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159B1 -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와 그 제법 - Google Patents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와 그 제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159B1
KR0152159B1 KR1019950035306A KR19950035306A KR0152159B1 KR 0152159 B1 KR0152159 B1 KR 0152159B1 KR 1019950035306 A KR1019950035306 A KR 1019950035306A KR 19950035306 A KR19950035306 A KR 19950035306A KR 0152159 B1 KR0152159 B1 KR 0152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edium
filter
conductive
adhesive
spac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5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556A (ko
Inventor
유타카 핫타
요시마사 가토
유조 미후네
요시카즈 오노구치
Original Assignee
마츠무라 후지오
미도리 안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무라 후지오, 미도리 안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무라 후지오
Publication of KR960033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1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the additional use of mechanical effects, e.g. gravity
    • B03C3/155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Landscapes

  • Filtering Material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를 소형·박형화한다.
주름식으로 된 절연성 여과재의 상류측의 스페이서와 하류측의 스페이서가 도전성 스페이서로서 도전성 접착제로 절연성 여과재에 접착되고 상기 도전성 스페이서의 상호간에 고전압을 인가하거나 또는, 상류측의 스페이서가 절연성 스페이서로 하류측의 스페이서가 도전성 스페이서로서 절연성 스페이서를 절연성 여과재에 접착하여 도전성 스페이서를 도전성 접착제로 절연성 여과재에 접착하여 상기 도전성 스페이서의 상호간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Description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와 그 제법
제1도는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의 개략구성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예에 관한 필터의 일부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예에 관한 필터의 일부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예에 관한 필터의 제법과정의 설명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필터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분진을 함유한 공기, 그 외에 함진(含塵) 가스를 청정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정전식(靜電式) 여과집진장치용 필터와 그의 제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의 함진가스를 청정화하는 필터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알려져있다.
(a) 일본국 특공평 2-61302호 공보 제3란 19행∼제31행에 기재되어 있는 정전식 여과 집진장치용 필터, 소위 「정전미니주름형 필터」.
(b) 수성에멀션으로 된 전기절연성 접착제를 시트상의 전기절연성 여과재의 표면과 이면에 여과재를 끼우고 선상으로 맞대어 도포하고, 주름식가공 즉 플리트(pleating) 가공하여 건조시키고, 그 주름형상을 유지하는 동시에, 여과재의 폴딩(folding) 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필터.
(c) 천연섬유로 이루어진 사()에 전기절연성 접착제를 함침도포하고, 시트상의 전기 절연성 여과재의 표면과 이면을 맞대어 접착하고 건조후에, 절연성 여과재에 주름식 가공을 시행하는 경우 사에 함침도포된 접착제가 맞대어 접착되고 주름형상을 유지하고 폴딩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필터.
(d) 일본국 특공평 6-87994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금속선이나 탄소섬유 등의 도전성 선상체를 전기절연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여과재의 표면과 이면을 맞대지 않도록 접착하여 주름식 가공하는 하전식 필터.
(e) 일본국 특공평 6-8799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전성 분체를 접착제에 분산시킨 것을 여과재의 표면과 이면을 맞대지 않도록 도포하여 주름식 가공하는 하전식 필터.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상기 종래의 필터중, (a)의 필터에서는, 도전성 스페이서를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여과재 폴딩면사이에 넣어 접착제로 접착시키기 때문에, 여과재에 도전성 스페이서가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여과재에 대한 하전이 충분하지 않다.
또 도전성 스페이서를 여과재의 폴딩면 사이에 넣어서 접착제로 고정하므로 작업성이 그다지 좋지 않다. 또 특허청구의 범위에 「상류측의 스페이서와 하류측의 스페이서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도전성 스페이서로 한다.」로 기재되어 있으나, 상류측 및 상류측과 하류측이라고 말한 바와 같이 상류측에 반드시 도전성 스페이서가 설치되는 규격으로 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가 쉽다.
