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051Y1 - 휴대전화기용 충전 플러그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전화기용 충전 플러그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051Y1
KR200248051Y1 KR2020010015132U KR20010015132U KR200248051Y1 KR 200248051 Y1 KR200248051 Y1 KR 200248051Y1 KR 2020010015132 U KR2020010015132 U KR 2020010015132U KR 20010015132 U KR20010015132 U KR 20010015132U KR 200248051 Y1 KR200248051 Y1 KR 2002480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harging
plug
mobile phon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자
Original Assignee
주신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전자(주) filed Critical 주신전자(주)
Priority to KR2020010015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0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0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05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의 접속 소켓에 결합 사용되는 충전 플러그에 있어서, 충전 어댑터의 플러그 케이스 내부에 장착된 삽입구에 발광소자를 갖는 별도의 회로기판을 결합형성하고, 그 회로기판에는 충전와이어를 연결형성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하면에는 각각 회로기판 및 분리버튼을 지지하는 리브 및 돌출부를 형성하므로서,
휴대전화기의 소켓에 플러그의 빈번한 삽입 및 분리시에도 그 충전와이어의 단선 및 접촉불량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며, 상부 및 하부의 지지리브에 의해 견고한 회로기판의 고정이 이루어짐은 물론, 착탈버튼의 이동폭을 제한하므로 착탈버튼의 이탈 및 손상을 방지하고, 회로기판에 형성된 발광소자에 의해 휴대전화기의 충전상태 또는 충전이 완료된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용 충전 플러그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전화기용 충전 플러그의 결합구조{charging plug combining structure for cellular phone}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의 접속 소켓에 결합 사용되는 충전 플러그에 있어서, 그 충전 플러그의 내부에 별도의 회로기판 및 그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리브와 착탈버튼의 이동폭을 제한하는 스토퍼 및 휴대전화기의 충전 유무 또는 충전완료 상태를 표시하는 별도의 발광소자를 내장하여 결합하므로서, 보다 견고한 고정 및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휴대전화기용 충전 플러그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휴대전화기(무선통신을 이용한 셀룰러 폰 및 PCS 등을 포함한다.)에는 외부로부터 케이블에 의해 전원을 인가 받거나 데이터의 송수신에 필요한 별도의 소켓이 마련되어 있으며, 근자에 들어서는 전기한 소켓을 이용하여 휴대전화기를 차량 내부의 무선 핸즈프리 송, 수화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차량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그 휴대전화기를 충전하는 연결구성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전기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의 충전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된 시거잭에 별도의 소켓을 삽입하고 그 소켓과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 플러그의 콘넥터를 전기한 휴대전화기의 소켓에 삽입하므로서 이에 의해 휴대전화기의 충전이 가능케 하는 것이며,
전기한 플러그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하 케이스(100) 및 일측 케이스(100)의 좌,우측에 판스프링(102)(102')에 의해 탄력 고정된착탈버튼(103)(103') 및 그 휴대폰의 소켓에 직접 삽입되는 콘넥터(104)와 그 콘넥터(104)에 내장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와이어(105)(105')가 소켓단자(106)(106')에 의해 콘넥터(104)에 삽입되어 있는 다수의 단자(107)(107')에 결합되어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전기한 플러그는 각각의 와이어(105)(105')에 의해 차량 내부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이를 휴대전화기의 배터리에 공급하므로 이에 의해 휴대전화기의 배터리가 충전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통상의 플러그 및 그 결선방법은 콘넥터의 돌출단자에 소켓단자가 형성된 와이어 단부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이므로, 휴대전화기와의 삽입 및 분리가 빈번한 플러그의 특성상 그 와이어를 잡아당기면 삽입구의 단자로부터 와이어의 소켓단자가 분리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없거나 접촉불량이 발생하여 오동작을 일으키거나 그 플러그의 사용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휴대전화기용 배터리는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그 충전을 중단하여야 배터리의 사용수명이 연장되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표시되게 하여야 하는 것이나, 종래에는 이를 표시할만한 구성이 없으므로 사용이 불편함은 물론 휴대전화기의 배터리 사용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근자에 출시된 배터리의 경우에는 충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원을 지속적으로 인가하여도 배터리의 사용수명에는 지장이 없게 한 특수한 소재의 배터리가 안출되어 제공되고 있으나, 이러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 충전상태를 파악하지 못하여 역시 불필요한 전원의 낭비를 촉진하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기한 차량용 충전 어댑터에는 그 전원의 충전상태 또는 만충전상태를 표시하여야 하는 발광소자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나, 전기한 바와 같은 통상의 충전 플러그에는 이러한 표시기능이 없으므로 휴대전화기의 충전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충전 어댑터의 플러그 케이스 내부에 장착된 콘넥터에 발광소자를 갖는 별도의 회로기판을 결합형성하고, 그 회로기판에는 충전와이어를 연결형성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하면에는 각각 회로기판 및 분리버튼을 지지하는 리브 및 돌출부를 형성하므로서,
휴대전화기의 소켓에 플러그의 빈번한 삽입 및 분리시에도 그 충전와이어의 단선 및 접촉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며, 상부 및 하부의 지지리브에 의해 견고한 회로기판의 고정이 이루어짐은 물론, 착탈버튼의 이동폭을 제한하므로 착탈버튼의 이탈 및 손상을 방지하고, 회로기판에 형성된 발광소자에 의해 휴대전화기의 충전상태 또는 충전이 완료된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용 충전 플러그의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충전 플러그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충전 플러그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충전 플러그의 측단면도
도 4는 종래 충전 플러그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케이스 2 : 콘넥터
3,3' : 스프링 4,4' : 착탈버튼
5,5' : 와이어 6 : 발광소자
7 : 회로기판 8,8' : 지지리브
8' : 지지봉 9 : 투시창
10 : 통공 11,11' : 돌출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충전용 플러그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충전용 플러그의 평단면도이다.
