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715B1 - 차량용 액정 디스플레이의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액정 디스플레이의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715B1
KR0150715B1 KR1019950023110A KR19950023110A KR0150715B1 KR 0150715 B1 KR0150715 B1 KR 0150715B1 KR 1019950023110 A KR1019950023110 A KR 1019950023110A KR 19950023110 A KR19950023110 A KR 19950023110A KR 0150715 B1 KR0150715 B1 KR 0150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rm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3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1920A (ko
Inventor
야스히코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filed Critical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Publication of KR960021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1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7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체의 인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액정 디스플레이의 인출장치에 관해 부품점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안정한 인출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하우징(20)과 수납체(액정이시플레이(30))와의 사이에는, 수납체(30)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서 하우징(20)내에 고정되는 고정레일(40)과, 이 고정레일(4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레일(50)과, 이 이동레일(5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수납체(30)에 연결되는 슬라이더(60)와 상기 고정레일(40)에 일단부가 축지지되는 제1암(70)과, 이 제1암(70)의 타단인 자유단부와 상기 슬라이더(60)에 양단부가 각각 축지지되는 제2암(80)과, 상기 제1암(70)과 제2암(80) 사이에 위치하며, 양 암(70,80)의 교차 각도를 변경하는 구동수단(90)을 구비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액정 디스플레이의 인출장치
제1도는 인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인출장치를 나타낸 일부 평면도.
제3도는 액정디스플레이의 수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액정디스플레이의 인출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5도는 액정디스플레이의 인출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6도는 액정디스플레이의 선회상태의 평면도.
제7도는 액정디스플레이를 일으켜 세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출장치 20 : 하우징
21 : 트인구멍부 22 : 저판
23 : 앞판 24 : 배판
25,26 : 측판 27 : 절결홈
30 : 액정디스플레이 32 : 볼 조인트
40 : 고정레일 41∼44 : 나사
45 : 고정걸림편 46 : 축구멍
50 : 이동레일 51 : 이동걸림편
52 : 스프링 60 : 슬라이더
61 : 축구멍 62 : 연결핀
70 : 제1암 71 : 축구멍
72,73 : 핀 80 : 제2암
81 : 출입부 82 : 핀
83 : 축구멍 90 : 구동수단
91 : 모터베일스 92 : 모터
93 : 웜 기어 94∼97 : 기어
98 : 피니언 99 : 원호래크
본 발명은 차량용 액정 디스플레이의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수납체의 인출장치로서는, 팬터그래프(Pantagraph)형상의 다절 신축기구(多節 伸縮機構)를 채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소 63-54144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수납체의 인출장치에서는, 부품점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다는 제1문제점이 있었다.
또 신장될 때에 지지하고 있는 부분에 회전 모멘트가 가해지고 수납체가 상하로 이동하여 원활하게 인출할 수 없다는 제2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제1,2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부품점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안정된 인출이 가능한 차량용 액정 디스플레이의 인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더하여 다음사항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써 양 암의 구동이 가능한 차량용 액정 디스플레이의 인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더하여 다음 사항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은, 수납체를 하우징내에서 인출할 때의 이동속도를 작게할 수 있어서 수납체를 천천히 또 정숙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액정 디스플레이의 인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액정디스플레이의 경사각도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어서 액정디스플레이의 화면을 보기 쉽도록 한 차량용 액정 디스플레이의 인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 그 내용을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특허청구범위의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즉, 하우징(20)과 수납체(예를 들면, 액정디스플레이(30))와의 사이에는 하기의 6개의 구성을 갖추고 있다.
첫째는 고정레일(40)이며, 이 고정레일(40)은 예를 들면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체(예를 들면 액정디스플레이(30))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서 하우징(20)내에 고정되어 있다.
둘째는, 이동레일(50)로서, 이 이동레일(50)은 예를 들면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레일(4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셋째는 슬라이더(60)이며, 이 슬라이더(60)는 예를 들면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동레일(5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수납체(예를 들면 액정디스플레이(30))에 연결되어 있다.
넷째는 제1암(70)으로서, 이 제1암(70)은 예를 들면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레일(40)에 암의 일단부가 축지지되어 있다.
