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443B1 - 다수의 도선과 터미널을 동시에 결합시키는 납땜장치 - Google Patents

다수의 도선과 터미널을 동시에 결합시키는 납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443B1
KR0150443B1 KR1019890017348A KR890017348A KR0150443B1 KR 0150443 B1 KR0150443 B1 KR 0150443B1 KR 1019890017348 A KR1019890017348 A KR 1019890017348A KR 890017348 A KR890017348 A KR 890017348A KR 0150443 B1 KR0150443 B1 KR 0150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terminal
terminals
substrate
s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7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720A (ko
Inventor
언스트 핸첸 호머
죤 맥키 미첼
미첼 포리코위스키 죠셉
Original Assignee
제이 엘. 사이칙
에이엠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엘. 사이칙, 에이엠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이 엘. 사이칙
Publication of KR900008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4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compris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e.g. making use of the curie p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4Heating appliances
    • B23K3/047Heating appliances electric
    • B23K3/0475Heating appliances electric using induction effects, e.g. Kelvin or skin effe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수의 도선과 터미널을 동시에 결합시키는 납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설계된 전기터미털용 캐리어 스트립형태의 자동조절히터 조립체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납땜작업의 일부분으로서 전기도선이 각 터미널에 위치하여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제1도에 유사한 도면.
제3도는 제1도의 3-3선을 따라 취한 제1도에 히터조립체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캐리어 스트립형태의 자동조절히터조립체에 대한 다른 구현예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5-5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캐리어 스트립 형태의 또다른 자동조절 히터조립체의 종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캐리어 스트립형태의 또다른 구현예로서의 자동조절 히터의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8-8선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캐리어 스트립형태의 자동조절 히터조립체의 또다른 구현예의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캐리어 스트립형태의 자동조절 히터조립체에 관한 또다른 구현에의 종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캐리어 스트립형태의 자동조절히터조립체에 관한 또다른 구현예의 종단면도.
제12도는 납땜작업에 앞서 코넥터하우징에 터미널이 일부 수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제1도의 히터조립체의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단일 터미널을 가지는 또다른 자동조절 히터조립체의 사시도.
제14도는 와이어에 결합종단된 제13도의 터미널의 도면.
제15도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캐리어 스트립/히터조립체 구현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40, 50, 60, 70 : 히터몸체 17, 27, 41, 51, 61 : 기판
19, 29, 53, 63, 65 : 표면층 20, 21, 45, 71 : 전기 터미널
22, 23 : 땜납관
본 발명은 다중 터미널에 다중 전기도선을 일시에 결합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참고로, 하기의 설명에서는 바람직한 용융결합재로서 땜납을 언급하고 있지만, 액체형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기타 적당한 용융재도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종래, 리본 케이블(즉, 도체들이 병렬 배향되어 있는 케이블)에 개개의 도체를 종단시키기 위해서는 미국특허 제3,820,055호에 기재된 바와같이 절연재의 제거 또는 천공 기술에 의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와 같은 기술은 표준형 와이어와 고전류 온반능력을 가는 와이어에는 상대적으로 신뢰감을 주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그외의 공지된 종단기술로서는 개개 도체들로부터 절연물을 벗기는 기술과 각 터미널에 도체를 압축(crimping)시키는 기술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많은 시간을 요하며 아울러 아주 근접하여 이격된 도체들에는 적절하지 못하다.
각 터미널에 개개의 케이블도선을 납땜하는 것은 종래의 방법 및 장치의 다양한 변형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것도 각터미널과 도선을 수동적으로 반복적인 납땜작업을 행하여야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비경제적이다. 아울러, 공동 케이블로부터 다수의 도선이 납땜처리 되려면, 대단한 주의를 기울여서 납땜공구로부터 이미 납땜처리된 구성요소로의 열의 전달 및 이로 인한 땜납 접속부의 약화 또는 파괴를 막아야만 한다.
