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941B1 - 거푸집 지지용 틀비계 - Google Patents

거푸집 지지용 틀비계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941B1
KR0151941B1 KR1019950001516A KR19950001516A KR0151941B1 KR 0151941 B1 KR0151941 B1 KR 0151941B1 KR 1019950001516 A KR1019950001516 A KR 1019950001516A KR 19950001516 A KR19950001516 A KR 19950001516A KR 0151941 B1 KR0151941 B1 KR 0151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ormwork
rods
horizontal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569A (ko
Inventor
이상필
Original Assignee
최훈
삼성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훈, 삼성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훈
Priority to KR1019950001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1941B1/ko
Publication of KR960029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9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1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공사시 거푸집을 지지하여 주는 것으로, 특히 높이와 길이와 폭과 및 레벨의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증대하여 주는 거푸집 지지용 틀비계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다리부(100)와, 상기 다리부의 하부에 부착되어 바닥에 고정되는 수평조줄부(200)와, 상기 다리부의 상부 끝단에 연결되는 받침부(300)로 구성하되, 상기 다리부(100)는 각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부에는 고정구멍(111a)이 뚫린 원통형의 지지봉(111)들내부에 등간격으로 고정구멍(116a)들이 뚫리고 상부에 지지받이(117)들이 부착된 승강봉(116)들이 끼워져서 상하로 동작되는 수직대(110)들과, 상기 지지봉(111)들의 상하부에 각각 수평으로 걸쳐져서 수평길이가 신축될 수 있는 상,하부수평대(120, 120a)들로 연결지지되도록 하여, 높이와 길이와 폭과 레벨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거푸집 지지용 틀비계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일측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틀비계 2 : 거푸집
100 : 다리부 110 : 수직대
111 : 지지봉 113 : 연결편
116 : 승강봉 117 : 지지받이
120 : 상,하부수평대 121 : 로드
123 : 실린더 124 : 걸이핀
120' : 사각봉 130 : 보강대
200 : 수평조절부 210 : 회전지지봉
220 : 동체부 230 : 고정부
232 : 고정판 300 : 받침부
310 : 버팀대 320 : 걸침봉
140 : 바퀴
본 발명은 거푸집공사시 거푸집을 지지하여 주는 것으로, 특히 높이와 길이와 폭과 및 레벨을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증대하여 주는 거푸집 지지용 틀비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거푸집 지지용 틀비계는 수직으로 세워져서 전체적인 수직하중을 바닥으로 전달하는 수직틀과, 상기 수직봉의 소정의 높이마다 수평으로 연결되어 수평하중을 지지하여 주는 수평틀과, 상기 수직봉들을 상호 경사지게 연결하여 주는 보강대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거푸집 지지용 틀비계는 상부에 버팀대 역할을 하는 멍에 설치하고 또 멍에의 상부에 거푸집을 받쳐주는 장선들을 설치하여 거푸집을 지지하는에 사용되었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틀비계는 조립, 해체시간이 단축되므로 전체적인 공기를 단축할 수 있었으며, 특히 수직틀과 수평틀과 보강대등으로 구성되므로 구조적 강도가 높으며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어서 틀비계의 사용도거 점점 증가되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틀비계는 높이와 길이와 폭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상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융통성 있게 조절되어 지지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거푸집이 설치되는 장소마다 높이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잭등의 별도의 장비로 높이를 조절해주어야 하는 추가작업이 필요하였으며, 또한 거푸집의 너비에 따라 거푸집의 하부에서 받쳐주는 틀비계의 너비도 거푸집의 미경화콘크리트의 하중으로 인한 처짐등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너비로 조절되어 지지될 필요가 있다.