다섯째는 제2암(80)으로서, 이 제2암(80)은 예를 들면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암(70)의 타단인 자유단부와 상기 슬라이더(60)에 양단부가 각각 축지지되어 있다.
여섯째는 구동수단(90)으로, 이 구동수단(90)은 예를 들면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암(70,80) 사이에 위치하며, 양 암(70,80)의 교차각도를 변경하는 것이다.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에 부가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즉, 구동수단(90)은 다음 2가지의 구성을 구비한다.
첫번째 구성은 원호래크(99)로서, 이 원호래크(99)는 예를 들면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암(70,80)의 어느 일측에 고정되어 있다.
두번째 구성은 모터(92)로서, 이 모터(92)는 예를 들면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원호래크(99)에 맞물리는 피니언(98)을 가지며 제1, 2암(70,80) 중 어느 타측에 고정되어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즉 이동레일(50)에는, 제1∼2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당해 이동레일(50)을 하우징(20) 내부로 되돌리는 방향으로 힘을 더해주는 탄지수단(예를 들면 스프링(52))을 구비하고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제1∼3항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에 더하여, 다음 세 가지의 특징을 갖는다.
첫째로 하우징(20)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안에 고정된다.
둘째로 수납체는 예를 들면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디스플레이(30)로 구성되어 있다.
셋째로 이 액정디스플레이(30)와 슬라이더(60)가 예를 들면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 조인트(3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을 갖는다.
즉 예를 들면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0)내에 수납된 수납체(예를 들면 액정디스플레이(30))를 인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구동수단(90)이 구동되면, 예를 들면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암(70,80)의 교차각도가 벌어진다. 제1, 제2암(70,80)의 교차 각도가 벌어지면, 제2암(80)의 단부에 축지지되는 슬라이드(60)는 예를 들면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인구멍부(21)를 향하여 이동레일(50)을 따라서 이동한다.
다시 구동수단(90)이 구동되면 제1, 2암(80)의 교차 각도가 더욱 벌어지고, 이동레일(50)이 예를 들면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60)와 함께 고정레일(40)을 따라 트인구멍부(21)로 부터 돌출한다.
이렇게 하여 슬라이더(60)에 연결되는 수납체(예를 들면 액정디스플레이(30))가 예를 들면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인구멍부(21)로 부터 돌출한다.
다음으로, 인출된 수납체(예를 들면 액정디스플레이(30))를 하우징(20)내로 수납하는 경우에는 구동수단(90)을 인출하는 경우와 역전(逆轉)시키면 된다.
구동수단(90)을 역전시키면, 제1, 제2암(70,80)의 교차각도가 닫히게 되며, 상술한 동작과 반대의 동작이 연속하여 이루어지게 되고, 수납체(예를 들면 액정디스플레이(30))는 예를 들면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0)내에 수납된다.
이어서,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즉, 모터(92)가 구동되면 피니언(98)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한다.
피니언(98)이 회전하면 원호래크(99)와 맞물리게 됨으로써, 예를 들면 제2∼5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98)이 모터(92)와 일체적으로 원호래크(99)를 따라서 이동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제2암(70,80)이 양 암(70,80)의 축(예를 들면 핀(73)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양 암(70,80)의 교차 각도가 변경된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작용을 갖는다.
즉 이동레일(50)이 트인구멍부(21)를 향하여 이동할 때에, 모터(92)에 의한 구동력에 저항하여 탄지수단(52)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이동레일(50)을 통하여 탄지수단(52)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여 수납체(예를 들면 액정디스플레이(30))가 트인구멍부(21)로 부터 천천히 정숙하게 돌출한다.
특허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1∼3항에 기재한 작용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액정디스플레이(30)는 예를 들면 제6,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 조인트(32)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좌우로 회전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자유로이 전후로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0)으로부터 인출된 액정디스플레이(30)를 일으켜 세운 다음, 그 정면 방향을 차안의 운전석측 및 조수석측 중 어디에도 자류롭게 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지향성이 강한 액정디스플레이(30)에 있어서도, 운전석측 및 조수석측의 어디에서든 명료하게 볼 수 있다.
