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433B1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433B1
KR0151433B1 KR1019940006422A KR19940006422A KR0151433B1 KR 0151433 B1 KR0151433 B1 KR 0151433B1 KR 1019940006422 A KR1019940006422 A KR 1019940006422A KR 19940006422 A KR19940006422 A KR 19940006422A KR 0151433 B1 KR0151433 B1 KR 0151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utdoor unit
ceiling
outdoo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6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오 메라노
가즈히토 와카츠키
다케히코 사토
마사야 세이토
준이치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사토 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12157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33117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1070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262420B2/ja
Application filed by 사토 후미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토 후미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433B1/ko

Links

Landscapes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터넌스시에 있어서는 실외기본체 내부를 용이하게 노출할 수 있고, 또한 확실하게 빗물의 침입저지를 이루는 구성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팬가드를 열가소성수지로 구성해도 부착하는 곳의 균열발생을 저지할 수 있고, 신뢰성이 높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고, 실외기본체(20)내에 실외 열교환기(21), 송풍기(22) 및 전기부품등의 구성부품을 배치하고 그 둘레 테두리를 따라서 아랫쪽으로 돌출하는 테두리부(25b)를 구비한 천정판(25)과 그 양측단을 따라서 측방향으로 튀어나오는 측부(26b)를 구비한 앞면판(26)이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L자상판체(27)를 구비하고 상기 천정판은 천정부(25a)와 테두리부가 둥그스럼을 띤 곡면(25c)으로 연결되고 상기 앞면판은 앞면부(26a)와 측부가 둥그스럼을 띤 곡면(26d)으로 연결되며 팬가드에 걸음부재(40)(42)(46)가 돌출설치되고 이 걸음부재가 벨마우스(30)에 설치되는 걸어맞춤구멍(41)(43)(45)(48)에 걸어지고 팬가드가 실외기본체에 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실외기 본체에서 L자상판체를 분해한 사시도.
제2도는 동 실시예의 L자상판체를 분해한 사시도.
제3도는 동 실시예의 L자상판체의 일부 횡단평면도.
제4도는 동 실시예의 일부 횡단평면도.
제5(a)도는 동 실시예의 실외기 앞면부의 일부 종단면도.
제5(b)도는 실외기 뒷면부의 일부 종단면도.
제6도는 동 실시예의 다른 조립순서를 기초로 하는 실외기를 분해한 사시도.
제7도는 동 실시예의 실외기를 에워싼 상태의 사시도.
제8도는 동 실시예의 운반중에 있어서의 실외기의 낙하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제9도는 종래예의 실외기본체를 분해한 사시도.
제10도는 다른 종래예의 실외기본체를 분해한 사시도.
제11도는 동 종래예의 실외기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실외기본체 21 : 실외열교환기
22 : 송풍기 24 : 전기부
25 : 천정판 25a : 천정판부
25b : 테두리부 25c, 26d : (둥그스럼을 띤)곡면
26 : 앞면판 26a : 앞면부
26b : 측부 27 : L자상판체
28 : 바닥판 29 :자상판체
30 : 벨마우스 31 : 팬가드
47 : 스토퍼용리브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구성하는 열교환기, 송풍기, 전기부품 등을 배치수용하는 실외기본체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보통 이용되는 공기조화기는 피공조실에 부착되는 실내기와 건물옥상 외부에 고정부착되는 실외기를 냉매관등을 통하여 접속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실외기는 건물옥상의 벽면에 가능한한 접근하여 방해가 되지 않도록 배려된다.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종래 천장판(1)과 양측면부를 일체로 구비한 앞면판(2)과 양측면부를 일체로 구비한 뒷판(3)과 바닥판(4)이 조합되어 광주리형상의 실외기본체(5)가 구성된다.
이 실외기본체(5)내에 여기에서는 도시하지않은 열교환기, 송풍기 및 전기 부품등의 구성부품이 배치되어 실외기가 구성된다.