또한, 틀비계가 설치되는 바닥면이 불균형을 이루거나 경사면을 이룰때는 울렁울렁거리거나 기울어지기 때문에 거푸집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거푸집의 설치되는 높이 뿐만 아니라 거푸집의 크기에 따라 길리와 폭을 융통성있게 조절하여 작업성을 증대하여 주는 거푸집 지지용 틀비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며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거푸집 지지용 틀비계(1)는 제 1도 및 제 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다리부(100)와, 상기 다리부의 하부에 부착되어 바닥에 고정되는 수평조절부(200)와, 상기 다리부의 상부 끝단에 연결되어 거푸집을 받쳐주는 받침부(300)로 구성하되, 상기 다리부(100)는 각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부에는 고정구멍(111a)이 뚫린 원통형의 지지봉(111)들의 내부에 등간격으로 고정구멍(116a)들이 뚫리며 상부에 지지받이(117)들이 부착된 승강봉(116)들이 끼워져서 상하로 동작되는 수직대(110)들과, 상기 지지봉(111)들의 상하부에 각각 수평으로 걸쳐져서 수평길이가 신축될 수 있는 상, 하부수평대(120, 120a)들로 연결지지되도록 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직대(110)들은 지지봉(111)들의 내부에 등간격으로 고정구멍(116a)들이 뚫리며 상부에 지지받이(117)들이 부착된 승강봉(116)들이 끼워져서 상하로 동작되도록 하는 것은 받침부(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높이에 따라 융통성이 있게 조절하기 위함이고, 또한 상기 상,하부수평대(120, 120a)들은 지지봉(111)들의 상하부에 각각 수평으로 걸쳐져서 수평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받침부(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크기에 따라 길이와 폭을 융통성 있게 조절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다리부(100)의 하부에 부착되어 바닥에 고정되는 수평조절부(200)는 바닥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틀비계가 전체적으로 기울어질때 수평조절부(200)를 조절하여 전체적인 수평균형을 유지하여 주는 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제 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닥에 고정되어 전체적인 하중을 받아서 바닥에 전달하는 수평조절부(200)의 상부에 수직대(110)의 지지봉(111)하부에 연결되고, 수직대(110)의 승강봉(116)의 지지받이(117)상부에 받침부(300)가 연결되고, 받침부(300)의 상부에 거푸집(2)이 안전하게 설치되어 구조물을 시공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틀비계가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상태에 따라 수평조절부(200)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받침부(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높이에 따라 승강봉(116)을 상하부로 작동하여 높이를 조절하고 거푸집의 크기에 따라 상,하부수평대(120,120a)로 길이와 폭을 알맞게 조정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본 발명은 지지봉(111)에 끼워져서 상하로 작동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승강봉(116)이 구비되기 때문에 받침부(300)의 상부에 거푸집(2)이 설치되는 높이에 따라 다양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봉(111)들의 상하부에 각각 수평으로 걸쳐지는 상,하부수평대(120,120a)들이 수평길이로 신축될 수 있는 구조부를 가지기 때문에 받침부(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거푸집(2)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다리부(100)의 길이와 폭을 융통성 있게 조절하여 거푸집을 지지하여 주므로 작업성을 증대하여 주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다리부(100)의 하부에 수평조절부(200)가 부착되어 불균형을 이루는 바닥이나 경사진 바닥에 틀비계가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울렁울렁거리거나 기울어질때 각 수평조절부(200)가 상하로 조절되어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주고 수평균형을 유지하여 주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상기 다리부(10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며 받침부(3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수평조절부(2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부이다. 이와 같은 다리부(100)는 거푸집(2)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충분히 견고하게 제작될 필요가 있는 데,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수직대(110)와, 수직하중의 상하부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상,하부수평대(120,120a)로 만들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수직대(110)는 제 1도 및 제 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에 통로가 형성된 원통형파이프들이 각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되 하부내면에는 수평조절부(200)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115)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고정구멍(111a)이 뚫려지는 지지봉(111a)과, 상기 지지봉(111)의 내부에 끼워지며 등간격으로 고정구멍(111a)들이 뚫리고 상부에는 받침부(300)와 체결되는 