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331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331B1
KR0152331B1 KR1019940033794A KR19940033794A KR0152331B1 KR 0152331 B1 KR0152331 B1 KR 0152331B1 KR 1019940033794 A KR1019940033794 A KR 1019940033794A KR 19940033794 A KR19940033794 A KR 19940033794A KR 0152331 B1 KR0152331 B1 KR 0152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onditioner
deflection
discharg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3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077A (ko
Inventor
홍영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33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2331B1/ko
Publication of KR960024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3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조된 공기가 전면 뿐만 아니라 좌,우면까지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여 보다 쾌적한 공조환경을 도모하게 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는 공기조화기 내부에 냉동 싸이클 장치가 내장되어 열 교환을 수행하며, 공기 조화기의 하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공기조화기의 상측에 설치되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에 설치되어 일측과 타측에 회전 축이 형성된 다수의 편향날개를 구비하고,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를 받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상측의 전방 및 좌,우 측방이 개방되어 공조된 공기의 토출면적을 확대하는 토출부와, 상기 토출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편향날개의 회전축에 체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설치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와 연결된 동력전달부재에 회전력을 주어 상기 편향날개의 풍향을 조절하는 정역 회전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부가되어 편향날개의 회전방향을 불 규칙적으로 조절함으로서 자연 상태의 풍향을 제공하는 랜덤함수발생기로 이루어진 공기 토출장치를 실내기 전면 및 좌,우면에 각각 설치하여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3면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제1도는 종래의 상치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공조된 공기 흐름도.
제3도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 편향날개 조정에 따른 토출 면적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종래의 흐름 방향 제어장치의 사시도.
제5도(a)와 (b)는 종래의 흐름방향 제어장치의 공기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장착되는 공기 토출장치 구성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마이크로컴퓨터 구성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편향날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 흐름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적용시 공기 토출면적 변화 도시도.
제12도는 편향날개의 회전각도에 따른 토출면적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흡입부 2 : 토출부
3 : 편향날개 4 : 회전 축
5 : 스테핑 모터 6 : 스퍼 기어
7 : 타이밍 벨트 8 : 편향날개 개폐 감지부
9 : 공기 토출장치 10 : 키 입력부
11 : 마이크로컴퓨터 12 : 랜덤 함수발생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조된 공기가 전면 뿐만 아니라 좌,우면까지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여 보다 쾌적한 공조환경을 도모하게 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의 사용에 있어서 더욱 효과적인 공조환경을 위하여 공기조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에 편향날개를 장착하여 토출방향을 제어하는 방식이 보편화던 추세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하단에 위치하여 실내 공기를 유입하는 흡입부(1), 유입된 공기를 공기조화하여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부(2), 토출부(2)전면에 장착되어 토출되는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제어하는 편향날개(3)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공조된 공기가 실내기의 전면으로만 토출되는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서,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편향날개를 최대로 조정했을 경우에도 공조가능한 공간이 공기조화기의 토출부를 기준으로 하여 최대 120°를 초과할 수 없고,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한쪽 벽면에 위치하였을 경우에는 공조 불가능 공간인 이른바 사(死)공간이 더욱 증대하게 되며, 편향날개를 일측 방향으로 고정하였을 경우에는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 토출면적이 1/2로 감소함으로서 풍속은 2배로 증대하게 되고, 풍속과 비례하는 소음역시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일 방안으로서 국내 특허 공고 제 89-2921호의 흐름방향 제어장치가 제시되어 있는 바,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출부(1)의 전면을 향하여 확대 형상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축(4)이 착설되고, 착설된 축(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복수매의 편향날개(3)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서, 공기조화기의 전면 공조시에는 