다중 땜납결합부를 동시에 형성시키기 위한 종래의 납땜처리 절차는 납땜공구를 이용하여 모든 접속위치까지 미치는 큰 연속구역에 필요한 열에너지가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작동상태로 되었을 때, 납땜 공구는 공구가 제어온도(즉, 땜납 재료가 녹는 온도)를 지난 다음 다시 제어온도이하로 떨어지기 전까지 가열된다. 이 제어온도는 전형적으로 이상적인 납땜온도보다 약간 높게 선택되어 이상적인 열에너지량 보다 적게 전달되는 것을 보상한다. 열에너지 전달에 대한 이러한 접근방안은 불리한 점이 많다. 가령, 접속위치사이의 공간에 적용된 열에너지가 그냥 소비된다는 것이다. 다른 단점으로는 구성요소에 손상을 주어 과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가열공구에 본질적으로 존재하는 더멀 오버슈트(thermal overshoot)가 공구에 의해 접속위치들간에 배치되어 있는 부품들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어떤 경우, 이 오버슈트는 접속위치에서 결합되어지는 구성부품에 대해 손상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오버슈트가 발생하기 전에 납땜공구의 조작자가 공구를 제거하거나 또는 오버슈트가 발생할 때까지 공구의 적용을 지연시키거나 함으로써 더멀 오버슈트를 피할 수 있는 제안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실행 불가능하다. 첫째, 더멀 오버슈트가 발생하는 때를 알려주는 명백한 지시계가 없고, 둘째, 공구가열 시간이 아주 길어서, 그 시간동안 공구 온도로서 땜납을 녹이는데는 충분하다 하더라도, 오버슈트 전에, 납땜작업을 완성시키는데는 너무 짧은 시간이다. 반면에, 그의 정격 상태온도에서 여기된 납품공구를 그대로 놓아 둔다는 것은 비경제적이고 또한 에너지가 낭비된다. 접속위치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납땜공구를 이용하는 경우, 땜납이 녹은 후에 동력이 끊겨져야 하고, 또한 땜납이 고체화될때까지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절연재를 변위시키는 것보다 더 신뢰감을 주고 아울러 터미널에 도체를 개별적으로 압축-결합시키는 것보다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와이어 종단기술을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와 같은 방법 및 장치는 접속위치간의 공간에 열에너지를 가하지 않으면서 각 접속위치에 있는 다중 도선에 다중 터미널을 동시에 납땜할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히터의 여기후 땜납을 녹이는데 요구되는 열에너지가 실질적으로 순간적으로 이용되고, 아울러 히터가 다양한 접속위치에 이용된 땜납을 녹이는데 요구되는 양의 열에너지가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될 것이 요구된다.
종래 알려진 것으로서, 연속적인 금속제 스트립으로부터 스탬핑 프레스로 각인 성형되고 금속제 스트립의 일부분이 각 터미널과 일체적으로 남아 있어 캐리어 스트립으로서 작용하도록 하고 캐리어 스트립을 따라서 터미널이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전기 터미널이 제공된 것이 있다. 이 일체형 캐리어 스트립은, 전형적으로 스트립으로부터 터미널이 제거되는 분리지점, 및 제거된 터미널이 인쇄회로판 코넥터하우징, 또는 기타 공작물에 삽입되는 삽입지점을 가지며 삽입기를 통해 연속적인 관계로 터미널을 운반하다. 터미널이 그렇게 삽입되면, 터미널은 케이블로부터 연장된 각와이어에 납댐처리된다. 또한 공지된 것으로서, 미국특허 제4,021,095호(킨카이드 등)에 기재된 것에 의하면, 다수의 캐리어스트립이 삽입기에 동시적으로 운반되기 직전에 서로 적층되게끔 되어 있다. 이 적층된 캐리어 스트립은 터미널이 적층된 어느 한 캐리어 스트립을 따라 놓여있는 것보다 더 가까운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상호 옵프셋된다. 