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865B1 - 회전가능 접촉부재를 가진 치과용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회전가능 접촉부재를 가진 치과용 핸드피스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865B1
KR0150865B1 KR1019950002894A KR19950002894A KR0150865B1 KR 0150865 B1 KR0150865 B1 KR 0150865B1 KR 1019950002894 A KR1019950002894 A KR 1019950002894A KR 19950002894 A KR19950002894 A KR 19950002894A KR 0150865 B1 KR0150865 B1 KR 0150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dental
collet
contact
dental hand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2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0889A (ko
Inventor
에이이치 나카니시
소사쿠 가와타
유이치 시바타
Original Assignee
나카니시 도시마사
가부시키가이샤 나카니시 시카기카이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니시 도시마사, 가부시키가이샤 나카니시 시카기카이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나카니시 도시마사
Priority to KR1019950002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865B1/ko
Publication of KR960030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2Operating tool blocking means
    • A61C1/144Operating tool blocking means constricting the operating tool, e.g. chu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5Instruments or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8Flexible shafts; Clutches or the like; Bearings or lubricating arrangements; Drives or transmissions
    • A61C1/181Bearings or lubricating arrangements, e.g. air-cushion bea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과용 핸드피스는 치과치료조작용 공구, 이 공구를 분리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공구지지부재, 공구지지부재로부터 공구를 분리하기 위한 공구지지부재에 인접하는 공구분리부재, 및 공구지지부재와 점-접촉될 수 있는 회전가능 접촉부재를 포함한다.
회전가능 접촉부재는 공구지지부재와 접촉될 때 공구지지부재와 함께 회전가능하다.

Description

회전가능 접촉부재를 가진 치과용 핸드피스
제1a도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치과용 핸드피스의 말단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1b도는 제1a도의 라인 2-2를 따라 취해진 횡단면도이다.
제2도는 아랫쪽으로 밀린 상태의 제1a도의 푸시버튼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치과용 핸드피스의 말단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제4도는 종래의 치과용 핸드피스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치과 치료용 공구를 분리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치과용 핸드피스(dental handpiece)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이적으로, 본 발명은 치과치료공구의 잘못된 분리조작에 의해 야기되는 기계적인 손상 또는 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가능 접촉부재를 갖는 치과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그위에 치과치료공구가 설치된 치과용 핸드피스가 치과치료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그러한 종래의 치과용 핸드피스는 제4도를 참고로 하여 이제 설명한다.
제4도는 종래의 치과용 핸드피스(40)의 말단부를 나타내는데, 이것은 그위에 치과치료공구(9) 를 설치하기 위한 헤드 케이싱 (head casing)(41) 과 나사에 의해 헤드 케이싱(41)의 상부에 연결된 헤드 캡(42)으로 구성된다.
헤드 케이싱(41)의 내부에는 카트리지 케이싱(54a) 과 케이싱 캡(54b) 으로 이루어진 내부 케이싱(54)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케이싱(54a) 은 이후에 설명되는 치과치료공구(9) 를 지지하고 회전시키기 위한 각종 부품을 갖는다. 내부 케이싱(54)안에는 치과치료공구(9) 를 분리가능하게 지지하는 콜릿(43)을 갖는 회전축(44) 및 회전축(4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볼 베어링(45, 46)이 장치되어 있다.
콜릿(43)은 그것의 하부 말단의 내주 직경을 확대시키는 복수의 축방향으로 뻗은 슬릿(43a) 을 갖는다.
콜릿(43)의 외주는 테이퍼면(55)을 제공하는데, 이것의 직경은 하부쪽으로 점차 증가된다.
콜릿(43)은 회전축(44)위로 돌출되고 암나사이로 형성된 상부 말단부를 갖는다.
콜릿(43)의 상부 말단의 외주에 스프링(47)이 위치한다.
콜릿(43)의 상부 탭 말단은 수나사이(48)를 갖는 플랜지(49)와 맞물린다.