제5도(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편향날개(3)를 모두 개방하고, 편향날개(3)를 일측 방향으로 고정하였을 경우에는 제5도(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방된 복수매의 편향날개(3)의 타측에 착설되어 있는 복수매의 편향날개(3)를 폐쇄시킴으로서 폐쇄된 복수매의 편향날개(3)가 안내벽을 형성하게 되어 공조가능공간을 증대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흐름방향 제어장치에서는 공조가능한 공간을 증대 시켰다고는 하나 공조된 공기가 실내기의 전면으로만 토출되는 구조에서의 한계성을 지니게 됨으로서, 공기조화기의 토출부를 기준으로 180°의 공조는 불 가능하여 공조시 실내의 온도분포가 불 균일하고,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한쪽 벽면에 위치하였을 경우에는 공조 불 가능 공간 이른바 사(死) 공간이 증대 할 뿐만 아니라, 편향날개의 회전폭이 항상 일정하게 되어 단조로운 공조만을 제공함으로서 사용자가 거부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는 공조된 공기가 전면 및 양 측면의 3면으로 토출하게 구성 함으로서 공조 가능 범위를 180°까지 확대시킬수 있으며, 편향날개를 회전하여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변경하면 토출면적이 감소되어 발생하는 소음의 문제점을 토출면적을 감소시키지 않음으로서 방지하고, 편향날개의 회전폭을 자유자재로 변경할 뿐만 아니라 랜덤 함수 발생기를 이용하여 편향날개의 회전폭을 불 규칙적으로 결정할 수 있어서 자연상태에서 제공되는 풍량으로의 쾌적공조가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는 공기 조화기 내부에 냉동 싸이클 장치가 내장되어 열 교환을 수행하며, 공기 조화기의 하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공기조화기의 상측에 설치되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에 설치되어 일측과 타측에 회전 축이 형성된 다수의 편향날개를 구비하고,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를 받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상측의 전방 및 좌,우 측방이 개방되어 공조된 공기의 토출면적을 확대하는 토출부와, 상기 토출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편향날개의 회전축에 체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와,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설치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와 연결된 동력전달부재에 회전력을 주어 상기 편향날개의 풍향을 조절하는 정역 회전모터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부가되어 편향날개의 회전방향을 불 규규칙적으로 조절함으로서 자연 상태의 풍향을 제공하는 랜덤함수발생기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는 토출부, 편향날개, 회전 축, 랜덤 함수 발생기 및 키 입력부를 구비하고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를 받아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 및 공기청정하여 실내로 토출하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전원이 인가되면 편향날개를 초기화하고 사용자가 입체풍향모드를 선책하였을 경우 공기조화기 전면 및 좌.우면의 토출부를 개방하는 입체 풍향 과정과, 자동회전모드가 입력될 경우에는 편향날개를 계산된 식에 의하여 공기조화기 좌측부터 우측으로 회전시킨 다음, 다시 우측부터 좌측까지 회전시키는 자동 회전 과정과, 자연 풍향 모드가 입력될 경우에는 랜덤 함수 발생기를 이용하여 편향날개의 회전을 불 규칙적으로 변화시키는 자연 풍향 과정으로 이루어져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180°까지 자유롭게 조절하고 자연상태의 풍향으로 공조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제6도와 제7도 내지 제8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하단에 위치하여 실내 공기를 유입받는 흡입부(1), 유입된 공기를 공기조화하여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부(2),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상단의 전면 및 좌.우면에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어 흐르는 방향을 제어하는 편향날개(3), 편향날개(3)를 횡단하여 착설된 회전 축(4), 편향날개(3)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공급하는 스태핑 모터(5), 상기 회전 축(4)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스퍼 기어(6), 다수의 스퍼 기어(6)의 톱니와 맞물림으로서 스테핑 모터(5)의 동력을 회전 축(4)에 전달하는 타이밍 벨트(7), 편향날개(3)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편향 날개 개.폐 감지부(9)로 구성된 공기 토출장치(8)를 장착하고, 토출부(2)의 상단 및 하단을 천공하여 회전 축(4)을 착설함으로서 공기 토출장치(8)의 회전운동시 베이어링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편향 날개 개.폐 감지부(9)의 감지결과 및 사용자가 풍속 및 풍향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부(10)에서의 입력에 의해 스테핑 모터(5)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서 공조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11)로 구성되어 공조된 공기를 3면으로 토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9도 내지 제10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편향날개(3)토출방향 제어동작을 용이하게 서술하기 위하여 제9도(a)의 편향날개(3)가 초기화 된 상태 즉, 편향날개(3)가 개.폐감지부(9)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Θ1을 좌측 편향날개(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각도, Θ2을 전면 편향날개(3)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각도및 Θ3를 우측 편향날개(3)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각도라고 규정하고, Θ1을 편향날개(3)가 회전할 수 있는 좌측 한계각 즉, 0°라고 하고, Θr을 편향날개(3)가 회전할 수 있는 우측 한계각 즉, 180°라 규정하며, Θ를 현재 편향날개(3)의 회전한 각도이고 ΔΘ는 각 공조과정에서의 편향날개(3)가 회전하는 유동 각도증가분이라 규정한다.