상기 앞면판(2)에는 팬가드(6)가 구비되어 벨마우스를 차폐한다. 이 대향측인 뒷판(3)에는 흡입구(7)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기를 운전함에 따라 외부공기가 흡입구(7)에서 실외기본체(5)내에 흡입되고 열교환기와 열교환한 후 벨마우스에 안내되어 팬가드(6)를 통하여 다시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있다.
실외기의 고정부착에 있어서는 흡입측과 비교하여 토출측의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요구된다. 즉 토출바람에 대한 장해물의 존재는 열교환효율의 점에서 불리한 조건으로 되기 때문에 토출측의 앞면판(2)과 대향하는 부위의 충분한 공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흡입구(7)가 설치되는 뒷판(3), 또는 측면부를 건물옥상 외벽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고정부착 배치한다.
한편 구성부품에 대한 메인터넌스시에는 실외기본체(5)를 분해하여 내부를 노출한다. 이때 실외기본체(5)의 각 구성판체를 고정하는 나사를 떼어내야만 하지만 뒷판(3) 또는 측면부를 외벽에 근접시켜서 고정부착하는 관계상 이 틈에는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들어갈 여유가 없다.
그래서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천장판부(10a)와 앞면부(10b)를 일체로 연이어 형성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L자 형상인 L자형상판체(10)와, 양측면부(11a)(11a)와 뒷판부(11b)를 일체로 연이어 성형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자상의자형상판체(11)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바닥판(4)으로 구성되는 실외기본체(12)가 생각 되었다.
천정판부(10a) 선단과자형상판체(11)의 뒷판부(11b) 상단과는 걸어둠 부재에 의한 걸음구조로 되어 있다. 바닥판(4)에 대한 L자형상판체(10) 및자상판체(11)의 하단부는 나사에 의한 고정구조가 채용된다.
구성부품에 대한 메인터넌스시에는 L자형상판체(10)를 고정하는 나사를 떼어내고 걸음부재의 걸음을 떼어내고 L자형상판체(10)를 해방상태로 하고나서 윗쪽으로 밀어 올린다. 이 L자형상판체(10)는 비교적 간단히 떼어낼 수가 있고 실외기본체(12)내가 노출상태가 되어 메인터넌스를 할 수 있다.
즉 뒷판부(11b) 또는 측면부(11a)를 건물옥상외벽과 근접하여 배치함에 따라 공구가 들어갈 여유가 없어도 L자형상판체(10)를 고정하는 나사를 떼어 내는 방향이 앞면측에 통일되는 동시에 떼어냄방향이 윗면측이기 때문에 이 판체의 떼어냄에는 하등의 지장도 없다.
그 반면 L자형상판체(10)의 양측단이 잘라 떨어진 형상이 되어 있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제11도는 성형한 실외기본체(12)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확실한 바와 같이 L자형상판체(10)와자형상판체(11)의 맞춤편은 서로 직교하는 면으로 된다.
또한 L자형상판체(10)의 천정부(10a)와 앞면부(10b)에 있어서의 양측단 테두리와자형상판체(11)의 측면부(11a)와 뒷판부(11b)에 있어서의 양측단 테두리의 맞춤눈(A)은 서로 직선상으로 된다. 그때문에 이 맞춤눈(A)에서 빗물이 침입하여 내부의 구성부품을 적실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메인터넌스시에 있어서의 실외기본체 내부의 노출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조이며 또한 확실하게 빗물침입 저지를 이루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 하는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기본체(20)와 이 실외기본체(20)내에 배치되는 실외열교환기(21), 송풍기(22), 냉동사이클 부품(23) 및 전기부품(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외기본체(20)는 천정판(25)과 앞면판(26)의 연결체인 L자형상판체(27)와 각 구성부품을 얹어놓는 바닥판(28)과 양측면부(29a)(29a)와 뒷판부(29b)가 일체로 성형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자형의자형상판체(29)로 구성된다.
또한 이들 L자형상판체(27)와 바닥판(28) 및자형상판체(29)의 전체는 판금제이다.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 천정판(25)은 천정부(25a)와 그 둘레단을 따라서 아랫쪽으로 돌출하는 테두리부(25b)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직사각형의 접시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천정부(25a)와 테두리부(25b)는 서로 둥그스럼을 띤 곡면(25c)으로 연결된다.
