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842B1 -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복원장치 - Google Patents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복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842B1
KR0152842B1 KR1019950012075A KR19950012075A KR0152842B1 KR 0152842 B1 KR0152842 B1 KR 0152842B1 KR 1019950012075 A KR1019950012075 A KR 1019950012075A KR 19950012075 A KR19950012075 A KR 19950012075A KR 0152842 B1 KR0152842 B1 KR 0152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audio data
bits
inpu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2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2667A (ko
Inventor
최주행
정한
홍승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12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2842B1/ko
Publication of KR96004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2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8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92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multichannel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복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4채널시 메모리 이용을 줄이고 제한된 영역내에 오디오 데이터를 간단한 하드웨어를 통해 비선형 양자화하여 기록 및 복원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입력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에서 상위 7비트를 가지고 설정된 쉬프트레벨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레벨선택수단과; 상기 선택된 쉬프트레벨값을 검출하여 소정비트값을 출력하는 쉬프트레벨 검출수단과; 상기 소정비트값을 음수, 양수에 따라 보수처리하기 위해 12비트중 상위비트로 처리하는 합값발생수단과; 상기 입력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값중 부호비트를 검출하여 올림수를 발생하고 입력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연산처리하는 데이터 연산처리수단과; 상기 연산처리된 16비트의 데이터를 상기 쉬프트레벨 검출수단의 소정비트값에 따라 12비트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다중화수단과; 상기 다중화수단에서 얻어진 12비트와 합값발생수단의 12비트를 가산하여 기록하는 데이터 합산수단과; 재생모드시 상기 12비트로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16비트로 복원하여 재생하는 복원장치로 이루어짐으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복원장치
제1도는 일반적으로 테이프의 오디오 트랙에 이루어진 오디오 프레임 상태를 보인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오디오 엔코딩 모드상태를 보인도.
제3도는 제2도의 4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16/12변환 규칙 테이블도.
제4도는 제3도를 적용한 본 발명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제5도는 제3도를 적용한 본 발명 채널 오디오 데이터 복원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제1 레지스터 102 : 제1입력레벨 선택부
103 : 제1쉬프트레벨 검출부 104 : 제1합값 발생부
105 : 제1데이터 연산처리부 106 : 다중화부
107 : 제2레지스터 108 : 제3레지스터
202 : 제2입력레벨 선택부 203 : 제2쉬프트레벨 검출부
204 : 제2데이터 연산처리부 205 : 역다중화부
207 : 제2데이터 합산부
본 발명은 디지탈 브이씨알등에서의 채널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 및 복원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상세하게는 제한된 오디오트랙 영역 크기내에 32kHz 4채널 모드의 데이터를 매핑하기 위해 기록시에 16비트를 12비트로 비선형 양자화하고 재생시 12비트를 16비트로 복원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하는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복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탈 브이씨알등에서의 오디오 한 프레임은 제1도와 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의 한 프레임은 10트랙(T0 내지 T9)으로 이루어지며, 한 트랙의 오디오 데이터 사이즈는 72×8×9=5184 비트 크기를 갖는다.
또한 제2도에서의 48㎑, 44.1㎑, 32㎑모드의 2채널은 제1도의 제1, 제2채널영역(ch1)(ch2)에 놓이게 되며, 이 채널영역에 즉 제3, 제4채널영역에 32㎑의 4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넣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제3도와 같은 16/12변환 규칙 테이블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제2도에서와 같이, 2채널시, 즉 48㎑/44.1㎑/32㎑모드시에는 그대로 16비트 선형 양자화(Linear Quantization)를 하게 되며, 4채널시, 즉 32㎑모드시는 비선형 양자화(nonlinear quantization)를 하게 된다.
제3도에서의 16비트의 오디오 입력 데이터는 14개의 쉬프트 레벨을 통해 각 스케일 벡터의 연산을 통해 12비트로 양자화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오디오를 청취하는 청취자가 고음 및 저음에서는 소리에 둔감하며, 중간음에 민감하기 때문에 음의 고저(高低)에 따라 팩터(factor)값을 다르게 연산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일예로써, 고음인 30000(7530h)의 값은의 연산을 거치면 2004(7D4h)의 12비트 값이 생성된다.
그리고, 역(Inverse)으로 상기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16비트로 변환을 하여보면 12비트의 2004(7D4h)값은 16비트의 29952(7500h)값이 된다.
그 이유는 나눗셈 64에 있다.