체결구멍(117a)이 뚫린 지지받이(117)들이 부착되어 상하로 동작되는 승강봉(116)으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만들어지는 수직대(110)는 지지봉(111)의 내부에 끼워져서 상하로 동작되는 승강봉(116)이 필요한 높이만큼 조절되어 고정핀(114)등으로 고정되므로 거푸집이 설치되는 높이에 따라 융통성 있게 높이가 조절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수직대(110)의 지지봉(111)은 상하부에 연결구멍(113a)이 뚫린 상,하부연결편(113)들이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하부수평대(120,120a)등이 볼트와 너트등으로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상,하부수평대(120,120a)들은 제 1도 및 제 2두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측끝은 수직대(110)에 고정되고 그 타측은 걸이구멍(121a)이 뚫린 로드(121)와, 상기 로드에 일측이 끼워지며 걸이구멍(123a)이 뚫리며 타측은 수직대(110)에 고정되는 실린더(123)와, 상기 로드(121)와 실린더(123)를 상호 고정시켜 주는 걸이핀(124)으로 만들어져서 수평하중을 지지하여 주며 길이와 폭을 신축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만들어지는 상,하부수평대(120,120a)는 길이와 폭을 신축하고자 할 때는 로드(121)와 실린더(123)를 상호 거정시켜 주는 길이핀(124)을 뽑아내고 로드(121)와 실린더(123)를 필요한 길이와 폭만큼 신축하여 걸이핀(124)으로 고정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작업장소에 따라 필요시 길이만 조정할 수도 있고 폭만을 조정할 줄 수도 있다. 즉, 상,하부수평대(120,120a)는 필요에 따라 길이와 폭이 동시에 조정될 수도 있고 길이와 폭이 따로 조정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하부수평대(120,120a)의 길이를 신축할때는 제 2도에서 도시되는 바오 같이, 길이방향의 상, 하부수평대를 신축하면서도 동시에 수직대(110)의 상부 끝에 받침부(300)와 연결된 지지받이(117)도 함께 신축조정하여 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하부수평대(120,120a)의 폭을 신축할때는 폭방향의 상,하부수 평대를 신축하면서도 동시에 수직대(110)의 상부 끝에 받침부(300)를 함께 신축조정하여 주는 것이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상,하부수평대(120,120a)의 길이와 폭을 동시에 신축할때는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상,하부수평대를 신축하면서도 동시에 지지받이(117)와 받침부(300)를 함께 조정하여 주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하부수평대(120a)들은 제 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하부수평봉들이 단면상 사각형을 가지는 사각봉(120')들로 연결하되 로드(121)와 실린더(123)하부에 구멍이 뚫린 걸고리(120'a)들이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하부수평봉들이 단면상 사각형을 가지는 사각봉(120')들로 만들어지는 이유는 구조적강도를 증대하여 주면서도 사각봉(120')들의 하부에 이동이 편리하도록 바퀴(140)들을 견고하게 부착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틀비계(1)가 고정되어 있을 때는 전체적인 하중이 바닥에 고정된 수평조절부(200)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지만, 다른 작업장소로 이동할 때는 수평조절부(200)가 바닥으로부터 상승되고 사각봉(120')의 하부에 부착된 바퀴(140)가 바닥에 고정되어 전체적인 하중이 바퀴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바퀴(140)들이 하부수평대(120a)에 부착될때 부착면이 둥근 환벙에 부착되는 것보다 부착면이 넓은 사각봉(120')에 부착하므로 부착강도를 증대시켜주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대향하는 한쌍의 하부수평대(120a)들이 구조적 강도를 증대하며 바퀴(140)들을 견고하게 부착시키기 위해 사각봉(120')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로드(121)와 실린더(123)하부에 각각 걸고리(120'a)들이 부착되는 것은 결속선등으로 걸고리(120'a)들을 상호 결속하여 로드(121)와 실린더(123)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하부수평대(120,120a)들의 양단부들은 제 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결구멍(125)이 뚫어지도록 하여 지지봉(111)의 상하부에 부착된 연결핀(113)의 연결구멍(113a)과 일치되어 볼트와 너트 등으로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하부수평대(120a)들 중의 대향하는 한쌍의 사각봉(120')들은 구조적 강도를 증대하기 위해 그 양단부가 지지봉(111)에 일체로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도 내지 제 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111)들의 상하부에 경사지게 연결하여 주며 길이를 신축할 수 있는 보강대(130)들이 연결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강대(130)들은 제작상에 있어서는 상,하부수평대(120,120a)들과 동일하게 로드(121)와 실린더(123)및 걸이핀(124)으로 제작되나, 사용상에 있어서는 경사지게 설치하되 일측 끝은 지지봉의 하부 연결편에 타측 끝에 이웃하는 지지봉의 상부 연결편에 각각 볼트와 너트등으로 체결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보강대(130)들이 상,하부수평대(120,120a)들과 동일하게 신축될 수 있도록 만들어지는 이유는 틀비계가 상,하부수평대(120,120a)로 길이와 폭을 신축할 때 보강대(130)도 동시에 신축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수평조절부(200)의 지지봉(111)의 하부내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15)에 나사결합으로 상하동작되어 