제1∼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인출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인출장치의 일부평면도, 제3도는 액정디스플레이의 수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액정디스플레이의 인출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5도는 액정디스플레이의 인출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6도는 액정디스플레이의 선회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액정디스플레이를 일으켜 세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제1∼3도에 있어서의 10은 인출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이 인출장치(10)는 전체형상이 상자형으로 된 하우징(20)과, 이 하우징(20)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수납체를 갖고 있다.
상기 하우징(20)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를 들면 차안의 콘솔패널내에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수납체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차량용 액정디스플레이(30)로 구성되어 있다.
또 하우징(20)은 차실내의 콘솔패널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가구나 가전제품 등에 장착해도 된다. 또 수납체도 액정디스플레이(30)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재털이나 동전통, 혹은 서랍 등으로 사용해도 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을 향하는 방형(方形)의 저판(22)과, 이 저판(22)의 앞단에서 상측으로 연이어 형성됨과 동시에 정면을 향하는 앞판(23)과, 상기 저판(22)의 후단에서 상측으로 연이어 형성됨과 아울러 배면을 향하는 배판(24)과, 상기 저판(22)의 양 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됨과 동시에 양측방을 향하고 있는 좌우의 측판(25,26)과, 트인구멍 상면을 막는 상판(도시없음)을 가지고 있다.
상기 하우징(20)의 앞판(23)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앞면에 앞뒤로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액정디스플레이(30)가 출입하는 방형의 트인구멍부(21)를 갖고 있다.
상기 하우징(20)의 배판(24)에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코드 등을 꺼내기 위하여 상측을 향하여 도려낸 절결홈(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0)과 액정디스플레이(30)와의 사이에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디스플레이(30)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서 하우징(20)내에 고정되는 길이가 긴 고정레일(40)과, 이 고정레일(4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길이가 긴 이동레일(50)과, 이 이동레일(5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액정디스플레이(30)에 연결되는 길이가 짧은 슬라이더(60)와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하우징(20)과 액정디스플레이(30)와의 사이에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레일(40)에 일단부가 축지지되는 제1암(70)과, 이제1암(70)의 타단인 자유단부와 슬라이더(60)에 양 단부가 각각 축지지되는 제2암(80)과, 제1,2암(70,80) 사이에 위치하며 양 암(70,80)의 교차각도를 변경하는 구동수단(9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레일(40)은 제1도에서와 같이 그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형으로서, 길이방향의 일단에 2개의 나사(41)(42)에 의하여, 또 길이방향의 타단에 2개의 나사(43)(44)에 의하여, 하우징(20)의 일측, 예를 들면 마주보아 좌측의 좌측판(26)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 고정레일(40)의 트인구멍부(21) 반대측에 있어서의 단부에는 스프링(52)이 걸릴 수 있는 고정걸림편(45)과, 제1암(70)이 축지지되는 축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레일(50)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단면형상이 대략 ㄷ자형으로서, 고정레일(40)을 따라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이동레일(50)의 트인구멍부(21) 반대측에 있어서의 단부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스프링(52)이 걸릴 수 있는 이동걸림편(5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걸림편(45)과 이동걸림편(51) 사이에는 코일형상의 스프링(52)이 걸려져 있으며, 이 스프링(52)은 이동레일(50)을 하우징(20)의 내부로 되돌리는 방향으로 힘을 더해 주고 있다.
상기 슬라이더(60)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형상으로서, 이동레일(50)을 따라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60)의 트인구멍부(21) 반대측에 있어서의 단부에는 제2암(80)이 축지지되는 축구멍(6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60)의 트인구멍부(21) 측에는 액정디스플레이(30)가 연결되는 L자형상의 연결편(62)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1암(70)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단면이 대략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암(70)은 그 길이방향의 일단부의 축구멍(71)으로 관통됨과 아울러, 고정레일(40)의 축구멍(46,46)을 통하여 제1암(70)을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하는 핀(72)과, 그 길이방향의 타단인 자유단으로 관통됨과 아울러, 제2암(80)의 일단부를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하는 핀(73)을 갖추고 있다.