1부터 63까지는 같은 값으로 처리되기 때문이고, 이런 이유로 해서 비선형 양자화라 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디지탈 브이씨알등에서의 채널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12비트로 변환하는 데이터 압축방법과 12비트를 16비트로 복원하는 데이터 복원방법이 안출되었으나, 이는 32㎑ 4채널 모드 사용시에 메모리의 이용이 많고, 또한 그 메모리 이용에 따른 하드웨어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생산성의 저하는 물론 데이터의 압축 및 복원시 글리치(glitch)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32㎑ 4채널 모드시 메모리 이용을 줄이고 제한된 오디오영역 크기내에 4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서 간단한 하드웨어를 통해 4채널 모드의 입력 16비트를 12비트로 비선형 양자화하여 글리치 발생없이 상기 제한된 오디오 영역에 기록하도록 하는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재생시 상기 제한된 오디오영역에 기록된 4채널 모드의 12비트 데이터를 16비트로 복원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글리치 발생없이 보다 간단한 하드웨어를 통해 재생하도록 하는 채널 오디오 데이터 복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장치는 기록하고자 하는 입력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에서 상위 7비트를 가지고 기 설정된 12비트의 쉬프트레벨중 하나의 쉬프트레벨을 선택하는 입력레벨 선택수단과 상기 입력레벨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쉬프트레벨값이 어느 레벨에 속하는가를 검출하여 소정시트값을 백터형태로 출력하는 쉬프트레벨 검출수단과 상기 쉬프트레벨 검출수단의 소정비트값을 백터형태로 출력하는 쉬프트레벨 검출수단과, 상기 쉬프트레벨 검출수단의 소정비트값을 음수, 양수에 따라 보수처리하기 위해 12비트중 상위비트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합값발생수단과 상기 입력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값중 최상위 부호비트를 검출하여 음수인 경우에 올림수를 발생하여 입력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연산처리하는 데이터 연산처리수단과 상기 데이터 연산처리수단에서 얻어진 16비트의 데이터를 상기 쉬프트레벨 검출수단의 소정 비트값에 따라 12비트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다중화수단과 상기 다중화수단에서 얻어진 12비트와 합값발생수단의 12비트를 가산하여 최종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합산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다른 채널 오디오 데이터 복원장치는 재생하고자 하는 입력 12비트의 데이터중에서 상위 4비트를 가지고 기 설정된 12비트의 쉬프트레벨중 하나의 쉬프트레벨을 선택하는 입력레벨 선택수단과 상기 입력레벨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쉬프트레벨값이 어느레벨에 속하는가를 검출하여 벡터형태로 소정비트값을 출력하는 쉬프트레벨 검출수단과 상기 입력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값중 최상위 부호비트를 검출하여 음수인 경우에 올림수를 발생하여 입력 12비트를 연산처리하는 데이터 연산처리수단과 상기 데이터 연산처리수단에서 얻어진 12비트의 데이터를 상기 쉬프트레벨 검출수단의 소정비트값에 따라 16비트로 역중화하여 출력하는 역다중화수단과 상기 역다중화수단에서 얻어진 16비트를 데이터 연산처리수단의 올림수에 따라 가산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합산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제3도를 적용한 본 발명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데이터 입력단자(100)로부터 입력되는 16비트의 4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레지스터(101)와, 상기 제1레지스터(101)에서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에서 상위 7비트를 가지고 쉬프트하고자 기 설정되어 있는 12비트의 쉬프트레벨중 하나의 쉬프트레벨값을 선택하는 제1입력레벨 선택부(102)와, 상기 제1입력레벨 선택부(102)에서 선택되어 입력되는 쉬프트레벨값이 어느레벨에 속하는가를 검출하여 벡터형태로 3비트를 출력하는 제1쉬프트레벨 검출부(103)와, 상기 제1쉬프트레벨 검출부(103)에서 발생된 3비트값을 음수, 양수에 따라 보수처리하기 위해서 12비트중 상위비트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제1합값발생부(104)와, 상기 제1합값발생부(104)에서 처리되어 입력되는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3레지스터(108)와, 상기 제1레지스터(101)에서 순차 입력되는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값중 최상위 부호비트를 검출하여 음수인 경우에 올림수를 발생하여 입력 16비트를 연산처리하는 제1데이터 연산처리부(105)와, 상기 제1데이터 연산처리부(105)에서 구해진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1쉬프트레벨 검출부(103)에 발생된 3비트값에 따라 12비트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다중화부(106)와, 상기 다중화부(106)로부터 다중되어 입력되는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레지스터(107)와, 상기 제2, 제3레지스터(107)(108)로부터 입력되는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가산하여 최종 오디오 데이터를 구하고 이를 데이터 출력단자(110)를 통해 테이프에 기록하는 제1데이터 합산부(109)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제1데이터 연산처리부(105)는 상기 제1레지스터(101)에서 순차 입력되는 16비트의 값중 최상위 부호비트를 검출하여 음수 또는 양수에 따라 올림수를 발생하는 제1네가티브 덧셈기(105a)와, 상기 제1네가티브 뎃셈기(105a)에서 발생된 올림수에 따라 배타적 오아게이트로써 동작하여 제1레지스터(101)의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반전하여 출력하거나 그냥 바이패스시키는 제1가산기(105b)로 구성한다.