전원을 인가하여 공기조화기가 동작을 시작하면, 마이크로컴퓨터(11)는 좌측 편향날개(3)의 스테핑 모터(5)를 반시계 방향으로 180°회전하고, 전면 편향날개(3)의 스테핑 모터(5)를 시계 방향으로 180°회전시키며, 우측 편향날개(3)의 스테핑 모터(5)를 시계 방향으로 180°회전하여 편향날개(3)가 편향날개 개.폐 감지부(8)에 도달되도록 한다. 이때 스테핑모터(5)의 회전이 진행되는 동안 편향날개(3)가 편향날개 개.폐 감지부(8)에 도달하면 스테핑 모터(5)는 공회전을 하게되어 초기화를 완료시킨다.(단계 101) 즉, Θ1=0, Θ2=0,Θ3=0까지 스테핑 모터(5)를 동작시킨 다음, 사용자가 키 입력부(10)을 통하여 입체 풍향을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제9도의(g)에서 보는 바와 같이 Θ1=90°, Θ2=90°, Θ3=90°까지 스테핑 모터(5)를 동작시켜 공조된 공기가 전면 및 좌.우면의 삼면으로 토출되게 하는(단계 103) 입체풍향과정(L1)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편향날개(3)의 자동적인 회전을 원하여 자동회전모드를 선택할 경우에는 (단계 104) 제9도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Θ1=0, Θ2=90°,Θ3=0인 단계까지 스테핑 모터(5)를 구동하여 편향날개(3)를 회전하는 자동회전모드 초기화를 수행하고 (단계 105) 자동회전모드 초기화가 완료되면 (단계 106), 마이크로컴퓨터 (11)에서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10)를 통하여 공조를 원하는 방향 즉, 공조기 전면을 기준으로하여 좌측으로부터 공조를 시작할 것인가 또는 우측으로부터 공조를 시작할 것인가를 입력하였는지를 감지하여(단계 107), 사용자가 공조를 원하는 방향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입력하였다면 현재의 편향날개(3)가 회전한 각도 Θ에서 마이크로컴퓨터(11)에서 설정한 편향날개(3)가 회전화는 유동 각도증가분 ΔΘ만큼의 각도를 가산한 것을 ΘNEW로 규정하고, (단계 108) 다음식1에 의하여 스테핑 모터(5)를 구동하여 편향날개(3)를 자동 회전함으로서 공기조화기의 토출부(2) 좌측에서 우측으로 공조를 수행한다.(단계 109)
0 ≤ΘNEW≤90°일 경우 Θ1=90°-Θ,
Θ2=Θ,
Θ3=0,
90°≤ΘNEW≤180°일 경우 Θ1=0,
Θ2=Θ,
Θ3=Θ -90°...............1.
편향날개(3)가 회전하면서 공조를 수행하는 중에 마이크로펌퓨터(11)에서 설정된 편향날개(3)가 회전한 각도 Θ1+ΔΘ가 ΘNEW보다 커지게 된다면,(단계 110) 편향날개(3)가 좌측 한계각인 Θ1으로부터 회전을 시작하여 우측 한계각인 Θr까지 회전을 종료한 경우임으로, 사용자가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공조기 전면을 기준으로하여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선택한 경우에서의 동작 즉, 현재의 편향날개(3)가 회전한 각도 Θ에서 마이크로컴퓨터(11)에서 설정된 편향날개(3)가 회전하는 유동 각도증가분 ΔΘ만큼의 각도를 감산하여 ΘNEW로 규정하여 편향날개(3)의 회전 방향을 공기조화기의 전면을 기준으로하여 우측에서 좌측으로 변경시키고, (단계 111) 식1에 의하여 스테핑 모터(5)를 구동하여 편향날개(3)를 자동 회전함으로서 공조를 수행하며, (단계 112)공조를 수행하는 중에 마이크로컴퓨터(11)에서 설정된 편향날개93)가 회전한 각도인 ΘNEW가 180 - ΔΘ보다 커지게 된다면, 편향날개(3)가 우측한계각인 Θr으로부터 회전을 시작하여 좌측 한계각인 Θ1까지 회전을 종료한 경우임으로, 다시 사용자가 공조를 원하는 방향의 선택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입력한 경우에서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서 편향날개(3)의 회전 방향을 변경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는 자동 회전 과정(L2)을 수행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자연 상태의 풍향을 원하여 자연 풍향 모드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단계 