상기 제2암(80)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단면이 대략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암(80)은 상기 구동수단(90)이 출입가능한 출입부(81)와, 그 길이방향의 타단의 축구멍(83)으로 통과됨과 아울러, 슬라이더(60)의 일단의 축구멍(61)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는 핀(82)을 갖고 있다.
상기 구동수단(90)은 제1,2도에서와 같이, 모터 베이스(91)에 유니트화되어 있으며, 모터 베이스(91)는 제2암(8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모터 베이스(91)에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92)와, 이 모터(92)의 구동축에 고정된 웜 기어(93)와, 이 웜 기어(93)에 차례로 맞물리는 기어(94∼97)와, 최종단의 기어(97)에 맞물리는 피니언(98)이 부착되어 있다.
또 제1암(70)에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피니언(98)에 맞물리는 원호래크(99)가 고정되어 있다. 원호래크(99)에는 제1,2암(70,80)을 연결하는 핀(73)을 중심으로 한 원호를 이루며, 그 내측둘레면에 형성된 톱니에 피니언(98)이 맞물려 있다.
그리고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모터 베이스(91)를 제2암(80)에, 원호래크(99)를 제1암(70)에 각각 고정하였으나, 반대로 모터 베이스(91)를 제1암(70)에 원호래크(99)를 제2암(80)에 각각 고정해도 된다.
상기 연결편(62)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 조인트(32)를 통하여 액정디스플레이(30)가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구비한 인출장치(1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0)내에 수납된 액정디스플레이(30)를 인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터(92)가 구동되면, 그 웜 기어(13)가 회전한다. 이 웜 기어(93)의 회전력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94∼97)를 통하여 피니언(98)에 절단된다.
그리고 피니언(98)이 회전하면, 원호래크(99)와의 맞물림에 의해 원호래크(99)의 내측둘레면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 때, 피니언(98)과 함께 기어(94∼97), 모터(92) 및 모터 베이스(91)도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제1,2암(70,80)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73)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양 암(70,80)의 교차 각도를 벌린다.
이 때, 제1암(70)의 일단부가 제4도에서와 같이, 고정레일(40)의 단부에 핀(72)에 의해 축지지되어 이동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제2암(80)의 단부에 핀 (82)에 의해 축지지된 슬라이더(60)가 이동레일(50)을 따라 트인구멍부(21)을 향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슬라이더(60)가 이동레일(50)의 단부까지 이동하면, 도시되지 않았으나 슬라이더(60)의 이동이 스토퍼에 의해 규제된다.
다시 모터(92)가 구동되면 제1, 제2암(70,80)의 교차각도가 더욱 벌어지게 되고, 슬라이더(60)를 통하여 이동레일(50)이 눌리워져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레일(50)이 고정레일(40)을 따라 이동하여 트인구멍부(21)로 부터 돌출한다.
이 때에 스프링(52)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여 이동레일(50)을 하우징(20)내로 되돌리려 한다.
이에 따라 이동레일(50)이 모터(92)의 구동력에 저항하여 천천히 정숙하게 돌출한다.
이동레일(50)이 하우징(20)에서 돌출함으로써,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디스플레이(30) 전체가 하우징(20)의 트인 구멍부(21)로 부터 돌출한다.
이 때, 액정디스플레이(30)는 제7도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액정 화면을 하측을 향한 그대로 수평으로 하우징(20)의 트인구멍부(21)로 부터 돌출한다. 사용시에는 액정디스플레이(30)를 제7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볼 조인트(32)를 중심으로 하여 상측으로 일으켜 세워 액정 화면을 정면을 향하여 사용한다.
또, 액정디스플레이(30)를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 조인트(32)를 중심으로 좌우로 선회시킴으로써, 그 액정화면을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어느 방향으로도 향하게 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지향성이 강한 액정디스플레이(30)에 있어서도, 운전석측 및 조수석측 어느 곳으로부터도 명료하게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액정디스플레이(30)를 하우징(20)내에 수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액정화면이 하측을 향하도록 액정디스플레이(30)를 수평상태로 한다.