그리고, 제5도는 제3도를 적용한 본 발명 채널 오디오 데이터 복원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테이프로부터 재생되어 데이터 입력단자(200)를 통해 입력되는 12비트의 4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4레지스터(201)와, 상기 제4레지스터(201)에서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에서 상위 4비트를 가지고 쉬프트하고자 기 설정되어 있는 12비트의 쉬프트레벨중 하나의 쉬프트레벨값을 선택하는 제2입력레벨 선택부(202)와, 상기 제2입력레벨 선택부(202)에서 선택되어 입력되는 쉬프트레벨값이 어느 레벨에 속하는가를 검출하여 벡터형태로 4비트를 출력하는 제2쉬프트레벨 검출부(203)와, 상기 제4레지스터(201)에서 입력되는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값중 최상위 부호비트를 검출하여 음수인 경우에 올림수를 발생하여 제4레지스터(201)의 입력 12비트 오디오 데이터를 연산처리하는 제2데이터 연산처리부(204)와, 상기 제2데이터 연산처리부(204)에서 연산처리되어 입력되는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쉬프트레벨 검출부(203)에서 발생된 4비트값에 따라 16비트로 역다중화하여 출력하는 역다중화부(205)와, 상기 역다중화부(205)에서 입력되는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5레지스터(206)와, 상기 연산처리부(204)에서 발생된 올림수에 따라 배타적 오아게이트로써 동작하여 제5레지스터(206)의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반전하여 출력하거나 그냥 데이터 출력단자(208)로 바이패스시키는 제2데이터 합산부(207)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제2데이터 연산처리부(204)는 상기 제4레지스터(201)에서 순차 입력되는 12비트의 값중 최상위 부호비트를 검출하여 음수 또는 양수에 따라 올림수를 발생하는 제2네가티브 덧셈기(204a)와, 상기 제2네가티브 덧셈기(204a)에서 발생된 올림수에 따라 배타적 오아게이트로써 동작하여 제4레지스터(101)의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반전하여 출력하거나 그냥 바이패스시키는 제2가산기(204b)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복원장치의 작용 효과를 제3도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4도의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장치에 있어서, 기록하고자 하는 제3도와 같은 4채널의 16비트 오디오 데이터가 데이터 입력단자(100)를 통해 제1레지스터(101)에 순차적으로 저장된 후 제1 입력레벨 선택부(102)와 제1데이터 연산처리부(105)에 입력되면, 상기 제1입력레벨 선택부(102)는 제3도에서와 같이, 입력된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에서 상위 7비트를 가지고 쉬프트하고자 기 설정되어 있는 12비트의 쉬프트레벨값중 하나의 쉬프트레벨값을 선택하여 제1쉬프트레벨 검출부(103)에 입력하게 된다.
즉, 상기에서 입력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의 양수 음수에 따라 쉬프트하고자 하는 쉬프트레벨값은 제3도에서와 같이, 양수 및 음수인 경우에 각각 1비트 쉬프트레벨값에서부터 6비트 쉬프트 레벨값으로 설정되고 그리고 두 비트의 난쉬프트(non-shift)는 사용하지 않는다.
상기 제1쉬프트레벨 검출부(103)는 제1 입력레벨 선택부(102)에서 선택되어 입력되는 쉬프트 레벨값을 검출하여 이를 제3도에서와 같이,연산을 위해서 3비트값을 벡터형태로하여 다중화부(106)와 제1합값 발생부(104)에 제공하게 된다.