회전축(44)은 관모양이고 그것의 하부 말단에는 그안에 치과치료공구(9) 를 수용하기 위한 공구수용개구(44a) 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44)을 회전에 의해 구동시키기 위해 회전축(44)의 외주에 임펠러의 형태로 로터(44b) 가 설치된다. 회전축(44)은 콜릿(43)의 외주와 정합되는 모양의 테이퍼면(55)으로서 형성된 내면을 갖는다.
회전축(44)의 그러한 테이퍼진 내주면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스프링(47)에 의해 가압된 콜릿(43)이 압착되고 회전축(44)에 의해 지지된다.
볼 베어링(45, 46)은 회전축(44)의 상부 및 하부에 장치되어 있고, 각각 댐퍼(50, 51)를 통해 헤드 케이싱(41) 및 헤드 캡(42)과 맞물리고 그것에 의해 유지된다.
헤드 캡(42)은 헤드 케이싱(41)의 상부와 나사에 의해 맞물리고 콜릿(43)에 의해 유지된 치과치료공구(9) 의 부착 및 분리를 위한 푸시버튼(pushbutton)(52)을 중앙부에 갖고 있다. 푸시버튼(52)은 또한 헤드 캡(42)의 정합 맞물림부(42a) 와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부(52a) 를 갖는다. 푸시버튼(52)은 그것의 하부표면에 푸시버튼(52)을 윗쪽으로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53)을 갖고 있다.
상술한 치과용 핸드피스(40)에서, 회전축(44)에 구비된 로터(44b) 는 공기공급관(나타내지 않음) 에서 공급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콜릿(43)에 의해 유지된 치과치료공구(9)를 회전구동시킨다.
치과용 핸드피스(40)로부터 치과치료공구(9) 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푸시버튼(52)을 눌러서 콜릿(43)의 하부 테이퍼면(55)이 확대되도록 콜릿(43)을 내리는데, 이것은 치과치료공구(9) 의 분리를 촉진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치과용 핸드피스(40)의 분리 기작에서는, 치과치료공구(9) 를 빼낼만큼 강하게 푸시버튼(52)이 눌려지지 않더라도 치과치료공구(9) 의 조작도중에 푸시버튼(52)이 플랜지(49)와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좁은 측면부의 어금니 절삭, 또는 치관 또는 가공의치를 위한 치아기부의 준비치료도중에, 푸시버튼(52)이 구강의 어떤 부분에 대해 압박되어 그 때문에 부적절하게 푸시버튼(52)을 아랫쪽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때 그렇게 밀린 푸시버튼(52)은 회전하는 플랜지(49)와 부적절하게 접촉되는 경향이 있어서, 마찰열을 발생시키고 순간적으로 높은 온도 따라서 극히 위험한 상태를 야기한다.
[발명의 요약]
상술한 기술 수준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치료공구를 분리할때 부적절하게 밀린 푸시버튼의 회전부재와의 접촉에 기인하는 마찰열의 발생을 방지하고, 그결과 기계적인 상해 또는 열에 의한 상해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결과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치과용 핸드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 및 기타 목적은 하기의 기술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치료조작용 공구, 이 공구를 분리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공구지지수단, 공구지지수단으로부터 공구를 분리하기 위한 공구지지수단에 인접하는 공구분리수단, 및 공구지지수단과 점 접촉될 수 있는 회전가능 접촉수단으로서 공구지지수단과 접촉될 때 공구지지수단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회전가능 접촉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치과용 핸드피스가 제공된다.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
제1a도는 치과용 핸드피스(10)의 말단부를 나타낸다. 치과용 핸드피스(10)는 그 안에서 치과치료공구(9) 를 지지하고 이후에 설명되는 것처럼 치과치료공구(9) 를 회전에 의해 구동시키는 각종 구성부품들을 갖는 헤드 케이싱(11), 및 헤드 케이싱(11)내에서 지지되는 치과치료공구(9) 의 분리장치를 갖는 헤드 캡(12)으로 이루어진다.
헤드 케이싱(11)내에는 치과치료공구(9) 를 분리가능하게 지지하는 콜릿(13)을 갖는 회전축(14) 및 회전축(1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볼 베어링(15, 16)이 배열되어 있다.