이어서, 모터(92)를 역전시켜서 제1, 제2암(70,80)의 교차각도를 좁히고, 상술한 동작과 반대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액정디스플레이(30)를 하우징(20)내에 수납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모터(92) 등의 구동수단(90)으로 된 구동부분과, 고정레일(40), 이동레일(50) 및 슬라이더(60) 등으로 된 미끄럼이동 부분과 각각 분리되고, 각각의 구조도 간단한 단일체로서 기능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단일체로서의 품질관리를 행하면 되기 때문에, 정밀도 향상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수단(90)으로 모터(92)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토션스프링 등을 사용하여 수납체를 돌출시켜도 된다. 이 때에는, 수납체의 수납시에 수납체를 하우징(20)내에 손으로 밀어 넣으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부품점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안정된 인출이 가능한 수납체의 인출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간단한 구조로써 양 암의 구동이 가능한 수납체의 인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적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즉 수납체를 하우징 내부에서 인출할 때의 이동 속도를 작게 할 수 있어서 수납체를 천천히 그리고 정숙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수납체의 인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액정 디스플레이의 경사각도를 자유롭게 바꿀수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의 하면을 보기 쉽도록 한 액정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트인구멍부를 갖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트인구멍부로 부터 출입하는 수납체와;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서 하우징내에 고정되는 고정레일과; 이 고정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레일과; 이 이동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수납체에 연결되는 슬라이더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에 일단부가 축지지되는 제1암과; 이 제1암의 타단인 자유단부와 상기 슬라이더에 양단부가 각각 축지지되는 제2암과; 상기 제1암과 제2암 사이에 위치하며 양 암의 교차각도를 변경하는 구동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정 디스플레이의 인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구동수단은 제1암과 제2암중 어느 일측에 고정되는 원호래크와, 이 원호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가지며, 제1암과 제2암중 어느 타측에 고정되는 모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정 디스플레이의 인출장치.
KR1019950023110A 1994-12-27 1995-07-29 차량용 액정 디스플레이의 인출장치 KR01507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3480A JPH08175277A (ja) 1994-12-27 1994-12-27 収納体の引出し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車載用液晶ディスプレイの引出し装置
JP94-323480 1994-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920A KR960021920A (ko) 1996-07-18
KR0150715B1 true KR0150715B1 (ko) 1998-10-15

Family

ID=1815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3110A KR0150715B1 (ko) 1994-12-27 1995-07-29 차량용 액정 디스플레이의 인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175277A (ko)
KR (1) KR01507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9334A (ko) * 2015-12-10 2017-06-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회전 구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9334A (ko) * 2015-12-10 2017-06-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회전 구동장치
KR20210084390A (ko) * 2015-12-10 2021-07-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회전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1920A (ko) 1996-07-18
JPH08175277A (ja) 1996-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1350B2 (en) Vehicle-mounted display system
JP3650274B2 (ja) 車載用機器の前面パネル装置
CN113090155A (zh) 一种传动机构及其镜柜
KR0150715B1 (ko) 차량용 액정 디스플레이의 인출장치
JP3188012B2 (ja) 表示装置
JP3561425B2 (ja) 表示装置開閉機構
JPH09109732A (ja) 車両用表示装置
DE19535678A1 (de) Autoradio mit schwenkbarem Bedienteil
JP3676854B2 (ja)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H1086763A (ja) 表示装置
JPH0664484A (ja) 車載用表示装置
KR100446772B1 (ko) 카오디오의 프론트패널 구동장치
JP3066059B2 (ja) 電動グローブボックス
JP4013004B2 (ja) 収納式表示装置
JPH0784530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EP1225096A2 (en) Electronic device
KR19980047623U (ko) 카 오디오 앤 비디오 시스템의 로딩장치
JP4012295B2 (ja) 電子機器におけるフロントパネルの作動機構
JPH0811639A (ja)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JP2996824B2 (ja) 車載用av機器のパネル収納機構
JP3657038B2 (ja) 車載用情報機器
JP3031828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4256321B2 (ja) 電子機器のパネル駆動機構
JP3676858B2 (ja) 車載用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342502Y1 (ko) 차량용 모니터 자동 수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