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861B1 - 뷰파인더 일체형 캠코더와 시도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뷰파인더 일체형 캠코더와 시도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861B1
KR0152861B1 KR1019950000363A KR19950000363A KR0152861B1 KR 0152861 B1 KR0152861 B1 KR 0152861B1 KR 1019950000363 A KR1019950000363 A KR 1019950000363A KR 19950000363 A KR19950000363 A KR 19950000363A KR 0152861 B1 KR0152861 B1 KR 0152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adjustment lens
peak value
viewfinder
diopter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0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0646A (ko
Inventor
기호경
여명근
노대호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1019950000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2861B1/ko
Publication of KR960030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8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iewfin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뷰파인더 일체형 캠코더의 시도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캠코더에서 자동 초점 기능은 눈동자의 움직임에 의한 데이타를 기준으로 수행하므로 물체의 상이 적정 위치에 결상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록되면 재생 화상의 밝기 또는 선명도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적외선 빔에 의해 망막에 맺히는 상의 결상 정도를 검출하여 뷰파인더의 시도 조절 렌즈의 위치를 자동으로 적정 위치로 조절하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하여 시도 조절 렌즈의 위치를 적합한 위치에 이동시키므로써 항상 선명한 화질 상태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어 깨끗한 재생 화면을 볼 수 있다.

Description

뷰파인더 일체형 캠코더의 시도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서 결상 정도에 따른 수광 센서의 스펙트럼 곡선.
제3도는 시도 조절 렌즈와 결상 상태의 관계를 보인 예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시도 조절 장치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발광부 12 : 적외선 반사 하프(half) 미러
13 : 적외선 반사 거울 14 : 시도 조절 렌즈
15 : 이동 기어 16 : 피니온(pinion)
17 : 모터 18 : 수광 센서
19 : 디스플레이부 101 : 피크치 검출부
102 : 비교부 103 : 제어부
104 : 시도 렌즈 구동부
본 발명은 뷰파인더 일체형 캠코더의 시도 조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눈동자 인식 캠코더에서 적외선 빔이 망막에 맺히는 결상 정도에 의해 사용자의 시력을 측정하여 시도 조절 렌즈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뷰파인더 일체형 캠코더의 시도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코더에서 자동 초점 기능은 눈동자의 움직임에 의한 데이타를 기준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은 뷰파인더의 시도 조절 렌즈의 초점 위치가 사용자의 초점과 어긋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이 적정 위치에 결상된 것인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물체의 상이 적정 위치에 결상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록되면 재생 화상의 밝기 또는 선명도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적외선 빔에 의해 망막에 맺히는 상의 결상 정도를 검출하여 뷰파인더의 시도 조절 렌즈의 위치를 자동으로 적정 위치로 조절함에 의해 선명한 영상을 기록하여 재생할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적외선 빔에 의해 망막에 맺히는 상의 결상 정도를 검출하여 뷰파인더의 시도 조절 렌즈의 움직임 거리를 환산함에 의해 시력을 뷰파인더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원을 적외선 반사 거울에 주사하여 임의의 각도로 반사시키고 이 반사된 빛이 시도 조절 렌즈에서 평행광으로 되어 망막에 결상되면 이 결상에 의한 빛을 상기 시도 조절 렌즈, 적외선 반사 거울을 순차 통해 상기 적외선 반사 하프 미러에서 임의의 각도로 반사시키며 이 반사된 빛을 수광 센서 수단에 입사시킴에 의해 결상 정도를 판별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감지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결상 정도를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면 본 발명은 빛이 입사된 센서 수단의 출력 레벨에서 피크치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에서 검출된 피크치를 이전 피크치와 비교하는 수단과, 상기 비교 결과를 판별하여 초점 조정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판별 결과에 따라 시도 조절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으로 시력에 합당한 초점 거리로 상기 시도 조절 렌즈를 위치시키게 구성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도로서, 뷰파인더(1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화면(19)의 전단에 적외선 반사 거울(13)을 임의의 각도를 갖도록 위치시키고 발광부(11)의 적외선 빔을 적외선 반사 하프(half) 미러(12)를 통해 상기 적외선 반사 거울(13)에 투사시킨다.