틀비계로 작업을 할 때는 틀비계(1)의 전체적인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면서도 다리부(100)로부터 하중을 받아서 바닥을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틀비계의 이동을 할 때는 바퀴가 바닥에 닿도록 상부로 상승시켜 바닥으로부터 격기되도록하는 구조부로서, 여러가지 구조로 만들어 질 수 있으나 제 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봉(111)의 암나사부(115)와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부(211)가 형성되어 수직하부로 연장되는 회전지지봉(210)과, 상기 회전지지봉의 하부에 일체로 부착되고 하부내부면에 홈부(221)들이 형성되며 그 위주면에 핸드레바(222)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체부(220)와, 상기 동체부의 홈부(221)들과 결합하여 상호 공회전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돌기띠(231a)들을 형성하는 축봉(231)의 하부에 고정판(232)이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부(230)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만들어지는 수평조절부(200)는 핸들레바(222)에 회동을 가하게 되면 동체부(220) 및 동체부와 일체로 부착된 회전지지봉(210)이 함께 회전을 하게 되고, 동체부(220)의 하부내면에 형성된 홈부(221)들과 축봉(231)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띠(231a)들이 상호 결합하여 공회전을 하게 되고 외면에 수나사부(211)가 형성된 회전지지봉(210)은 내면에 암나사부(115)가 형성된 지지봉(111)에 나사돌림으로 다리부(100)가 상하로 동작되어 틀비계의 수평을 유지하여 주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받침부(300)는 다리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거푸집(2)을 떠받쳐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부로서, 양단부가 지지받이(117)에 안치되는 한쌍의 버팀대(310)와, 상기 한쌍의 버팀대의 상부에 걸쳐져서 거푸집(2)을 직접적으로 떠받쳐 주는 걸침봉(320)들로 만들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한쌍의 버팀대(310)는 제 1도 및 제 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단면상 H형강이 사용되며 웨브의 소정의 위치마다 체결구멍(312)이 뚫려져서 지지받이(117)의 체결구멍(117a)과 일치되어 볼트와 너트등으로 조립 해체가 가능하도록 체결되도록 하며, 상부플랜지에는 등간격으로 부착구멍(311a)이 뚫린 부착편(311)이 일체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브의 소정의 위치마다 체결구멍(312)이 뚫어져서 지지받이(117)의 체결구멍(117a)과 일치되어 볼트와 너트등으로 조립 해체가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이유는 상,하부수평대(120,120a)의 길이와 폭을 신축할 때 지지받이(117)와 버팀대(310)도 동시에 신축조절해야 하기 때문이며, 또한 상부플랜지에는 등간격으로 부착구멍(311a)이 뚫린 부착편(311)이 부착되는 것은 상부에 설치되는 걸침봉(320)들을 부착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걸침봉(320)들은 사각봉 찬넬봉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웨브의 소정의 위치마다 구멍이 뚫어져서 버침대(310)이 부착편(311)에 볼트와 너트 등으로 조립 해체가 가능하도록 부착고정되도록 한다. 이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하부수평대(120,120a)의 길이와 폭을 신축할 때 버팀대(310)와 걸침봉(320)도 동시에 신축조절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은 거푸집 지지용으로 사용되면서도 작업상황에 따라 걸침봉의 상부에 발판을 설치하여 작업대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강봉이 지지붕에 끼워져서 상하로 작동되며 지지봉들의 상하부에 각각 수평으로 걸쳐지는 상,하부수평대들이 수평으로 신축될 수 있게 때문에 받침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거푸집의 다양한 크기에 따라 융통성 있게 높이와 길이와 폭을 조절할 수 있으며, 지지봉의 하부에 수평조절부가 나사돌림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인 수평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다리부의 하부에 바퀴가 부착되므로 이동시에 이동이 편리하며, 다리부에 보강대를 보강하여주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조적강도가 증대되고, 받침대의 상부에 발판을 설치하여 작업대로도 유용하게 사용될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7)

  1.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다리부(100)와, 상기 다리부의 하부에 부착되어 바닥에 고정되는 수평조절부(200)와, 상기 다리부의 상부 끝단에 연결되는 받침부(300)로 구성하되, 상기 다리부(100)는 각 모서리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부에는 고정구멍(111a)이 뚫린 원통형의 지지봉(111)들내부에 동간격으로 고정구멍(111a)들이 뚫리고 상부에 지지받이(117)들이 부착된 승강봉(116)들이 끼워져서 상하로 동작되는 수직대(110)들과, 상기 지지봉(111)들의 상하부에 각각 수평으로 걸쳐져서 수평길이가 신축될 수 있는 상,하부수평대(120,120a)들로 연결지지되도록 하여, 높이와 길이와 폭과 및 레벨이 조정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용 틀비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111)의 상하부에 연결구멍(113a)이 뚫린 상,하부연결편(113)이 부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용 틀비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수평대(120,120a)들은 