콜릿(13)의 외주면은 테이퍼진 면(26)을 갖는데, 그것의 직경은 아랫쪽으로 점차 증가된다. 테이퍼진 면(26)은 두개의 홈(13a) 을 갖는데, 이것은 제1b도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원주방향에서 서로 120°의 각거리로 콜릿의 내면에서 개구되어 있다.
이 홈(13a) 의 각각 안쪽에는, 회전축(14)의 내부 안쪽에 콜릿(13)이 설치될 때 콜릿(13)의 내경면으로부터 약간 안쪽으로 돌출된 척 부(chuck piece)(13b)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14)은 관모양이고 그것의 하부 말단에 치과치료공구(9) 를 수용하기 위한 공구수용개구(14a) 가 주어져 있다. 회전축(14)의 외주상에는 회전축(14)을 회전에 의해 구동시키기 위한 임펠러의 형태로 로터(14b) 가 설치된다.
회전축(14)의 내주는 콜릿(13)의 외주와 정합하는 테이퍼면(26)을 제공한다.
회전축(14)의 상부에는, 콜릿(13)을 윗쪽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7), 스프링(17)에 대한 스프링 리테이너(18) 및 회전정지수단으로 동시에 작용하는 위치결정 볼(positioning ball)(17a)이 회전축(14)의 내주 주위에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리테이너(18)를 고정부재(19)에 의해 콜릿(13)의 상부에 단단히 고정시킴으로써, 콜릿이 윗쪽으로 가압되어 회전축(14)의 내부 안쪽에서 유지될 수 있게된다.
회전축(14)을 안정하게 그리고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회전축(14)의 상부 및 하부에 볼 베어링(15, 16)이 설치된다.
하부 볼 베어링(15)은 회전축(14)의 하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진동댐퍼(20)를 통해 헤드 케이싱(11)에 의해 유지되는 바깥쪽 레이스(15c) 와 회전축(14)에 고정된 안쪽 레이스(15a) 사이에 놓인 복수의 볼(15b) 을 갖는다.
상부 볼 베어링(16)은 회전축(14)의 상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진동 댐퍼(21)를 통해 헤드 캡(12)에 의해 유지되는 바깥쪽 레이스(16c) 와 회전축(14)에 고정된 안쪽 레이스(16a) 사이에 놓인 복수의 볼(16b) 을 갖는다.
헤드 캡(12)은 헤드 케이싱(11)의 상부와 나사에 의해 맞물리고 콜릿(13)에 의해 유지된 치과치료공구(9) 의 분리를 위한 푸시버튼(22)을 중앙부에 갖고 있다.
푸시버튼(22)의 아랫쪽에는, 푸시버튼(22)을 윗쪽으로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23), 푸시버튼(22)이 스프링(23)의 가압에 대해 아랫쪽으로 밀릴 때 콜릿(13)의 상부 말단과 접촉하는 볼-형상의 접촉부재(24), 접촉부재(2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볼 베어링(25)이 설치되어 있다.
볼 베어링(25)은 복수의 볼(25b) 을 통해 푸시버튼(22)의 바깥쪽 레이스 부착부(22a) 상에 설치된 바깥쪽 레이스(25c) 와 접촉부재(24)에 고정된 안쪽 레이스(25a) 를 갖는다.
미리조정된 위치에서 스프링(23)에 의해 가압된 푸시버튼(22)을 유지하도록 바깥쪽 레이스(25c) 가 헤드 캡(12)의 리테이너(12a) 에 의해 유지된다.
