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966B1 - 캐릭터 위치 자동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캐릭터 위치 자동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966B1
KR0151966B1 KR1019950010571A KR19950010571A KR0151966B1 KR 0151966 B1 KR0151966 B1 KR 0151966B1 KR 1019950010571 A KR1019950010571 A KR 1019950010571A KR 19950010571 A KR19950010571 A KR 19950010571A KR 0151966 B1 KR0151966 B1 KR 0151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character
ccd camera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0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9867A (ko
Inventor
이수원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10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1966B1/ko
Publication of KR960039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9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9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테레비젼 화면의 캐릭터 위치 자동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CCD 카메라로 테레비젼 화면의 영상을 추출하여 화면에 표시된 캐릭터의 위치를 판단하고 그 판단위치를 규격위치와 동일하게 조정한다.
본 방치의 각부를 제어하여 캐릭터 위치를 조정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주제어부로 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디지탈 제어신호를 입력 및 출력하는 디지탈 입출력 제어부와, 조정대상 영상처리 보드로 부터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디지탈 입출력 제어부로 출력하고, 더미데크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조정대상 영상처리 보드에 인가하는 지그부와, 상기 주제어부로 부터 제어명령을 받아 상기 상부 픽스춰를 제어하는 PLC 제어부와, 상기 디지탈 입출력 제어부로 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지그부의 입출력 신호를 조정대상 테레비젼 세트에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부와, 상기 테레비젼 세트의 화면에 표시된 캐릭터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CCD 카메라와, 상기 CCD 카메라를 구동하는 CCD카메라 구동부와, 상기 CCD 카메라 구동부로 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화상처리하여 그 결과 데이타를 상기 주제어부로 출력하는 영상처리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캐릭터(CHARACTER) 위치 자동 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제1도는 종래의 캐릭터 위치 조정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럭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릭터 위치 자동조정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럭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릭터 위치 자동조정 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이는 플로우 챠트이다.
제4도는 칼라바 패터과 캐릭터가 표시되는 테레비젼 화면의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주제어부 22 : PLC 제어부
23 : 모터제어부 24 : 디지탈 입출력제어부
25 : 영상처리부 26 : 더미데크
29 : 지그부 30 : 멀티플렉서부
32 : CCD 카메라
본 발명은 캐릭터(CHARACTER) 위치 자동 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로 테레비젼 화면의 영상을 추출하여 화면에 표시된 캐릭터의 위치를 판단하고 그 판단위치를 규격치 위치로 자동 조정하는 캐릭터 위치 자동 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테레비젼 화면에 표시되는 캐릭터(예: 채널 번호등)가 표시되는 위치는 작업자가 눈으로 테레비젼 화면을 직접 보면서 테레비젼 화면을 구동하는 영상처리보드(부품이 장착된 프린트 기판)의 조정소자를 조정봉을 이용하여 조정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가 제1도에 도시된다.
영상처리 보드(1)는 카메라(도시생략) 또는 신호발생기(도시생략)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테레비젼 화면(2)에 표시한다. 더미데크(4)는 영상처리보드(1)가 화면표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예: 헤드 채널 변경신호)등을 영상처리보드(1)로 입력한다. 테레비젼 화면(2)에 테스트 패턴이 표시되면 작업자는 그 화면을 보면서 영상처리 보드(1)에 장치된 캐릭터 위치 조정소자(1a)를 조정하여 캐릭터 위치를 원하는 위치에 맞춘다.