상기 적외선 반사 거울(13)에서 반사된 빛을 시도 조절 렌즈(14)를 통해 평행광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눈동자로 집광시키고 그 사용자의 눈동자에서 반사된 빛을 상기 시도 조절 렌즈(14), 적외선 반사 거울(13), 적외선 반사 하프 미러(12)를 순차통해 수광 센서부(18)로 입사되게 구성한다.
상기 시도 조절 렌즈(14)는 이동 기어(15)에 고착되어 모터(17)의 회전에 의한 피니온(pinion)(16)의 회전 방향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게 구성한다.
상기에서 적외선 반사 거울(13)을 통해 시도 조절 렌즈(14)에 입사되어 집광된 평행광이 눈동자의 수정체에 입사되면 망막에 맺히는 결상 정도에 따라 수정체에서 반사된 빛이 상기 시도 조절 렌즈(14)를 통해 평행광이 되어 적외선 반사 거울(13)에서 다시 반사되고 그 반사된 빛이 적외선 반사 하프 미러(12)에서 반사되어 수광 센서부(18)에 입사되어진다.
이때, 망막에 맺히는 결상 정도에 따라 수광 센서부(18)에 입사되는 빛의 초점 거리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발광부(11)로부터 시도 조절 렌즈(14)까지의 거리(Lb)는 그 시도 조절 렌즈(14)에서 수광 센서부(18)까지의 거리(La)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수광 센서부(18)에 적외선이 입사되면 망막에 맺힌 결상 정도에 따라 제2도(a),(b)와 같은 스펙트럼 곡선을 얻을 수 있다.
즉,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도 조절 렌즈(14)의 위치에 따라 초점 거리 fa, fc에 상이 맺힌 경우 수광 센서부(18)에서 얻어지는 스펙트럼 곡선은 제2도(b)와 같고 초점 거리 fb에 상이 맺힌 경우 얻어지는 스펙트럼 곡선은 제2도(a)와 같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결상 정도를 수광 센서부(18)에서 감지하면 제4와 같은 장치를 통해 시도 조절 렌즈(14)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즉, 수광 센서부(18)의 출력을 입력받은 피크치 검출부(101)는 결상에 의한 피크치 값을 추출하게 된다.
이때, 피크치 검출부(101)의 피크치 값을 비교부(102)를 통해 입력받은 제어부(103)는 그 피크치 값을 판별하여 정촛점 위치에 결상이 맺혔는지 판별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03)는 수광 센서부(18)에 정촛점에 의한 빛이 입사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시도 조절 렌즈(14)를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시도 렌즈 구동부(104)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시도 렌즈 구동부(104)는 제어부(103)의 제어에 의해 모터(17)를 회전시키고 이 모터(17)의 회전으로 피니온(pinion)(16)이 이동 기어(10)를 구동시키므로써 시도 조절 렌즈(14)의 위치가 변화되어진다.
이에 따라, 시도 조절 렌즈(14)의 위치가 이동되었을 때 발광부(11)의 빔이 적외선 반사 하프 미러(12), 적외선 반사 거울(13)를 순차적으로 통해 상기 시도 조절 렌즈(14)에서 평행광이 된 후 망막에 결상되어진다.
상기 결상된 상에 의한 빛은 시도 조절 렌즈(14), 적외선 반사 거울(13), 적외선 반사 하프 미러(12)를 순차적으로 통해 수광 센서부(18)에 입사되어진다.
이때, 수광 센서부(18)에서 입사 빛에 대한 스펙트럼 곡선이 얻어지면 다시 피크치 검출부(101)에서 피크치를 검출하고 이 피크치는 비교부(102)에서 이전 피크치와 비교되어진다.
