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488B1 -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488B1
KR100734488B1 KR1020060068349A KR20060068349A KR100734488B1 KR 100734488 B1 KR100734488 B1 KR 100734488B1 KR 1020060068349 A KR1020060068349 A KR 1020060068349A KR 20060068349 A KR20060068349 A KR 20060068349A KR 100734488 B1 KR100734488 B1 KR 100734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opening
discharge port
cold ai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광오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8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4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탠드형 에어컨의 상부패널 양측면에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형성함으로써 냉기를 입체적으로 대류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냉기의 상하방향 조절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냉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탠드형 에어컨, 상부패널, 측면토출구

Description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stand type air-conditioner having a side-opening-door}
도 1은 종래 스탠드형 에어컨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스탠드형 에어컨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에어컨의 상부패널을 보인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패널에 장착된 개폐부 및 토출방향전환부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b: 상부패널 100: 측면토출구
200: 개폐부 210: 설치편
220: 토출그릴 230: 개폐모터
300: 토출방향전환부 310: 블레이드
320: 링크바 330: 링크부재
332: 링크홈 334: 링크축
340: 방향전환모터
본 발명은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스탠드형 에어컨의 상부패널 양측면에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형성함으로써 냉기를 입체적으로 대류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냉기의 상하방향 조절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냉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실내를 냉각시키는 본 기능을 갖는 가전기기인데, 근래에 들어서는 이 같은 단순 냉방기능에서 벗어나 공기를 청정하는 기능을 겸하는 것이 널리 퍼져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능을 갖는 에어컨은 내부에 소정의 기기부품이 장착될 수 있도록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0)과 배면패널(20)로 구성된 본체(1)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전면패널(10)은 하부패널(10a)과 상부패널(10b)로 각각 구획되어 개별적으로 제작 조립된다.
이때, 상기 전면패널(10)의 하부패널(10a) 측면영역에는 실내의 공기를 본체(1) 내로 흡입하는 흡입구(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10)의 일측 부위(통상적으로 상부패널(10b)의 일측)에는 에어컨의 작동 상태 조작 및 오토셔터(12)의 동작 등을 조작함은 물론, 에어컨의 작동상태를 표시해 주는 디스플레이부(1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패널(10)의 상부패널(10b)에는 열교환기(30)에 의해 열교환되어 형성된 냉기를 토출하는 토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14) 영역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블레이드(15)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 내부의 하단 쪽에는 블로워 하우징(50)에 의해 설치된 제 1송풍팬(51)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 내부에는 공기청정기(A)가 마련되는 청정기용 하우징(60)이 블로워 하우징(50)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청정기용 하우징(60)의 전면에 해당하는 하부패널(10a)과 상부패널(10b) 사이에는 전면흡입커버(16)가 구비되고, 이의 측방향에 해당하는 본체(1)에는 측면토출커버(17)가 배치된다.
상기 측면토출커버(17)는 공기청정기(A)의 작동 여부에 따라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동하며 청정기용 하우징(60)의 측부와 연결된 본체(1)의 개구를 개폐한다.
그리고, 상기 청정기용 하우징(60)은 내부에 제 2송풍팬(61)을 구비하여 전면흡입커버(16)의 개방시 외부 공기를 유입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30)는 하부로 연결배관(70)을 연장하여 냉매를 실외기( 도시하지 않음)로 안내한다.
한편, 상기 블로워 하우징(50)은 둘레에 노브(52)를 일체로 연장 형성하고, 상기 노브(52)는 본체(1)의 내측면과 접한 상태로 볼트(54)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블로워 하우징(50)은 본체(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에어컨의 전면패널을 이루는 상부패널은 토출구를 전면에만 형성하기 때문에 냉기를 입체적으로 토출할 수 없음에 따라 냉기의 순환속도가 느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탠드형 에어컨의 상부패널 양측면에 냉기의 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를 형성함에 따라 냉기의 양측방향 토출로 인한 냉기의 입체전달을 가능하게 하며, 토출구에 토출방향전환부를 구비하여 토출되는 냉기의 상하방향을 조절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패널의 측면에 냉기를 측방향으로 토출시키기 위해 측면에 측면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토출구에 냉기의 토출을 단속하기 위해 개폐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냉기의 상·하 토출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토출방향전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에어컨의 상부패널을 보인 배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패널에 장착된 개폐부 및 토출방향전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는 스탠드형 에어컨의 전면패널을 이루는 상부패널(10b)과 하부패널(도시하지 않음) 중 상부패널(10b)의 양측면에 각각 측면토출구(100)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토출구(100)에 개폐부(200)와 토출방향전환부(30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패널(10b)은 냉기를 토출하기 위해 양측면에 측면토출구(100)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상부패널(10b)에 측면토출구(100)가 구비됨에 따라 냉기를 상부패널(10b)의 양측면으로 토출함으로써 냉기를 입체적으로 분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대류현상에 의해 빠른 시간 내에 밀폐공간 전체에 고르게 냉기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토출구(100)의 내측에는 개폐부(200)와 토출방향전환부(300)가 각각 구비된다.