이와같이 종래의 캐릭터 위치조정은 작업자가 화면을 보면서 캐릭터 위치 조정소자를 조정하므로, 작업자 개인의 주관에 따라 조정되는 위치에 차이가 생기고, 그 작업자의 숙려도에 따라 조정속도가 다르며, 수동작업이므로 생산성이 떨어진다. 또한, 작업자가 장기간 화면을 보게 되면 시력이 떨어지고, 피로누적에 의한 시각 장애원이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테레비젼 화면에 표시되는 캐릭터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캐릭터 위치 자동 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테레비젼 화면에 표시되는 캐릭터 위치를 CCD 카메라로 촬영하고 그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캐릭터 위치를 규격치와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캐릭터 위치 조정소자를 조정용 픽스춰로 자동 조정하는 캐리터 위치 자동조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상하 픽스춰를 구비하고 그 상하 픽스춰 사이에 조정대상 영상처리 보드를 위치시키고 조정장치로 캐릭터 위치를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본 장치의 각부를 제어하여 캐릭터 위치를 조정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주제어부로 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디지탈 제어신호를 입력 및 출력하는 디지탈 입출력 제어부와, 조정대상 영상처리 보드로 부터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디지탈 입출력 제어부로 출력하고, 더미데크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조정대상 영상처리 보드에 인가하는 지그부와, 상기 주제어부로 부터 제어명령을 받아 상기 상부 픽스춰를 제어하는 PLC 제어부와, 상기 디지탈 입출력 제어부로 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지그부의 입출력 신호를 조정대상 테레비젼 세트에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부와, 상기 테레비젼 세트의 화면에 표시된 캐릭터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CCD 카메라와, 상기 CCD 카메라를 구동하는 CCD 카메라 구동부와, 상기 CCD 카메라 구동부로 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화상처리하여 그 결과 데이타를 상기 주제어부로 출력하는 영상처리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조정대상 영상처리 보드를 지그부에 놓고, 상, 하 픽스춰를 구비한 지그부에 의해 영상신호를 취출하여 테레비젼 셋트에 인가한 후, 상기 테레비젼 세트의 화면에서 캐릭터를 CCD 카메라로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데이타를 영상처리부로 처리하여 상기 캐릭터 데이타를 읽어들이고, 상기 캐릭터 중심의 XY 좌표를 산출하여 규격치와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 보드에 조립된 상기 캐릭터 표시 조정소자를 조정하여 상기 캐릭터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제어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릭터 위치 자동조정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21은 주제어부이며, 본 장치를 구성하는 각부를 제어하여 테레비젼 화면의 캐릭터 위치를 규격치에 맞도록 조정한다.
22는 PLC 제어부이며, 주제어부(21)로부터 제어명령을 받아 상부 픽스춰(27)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부 픽스춰(27)에 장착된 조정용 모터(28)의 축에 장치된 조정봉(28)이 조정소자(34a)에 삽입되도록 한다.
23은 모터제어부이며, 주제어부(21)로 부터 제어명령을 받아 조정용 모터(28)을 구동한다.
24는 디지탈 입출력 제어부이며, 입출력 소자들(예:더미데크(26), 멀티플렉서(30)등) 을 제어한다.
25는 영상처리부이며,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32)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화상처리하여 그 결과를 주제어부(21)로 출력한다.
26은 더미데크이며, 영상신호 처립드(34)에 필요한 데크로 부터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의사(擬似) 데크이다.
27은 상부픽스춰이며, PLC 제어부(22)로 부터 제어명령을 받아 상하로 이동하여 그 픽스춰(도시생략)에 의해 영상처리 보드(34)의 테스트 포인트로부터 측정신호를 검출하여 주제어부(21)로 출력하며, 거기에 장치된 조정용 모터(28)의 조정봉(28a)을 영상처리보드(34)에 장치된 조정소자(34a)에 삽입시킨다.
28은 조정용 모터이며, 모터제어부(23)로 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회전하여, 그 축에 부착된 조정봉(28a)을 회전시킨다.
29는 지그부이며, 영상처리보드(34)의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멀티플렉서부(30)를 통해 상기 디지탈 입출력 제어부(24)로 출력하거나, 상기 디지탈 입출력 제어부(24)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영상처리 보드(34)에 입력한다.
30은 멀티플렉서부이며, 디지탈 입출력 제어부(24)로 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지그부(29)에 출력하거나, 지그부(29)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디지탈 입출력 제어부(24) 및 테레비젼 세트(31)로 출력한다.
31은 테레비젼 세트이며, 조정대상 영상처리 보드(34)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그 화면에 표시한다.
32는 CCD 카메라이며, 테레비젼 세트(31)의 화면에 표시된 캐릭터의 영상신호를 추출하여 출력한다.
33은 CCD 구동부이며, CCD 카메라(32)로 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처리부(25)에 출력한다.