여과·집진을 행하는 경우에는 함진공기로부터 여과된 부유입자는 여과재의 상류측으로부터 부착된다. 이 부착된 부유입자중에 도전성 입자 또는 도전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는 상류측 도전성 스페이서 사이의 전기절연성이 소실되지 않게 한다. 즉 단락상태와 같은 작용을 하기 때문에 전계의 작용하에 있어서 포집효율이 저하되어 결과적으로 정전신 여과집진장치용 필터로서의 효과가 부유입자 퇴적의 초기에 감소되어 버린다.
(b), (c)의 필터는, 도전성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여과재를 대전시킬 수가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 의도되는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가 되지 않고, 본 발명과는 전혀 다른 것으로 된다.
(d)의 필터에서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도전성 선상체를 여과재의 표면과 이면을 맞대지 않도록 접착하기 때문에, 주름식 가공후에 필터체로 된 경우의 전체의 강도에 한계가 있다. 또한 도전성 선상체는 강성(剛性)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름식 가공에 의해서 선상체가 단선되는 가능성이 있다. 또 주름식 가공을 해도 도전성 선상체에는, 접착성이 없기 때문에 주름형태를 유지하기가 힘들며 필터화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스페이서가 필요하게되고, 필터를 소형화, 박형화(薄型化) 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도전성 선상체를 전기절연성 접착제로 접착시키기 때문에 여과재에 도전성 선상체가 도통하지 않으므로 여과재에 대한 하전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e)의 필터에서는 지그재그 형으로 도전성 분체를 접착제에 분산된 것을 여과재의 표면과 이면을 맞대지 않도록 접착하기 때문에 주름식 가공후의 필터체로 된 경우의 전체 강도에도 한계가 있다. 또 도전성 분체를 접착제에 분산시킨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경우에 접착제끼리 분리되어 절연상태로 되는 가능성이 있는 동시에, 주름식 가공후에도 동일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a)의 필터를 개량하는 동시에, (d), (e)의 각 필터에 있어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와 그의 제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실시예]
제1도는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의 개략구성도이고, 이 장치(1)는 하전부(2)와 집진부(3)로 구성된다. 하전부(2)는 복수의 평판전극(4)을 등간격을 두고 기류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각 평판전극(4,4, …) 사이의 중간위치마다 방전선(5)을 팽팽하게 설치하고, 각 평판전극(4)과 각 방전선(5)의 사이에는 부유입자를 하전하기 위하여 고전압의 직류전원(6A)을 접속하고 있다. 집진부(3)는 하전부(2)를 통과한 함진가스중의 하전된 부유입자를 전계의 작용하에 있어서 포집하기 위해 유리 등의 무기섬유층 또는 수지섬유층 등으로 이루어진 시트상의 전기절연성 여과재(7)가 함진가스의 흐름 방향 상류측과 하류측으로 향하여 능선부분(8,9)을 번갈아 형성하도록 주름식으로 되고, 또한 상류측과 하류측의 각 폴딩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후술하는 사에 함침 도포한 복수조의 도전성 스페이서(10) (하류측의 스페이서는 제1도중 생략)를 구비하고, 여과재(7)의 면에 따라서 인접하는 도전성 스페이서(10)사이에 여과재(7)에 대전시킨 하전된 부유입자를 보충하기 위하여 고전압의 직류전원(6B)을 접속하고 있다.
다음에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의 제1예를 제2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11A, 11B는 사에 도전성 접착제를 합침도포한 상류측의 도전성 스페이서, 12A, 12B는 동일한 하류측의 도전성 스페이서로서 이들의 스페이서(11A, 11B, 12A, 12B)는 유리 등의 무기섬유층 또는 수지섬유층 등으로 된 시트상의 전기절연성 여과재(13)를 끼운 표면과 이면을 맞대는 위치에 스페이서(11, 12)의 도전성 접착제(14,15)에 의해 각각 접착되어 있으며, 맞댄 위치의 도전성 스페이서(11A, 12A) 및 (11B, 12B)에는 각기 동전위를 인가하고 도전성 스페이서(11B, 12B)와 도전성 스페이서(11A, 12A)의 상호간에는 제1도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전위가 되도록 직류 고전압을 인가한다.