일측끝이 수직대(110)에 고정되고 그 타측은 걸이구멍(121a)이 뚫린 로드(121)와, 상기 로드에 일측에 끼워지며 걸이구멍(123a)이 뚫리며 타측은 수직대(110)에 고정되는 실린더(123)와, 상기 로드(121)와 실린더(123)를 상호 고정시켜 주는 걸이핀(124)으로 만들어 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용 틀비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평대(120a)들은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수평봉들이 단면상 사각형을 가지는 사각봉(120')들로 연결하여 그 하부에 바퀴(140)들이 부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용 틀비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111)들의 상하부에 경사지게 연결하여 주며 길이를 신축할 수 있는 보강대(130)들이 연결 지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용 틀비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부(200)는 지지봉(111)의 암나사부(115)와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부(211)가 형성되어 수직하부로 연장되는 회전 지지봉(210)과, 상기 회전지지봉의 하부에 일체로 부착되고 하부내부면에 홈부(221)들이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 핸드레바(222)가 일체로 형성되는 동체부(220)와, 상기 동체부의 홈부(221)들과 결합하여 상호 공회전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돌기띠(231a)들을 형성하는 축봉(231)의 하부에 고정판(232)이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부(230)로 구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용 틀비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300)는 지지받이(117)에 체결되도록 소정의 위치마다 체결구멍(312)들이 뚫려지고 상부에 등간격으로 부착편(311)이 부착되는 한쌍의 버팀대(310)와, 상기 한쌍의 버팀대위에 걸쳐져서 부착편(311)에 연결고정되도록 소정의 간격마다 구멍이 뚫리는 걸침봉(320)들로 구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용 틀비계.
KR1019950001516A 1995-01-27 1995-01-27 거푸집 지지용 틀비계 KR0151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1516A KR0151941B1 (ko) 1995-01-27 1995-01-27 거푸집 지지용 틀비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1516A KR0151941B1 (ko) 1995-01-27 1995-01-27 거푸집 지지용 틀비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569A KR960029569A (ko) 1996-08-17
KR0151941B1 true KR0151941B1 (ko) 1998-10-15

Family

ID=19407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516A KR0151941B1 (ko) 1995-01-27 1995-01-27 거푸집 지지용 틀비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19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9312A (zh) * 2016-03-14 2016-06-08 湖州中辰建设有限公司 一种移动式升降工作平台
CN111706113A (zh) * 2020-04-30 2020-09-25 乐清市城镇建设工程公司 一种钢结构房屋建设用支撑装置
KR20210122609A (ko) 2020-04-01 2021-10-12 (주)다우티이씨 전력설비 점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49312A (zh) * 2016-03-14 2016-06-08 湖州中辰建设有限公司 一种移动式升降工作平台
KR20210122609A (ko) 2020-04-01 2021-10-12 (주)다우티이씨 전력설비 점검장치
CN111706113A (zh) * 2020-04-30 2020-09-25 乐清市城镇建设工程公司 一种钢结构房屋建设用支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569A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2197A (en) Shoring system and parts thereof
US5575938A (en) Form panel
KR0151941B1 (ko) 거푸집 지지용 틀비계
CN209891690U (zh) 一种外墙施工用脚手架
EP1016766A1 (en) Frames and structures assembled by same
KR0140904B1 (ko) 엘리베이터 피트용 비계
KR102084686B1 (ko) 이동식 작업대
GB2041059A (en) Support structure for building forms
KR0151942B1 (ko) 절첩식 틀비계
KR200213539Y1 (ko)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KR100203013B1 (ko) 설치및해체가용이한벽체용시스템포옴
KR200397593Y1 (ko) 거푸집을 지지하는 파워 잭.
KR100404930B1 (ko)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및 그 조립과 해체방법
KR200298061Y1 (ko) 분할구조의 합벽타설거푸집지지대
KR200236582Y1 (ko) 주상 안전 작업대
KR200184987Y1 (ko) 콘크리트 형틀 조립장치
CN220149161U (zh) 一种适用于多种工况的可扩展型快拆升降平台
CN217480897U (zh) 一种悬空可调房屋支撑桁架
CN220645265U (zh) 一种钢屋盖结构提升装置的安装节点
JP3852039B2 (ja) 拡縮式フレーム構造
JPH09250235A (ja) 組み立て式足場
RU141933U1 (ru) Опалубка (варианты)
CN218952744U (zh) 建筑施工架
KR200167435Y1 (ko) 도로 건설용 동바리구조
FI12244U1 (fi) Laite rakennuksen osien liittämiseksi toisiins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