34는 조정대상 영상처리보드, 35는 모니터, 36은 키입력부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릭터 위치 자동 조정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단계 301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파라미터 초기값 설정, 원점복귀등의 초기화 과정이 실행되며, 단계 302에서 키입력부(36)로 부터 시작키 입력에 의해 이송 콘베어벨트(도시생략)에서 영상처리보드(34)가 이송되어 지그부(29)에 장착된다. 이때 주제어부(21)는 PLC 제어부(22)에 제어명령을 송출하며 그 제어명령을 받은 PLC 제어부(22)는 상부 픽스춰(27)를 하강시켜 그 픽스춰(도시생략)에 의해 영상처리 보드(34)를 눌러 고정시킨다. 단계 303에서, 디지탈 입출력 제어부(24)를 제어하여, 더미데크(26)를 구동시켜 영상처리 보드(34)에 필요한 신호를 공급하여 동작되게 한다. 단계 304에서, 디지타 입출력 제어부(24)를 통해 제어신호를 멀티플렉서(30)에 출력하여 멀티플렉서부(30)가 스위칭 됨으로써 영상처리보드(34)에 검출한 영상신호가 지그부(29) 및 멀티플렉서부(30)를 거쳐 테레비젼 세트(30)에 인가되어 그 화면에 칼라바(Color Bar) 패턴 및 캐릭터가 화면 우측상단에 표시된다.
단계 305에서, CCD 카메라(32)로 테레비젼 세트(31)의 화면에 표시된 캐릭터(예:PLAY▷)를 촬영하여 그 영상신호를 CCD 드라이브(33)를 통해 영상처리부(25)에 입력받아 화상처리 함으로써, PLAY▷의 마지막 캐릭터 ▷의 위치 데이타를 읽어 들인다. 캐릭터 ▷의 위치를 결정하는 예가 제4도에 도시된다. 가로×세로 화소수가 1024×512 인 화면을 가정한다. 마젠타(Magenta) 칼라 바가 끝나는 X 좌표는 731이며 캐릭터 ▷의 중심을 지나는 Y 좌표는 51이라고 규격치를 정하다. 즉 캐릭터 ▷의 중심좌표 규격치는 (731,51)이다. 단계 306에서, 화면에 표시된 캐릭터 ▷의 중심좌표와 규격치가 같은지를 비교 판단한다. 캐릭터 ▷ 중심좌표 측정치가 규격치보다 작은 경우, 단계 307에서 동작모르 캐릭터 조정소자(34a)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단계 305이하의 과정을 반복한다. 캐릭터 ▷ 중심좌표 측정치가 규격치보다 큰 경우 동작모드 캐릭터 조정소자(34a)를 반시계 방햐으로 회전하고, 단계 305이하의 과정을 반복한다.
캐릭터 ▷의 중심좌표 측정치가 규격치와 동일한 경우, 단계 309로 진행하여, 모티너(35)에 동작모르 캐릭터 양호 표시를 한다. 단계 310에서, 시계모드 캐릭터 데이타를 내장 메모리로 부터 읽어들이고, 단계 311에서 상기 시계 표시 캐릭터 데이타로 부터 시계 표시캐릭터의 최종 숫자, 예를들어 0의 중심좌표를 구하고, 그 중심좌표로 부터 마젠타(Magenta)영역까지의 x좌표인 A와 그 중심좌표로 부터 블루(Blue) 영역까지의 x 좌표인 B를 산출한다.
단계 312에서, B가 A의 2배 인지를 비교 판단한다.
B가 2A보다 작은 경우, 단계 313에서 시계 표시캐릭터 조정소자(34b)를 시게방향으로 회전시켜 시계 표시 캐릭터(예 0:00)를 왼쪽으로 이동시키고, 단계 310 이하의 과정을 반복한다. B가 2A보다 큰 경우, 단계 314에서, 시계 표시 캐릭터 조정소자(34b)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시계표시 캐릭터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고, 단계 310 이하의 과정을 반복한다. B가 2A와 동일한 경우, 단계 315로 진행하여 모니터(35)에 시계표시 캐릭터가 양호함을 표시한다.