다음에, 상기 제1예의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의 제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과재(13)를 끼운 표면과 이면을 맞대는 위치에 200 내지 6000cps의 점도를 가진 도전성 접착제(14,15)를 함침도포한 사(16,17)를 예컨대, 롤러에 의해 누르는 등에 의해 접촉시킨다. 사(16,17)에는 목면사, 마사, 견사, 모사 등 천연섬유제의 사, 또는 폴리에스테르, 비닐론, 아크릴, 나일론, 테트론 등 합성섬유제의 사를 사용할 수 있으나, 목면사가 가장 바람직하다. 사(16, 17)는 이외에도 종이, 천, 스폰지등으로 이루어진 끈형상체, 띠형상체 또는 종이, 포, 부직포를 노끈체로 감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사(16,17)의 여과재(13)에 접촉시키는 경우의 여과재(13)에 대한 간격은 너무 가까우면 전하가 리크될 우려가 있으며 과도하게 떨어져 버리면 전하가 약하게 되므로 인가하는 전압과의 관계여과재(13)에 의해 적당한 간격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도전성 접착제(14,15)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아크릴, 아세트산비닐, 천연고무, 염화비닐리덴 등의 수용성 에멀션에 카본 등의 도전성 물질(예컨대 카본블랙, 커첸블랙 등이나, 구리, 니켈,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을 예컨대 분체나 파이바 형상으로 한것)을 첨가하고 더욱, 난연제를 첨가한 난연타입의 것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과 천연고무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여과재(13)의 대전성을 올리기 위해서 즉 하전량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여과재(13)에 사(14,15)의 도전성 접착제(14,15)를 함침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그 점에서 점도는 200 내지 600cps가 바람직하다. 함침의 상태로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여과재(13)를 끼운 표면과 이면을 맞대는 위치에서의 도전성 접착제(14,15)끼리가 여과재(13)내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도전성 접착제(14,15)는 수용성에멀션에 카본 등이나, 난연제를 첨가하기 때문에 접착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나 천연고무, 가교제를 첨가하는 것으로 이것을 보충할 수 있다.
도전성 접착제(14,15)를 함침도포한 직후의 사(16,17)가, 상기와 같이 여과재(13)에 첨가된 시점에서 여과재(13)에의 접착제(14,15)의 함침이 시작하고 건조공정에서 들어가기까지에 함침이 여과재(13)두께방향에 대하여 소망의 깊이까지에 도달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함침의 길이는 제품으로 된 경우에 확보되어 있으면 좋으므로 반드시 건조공정에 들어가기까지에는 이루어져 있지 않으면 안된다.
도전성 접착제(14,15)를 함침도포한 사(16,17)를 상기와 같이 여과재(13)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100 내지 300℃, 30 내지 60초간의 건조공정을 거쳐서 건조시킨다. 그러면, 여과재(13)에 접촉하고 있는 쪽의 도전성 접착제(14,15)는 여과재(13)에 함침 접착하고, 여과재(13)에 접촉하지 않는 쪽의 도전성 접착제(14,15)는 접착력을 가지는 정도로 건조한다. 이 건조공정의 직후에 함진가스 흐름방향의 상류측과 하류측으로 향하는 능선부분(18,19)이 형성되도록 여과재(13)에 대하여 주름식 가공을 시행하여 여과재(13)의 서로 인접하는 폴딩면에 접착되어 있는 동일한 사(16,17)의 도전성 접착제(14,15)끼리를 부호 2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시킴으로써, 사(16,17)는 주름형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여과재(13)의 서로 인접하는 각 폴딩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예에서는 소형·박형화된 고집진효율의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가 얻어진다.
또 전기절연성 여과재를 끼워넣은 형태로 표면과 이면을 맞대는 위치에 도전성 접착제(14,1 5)를 함침도포한 사(16,17)를 접착시키고 또한, 여과재(13)에 도전성 접착제(14,15)가 함침되므로, 그 부분은 외관상 1개의 굵은 도전체로 되어, 여과재(13)내부의 깊은 위치의 섬유층까지 전압인가를 할 수 있으며, 고집진효율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전성 접착제(14,15)를 함유한 사(16,17)가 여과재(13)를 끼워 맞대어 접착되므로 필터체로 된 경우의 전체 강도가 강하고, 특히 옆쪽에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필터가 변형될 우려가 적다. 또, 능선부분에서 보면 도전거리가 짧게 되기 때문에 저항치가 내려가므로, 전압강하가 적다. 따라서 집진효율의 저하도 적다.