또한 특히 앞면측의 테두리부(25b)만은 더욱 아랫쪽으로 돌출하는 부착편부(25d)가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상기 앞면판(26)은 앞면부(26a)와 이 양측단을 따라서 측방으로 뻗어나오는 측부(26b)(26b)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으므로 평면에서 보았을 때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측부(26b)는 그 선단테두리를 따라서 걸림편부(26c)가 일체로 절곡형성된다.
앞면부(26a)와 각 측면부(26b)는 서로 둥그스럼을 띤 곡면(26d)으로 연결된다.
상기 앞면부(26a)에는 벨마우스(30)가 형성되어 있고 이 벨마우스에 대향하도록 앞면판(26)의 앞쪽에 합성 수지제의 팬가드(31)가 부착 고정된다.
제5(a) 및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 바닥판(28)의 전단부에는 아랫쪽으로 돌출하는 볼록부(28a)가 일체로 설치된다. 이 볼록부(28a)는 적어도 상기 팬가드(31) 하단테두리보다도 아랫쪽으로 돌출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실제의 실외기의 조립에 있어서는 바닥판(28)상의 소정위치에 실외 열교환기(21), 송풍기(22) 및 냉동사이클부품(23)을 얹어놓고 적절한 수단으로써 바닥판에 부착고정 한다.
다음으로 실외열교환기(21)와 송풍기(22)가 배치되는 바닥판(28)상의 공간실과 냉동사이클부품(23)이 배치되는 바닥판상의 공간실을 구획하기위한 간막이판(32)을 소정위치에 부착고정한다. 상기 냉동사이클부품(23)상에는 전기부품(24)을 구비한 전기부품상자를 얹어 설치함에 따라 모든 구성부품의 편입이 종료된다.
다음으로 실외기본체(20)의 성형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음에자형상판체(29)를 바닥판(28)상에 얹어놓는다. 더 설명하면자형상판체(29) 하단테두리를 바닥판(28) 둘레테두리에 맞춘다.
이 상태에서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자형상판체(29)의 한쪽의 측부(29b)가 실외열교환기(21)의 단판(21a)에 맞붙기때문에 나사(32)로 연결 고정한다.
자형상판체(29)의 하단부와 바닥판(28)의 맞붙음부를 나사로 연결고정 한다. 다른쪽의 측부(29b)에는 팩밸브커버(33)를 부착고정한다.
한편,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정판(25)과 앞면판(25)이 일체로 연결화되고, 팬가드(31)가 부착되어 L자형상판체(27)가 형성된다. 즉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앞면판(26)의 측부(26b)에 각 구명이 설치되어 있으며 여기에 팬가드(31)에 설치되는 부착다리(31a)가 걸어 맞추어져 팬가드(31)가 부착고정된다.
제5(a)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천정판(25)의 부착편부(25d)가 앞면판(26)의 앞면부(26a) 상단에 맞붙고 나사(33)로써 서로 고정된다. 이 나사(33)는 팬가드(31)를 앞면판(26)에 부착함에 따라서 앞면에서 차폐된 상태에 있다.
이와같이 하여 천정판(25)과 앞면판(26)이 일체로 연결됨과 동시에 앞면판(26)에 팬가드(31)이 부착된 L자형상판체(27)을 앞서 부착고정한자형상판체(29)와 바닥판(28)에 부착한다.
즉 앞면판(26) 하단을 바닥판(28)상에 얹어 놓는다. 동시에 앞면판측부(26b) 단테두리에 돌출설치되는 걸림편부(26c)를자형상판체(29)의 양측단에 걸어 맞추는 동시에 천정판테두리부(25b)를자형상판체에 걸어둔다.
즉, 제5(a)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앞면부(26a) 하단과 바닥판(28) 앞면부를 나사(34)에 의해 고정한다. 상기 팬가드(31)는 앞면부(26a)와 바닥판(28)을 고정하는 나사(34)의 앞면측에 겹쳐지는데 이 나사의 대향부에는 공구삽입용구멍(35)이 설치되어 있으며 완전차폐에는 이르지않아 부착작업에 지장은 없다. 이 상태에서 앞면판측부(26b) 단테두리의 걸림편부(26c)가자형상판체(29)의 양측단에 걸어맞추어져 서로의 걸어맞춤고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앞면판(26)에서 돌출하는 천정테두리부(25b)가자형상판체(29) 상단에 얹어진다.