114) 제9도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Θ1=0, Θ2=90°,Θ3=0인 단계까지 스테핑 모터(5)를 구동하여 편향날개(3)를 회전하는 자연 풍향 모드 초기화를 수행하고 (단계 115) 자연 풍향 모드 초기화가 완료되면 (단계 116), 사용자가 키 입력부(10)를 통하여 공조를 원하는 방향 즉, 공조기 전면을 기준으로하여 좌측으로부터 공조를 시작할 것인가 또는 우측으로부터 공조를 시작할 것인가를 입력하였는지를 감지하여(단계 117), 사용자가 공조를 원하는 방향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입력하였다면 현재 편향날개(3)가 회전한 각도 Θ에서 마이크로컴퓨터(11)에서 설정한 편향날개(3)가 회전하는 유동 각도증가분 ΔΘ만큼의 각도를 가산한 것을 ΘNEW로 규정하고, (단계 118) 식1에 의하여 스테핑 모터(5)를 구동하여 편향날개(3)를 자동 회전함으로서 공조를 수행하며,(단계 119) 편향날개(3)가 회전하면서 공조를 수행하는 중에 편향날개(3)의 회전한 각도인 Θr+ΔΘ가ΘNEW보다 커지게 된다면,(단계 200) 편향날개(3)가 좌측한계각인 Θ1으로부터 회전을 시작하여 우측 한계각인 Θr까지 회전을 종료한 경우임으로, 사용자가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공조기 전면을 기준으로하여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선택한 경우에서의 동작 즉, 현재의 편향날개(3)가 회전한 각도 Θ에서 마이크로컴퓨터(11)에서 설정된 편향날개(3)가 회전하는 유동 각도증가분 ΔΘ만큼의 각도를 감산하여 ΘNEW로 규정하여 편향날개(3)의 회전방향을 변경시키며, 공기조화기의 토출부(2) 좌측까지 자동회전하여 공조를 수행하고 새로운 Θr의 값을 다음식에 의해 결정하여 편향날개(3)의 회전을 불규칙하게 하게 된다.(단계 201)
Θr= 랜덤 함수 발생기의 출력값*180 ............식2
이때, 새로운 Θr의 값이 전의 Θr값을 비교하여(단계 202) 새로운 Θr이 전의 Θr보다 작으면 Θ1의 값은 Θr으로 대체하고(단계 203), 크다면 식2에서의 출력값에 의해 공조를 수행한다.(단계 204)
사용자가 공조를 원하는 방향의 선택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입력하였다면 우측한계각인 Θr에서 마이크로컴퓨터(11)에서 설정된 편향날개(3)가 회전하는 유동 각도증가분 ΔΘ을 감산한 것을 ΘNEW로 규정하고, (단계 205) 식1에 의하여 스테핑 모터(5)를 구동하여 편향날개(3)를 자동 회전함으로서 공조를 수행하며,(단계 206) 편향날개(3)가 회전하면서 공조를 수행하는 중에 편향날개(3)가 회전한 각도인 Θ1-ΔΘ가 ΘNEW보다 작아지게 된다면,(단계 207) 편향날개(3)가 우측한계각인 Θr으로부터 회전을 시작하여 좌측 한계각인 Θ1까지 회전을 종료한 경우임으로, 좌측한계각인 Θ1에서 마이크로컴퓨터(11)에서 설정된 편향날개(3)가 회전하는 유동 각도증가분 ΔΘ만큼의 각도를 가산하여 ΘNEW로 규정하여 편향날개(3)의 회전방향을 변경시키며, 공기조화기의 토출부(2) 좌측까지 자동회전하여 공조를 수행하고 새로운 Θ1의 값을 다음식에 의해 결정하여 편향날개(3)의 회전을 불규칙하게 하게 된다.(단계 208)
Θ1= 랜덤 함수 발생기의 출력값*180 ............식3
이때, 새로운 Θ1의 값이 전의 Θ1값을 비교하여(단계 209) 새로운 Θ1이 전의 Θ1보다 크다면 Θ1의 값은 Θ1으로 대체하고(단계 210), 적다면 식3에서의 출력값에 의해 공조를 수행하는(단계 211) 자연 풍향 과정(L3)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동작 정지를 입력하면(단계 211) 편향날개(3)를 Θ1=0, Θ2=0, Θ3=0까지 초기화 하면서(단계 212)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정지 시킨다.
첨부된 제11도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적용시 공기 토출면적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축방향으로 편향날개(3)를 고정시키게 되면 공기토출면적은 A=1h cosθ로 주어지게 됨으로서 θ=60°경우에는 면적은 반으로 줄어들게되어 풍속은 2배로 커지게 된다.