사(16,17)에 도전성 접착제(14,15)를 함침도포한 것을 사용하므로 끊어짐이나 주름 가공시의 단선의 염려가 적고 확실한 도전을 얻을 수가 있다. 또, 도전성 접착제(14,15)에 수용성 에멀션을 사용하므로, 용제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안전하여, 에너지 절약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정전여과집진장치용 필터의 제2예를 제3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21은 사에 전기절연성 접착제를 함침도포한 상류측의 전기절연성 스페이서, 22는 사에 전기절연성 접착제를 함침도포한 하류측의 도전성 스페이서로서 이들의 스페이서(21,22)는 유리 등의 무기섬유층 또는 수지섬유층 등으로 된 시트상의 전기절연성 여과재(23)를 끼운 표면과 이면을 맞대는 위치로 뱅치된다. 전기절연성 스페이서(21)는 그 전기절연성 접착제에 의해, 도전성 스페이서(22)는 그 도전성 접착제(24)에 의해 각각 여과재(23)에 접착되어 있으며, 여과재(23)의 면에 따라서 인접하는 도전성 스페이서(22)사이에는 직류의 고전압을 인가한다.
다음에, 상기 제2예의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의 제법을 제4도 및 제5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필터체로 된 경우의 여과재(23)의 함진가스 흐름방향의 하류측, 즉 여과재(23)의 이면에 제1예에서 사용된 도전성 접착제(14,15)와 같은 도전성 접착제(14,15)를 함침도포한 사(16,17)(25)를 접착시킨다. 제1예와 동일하여 사(25)의 여과재(23)에 접촉시키는 경우의 여과재(23)에 대한 간격은 너무 가까우면 전하가 리크될 염려가 있으며, 과도하게 떨어져 버리면 전하가 약하게 되므로 인가하는 전압과의 관계에 의해 적당한 간격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도전성 접착제에는 수용성 에멀션에 카본 등의 도전성 물질을 첨가하고 더욱 난연제를 첨가한 난연타입의 것을 사용하였다. 또 여과재(23)의 대전성을 올리기 위해서, 즉 하전량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여과재(23)에 도전성 접착제(24)를 함침하는 쪽이 바람직하므로, 그 점에서 점도는200 내지 6000cps가 바람직하다.
도전성 접착제(24)를 함침도포한 직후의 사(25)를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26)에서 여과재(23)에 압착되도록 접촉시킨다. 이 경우, 사(25)가 여과재(23)에 접촉한 시점에서 여과재(23)에의 접착제(24)의 함침이 시작되고 건조공정에 들어가기 까지에 함침이 여과재(23) 두께방향에 대하여 소망의 깊이까지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함침의 깊이는 제품으로 된 경우에 확보되어 있으면 좋으므로, 이 함침의 깊이는 건조공정에 들어가기 까지에는 이루어져 있지 않으면 안된다. 소망의 깊이란, 여과제 두께를 t로 하면 「1/2t 이상」으로 하는 것이 집진효율을 확보하는 이상으로 바람직하다. 도전성 접착제(24)는 수용성 에멀션에 카본이나, 난연제를 첨가하기 때문에 접착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나, 천연고무, 가교제를 첨가하는 것으로 이것을 보충할 수 있다.
도전성 접착제(24)를 함침도포한 사(25)를 상기와 같이 여과재(23)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100 내지 300℃, 30 내지 60초간의 제1건조공정을 거쳐서 건조시킨다. 그러면 여과재(23)에 접촉하고 있는 쪽의 도전성 접착제(24)는 여과재(23)에 함침접착하고, 여과재(23)에 접쪽하지 않는 쪽의 도전성 접착제(24)는 접착력을 가진 정도로 건조한다.