상기 비교부(102)의 비교 동작을 검색한 제어부(103)는 현재의 피크치가 이전 피크치보다 큰지 판별하는데, 만일 현재 피크치가 이전 피크치보다 크면 시도 조절 렌즈(14)를 현재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시도 렌즈 구동부(104)에 출력하고 작으면 현재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시도 조절 렌즈(14)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에 의해 이전의 피크치가 현재의 피크치보다 크게 되면 제어부(103)는 이전 피크치를 검출하는 위치가 시도 조절 렌즈(11)와 사용자의 시력이 매칭되는 초점 거리로 판단하여 시도 렌즈 구동부(104)를 제어하여 시도 조절 렌즈(14)를 이전 단계의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가 촬영을 함에 따라 초점이 어긋나는 시간이 일정 시간을 경과할 때마다 반복하여 초점 거리를 정확하게 맞추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항상 정확하게 결상된 화상을 보면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간략히 다시 설명하면, 촬영을 수행하여 망막에 맺히는 결상의 정도를 검출하면 그 결상 스펙트럼 곡선의 피크치를 산출하게 된다.
상기 현재의 피크치가 정촛점에 의한 값과 일치하는지 판별하여 정촛점에 의한 값이 아니면 시도 조절 렌즈(14)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이 후, 결상의 정도를 검출하여 그 결상 스펙트럼의 피크치가 이전 피크치보다 큰지 비교하여 크면 현재의 이동 위치로 시도 조절 렌즈(14)를 이동시키고 작으면 현재의 이동 위치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시도 조절 렌즈(14)를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에 의해 현재의 피크치값이 증가하는데, 이전 피크치가 현재의 피크치보다 크면 이전 피크치를 검출한 시도 조절 렌즈(14)의 위치가 정촛점 위치로 판단하여 그 위치에 상기 시도 조절 렌즈(14)를 위치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시도 조절 렌즈(14)의 위치를 조정하여 초점 거리를 정확하게 맞추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때 발광부(11)에서 적외선 반사 하프 미러(12)까지의 거리(Lb)가 상기 적외선 반사 하프 미러(12)에서 수광 센서부(18)까지의 거리(La)와 같다고 가정할 때 상기 발광부(11)에서 적외선 반사 거울(13)까지의 거리(Lb)에 대하여 상기 적외선 반사 거울(13)에서 디스플레이부(19)까지의 거리(La)를 변화시키는 량에 따라 원하는 시도값을 기준으로 상기 거리(La),(Lb)의 자동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시도 조절 렌즈(14)의 위치를 가변시킬 때 그 가변된 거리(L)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기준 초점 거리를 시도 조절 렌즈(14)의 이동 거리(L)의 거리 변화로 환산시킨 후 거리 변화(L)에 따른 초점 거리(fc)를 아래 식에 대입함에 의해 'D(=diopter)' 를 산출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판단하게 된다.
1/fc= D
여기서, 시도 조절 렌즈(14)가 눈동자 측으로 이동한 경우 '-'를 부가하여 근시임을 표시하고 뷰파인더(10)의 적외선 반사 렌즈(13) 측으로 이동한 경우 '+'를 부가하여 원시임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촬영자의 시력을 측정하여 시도 조절 렌즈의 위치를 적합한 위치에 이동시키므로써 항상 선명한 화질 상태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어 깨끗한 재생 화면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뷰파인더 일체형 캠코더에 있어서, 촬영자의 눈동자를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을 발광시키는 적외선 발광 수단과, 상기 뷰파인더와 상기 촬영자의 눈동자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위치하여 상기 적외선 발광 수단으로부터 발광되는 발광 적외선 및 상기 촬영자의 눈동자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을 소정의 각도로 반사시키는 적외선 반사 수단과, 상기 적외선 반사 수단에서 반사된 상기 반사 적외선을 수광하는 적외선 수광 수단과, 상기 적외선 수광 수단의 출력광의 레벨을 검출하는 레벨 검출 수단과, 상기 레벨 검출 수단의 출력을 소정 주기로 비교하는 비교 수단을 포함하여 촬영자의 눈동자 검출이 가능하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뷰파인더 일체형 캠코더의 시도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발광 수단과 상기 적외선 수광 수단을 소정의 각도로 위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발광 적외선과 상기 반사 적외선이 상기 소정의 각도로 투광 및 반사될 수 있도록 적외선 하프 반사 수단을 부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뷰파인더 일체형 캠코더의 시도 조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발광 수단에서 상기 적외선 반사 수단까지의 거리와 상기 적외선 수광 수단에서 상기 적외선 반사 수단까지의 거리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뷰파인더 일체형 캠코더의 시도 조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반사 수단과 촬영자의 눈동자 사이에 위치한 시도 조절 렌즈 수단과, 비교 수단의 출력에 따라 상기 시도 조절 렌즈의 위치를 가변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시도 조절 렌즈 수단을 구동하는 시도 조절 렌즈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파인더 일체형 캠코더의 시도 조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뷰파인더의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촬영자의 시력 검출 출력을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뷰파인더 일체형 캠코더의 시도 조절 장치.