먼저, 상기 개폐부(200)는 측면토출구(100)를 개폐하여 냉기의 토출시 측면토출구(100)를 개방하며 에어컨의 가동정지시 측면토출구(100)를 닫아 이물질의 내 부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개폐부(200)는 설치편(210), 토출그릴(220), 개폐모터(230)로 구성된다.
상기 설치편(210)은 상부패널(10b)의 높이방향에 대해 측면토출구(100)의 양측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측면토출구(10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설치편(210)은 동일 선상에 설치공(21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그릴(220)은 회동되며 측면토출구(100)를 개폐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토출그릴(220)은 양측면에 회동돌기(222)를 돌출 형성하여 설치공(21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상기 개폐모터(230)는 어느 하나의 설치편(210) 외측 즉 측면토출구(100)를 향하는 측면의 반대측면에 결합되며, 이 설치편(210)에 삽입된 회동돌기(222)와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개폐모터(230)가 작동하게 되면, 회동돌기(222)는 일정한 회전각도 범위 내에서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토출그릴(220)은 측면토출구(100)를 개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모터(230)는 일반적인 스태핑모터로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토출그릴(220)이 일정하 회전각도 범위를 초과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닫힘스토퍼(240)와 열림스토퍼(250)를 상부패널(10b) 내측에 각각 구비한다.
상기 닫힘스토퍼(240)는 측면토출구(100)에 인접한 상부패널(10b)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되어 토출그릴(220)이 측면토출구(100)를 완전히 닫음과 동시에 접하도록 한다.
그래서, 상기 토출그릴(220)은 닫힘스토퍼(240)에 걸려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열림스토퍼(250)는 측면토출구(100)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연장 형성되어 토출그릴(220)이 측면토출구(100)를 설정된 만큼 개방시에 접하도록 한다.
그래서, 상기 토출그릴(220)은 열림스토퍼(250)에 의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열림스토퍼(250)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부패널(10b)의 내부 바닥면과 측면토출구(100)의 외측 가장자리에 동시에 연결되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토출방향전환부(300)는 각각의 측면토출구(100) 내측에 구비되어 토출되는 냉기의 상·하 방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토출방향전환부(300)는 블레이드(310), 링크바(320), 링크부재(330) 및 방향전환모터(340)로 구성된다.
상기 블레이드(310)는 각각의 측면토출구(100) 내측에 다수 개 구비된다.
즉, 상기 블레이드(310)는 각각의 측면토출구(100)의 높이방향으로 다수 개 배열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310)는 상부패널(10b)의 내부 바닥면 방향으로 각각 작동돌기(312)를 돌출 형성하고, 상부패널(10b)은 내부 바닥면에 작동홈(313)을 함몰 형성하여 작동돌기(312)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한다.
또한, 상기 링크바(32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측면토출구(100)에 배열된 다수 개의 블레이드(310)의 후단에 동시에 연결된다.
특히, 상기 링크바(320)와 블레이드(310)는 링크부재(330)로 연결됨에 따라 링크바(320)와 블레이드(310)는 상호 구속되어 움직이게 된다.