상술한 치과용 핸드피스(10)에서 푸시버튼(22)이 제2도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아랫쪽으로 밀리게 되면, 푸시버튼(22) 아랫쪽에 구비된 접촉부재(24)가 콜릿(13)의 상부 말단과 접촉되며 회전하는 콜릿(13)과 함께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푸시버튼(22)이 부적절하게 아랫쪽으로 밀린다하더라도, 치과용 핸드피스(10)가 열에 의해 또는 기계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도에 대하여 본 발명의 변형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제3도에서는 치과용 핸드피스(10)와 유사하게 치과치료공구(9) 를 지지하고 회전에 의해 구동시키기 위한 각종 구성부품들을 포함하는 헤드 케이싱(111) 및 헤드 케이싱(111) 내에서 지지되는 치과치료공구(9) 의 분리장치를 갖는 헤드 캡(112) 으로 이루어지는 치과용 핸드피스(30)가 보여진다.
본 치과용 핸드피스(30)에서는 치과용 핸드피스(10)의 치과치료공구(9) 의 분리장치를 구성하는 푸시버튼(32)과 콜릿(33)이 하기에서 설명되는 방식으로 변형되었다.
나머지 부품들은 상술한 제1도의 치과용 핸드피스(10)의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 공통 부품들은 상기 구체예의 경우와 동일한 숫자에 100을 더하여 표시하고 자세한 설명은 단순화를 위해 생략한다.
상술한 콜릿(13)과 유사하게 치과용 핸드피스(30)의 콜릿(33)은 테이퍼진 면(126)으로서 고안된 외주를 갖는데, 그것의 직경은 아랫쪽으로 점차 증가된다.
테이퍼진 면(126) 은 두개의 홈(33a) 을 갖는데, 이것은 원주를 따라 서로 120°의 각거리로 콜릿의 내면에서 개구되어 있다.
이 홈(33a) 의 각각 안쪽에는, 회전축(114) 의 내부 안쪽에 콜릿(33)이 설치될 때 콜릿(33)의 내경면으로부터 약간 안쪽으로 돌출된 척부(33b) 가 설치되어 있다.
콜릿(33)의 상부 말단은 푸시버튼(32)과 함께 접촉부재(35)에 의해 접촉되는 접촉부(33c) 로서 형성되어 있다.
치과치료공구(9) 의 분리를 위한 푸시버튼(32)의 하부는 푸시버튼(32)을 윗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23) 및 콜릿(33)의 상부 말단과 접촉되도록 맞추어진 접촉부재(35)와 결합된다. 접촉부재(35)는 볼(35b) 및 볼(35b) 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벗베어링으로서 바깥쪽 레이스(35c) 로 이루어진다.
바깥쪽 레이스(35c) 는 푸시버튼(32)의 바깥쪽 레이스 설치부(32a) 상에 설치되어 있고 미리지정된 위치에서 상술한 대로 스프링에 의해 가압된 푸시버튼(32)을 유지하기 위해서 헤드 캡(112) 의 리테이너(112a)에 의해 유지된다.
본 치과용 핸드피스(30)에서, 푸시버튼(32)이 아랫쪽으로 밀리게 될 때에는, 바깥쪽 레이스(35c) 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볼(35b) 이 콜릿(33)의 상부 말단에 구비된 접촉부(33c) 와 접촉되고, 그로 인해서 이전의 치과용 핸드피스(10)의 경우에서와 같이 푸시버튼(32)의 잘못된 조작에 기인하여 구성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 접촉부재는 상기의 구체예에서 기술된 접촉부재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회전하는 공구지지수단과 회전가능 접촉부재의 접촉시에 회전하는 공구지지수단과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원하는 구성의 회전가능 접촉부재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구체예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및 변화가 당업자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의 개시내용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며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단지 하기의 청구범위의 영역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6)

  1. 치과치료공구(9)와, 상기 공구(9)를 분리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공구지지수단(13, 14, 33, 114)과, 상기 공구지지수단(13, 14, 33, 114)에 맞닿아서 상기 공구(9)를 상기 공구지지수단(13, 14, 33, 114)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공구분리수단(22, 32) 및 상기 공구지지수단(13, 14, 33, 114)과 점-접촉될 수 있고 상기 공구지지수단(13, 14, 33, 114)에 접촉될 때 상기 공구지지수단(13, 14, 33, 114)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회전접촉수단(24, 25, 35)으로 이루어지는 치과용 핸드피스(10, 30)에 있어서, 상기 회전접촉수단(24, 25)은 상기 공구분리수단(22)에 고정된 볼 베어링(25) 및 상기 볼 베어링(25)에 의하여 지지되는 회전접촉부재(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2. 