25 2009-09-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9336A (en) * 1975-04-28 1976-11-02 Molex Incorporated Flexible circuit connector assembly
JPS63164187U (ko) * 1986-11-28 1988-10-26
JPH0310475A (ja) * 1989-06-07 1991-01-18 Nec Niigata Ltd テレビ受像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9336A (en) * 1975-04-28 1976-11-02 Molex Incorporated Flexible circuit connector assembly
JPS63164187U (ko) * 1986-11-28 1988-10-26
JPH0310475A (ja) * 1989-06-07 1991-01-18 Nec Niigata Ltd テレビ受像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945B1 (ko) * 2007-11-29 2009-10-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633A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4377B1 (ko) 커넥터용로킹장치
JP3077968U (ja) 携帯電話用充電器
EP2597729B1 (en) Wire-to-board connector
US808794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JP2002033150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US6312274B1 (en) Electrical connector
EP1134843A3 (en) Device for the plug-in connection of a cable to a vehicle battery terminal
US6554640B1 (en)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a floating connector
CN111492542B (zh) 无极性的电缆连接器
KR100290723B1 (ko) 파워 시스템 입출력 콘넥터
US7387532B1 (en) Power connector
US6224409B1 (en) Audio jack
EP1203970B1 (en) Ultraminiature optical jack
US6231390B1 (en) Connector for use in portable phone
EP1256828A3 (en) Connector device and connector
EP1593186B1 (en) Impact tolerant connector
KR100608830B1 (ko)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214505932U (zh) 卡扣式电源连接器
EP1429426B1 (en) Semi-rigid plug
CN217882135U (zh) 一种连接器锁紧结构及连接器
CN219321781U (zh) 一种光电适配器
KR200248051Y1 (ko) 휴대전화기용 충전 플러그의 결합구조
CN211265777U (zh) 一种双向对插接触式端子
CN216161956U (zh) 插头连接器和连接器组件
CN220341533U (zh) 一种非对称鱼眼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