일예로서, 제1입력레벨 선택부(102)로부터 선택되어 입력된 레벨쉬프트값이 6비트 쉬프트레벨값이면 제1쉬프트레벨 검출부(103)는 110의 3비트값을 출력하고, 만약 5비트 쉬프트레벨값이 선택되어 입력되면 101의 3비트값을 출력하여 다중화부(106)와 제1합값발생부(104)에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합값발생부(104)는 만약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가 양수인 경우에는 제1쉬프트레벨 검출부(103)에서 입력되는 3비트값을 제3레지스터(108)에 저장된 12비트중 상위비트, 즉 11 내지 9번째 비트에 저장하고 나머지 8개의 비트를 0로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최상위비트의 12번째에 0을 만들어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가 만약 음수인 경우에는 제1쉬프트레벨 검출부(103)에서 입력되는 3비트값을 제3레지스터(108)에 저장된 12비트중 상위 11번째 내지 9번째 비트에 저장하고 나머지 8개의 비트를 모두 1로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최상위비트의 12번째 비트를 보수를 취해 1을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데이터 연산처리부(105)는 상기 제1레지스터(101)에서 순차 입력되는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값중 최상위 부호비트를 검출하여 음수인 경우에 올림수를 발생하고 그 발행된 올림수값에 따라 제1레지스터(101)로부터 입력되는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연산처리하게 된다.
즉,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데이터 연산처리부(105)는 제1네가티부 덧셈기(105a)와 제1가산기(105b)를 포함한다.
상기 제1네가티브 덧셈기(105a)는 상기 제1레지스터(101)로부터 입력되는 16비트의 값중 최상위 부호비트를 검출하여 음수일 때는 올림수1을 제1가산기(105b)에 제공하고 양수일 경우에는 올림수 0을 제1가산기(105b)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1가산기(105b)는 상기 제1네가티브 덧셈기(105a)에서 입력되는 올림수값에 따라 제1레지스터(101)에서 입력되는 16비트의 오디오데이타를 반전 또는 바로 바이패스시키게 된다.
즉, 다시말해서 제1네가티브 덧셈기(105a)로 부터의 올림수가 1(음수일 경우)로 입력될 경우에는 반전기(배타적 오아게이트)로써 동작하여 입력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반전하여 다중화부(106)에 제공하게 되고, 만약 올림수가 0(양수일 경우)으로 입력될 경우에는 제1레지스터(101)의 16비트 오디오 데이터를 바로 연산없이 다중화부(106)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다중화부(106)는 16-12비트 멀티플렉서로서, 제1가산기(105b)로부터의 음수 또는 양수에 따라 입력되는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1쉬프트레벨 검출부(103)에서 발생된 3비트값에 따라 12비트로 다중화하여 글리치 제거를 위한 제2레지스터(107)에 저장한 후 제1데이터 합산부(109)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1데이터 합산부(109)는 상기 제2, 제3 레지스터(107)(108)로부터 글리치가 제거되어 순차 입력되는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가산하여 제3도와 같은 입력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출력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데이터 출력단자(110)를 통해 테이프의 오디오트랙에 기록하게 된다.
즉, 제3도에서 입력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인 32767(7FFFh)의 값은의 연산을 거쳐 12비트의 2047(7FFh)값으로 기록된다.
상기에서 h는 헥사코드이다.
그리고, 제5도의 채널 오디오 데이터 복원장치는 상기 제4도에 의해 압축되어 기록된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원래의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로 복원하여 재생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제3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테이프로부터 재생된 제3도와 같은 4채널의 12비트 오디오 데이터가 데이터 입력단자(200)를 통해 제4레지스터(201)에 순차적으로 저장된 후 제2입력레벨 선택부(202)와 제2데이터 연산처리부(204)에 입력되면, 상기 제2입력레벨 선택부(202)는 제3도에서와 같이, 입력된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에서 상위 4비트를 가지고 쉬프트하고자 기 설정되어 있는 12비트의 쉬프트레벨값중 하나의 쉬프트레벨값을 선택하여 제2쉬프트레벨 검출부(203)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제2쉬프트레벨 검출부(203)는 제2입력레벨 선택부(202)에서 선택되어 입력되는 쉬프트레벨값을 검출하여 이를 제3도에서와 같이,연산을 위해 4비트값을 벡터형태로 하여 역다중화부(205)에 제공하게 된다.