이 장치는 제5(b)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자형상판체(29)의 뒷판부(29b) 상단에는 걸림부재(36)가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 천정판테두리부(25b)가 걸어맞추어져서 천정판(25)과자형상판체의 걸어맞춤고정이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자형상판체(29)에 팩밸브커버(37)를 부착하면 실외기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하여 조립된 실외기는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에워 싸여진다.
즉 실외기(20)의 바닥면적보다도 큰 면적의 바닥부단볼(38)을 준비하고 이 단볼에 실외기(20) 바닥부와 끼워맞추는 오목부를 구비한 완충재(39)를 걸어 맞추고 여기에 실외기를 얹어놓는다.
똑같이 하여 실외기(20)의 윗면부면적보다도 큰 면적의 상부단볼(58)을 준비하고 이 단볼(58)에 실외기 윗면부와 끼워맞추는 오목부를 구비한 도시하지 않은 완충재를 걸어맞춘다. 이들 상하의 단볼(38), (58)간에는 차폐용으로써의 판상단볼(61)을 개재시킨다.
마지막으로 이들 전체를 예를 들면 PP(폴리프로필렌)재로 이루어지는 밴드(60)로 강고하게 체결한다. 이 상태에서 공장출하된다.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만일 운송 도중에서 꾸린 물건을 지면(Y)에 낙하시키는 일이 있어도 바닥판(28)의 앞면부를 오목부(28a)로 했기때문에 이 오목부가 충격을 받고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팬가드(31)에는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와같이 하여 출하되는 실외기를 고정부착현장에 고정부착한 후 도시하지 않은 실내기와 접속함에 따라 냉동사이클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 실외기로써 건물옥상외부에 고정부착되어 빗물을 맞는 조건인 경우에도 내부에 대한 빗물의 침입이 없다.
즉 L자형상판체(27)를 구성하는 천정판(25)은 천정판부(25a)와 테두리부(25b)가 둥그스럼을 띤 곡면(25c)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앞면판(26)은 앞면부(26a)와 측부(26b)가 둥그스럼을 띤 곡면(26d)로 연결된다.
이와같은 천정판(25)과 앞면판(26)에 있어서의 곡면(25c), (26d)의 존재에 의해 실외기(20)에 빗물이 내려와도 각각의 시일성을 확보하여 빗물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다.
또 천정판(25)과 앞면판(26)에 있어서의 곡면(25c), (26d)의 존재에 의해 실외기(20)의 외관향상을 이룬다.
실외기(20)의 구성부품에 대한 메인터넌스시에는 L자형상판체(27)를 실외기 본체(20)에서 떼어낸다.
구체적으로 드라이버등의 공구를 앞면판(26)의 앞면부(26a) 하단에 위치하는 팬가드(31)의 공구 삽입용구멍(35)에 끼워통하게 하고 앞면판과 바닥판(28)을 연결하고 있는 나사(34)를 떼어낸다.
이때 천정판(25)과 앞면판(26)을 연결고정하는 나사(33)는 팬가드(31)에 의하여 차폐되어 있기때문에 이 나사를 떼어내는 오작업의 발생이 없다.
다음으로 L자형상판체(27)를 윗쪽으로 끌어올린다. 천정판(25)과자형상판체(29)의 걸어둠부재(36)의 걸어맞춤이 떼어지는 동시에 앞면판측부(20b)와자형상판체(29)의 걸어맞춤이 떼어진다.
실외기의 조립작업으로써 천정판(25)과 앞면판(26)을 미리 서브라인에서 조립해도, 또는 제조라인에서 차례로 조립해도 메인터넌스시에는 L자형상판체(27)로써자형상판체(29) 및 바닥판(28)에서 떼어낼 수 있다.