이어서, 필터체로 된 때의 여과재(23)의 함진가스의 흐름방향의 상류측, 즉 여과재(23)의 표면에 전기절연성 접착제(27)를 함침도포한 직후의 사(28)를 롤러(29)를 사용하여 접촉시킨다. 이 접촉시킨 경우의 위치는 먼저 접착시킨 사(25)와 여과재(23)를 끼워 맞대는 위치에 접촉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사(28)가 여과재(23)에 접촉한 시점에서 여과재(23)에의 접착제(27)의 함침이 시작되고, 제2건조공정에 들어가기까지에 함침이 여과재(23) 두께방향에 대하여 소망의 깊이까지에 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함침의 깊이는 제품으로 된 경우에 확보되어 있으면 좋으므로 건조공정에 들어가기 까지에는 필요한 깊이의 함침이 이루어져 있지 않으면 안된다. 이 소망의 깊이는 여과재(23)두께를 t, 도전성 접착제(24)의 함침의 깊이를 t1으로 하면 「t-t1」으로 하는 것이, 전기절연성을 확보하는 이상으로 바람직하다.
전기절연성 접착제(27)에는 수용성 에멀션에 난연제를 첨가한 난연타입의 것을 사용하였다.
그것의 점도에 대해서는 200 내지 6000cps의 것을 사용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3000cps의것을 사용하였다. 또 도전성 접착제(24)에 도전성입자가 부착됨으로써 전기절연성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여과재(23)에 절연성 접착제(27)를 함침시켜, 이미 함침되어 있는 도전성 접착제(24)의 상류측을 덮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성 접착제(27)는 도전성 접착제(24)에 비해 접착성이 우수하므로, 펄터체로 된 경우에 더욱 강도를 올리는 것도 좋은 영향을 미친다.
절연성 접착제(27)를 함침도포한 사(28)를 상기와 같이 여과재(23)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100 내지 300℃, 30 내지 60초간의 건조공정을 거쳐서 건조시킨다. 그러면 여과재(23)에 접촉하고 있는 쪽의 절연성 접착제(27)는 여과재(23)중에 함침접착하고, 여과재(23)에 접촉하지 않는 쪽의 절연성 접착제(27)는 접착력을 가진 정도로 건조한다.
또한, 도전성 접착제(24)는 제1, 제2건조공정에 의해 2회 건조를 행하는 것이 되나, 제2건조공정을 거쳐서도 접착력을 가지는 정도로 건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제2건조공정의 직후에 여과재(23)에 대하여 함진가스 흐름방향의 상류측과 하류측으로 향하여 능선부분(29,30)이 형성되도록 주름식 가공을 시행하여 여과재(23)의 서로 인접하는 폴딩면에 접착하고 있는 시(25 및 28)에 함침도포된 도전성 접착제(24)끼리 및 절연성 접착제(27)끼리를 각각 부호 3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시킴으로써 사(25,28)는 폴딩형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여과재(23)의 서로 인접하는 각 폴딩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로서 기능하게 된다.
제2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1예의 효과에 더하여, 전기절연성 여과제(23)를 끼워넣는 형태로 표면과 이면을 맞대는 위치에 전기절연성 접착제(27)를 함침도포한 사(28)와 도전성 접착제(24)를 함침도포한 사(25)를 접착시키고 또한 여과재(23)에 도전성 접착제(24)가 함침하므로 도전체가 굵게 되고, 여과재(23) 내부의 깊은 위치의 섬유층까지 전압인가를 할 수 있으며, 고집진효율이 가능하게 된다.