일예로써, 제2입력레벨 선택부(202)로부터 선택되어 입력된 레벨쉬프트값이 6비트 쉬프트레벨값이면 제2쉬프트레벨 검출부(203)는 110의 4비트값을 출력하고, 만약 5비트 쉬프트레벨값이 선택되어 입력되면 101의 4비트값을 출력하여 역다중화부(205)에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데이터 연산처리부(204)는 상기 제4레지스터(201)에서 순차 입력되는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값중 최상위 부호비트를 검출하여 음수인 경우에 올림수를 발생하고 그 발생된 올림수값에 따라 제4레지스터(201)로부터 입력되는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연산처리하게 된다.
즉, 상기 제2데이터 연산처리부(204)는 제2네가티브 덧셈기(204a)와 제2가산기(204b)를 포함한다.
상기 제2네가티브 덧셈기(204a)는 상기 제4레지스터(201)로부터 입력되는 12비트의 값중 최상위 부호비트를 검출하여 음수일때는 올림수 1을 제2가산기(204b)에 제공하고 양수일 경우에는 올림수 0을 제2가산기(204b)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2가산기(204b)는 상기 제2네가티브 덧셈기(204a)에서 입력되는 올림수값에 따라 제4레지스터(201)에서 입력되는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반전 또는 바로 바이패스시키게 된다.
다시말해서 제2네가티브 덧셈기(204a)로부터의 올림수가 1로 입력될 경우에는 배타적으로 오아게이트로써 동작하여 입력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반전하여 역다중화부(205)에 제공하게 되고, 만약 올림수가 0으로 입력될 경우에는 제4레지스터(201)의 12비트 오디오 데이터를 바로 연산없이 역다중화부(205)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역다중화부(205)는 12-16비트 디멀티플렉서로서, 제2가산기(204b)로 부터의 음수 또는 양수에 따라 입력되는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쉬프트레벨 검출부(203)에서 발생된 4비트값에 따라 16비트로 역다중화하여 글리치 제거를 위한 제5레지스터(206)에 저장한 후 제2데이터 합산부(207)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2데이터 합산부(207)는 제2네가티브 덧셈기(204a)로 부터의 올림수가 1로 입력될 경우에는 반전기(배타적 오아게이트)로써 동작하여 제5레지스터(206)의 16비트 오디오데이타를 반전하여 데이터 출력단자(208)를 통해 출력하고 올림수가 0으로 입력되면 제5레지스터(206)의 16비트 오디오 데이터를 바로 데이터 출력단자(208)로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32㎑ 4채널 모드시 제한된 오디오영역 크기내에 4채널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서 입력 16비트를 12비트로 비선형 양자화하여 기록하고 재생시에는 12비트를 16비트로 복원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글리치 발생이 제거됨과 아울러 메모리의 이용이 감소되고 간단한 하드웨어로서 처리가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기록모드시 입력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에서 상위 소정비트를 가지고 기 설정된 12비트의 쉬프트레벨값중 하나의 쉬프트레벨값을 선택하는 입력레벨 선택수단과; 상기 입력레벨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쉬프트레벨값이 어느레벨에 속하는가를 검출하여 소정비트값을 벡터형태로 출력하는 쉬프트레벨 검출수단과; 상기 쉬프트레벨 검출수단의 소정비트값을 음수, 양수에 따라 보수처리하기 위해 12비트중 상위비트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합값발생수단과; 상기 입력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값중 최상위 부호비트를 검출하여 음수인 경우에 올림수를 발생하여 입력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연산처리하는 데이터 연산처리수단과; 상기 데이터 연산처리수단에서 얻어진 16비트의 데이터를 상기 쉬프트레벨 검출수단의 소정비트값에 따라 12비트로 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다중화수단과; 상기 다중화수단에서 얻어진 12비트와 합값발생수단의 12비트를 가산하여 최종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합산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입력레벨 선택수단은 입력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에서 상위 7비트를 가지고 설정된 12비트의 쉬프트레벨값중 하나의 쉬프트레벨값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쉬프트레벨 검출수단에서 발생된 비트값은 3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 연산처리수단은 순차 입력되는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값중 최상위 부호비트를 검출하여 음수 또는 양수에 따라 올림수를 발생하는 네가티브 덧셈기와; 상기 네가티브 덧셈기에서 발생된 올림수에 따라 입력 16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가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가산기는 상기 네가티브 덧셈기에서 발생되는 올림수에 따라 반전기로써 동작하는 배타적 오아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수단의 12비트 오디오 데이터와 합값발생수단의 12비트 오디오 데이터를 각기 저장하여 데이터 합산부에 제공하는 레지스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장치.