상,하 분리된 케이스(1)(1')의 내부에 콘넥터(2)가 결합되고, 상부 케이스(1)의 양측에는 스프링(3)(3')에 의해 탄설된 착탈버튼(4)(4')이 결합되어 있으며, 별도의 충전용 와이어(5)(5')가 전기한 콘넥터(2)와 결선된 통상의 휴대전화기용 충전 플러그에 있어서,
상,하 케이스(1)(1')의 내부에 발광소자(6)가 형성된 별도의 회로기판(7)을 내장하되, 그 회로기판(7)의 일측은 콘넥터(2)와 연결되게 하고, 타측은 와이어(5)(5')가 연결되게 하며,
상,하 케이스(1)(1')의 내측 저면에는 지지리브(8)(8') 및 지지봉(8')을 형성하여 전기한 회로기판(7)을 상하로 지지고정하며,
전기한 상부 케이스(1)의 중앙에는 별도의 투시창(9)이 부착된 통공(10)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전기한 회로기판(7)의 발광소자(6)가 위치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전기한 착탈버튼(4)(4')이 위치하는 지지리브(8)(8')의 양측면에는 별도의 돌출부(11)(11')를 형성하여 착탈버튼(4)(4')의 이동폭을 제한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충전용 플러그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평단면 도시와 도 3의 측단면 도시와 같이 본 고안 플러그는 그 상,하 케이스(1)(1')의 내부에 위치한 회로기판(7)에 의해 콘넥터(2)와 전원 공급용 와이어(5)(5')를 서로 연결하거나, 전원이 인가된 상태 즉 휴대전화기의 충전상태 또는 충전이 완료된 상태를 그 발광소자(6)에 의해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통상의 플러그와 같이 상,하 케이스(1)(1')의 내부 일측에 별도의 콘넥터(2)가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그 콘넥터의 일측은 상,하 케이스(1)(1') 내부의 회로기판(7)과 통상의 납땜방식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회로기판(7)의 타측은 전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납땜에 의해 다수의 와이어(5)(5')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그 회로기판(7)에 부착된 발광소자(6)는 전원의 인가상태에서 휴대전화기의 충전 진행상태를 표시하거나, 충전이 완료된 상태를 통상의 회로에 의해 표시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그 발광소자(6)의 표시색에 따라 이를 인지하여 조치를 취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부 케이스(1)의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10) 및 그 통공(10)에 부착된 투시창(9)을 통해 통공(10)의 내부에 위치한 발광소자(6)의 발광빛이 투시되는 것이며, 전기한 투시창(9)은 발광소자(6)를 빛은 잘 투과시키면서도 외부의 먼지나 물기 등은 침투되지 않게 투명 또는 반투명의 비닐재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한 회로기판(7)은 상하 케이스(1)(1')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된 지지리브(8)(8') 및 지지봉(8')에 의해 상하 유동없이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므로서, 회로기판 설치시 작업자가 부주의하게 기판을 누르거나, 플러그를 사용하는 도중 와이어(5)(5')를 직접 잡아당기거나, 그 플러그에 충격이 가해져도 상하 케이스(1)(1')의 지지리브(8)(8')과 지지봉(8')이 그 내부의 회로기판(7)을 견고하게 고정 지지하므로 와이어(5)(5')와 회로기판(7)의 단선을 최소한으로 방지하면서도 이에 의해 와이어(5)(5')의 접촉불량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 그 플러그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지지리브(8)(8')의 양측부 즉, 착탈버튼(4)(4')이 위치하는 지지리브(8)(8')의 측부에는 별도의 돌출부(11)(11')를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사용자가 그 플러그의 착탈버튼(4)(4')을 스프링(3)(3')의 탄력에 의해 압압 또는 그 압압력을 해제하여 복원되는 착탈버튼(4)(4')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휴대전화기의 소켓에 그 플러그를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그 플러그를 분리하는 경우 무리한 힘에 의해 착탈버튼(4)(4')이 상,하 케이스(1)(1')의 내부로 밀려들어가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착탈버튼(4)(4')이 일정깊이 들어가면 그 돌출부(11)(11')에 당접되며 더 이상 삽입되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은 파손 및 작동불능 상태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회로기판(7)에는 통상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휴대전화기에 플러그를 삽입하면 휴대전화기가 충전상태일 경우에는 붉은색의 발광소자를 점등시키고, 휴대전화기의 충전이 완료되었을 경우에는 푸른색의 발광소자를 점등하여 그 휴대전화기의 사용상태를 사용자가 인지하게 하므로서 보다 편리한 사용 및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휴대전화기용 충전 플러그의 결합구조는 휴대전화기의 소켓에 플러그의 빈번한 삽입 및 분리시에도 그 충전와이어의 단선 및 접촉불량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며, 상부 및 하부의 지지리브에 의해 견고한 회로기판의 고정이 이루어짐은 물론, 착탈버튼의 이동폭을 제한하므로 착탈버튼의 이탈 및 손상을 방지하고, 회로기판에 형성된 발광소자에 의해 휴대전화기의 충전상태 또는 충전이 완료된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상,하 분리된 케이스(1)(1')의 내부에 콘넥터(2)가 결합되고, 상부 케이스(1)의 양측에는 스프링(3)(3')에 의해 탄설된 착탈버튼(4)(4')이 결합되어 있으며, 별도의 충전용 와이어(5)(5')가 전기한 콘넥터(2)와 결선된 통상의 휴대전화기용 충전 플러그에 있어서,