실외기본체(20) 내부가 노출되고 앞면서비스에 의한 메인터넌스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테두리부를 구비한 천정판과 측부를 구비한 앞면판을 일체적으로 연결하여 L자형상판체를 성형했기 때문에 실외기본체에 빗방울이 떨어져도 내부에의 침입을 확실하게 저지하고 내부의 구성부품을 보호할 수 있고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이룬다.

Claims (4)

  1. 천정판, 앞면판, 양측면판, 뒷판 및 바닥판이 조합되어 광주리형상으로 이루어진 실외기 본체와, 상기 실외기 본체내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송풍기 및 전기부품 등의 구성부품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은 그 둘레단을 따라서 아랫쪽으로 돌출하는 테두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앞면판은 그 양측단을 따라서 측방으로 뻗은 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천정판과 상기 앞면판은 천정판의 테두리부가 앞면판을 덮어 일체적으로 연결된 L자형상 판체를 형성하고, 이 L자형상 판체는 상기 천정판의 테두리부가 상기 뒷판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앞면판이 바닥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자형상판체의 천정판테두리부와 상기 뒷판상단부는 걸어둠부재의 걸음에 의한 걸어둠부착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L자형상판체의 앞면판측부와 상기 양측면판은 걸어맞춤부착이 이루어지고, 앞면판 앞면부와 상기 바닥판은 나사에 의한 부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자형상 판체는 상기 천정판의 테두리부와 상기 앞면판의 전면부를 나사 고정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앞면판은 그 전면부에 벨마우스가 설치되고 또한 팬가드가 부착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팬가드는 상기 천정판의 테두리부와 상기 앞면판의 전면부를 서로 고정하는 나사를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앞면판 및 바닥판은 판금제이고 상기 팬가드는 합성수지제이며, 상기 바닥판 앞면부는 팬가드의 하단테두리보다 아랫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9940006422A 1993-05-24 1994-03-28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01514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121572A JPH06331173A (ja) 1993-05-24 1993-05-24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93-121572 1993-05-24
JP93-210707 1993-08-25
JP21070793A JP3262420B2 (ja) 1993-08-25 1993-08-25 空気調和機の室外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1433B1 true KR0151433B1 (ko) 1998-11-02

Family

ID=26458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422A KR0151433B1 (ko) 1993-05-24 1994-03-28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51433B1 (ko)
CN (1) CN108646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9601A (ja) * 2003-01-15 2004-08-26 Sanyo Electric Co Ltd 壁掛け型空気調和機
JP4187031B2 (ja) * 2006-09-29 2008-11-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3375900A (zh) * 2012-04-18 2013-10-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壳体定位结构及具有该壳体定位结构的空调装置
CN102846096B (zh) * 2012-08-24 2014-03-12 江苏格林电器有限公司 冷藏展示柜用的一体可拆卸式顶盖结构
CN104422044B (zh) * 2013-08-22 2017-05-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机组、室外机及机壳
CN106080100A (zh) * 2016-06-17 2016-11-09 安徽天祥空调科技有限公司 一种易于拆修的车用空调散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463C (zh) 2002-06-19
CN1098776A (zh) 1995-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7500A (en) Grille mounting for a room air conditioner
KR015143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3899459B2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H03230030A (ja) 一体形空気調和機
JP3322745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20000019266A (ko) 사출성형되는상하부케이싱을구비한창문형공기조화기
CN211261054U (zh) 窗式空调器
JPH06331173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3079924B2 (ja) 空気調和機用室外機のグリル取付構造
JP3223911B2 (ja) 空気調和機
JP3262420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H11337125A (ja) 空気調和機
JP3223722B2 (ja) 空気調和機
KR20150120218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23187873A1 (ja) 空気調和機
KR100228965B1 (ko) 에어컨 실외기
CN210197604U (zh) 空调器的电控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JP2002332994A (ja) 換気扇
CN113865071A (zh) 空调器的壳体及具有其的空调器
CN212132721U (zh) 保护盖组件、空调室外机和空调器
JP3061522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2919708B2 (ja) 空気調和機のフィルタ固定装置
KR100487335B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케이스구조
JPH0125232Y2 (ko)
KR960000935Y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