  7. 재생모드시 입력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중에서 상위 소정비트를 가지고 기 설정된 12비트의 쉬프트레벨값중 하나의 쉬프트레벨값을 선택하는 입력레벨 선택수단과; 상기 입력레벨 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쉬프트레벨값이 어느레벨에 속하는가를 검출하여 벡터형태로 소정비트값을 출력하는 쉬프트레벨 검출수단과; 상기 입력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값중 최상위 부호비트를 검출하여 음수인 경우 올림수를 발생하여 입력 12비트를 연산처리하는 데이터 연산처리수단과; 상기 데이터 연산처리수단에서 얻어진 12비트의 데이터를 상기 쉬프트레벨 검출수단의 소정비트값에 따라 16비트로 역중화하여 출력하는 역다중화수단과; 상기 역다중화수단에서 얻어진 16비트를 데이터 연산처리수단의 올림수에 따라 가산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합산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채널 오디오 데이터 복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입력레벨 선택수단은 입력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에서 상위 4비트를 가지고 설정된 12비트의 쉬프트레벨값중 하나의 쉬프트레벨값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채널 오디오 데이터 복원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쉬프트레벨 검출수단에서 발생된 비트값은 4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데이터 연산처리수단은 순차 입력되는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값중 최상위 부호비트를 검출하여 음수 또는 양수에 따라 올림수를 발생하는 네가티브 덧셈기와; 상기 네가티브 덧셈기에서 발생된 올림수에 따라 입력 12비트의 오디오 데이터를 가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채널 오디오 데이터 복원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기는 상기 네가티브 덧셈기에서 발생되는 올림수에 따라 반전기로써 동작하는 배타적 오아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 채널 오디오 데이터 복원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역중화수단의 16비트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여 데이터 합산수단에 제공하는 레지스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채널 오디오 데이터 복원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데이터 합산수단은 데이터 연산처리수단에서 입력되는 올림수에 따라 반전기로써 동작하는 배타적 오아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 채널 오디오 데이터 복원장치.
KR1019950012075A 1995-05-16 1995-05-16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복원장치 KR0152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075A KR0152842B1 (ko) 1995-05-16 1995-05-16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복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075A KR0152842B1 (ko) 1995-05-16 1995-05-16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복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667A KR960042667A (ko) 1996-12-21
KR0152842B1 true KR0152842B1 (ko) 1998-10-15

Family

ID=19414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2075A KR0152842B1 (ko) 1995-05-16 1995-05-16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복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28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667A (ko) 199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1728B1 (ko) 음향신호의 에러은닉방법 및 그 장치
US5083310A (en) Compression and expansion technique for digital audio data
Gerzon et al. A high-rate buried-data channel for audio CD
CA2365529A1 (en) Matrix improvements to lossless encoding and decoding
JPH0773587A (ja) ディザ生成装置
US6201898B1 (en) Video signal recording apparatus, video signal regenerating apparatus, image coding apparatus and image decoding apparatus
KR0152842B1 (ko) 채널 오디오 데이터 압축/복원장치
WO1994018762A1 (en) Transmission of digital data words representing a signal waveform
JPS6120709Y2 (ko)
JP3342001B2 (ja) 記録媒体、音声復号装置
KR100215201B1 (ko) 디지탈 브이씨알의 채널 오디오 데이타 압축장치
JPH0993132A (ja) 符号化・復号化装置及び方法
JP3092331B2 (ja) 信号処理装置
JP2658122B2 (ja) デジタル信号処理方法
JPH0810829B2 (ja) デイジタル―アナログ変換装置
US6507819B1 (en) Sound signal processor for extracting sound signals from a composite digital sound signal
Kato et al. A study on bit rate reduction for a broadcast-use HDTV-VTR
JPH07160267A (ja) 波形データ符号化装置、波形データ符号化方法、波形データ復号装置、及び波形データ符号化/復号装置
KR960012477B1 (ko) 인지 정보량을 이용한 적응적 스테레오 디지탈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JP3501246B2 (ja) Mpegオーディオデコーダ
KR100223164B1 (ko) 오디오신호 에러수정장치 및 그 방법
JP3167539B2 (ja) デジタルデータ符号化装置
JP3344583B2 (ja) 音声符号化方法及び音声復号方法
JPS6342986B2 (ko)
JPH0528647A (ja) デイジタル音声信号の記録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