    상,하 케이스(1)(1')의 내부에 발광소자(6)가 형성된 별도의 회로기판(7)을 내장하되, 그 회로기판(7)의 일측은 콘넥터(2)와 연결되게 하고, 타측은 와이어(5)(5')가 연결되게 하며,
    상,하 케이스(1)(1')의 내측 저면에는 지지리브(8)(8') 및 지지봉(8')을 형성하여 전기한 회로기판(7)을 상하로 지지고정하며,
    전기한 상부 케이스(1)의 중앙에는 별도의 투시창(9)이 부착된 통공(10)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전기한 회로기판(7)의 발광소자(6)가 위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용 충전 플러그의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착탈버튼(4)(4')이 위치하는 지지리브(8)(8')의 양측면에는 별도의 돌출부(11)(11')를 형성하여 착탈버튼(4)(4')의 이동폭을 제한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용 충전 플러그의 결합구조.
KR2020010015132U 2001-05-23 2001-05-23 휴대전화기용 충전 플러그의 결합구조 KR2002480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132U KR200248051Y1 (ko) 2001-05-23 2001-05-23 휴대전화기용 충전 플러그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132U KR200248051Y1 (ko) 2001-05-23 2001-05-23 휴대전화기용 충전 플러그의 결합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067A Division KR20020090103A (ko) 2002-01-14 2002-01-14 휴대전화기용 충전 플러그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051Y1 true KR200248051Y1 (ko) 2001-10-29

Family

ID=73065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132U KR200248051Y1 (ko) 2001-05-23 2001-05-23 휴대전화기용 충전 플러그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0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8588A1 (en) * 2002-07-15 2004-01-22 Apronix Co., Ltd. Plug with inserted adapter
CN109038761A (zh) * 2018-09-12 2018-12-18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易辨别正反的充电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8588A1 (en) * 2002-07-15 2004-01-22 Apronix Co., Ltd. Plug with inserted adapter
CN109038761A (zh) * 2018-09-12 2018-12-18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易辨别正反的充电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5713B2 (en) Mobile phone having communication system and entertainment system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system
US7159700B2 (en) Computer peripheral with cable reeling device
US7225972B2 (en) Setting apparatus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WO2021068791A1 (zh) 多用途移动电源及多用途移动电源与电动工具的组件
US6361359B1 (en) Battery connector with a switch
US7715179B2 (en) Power supply for a computer device
KR200248051Y1 (ko) 휴대전화기용 충전 플러그의 결합구조
KR100677336B1 (ko) 리셉터클과 충전커넥터의 결합구조
KR100931164B1 (ko) 휴대전자장치와 어댑터사이에서 전기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장치 및, 어댑터
US3305779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operation by rechargeable or nonrechargeable self-contained battery
KR20020090103A (ko) 휴대전화기용 충전 플러그의 결합구조
US6851975B2 (en) Impact tolerant connector
KR200379697Y1 (ko) 휴대폰 충전기용 커넥터
CN107293865B (zh) 具双向夹持结构的连接器组件
CN112117611B (zh) 扩充装置
JP2007122947A (ja) 電子機器
CN110690605A (zh) 一种插头保护套、插头结构及电气设备
TWM594304U (zh) 便攜移動電源
CN215120210U (zh) 充电器
CN219832485U (zh) 一种按钮开关
CN210780751U (zh) 一种音频传输装置
CN218498508U (zh) 一种带保护罩的插排
CN220359151U (zh) 一种手持机结构
CN212230683U (zh) 防火插座、插座结构及充电桩
CN219321781U (zh) 一种光电适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