또, 여과재(23)의 단면을 본 경우, 도전성 접착제(24)가 여과재(23)에 함침하여 그것을 덮도록 절연성 접착제도 함침하고 있으므로, 집진장치로서 사용한 경우에 부유입자가 부착하는 상류측에 도전성 입자, 즉 도전성 물질이 부착하여도 단락상태와 같은 일이 일어나기 어려우므로 전계의 저하가 일어나기 어렵고 결과적으로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로서의 효과를 손상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절연성 접착제는 도전성 접착제(24)에 비하여 접착성이 우수하므로 상하류 모두 도전성 접착제(24)를 사용한 필터체에 비하여 전체의 강도가 크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형태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기계적인 성능 및 전기특성이 열화되기 어려운 전기적 특성을 겸비한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11)

  1. 하전부를 통과한 함진가스중의 하전된 부유입자를 전계의 작용하에 있어서 포집하기 위한 시트상의 전기절연성 여과재가 함진가스 흐름방향의 상류측과 하류측으로 향하여 능선부분을 번갈아 형성하도록 주름식으로 되고, 상기 여과재의 각 폴딩면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여과재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각면에 따라서 복수조의 도전성 스페이서가 배치되고, 이들의 도전성 스페이서는 상기 여과재를 끼운 표면과 이면에 맞대는 위치에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각각 상기 여과재제 접착되고, 상기 주름식 여과재의 상호 인접하는 각 폴딩면의 상기 도전성 스페이서끼리는 상기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
  2. 시트상의 전기절연성 여과재를 끼운 표면과 이면에 맞대는 위치에 도전성 접착제를 함침도포한 사상체를 도전성 스페이서로서 상기 여과재에 각각 접촉시키고, 상기 여과재에 접촉하고 있는 쪽의 상기 도전성 스페이서의 상기 도전성 접착제를 상기 여과재에 함침접촉시키고, 상기 여과재에 접촉하지 않는 쪽의 상기 도전성 접착제를 접착력을 가지는 정도로 건조시키고, 그 건조후에 함진가스 흐름방향의 상류측과 하류측으로 향하여 능선부분이 형성되도록 상기 여과재에 주름식 가공을 실행하고, 상기 여과재의 상호인접하는 각 폴딩면에 접착되어 있는 상기 도전성 스페이서의 도전성 접착제 끼리를 접착시키는 것에 의해 주름형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도전성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여과재의 상호 인접하는 각 폴딩면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의 제법.
  3. 하전부를 통과한 함진가스중의 부유입자를 전계의 작용하에 있어서 포집하기 위한 시트상의 전기절연성 여과재가 함진가스 흐름방향의 상류측과 하류측으로 향하여 능선부분을 번갈아 형성하도록 주름식으로 되고, 상기 여과재의 각 폴딩면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여과재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각면에 따라서 복수조의 도전성 스페이서가 배치되고, 상기 상류측의 스페이서는 전기절연성을 가지며, 상기 하류측의 스페이서는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여과재를 끼운 표면과 이면에 맞대는 위치에 상기 상류측의 스페이서는 전기절연성 접착제에 의해, 상기 하류측의 스페이서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각각 상기 여과재에 접착되고, 상기 주름식 여과재의 상호 인접하는 각 폴딩면의 상기 스페이서끼리는 상기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의 제법.
  4. 시트상의 전기절연성 여과재의 함진가스 흐름방향의 하류측에 도전성 접착제를 함침도포한 사상체를 도전성 스페이서로 접촉시키고, 상기 여과재에 접촉하고 있는 쪽의 상기 도전성 스페이서의 상기 도전성 접착제를 상기 여과재에 함침접착시키고, 상기 여과재에 접촉하지 않는 쪽의 상기 도전성 접착제를 접착력을 가지는 정도로 건조시키고, 그 건조후에 상기 여과재의 상류측의 상기 도전성 스페이서와 상기 여과재를 끼워 맞대는 위치에 전기절연성 접착제를 함침도포한 사상체를 전기절연성 스페이서로서 접촉시키고, 상기 여과재에 접촉하고 있는 쪽의 상기 전기절연성 스페이서의 상기 전기절연성 접착제를 이미 함침시킨 상기 도전성 접착제의 상류측을 피복하도록 함침접착시키고, 상기 여과재에 접촉하지 않는 쪽의 상기 전기절연성 접착제를 접착력을 가지는 정도로 건조시키고, 그 건조후에 함진가스 흐름방향의 상류측과 하류측으로 향하여 능선부분이 형성되도록 상기 여과재에 주름식 가공을 실행하고, 상기 여과재의 상호 인접하는 폴딩면에 접착되어 있는 상기 도전성 스페이서끼리 및 전기절연성 스페이서끼리를 접착시키는 것에 의해 주름형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도전성, 전기절연성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여과재의 상호 인접하는 각 폴딩면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의 제법.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착제는 수용성 에멀션에 도전물질을 첨가하고, 더욱 난연제, 천연고무, 가교제를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의 제법.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사상체에 접착제를 함침도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에의 상기 스페이서의 접착은 상기 스페이서에 함침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끼리의 접착은 상기 스페이서에 함침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의 면에 따라서 인접하는 상기 도전성을 가진 스페이서간에 고전압을 인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
  10.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착제의 점도는 200∼6000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의 제법.