단계 316에서, 더미데크(26)를 오프시키고, 단계 317에서 상부픽스춰(27)를 상승시켜 영상신호 처리보드(34)를 콘베어벨트로 배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의 시각에 의한 조정이 아니고 개인용 컴퓨터 및 자동화 기계를 이용한 조정작업이므로, 조정속도가 향상되고, 그에 따라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으며, 기계에 의한 자동 조정이므로 생산제품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상하 픽스춰를 구비하고 그 상하 픽스춰 사이에 조정대상 영상처리 모드를 위치 시키고 조정장치로 캐릭터 위치를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본 장치의 각부를 제어하여 캐릭터 위치를 조정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주제어부로 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디지탈 제어신호를 입력 및 출력하는 디지탈 입출력 제어부와, 조정대상 영상처리 보드로 부터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디지탈 입출력 제어부로 출력하고, 더미데크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조정대상 영상처리 보드에 인가하는 지그부와, 상기 주제어부로 부터 제어명령을 받아 상기 상부 픽스춰를 제어하는 PLC 제어부와, 상기 디지탈 입출력 제어부로 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지그부의 입출력 신호를 조정대상 테레비젼 세트에 출력하는 멀티플렉서부와, 상기 텔레비젼 세트의 화면에 표시된 캐릭터의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CCD 카메라와, 상기 CCD 카메라를 구동하는 CCD 카메라 구동부와, 상기 CCD 카메라 구동부로 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화상처리하여 그 결과 데이타를 상기 주제어부로 출력하는 영상처리부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릭터 위치 자동 조정장치.
  2. 캐릭터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조정대상 영상처리보드를 지그부에 놓고, 상, 하 픽스춰를 구비한 지그부에 의해 영상신호를 취출하여 테레비젼 세트에 인가한 후, 상기 테레비젼 세트의 화면에서 캐릭터를 CCD 카메라로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데이타를 영상처리부로 처리하여 상기 캐릭터 데이타를 읽어들이고, 상기 캐릭터 중심의 XY 좌표를 산출하여 규격치와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 보드에 조립된 상기 캐릭터 표시 조정소자를 조정하여 상기 캐릭터 위치를 조정하는 캐릭터 위치 자동 조정 방법.
KR1019950010571A 1995-04-29 1995-04-29 캐릭터 위치 자동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51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0571A KR0151966B1 (ko) 1995-04-29 1995-04-29 캐릭터 위치 자동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0571A KR0151966B1 (ko) 1995-04-29 1995-04-29 캐릭터 위치 자동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9867A KR960039867A (ko) 1996-11-25
KR0151966B1 true KR0151966B1 (ko) 1998-10-15

Family

ID=1941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0571A KR0151966B1 (ko) 1995-04-29 1995-04-29 캐릭터 위치 자동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19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4067B2 (en) 2007-09-04 2015-09-15 Lg Electronics Inc. Dehumidifying apparatus for dry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4067B2 (en) 2007-09-04 2015-09-15 Lg Electronics Inc. Dehumidifying apparatus for dryer
US9207014B2 (en) 2007-09-04 2015-12-08 Lg Electronics Inc. Dehumidifying apparatus for dr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9867A (ko) 1996-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917470T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kalibrieren einer verteilten anzeigevorrichtung
US50182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ration mark identification
AU658234B2 (en) Automatic precision video monitor alignment system
JP2578607B2 (ja) テレビカメラによる非同期事象の検査装置および方法
US6085658A (en) System and method for registration control on-press during press set-up and printing
KR100775202B1 (ko) 디스플레이의 다이나믹 영상 컬러 편이의 평가 시스템 및평가 방법
KR20010075313A (ko) 라인센서를 이용한 화상처리시스템
KR0151966B1 (ko) 캐릭터 위치 자동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AU755152B2 (en) System, in particular for timing races; including a photosensitive sensor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alignment of such a system with a line across which objects or persons pass
KR100293698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의패턴검사기및그검사방법
JP2004201284A (ja) 映像処理システム及び映像処理方法
KR970078700A (ko) 컬러 표시장치의 화질 측정장치 및 화질 측정방법
KR0148968B1 (ko) 비젼 시스템을 이용한 도포량 자동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8122726A (ja) 液晶パネル検査装置
KR0148983B1 (ko) 조정부품 자동위치 검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258794B2 (ja) コンバーゼンス調整装置
CN1567352A (zh) 数字图像提取设备的图像自动校正系统及方法
KR0151965B1 (ko) 씨씨디 카메라 자동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6174446A (ja) 実装部品検査装置
KR0162050B1 (ko) 씨씨디 카메라에 의한 티 브이 모니터 정지 화면 자동 조정 시스템
JPH09326031A (ja) 画像入力方法及び装置
JPH04203915A (ja) 大視野画像入力方法および装置
KR0151959B1 (ko) 비젼을 이용한 파형검사 조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1283120A (ja) 金型監視方法
KR100190687B1 (ko) 화상처리에 의한 카메라 촛점 자동 보정 장치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