치과치료공구(9)와, 상기 공구(9)를 분리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공구지지수단(13, 14, 33, 114)과, 상기 공구지지수단(13, 14, 33, 114)에 맞닿아서 상기 공구(9)를 상기 공구지지수단(13, 14, 33, 114)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공구분리수단(22, 32) 및 상기 공구지지수단(13, 14, 33, 114)과 점-접촉될 수 있고 상기 공구지지수단(13, 14, 33, 114)에 접촉될 때 상기 공구지지수단(13, 14, 33, 114)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회전접촉수단(24, 25, 35)으로 이루어지는 치과용 핸드피스(10, 30)에 있어서, 상기 회전접촉수단(35)은 복수의 회전접촉부재(35b) 및 상기 회전접촉부재(35b)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35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지지수단(13, 14, 33, 114)은 상기 공구(9)를 분리가능하게 지지하는 콜릿(13)을 내부에 수용하는 회전축(14) 및 상기 회전축(1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볼 베어링(15, 1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4. 제2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회전접촉부재(35b)가 상기 지지부재(35c)상에 고리패턴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지지수단(13, 14, 33, 114)의 상부 말단은 상기 회전접촉부재(35b)와 접촉하는 원추-절단체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지지수단(13, 14, 33, 114)은 상기 공구(9)를 분리가능하게 지지하는 콜릿(33)을 내부에 수용하는 회전축(114) 및 상기 회전축(11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볼 베어링(115, 11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KR1019950002894A 1995-02-16 1995-02-16 회전가능 접촉부재를 가진 치과용 핸드피스 KR0150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2894A KR0150865B1 (ko) 1995-02-16 1995-02-16 회전가능 접촉부재를 가진 치과용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2894A KR0150865B1 (ko) 1995-02-16 1995-02-16 회전가능 접촉부재를 가진 치과용 핸드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889A KR960030889A (ko) 1996-09-17
KR0150865B1 true KR0150865B1 (ko) 1998-10-01

Family

ID=19408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2894A KR0150865B1 (ko) 1995-02-16 1995-02-16 회전가능 접촉부재를 가진 치과용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8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889A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8398A (en) Dental handpiece having rotatable contact member
US5336089A (en) Dental handpiece
JP3057564B2 (ja) 歯科用ハンドピース
US5423678A (en) Handpiece having bearing protective member
JPH049535B2 (ko)
KR19990028995A (ko) 해제 푸시 버튼을 갖는 치과/의료용 장치를 위한 척
JPH0628086Y2 (ja) 歯科用ハンドピースの防塵装置
JPH11156615A (ja) 吸塵用アダプター
RU237900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с ручным держателем, состоящее из вращающейся оси,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пружины и нажимной кнопки
WO1999013794A1 (en) Chuck with a push button release for a dental/medical device
US4219330A (en) Dental handpiece and rotor cartridge replacement assembly therefor
US1004118A (en) Dental tool.
KR0150865B1 (ko) 회전가능 접촉부재를 가진 치과용 핸드피스
EP0724867A2 (en) Exchangeable cartridge for dental handpiece
US6599124B2 (en) Dental handpiece with angular contact ball bearings
JP2607219Y2 (ja) 歯科用ハンドピース
EP0634148B1 (en) Dental handpiece having cover member preventing mistaken operation
JPH0898848A (ja) 歯科用工具のチャック装置
JPS6015538Y2 (ja) 歯科治療器具用チャック
US5575648A (en) Dental turbine spindle assembly
JP4088475B2 (ja) 歯科用切削装置
JPS6019689Y2 (ja) 歯科用ハンドピ−ス
JP3126887B2 (ja) チャック機構
US3518765A (en) Dental handpiece
JP3094026B1 (ja) 歯科用ハンドピース及びその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