  11.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100∼300℃, 30∼60초간에 있어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의 제법.
KR1019950035306A 1995-03-30 1995-10-13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와 그 제법 KR0152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97749 1995-03-30
JP9774995 1995-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556A KR960033556A (ko) 1996-10-22
KR0152159B1 true KR0152159B1 (ko) 1998-10-15

Family

ID=14200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5306A KR0152159B1 (ko) 1995-03-30 1995-10-13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와 그 제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734772B1 (ko)
KR (1) KR0152159B1 (ko)
CN (1) CN1120054C (ko)
DE (1) DE6961303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9944B2 (en) * 2009-09-09 2015-04-21 Megtec Turbosonic Inc. Assembly of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CN102677160B (zh) * 2012-05-29 2015-02-04 江苏中电振华晶体技术有限公司 一种泡生法生长蓝宝石的引晶方法及系统
AT514378B1 (de) * 2013-06-12 2015-07-15 Ait Austrian Inst Technology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Luftreinigung mit Reibungselektrizität
KR102336514B1 (ko) * 2017-03-06 2021-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집진유닛의 제조방법
FR3088834B1 (fr) 2018-11-23 2023-01-27 Commissariat A L 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Précipitateur/collecteur électrostatique pour purificateur d’air ou épurateur d’aérosols
KR20220007358A (ko) * 2020-07-10 202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집진 필터 및 집진 필터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8319A (en) * 1955-12-19 1959-01-13 American Air Filter Co Electrostatic air filter cell with conductively striped filter web
DE3339828A1 (de) * 1983-11-01 1985-05-09 Delbag-Luftfilter Gmbh, 1000 Berlin Elektrostatisch unterstuetztes aus fasermaterial bestehendes filterelement zur abscheidung von partikeln aus gasfoermigen medien
JPS618149A (ja) * 1984-06-22 1986-01-14 Midori Anzen Kk 静電式濾過集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947A (zh) 1996-12-18
DE69613038T2 (de) 2001-09-13
EP0734772B1 (en) 2001-05-30
CN1120054C (zh) 2003-09-03
EP0734772A1 (en) 1996-10-02
KR960033556A (ko) 1996-10-22
DE69613038D1 (de) 200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2942B2 (en) Filter media with improved conductivity
EP0060687B1 (en) Method of making fibrous electrets
CN109414634A (zh) 过滤介质、制造过滤介质的方法及其用途
JP4979407B2 (ja) 多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4028698A2 (en) Self ionizing pleated air filter system
CN101232931A (zh) 具有改进的导电性的过滤介质
KR0152159B1 (ko) 정전식 여과집진장치용 필터와 그 제법
KR101180908B1 (ko) 절연막 코팅 전극 적용 필터
JP3445372B2 (ja) 荷電式フィルタ
JP2007268405A (ja) 誘電フィルタ及び誘電フィルタの使用方法
JP3705860B2 (ja) 静電式濾過集塵装置用フィルターとその製法
KR102523595B1 (ko) 공기정화용 필터
KR102370630B1 (ko) 공기정화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정화기
US4249919A (en) Matrix type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2520899Y2 (ja) フィルタ
JPS6336852A (ja) 荷電式フイルタ−
CN211659478U (zh) 一种具有防静电功能的针刺毡
JP2540357Y2 (ja) 除電装置
JPH0687994B2 (ja) 荷電式フィルター
JP2017051937A (ja) 濾材および空気清浄機
JPH04187252A (ja) 電気集塵機
JPS627110A (ja) 制電性エレクトレツトシ−トの製造法
CN114226068A (zh) 用于净化装置的电连接组件、净化模块及净化装置
JP2017051936A (ja) 濾材および空気清浄機
JPH11147012A (ja) 電極付きエアフィル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