상기 링크부재(330)는 하나의 측면토출구(100)에 배열된 블레이드(310)의 후단에 일직선상으로 함몰 형성된 링크홈(332)과, 상기 각각의 링크홈(332) 외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링크축(334) 및 상기 링크바(320)에 형성되어 링크축(334)을 회전 가능하게 삽입하도록 형성되어 블레이드(310)를 동시에 구속함으로써 블레이드(310)를 동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속홀(33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링크축(334)은 중앙부위를 절개하여 마주하는 각각의 양단을 링크바(320)의 구속홀(336) 양측에 각각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모터(340)는 하나의 측면토출구(100)에 배열되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310) 중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310) 후단 하부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방향전환모터(340)는 상부패널(10b)의 내부 바닥면에 일부 끼워져 작동시 심한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모터(340)와 상부패널(10b)의 접합부위에는 완충패드(350)가 개재됨에 따라 방향전환모터(340)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상부패널 (10b)로 전달하지 않도록 완충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방향전환모터(340)는 일반적인 스태핑모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방향전환모터(340)가 작동하게 되면,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310)가 작동돌기(312)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 회동하게 되고, 다수 개의 블레이드(310)에 동시에 연결된 링크바(320)에 의해 모든 블레이드(310)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에 의하면, 패키지 에어컨의 상부패널 양측면에 각각 측면토출구를 구비하고 토출그릴로 개폐되도록 구비함에 따라 냉기를 양측방향에서 토출하여 밀폐된 공간에 빠른 시간 내에 대류 현상으로 냉기를 골고루 분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는 측면토출구 내부에 토출방향전환부를 구비하여 토출되는 냉기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하부패널의 흡입구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냉기로 전환 후 상부패널로 토출시키는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은 냉기를 측방향으로 토출시키기 위해 측면에 측면토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측면토출구는 냉기의 토출을 단속하기 위해 개폐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냉기의 상·하 토출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해 토출방향전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상부패널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기 측면토출구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직선상에 각각 설치공을 형성한 설치편과;
    상기 설치공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기 위해 양측면에 회동돌기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측면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그릴과;
    상기 설치편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회동돌기와 연결되어 작동시 상기 회동돌기에 일체로 연결된 상기 토출그릴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측면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은 상기 토출그릴의 닫힘방향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내측면에 닫힘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토출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토출그릴의 열림방향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열림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방향전환부는 상기 상부패널의 내부 바닥면 방향으로 작동돌기를 하부 중앙에 돌출 형성하여 상기 측면토출구의 내부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후단을 동시에 연결하는 링크바와;
    상기 블레이드의 기울기를 조절하며 냉기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상기 링크바와 블레이드를 링크 결합하는 링크부재와;
    상기 블레이드 중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 후단 하부에 연결되어 작동시 상기 작동돌기를 기준으로 상기 블레이드를 회동 가능하게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링크바를 통해 상기 블레이드 전체를 동시에 동일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냉기의 토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상기 상부패널에 삽입 고정된 방향전환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블레이드 후단에 함몰 형성되는 링크홈과;
    상기 링크홈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링크축과;
    상기 링크바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축을 회전 가능하게 삽입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동시에 구속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를 동일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속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과 방향전환모터 사이에는 완충패드가 구비되어 상기 방향전환모터의 진동을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
KR1020060068349A 2006-07-21 2006-07-21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 KR100734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349A KR100734488B1 (ko) 2006-07-21 2006-07-21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349A KR100734488B1 (ko) 2006-07-21 2006-07-21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4488B1 true KR100734488B1 (ko) 2007-07-03

Family

ID=38502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349A KR100734488B1 (ko) 2006-07-21 2006-07-21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4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4077A (ko) * 1994-12-12 1996-07-20 김광호 공기조화기
KR20000056582A (ko) * 1999-02-24 2000-09-15 구자홍 공기 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 장치
KR20050074122A (ko) * 2004-01-13 2005-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12679B1 (ko) 2003-06-10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4077A (ko) * 1994-12-12 1996-07-20 김광호 공기조화기
KR20000056582A (ko) * 1999-02-24 2000-09-15 구자홍 공기 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 장치
KR100512679B1 (ko) 2003-06-10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74122A (ko) * 2004-01-13 2005-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611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이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유닛
JP4965618B2 (ja) 空気調節装置の風向変更装置
KR102168584B1 (ko)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KR20040007323A (ko) 공기조화기
WO2017094116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11140922A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4766161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375900B2 (ja) 空調室内機
JP6934610B2 (ja) 空気調和機
KR100714591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JP4562508B2 (ja) 空気調和機
KR100642364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4308930A (ja) 空気調和機
KR100734488B1 (ko) 에어컨의 냉기토출 안내장치
KR100861954B1 (ko) 공기조화기
JP5131085B2 (ja) 床置型空気調和機
CN211650467U (zh) 空调器室内机
KR100723943B1 (ko) 스탠드형 에어컨의 공기청정기 구조
KR100693990B1 (ko) 공기 조화기
KR20060087159A (ko) 공기조화기용 수직블레이드 회전각도 제어구조
KR101477814B1 (ko) 공기 조화기
KR101542773B1 (ko) 공기조화기
JPH1030844A (ja) 空気調和機およびルーバ装置
JP2012042181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701930B1 (ko) 스탠드형 에어컨의 연결배관 정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