  6. 결상 정도를 검출하여 시도 조절 렌즈가 정촛점 위치인지 판별하는 제1단계와, 제1단계에서 정촛점 위치가 아니면 시도 조절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2단계와, 제2단계에서 시도 조절 렌즈의 위치를 변화시킴에 의해 현재의 피크치가 이전 피크치보다 작은지 판별하는 제3단계와, 제3단계에서 현재 피크치가 이전 피크치보다 작아지면 이전 피크치의 검출 위치를 정촛점 위치로 판단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파인더 일체형 캠코더의 시도 조절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정촛점 위치가 아닐 때 시도 조절 렌즈를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현재 피크치가 이전 피크치보다 크면 현재의 이동 방향을 시도 조절 렌즈의 이동 방향으로 판단하고 작으면 현재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을 시도 조절 렌즈의 이동 방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파인더 일체형 캠코더의 시도 조절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초점 거리 조정 후 일정 시간 이상 피크치 값이 변화하면 시도 조절 렌즈의 위치를 다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뷰파인더 일체형 캠코더의 시도 조절 제어 방법.
KR1019950000363A 1995-01-10 1995-01-10 뷰파인더 일체형 캠코더와 시도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0152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363A KR0152861B1 (ko) 1995-01-10 1995-01-10 뷰파인더 일체형 캠코더와 시도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363A KR0152861B1 (ko) 1995-01-10 1995-01-10 뷰파인더 일체형 캠코더와 시도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646A KR960030646A (ko) 1996-08-17
KR0152861B1 true KR0152861B1 (ko) 1998-10-15

Family

ID=1940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0363A KR0152861B1 (ko) 1995-01-10 1995-01-10 뷰파인더 일체형 캠코더와 시도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28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039B1 (ko) * 2002-11-07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포토센서의 검출거리 자동 셋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039B1 (ko) * 2002-11-07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포토센서의 검출거리 자동 셋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646A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6998A (en) Optical apparatus equipped with sight line detector
US6634749B1 (en) Eye tracking system
US5335035A (en) Visual line direction detecting device for the camera
US20080247741A1 (en) Image-taking apparatus
US4470683A (en) Focussing condition detector
JP4802742B2 (ja) 合焦制御装置、撮像装置、及び合焦制御方法
US5546158A (en) View point detecting apparatus wherein first and subsequent view point data are compared
JPS6223572B2 (ko)
US7570298B2 (en) Image-taking apparatus with first focus control such that in-focus position is searched for based on first signal and second focus control such that one of in-focus position and drive amount is determined based on second signal
KR0152861B1 (ko) 뷰파인더 일체형 캠코더와 시도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0556924A (ja) ビデオカメラ
EP0552839B1 (en) Camera having visual line detecting device and method of photography performed thereby
JPH01185506A (ja) カメラの焦点検出装置
JPH0595904A (ja) 光学装置
JP3571744B2 (ja) 視線検出手段を備えたカメラ
JP3210089B2 (ja) 視線検出装置及びカメラ
JP3290450B2 (ja) 磁気記録撮影装置並びに焦点制御装置及び方法
US5619294A (en) Camera with a visual line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JPH08271785A (ja) 自動焦点用赤外光動作表示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H0573206B2 (ko)
JP2003144388A (ja) 視線検出装置
JPH0938038A (ja) 視線検出装置および視線検出装置を有する光学機器
JPH04335607A (ja) 視線検出装置および視線検出手段を備えた光学機器
JPS6325609A (ja) オ−トフオ−カス方法
JPS6380214A (ja) オ−トフオ−カ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