또한, 제12도는 편향날개93)의 회전각도에 따른 토출면적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로써 기존의 공기조화기에서 편향날개(3)가 100°까지 회전하였을 경우 토출면적이 거의 제로상태가 됨으로서 토출면적의 감소에 따른 소음이 발행하였으나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는 토출면적이 100°까지 회전 하였을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1/2밖에 감소되지 않게 되어 소음의 발생도 반으로 줄어드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는 공조된 공기가 전면 및 양 측면의 3면으로 토출함으로서 공조 가능 범위를 180°까지 확대시킬수 있으며, 편향날개의 회전에 의해 토출면적이 감소되어 발생하는 소음을 최대한 억제하고, 편향날개의 회전폭을 자유자재로 변경할 뿐만 아니라 랜덤 함수 발생기를 이용하여 편향날개의 회전폭을 불 규칙적으로 결정할 수 있어서 자연상태의 공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2)

  1. 공기조화기 내부에 냉동 싸이클 장치가 내장되어 열 교환을 수행하며, 공기조화기의 하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1), 공기 조화기의 상측에 설치되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2), 상기 토출부(2)에 설치되어 일측과 타측에 회전 축(4)이 형성된 다수의 편향날개(3)를 구비하고, 마이크로컴퓨터(11)의 제어를 받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상측의 전방 및 좌,우 측방이 개방되어 공조된 공기의 토출면적을 확대하는 토출부(2), 상기 토출부(2)에 설치되는 다수의 편향날개(3)의 회전축에 체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6), 상기 동력전달부재(6)에 설치되는 벨트(7), 상기 벨트(7)와 연결된 동력전달부재(6)에 회전력을 주어 상기 편향날개(3)의 풍향을 조절하는 정역 회전모터(5),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1)에 부가되어 편향날개(3)의 회전방향을 불 규칙적으로 조절함으로서 자연 상태의 풍향을 제공하는 랜덤 함수 발생기(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토출부(2), 편향날개(3), 회전 축(4), 랜덤 함수 발생기(12) 및 키 입력부(10)을 구비하고 마이크로컴퓨터(11)의 제어를 받아 유입된 공기를 열 교환 및 공기청정하여 실내로 토출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전원이 인가되면 편향날개(3)를 초기화하고 사용자가 입체풍향모드를 선택하였을 경우 공기조화기 전면 및 좌.우면의 토출부(2)를 개방하는 입체 풍향 과정(L1), 자동회전모드가 입력될 경우에는 편향날개(3)를 계산된 식에 의하여 공기조화기 좌측부터 우측으로 회전시켜 다음, 다시 우측부터 좌측까지 회전시키는 자동 회전 과정(L2), 자연 풍향 모드가 입력될 경우에는 랜덤 함수 발생기(12)를 이용하여 편향날개(3)의 회전을 불 규칙적으로 변화시키는 자연 풍향 과정(L3)으로 이루어져 공조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180°까지 자유롭게 조절하고 자연상태의 풍향으로 공조를 가능하게 하는 공기조화기.
KR1019940033794A 1994-12-12 1994-12-12 공기조화기 KR0152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3794A KR0152331B1 (ko) 1994-12-12 1994-12-12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3794A KR0152331B1 (ko) 1994-12-12 1994-12-12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077A KR960024077A (ko) 1996-07-20
KR0152331B1 true KR0152331B1 (ko) 1998-11-02

Family

ID=1940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3794A KR0152331B1 (ko) 1994-12-12 1994-12-12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2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4121A (ko) * 2010-09-06 2012-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488B1 (ko) * 2006-07-21 2007-07-0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
KR101501194B1 (ko) * 2013-07-24 2015-03-11 (주) 지트시스템 냉방 각도가 조절되는 전산실 냉방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4121A (ko) * 2010-09-06 2012-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077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0084B1 (ko) 공기조화기
KR100755139B1 (ko) 공기 조화기
US5735137A (en) Suction inlet opening or closing apparatus for an air conditioner
KR100940021B1 (ko) 환기장치
KR950001481B1 (ko) 공기 조화 장치
EP1437552A1 (en) Cooking device
CN110701770A (zh) 导风组件、空调器的无风感结构以及空调器
KR0152331B1 (ko) 공기조화기
KR0168254B1 (ko) 자동흡입그릴의 열림각 조절장치
CN208222679U (zh) 空调器
CN210345659U (zh) 空调器
JP2013170763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7084492B (zh) 利用空调器导风结构送风的控制方法
KR0125759B1 (ko) 공기조화기용 흡입구 및 토출구의 연동개폐장치
JPH0544467A (ja) エンジン用ウオータポンプ
KR20070045022A (ko) 공기조화기
JP4467214B2 (ja) 空気調和機及びその吹出し空気制御方法
KR20040015882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
KR100531351B1 (ko) 공기조화기의 냉기토출구 개폐장치
KR100187234B1 (ko) 에어콘의 공기흡입량 조절장치 및 조절방법
CN215637909U (zh) 一种扫风叶片及空调器
KR20010095993A (ko) 자연풍 냉온풍기
KR100248768B1 (ko) 공기조화기의풍량제어방법
KR101172683B1 (ko) 공기조화기의 기류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11356U (ko)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