본 발명의 납땜장치는 손가락형태의 터미널에 관한 캐리어 스트립개념으로서 이용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미국특허 제4,256,945호(카터 등), 4,623,401호(더비셔 등), 4,659,912호(더비셔), 4,695,713호(크루미), 4,701,587호(카터 등), 4,717,814호(크루미) 및 4,745,264호(카터)에 기재된 비교적 새로운 자동조절용히터 기술을 이용한다. 이들 특허에 기잰된 내용을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도 함께 기재했다. 이 기술에 따라 제작된 히터로서 차후 자동조절용 히터로 칭하는 히터는 저 전기저항률, 무시할 정도의 자기도자성(導磁性) 및 고열전도성을 가지는 구리, 구리합금 및 기타재료를 이용한다. 이들 기판의 어느 한 표면 전체 또는 일부에는 열전도성의 자기재료로 된 얇은 층이 형성되는데, 이 자기재료는 전형적으로 기판재료보다 더 높은 전기 저항과 자기 도자율을 가지는 철, 니켈 또는 니켈-철 합금 등으로 형성된다. 히터를 통해서 일정한 진폭의 고주파 교류전류가 통과하게 되고, 초기에 표피효과현상의 결과로서, 이들 전류는 얇은 합금층에 집중된다. 만약 층의 온도가 합금의 퀴리온도(Curie temperature)에 도달하면, 이 층의 도자율은 극적으로 저하되고, 그에 의해 표피깊이가 의미깊게 증대하여 전류밀도 프로필이 저항률의 비자성기판속으로까지 팽창하게 된다. 전체적인 결과로서 보다 낮은 저항률 및 보다 적은 열소산(heat dissipation)을 이루게 된다. 만약 열강하부 또는 열부하부가 히터와 접속한 상태에서 히터길이를 따라 서로 상이한 위치에서 형성된다면, 이들 위치에서는 열에너지가 부하부로 전달되어 온도가 급속히 비부하위치와 같이 합금의 퀴리온도까지 상승하지 않게 된다. 일정한 진폭의 전류는 이 부하위치에서 보다 높은 저항률을 가지는 합급층에 집중되며, 상기 부하위치에서는 저 저항률기판에 분포된 비부하위치에서 소산된 것보다 상당히 큰 저항 열에너지를 소산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히터는 터미널이 납땜되어지는 캐리어 스트립으로서 작용하고 또한 꼭 그렇지만은 않지만 자동조절 히터로서 될 수 있다. 캐리어 스티립은 서로 이격되는 상태로 스트립으로부터 돌기하는 다수의 전기터미널을 갖는다. 터미널은 히터 몸체와 열전도가능하게 접촉된 상태로 있으며 각 터미널은 전기도선이 납땜되어 각 접속위치를 한정할 수 있는 규정구역을 갖는다. 이 히터 몸체에는 땜납의 용융을 위한 열에너지가 발달하게 되어 터미널을 통해 접속위치에 곧바로 전달된다. 특정한 접속에 필요로하는 바와 같이, 규정량의 땜납이 터미널 또는 도선에 부착되고 이 땜납은 모든 접속위치에 전도된 열에너지에 의해 용융된다. 납땜 단계후, 터미널은 히터로부터 분리되어 적절한 공작물에 삽입된다. 다수의 그라운드 와이어가 터미널 블럭에서 서로 단락된 것과 같은 어떠한 용융에 대해서는 터미널부터 히터를 제거할 필요가 없다.
첨부 도면에는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가 예시되어 있으며 또한 각 도면에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였다.
제1도∼제3도에 대해 설명한다면, 터미널 캐리어 스티립조립체(10)는 캡톤(Kapton)과 같은 절연재로 된 스트립(11)의 양측부에 위치한 2개의 자동조절 히터부분(13, 15)으로부터 형성된다. 히터 부분(13)은 전기전도율(즉, 저 저항률) 및 무시할 정도의 자기도자율(즉, 1이거나 1에 가까운 도자율)을 가지는 구리, 구리합금, 인청동, 베릴륨-구리합금, 황동 또는 기타재료로 된 길쭉한 장방형 기판(17)을 포함한다.
기판재료는 양호한 열전도체이어야 한다. 기판(17)은 꼭 그렇지만은 않지만, 전형적으로 폭보다 길이가 훨씬 더 크며, 폭은 두께보다 훨씬 더 크다. 전형적으로, 길이는 특정 용융에 따라 결정되는데 매우 긴 스트립으로부터 응융에 필요한 길이만큼 잘려진다. 기판(17)의 폭은 일반적으로 터미널 캐리어 스트립에 이용된 폭과 같은 것으로서 1/10 내지 1/4인치의 규정치수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가판의 두께는 0.008인치의 규정치수이다. 꼭 알아두어야 할 것은 제1도에 예시한 정방형 기판구조는 캐리어 스트립으로 편리한 구조이고,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원리와 일치하는 것으로서의 예시적인 구조일뿐이라는 것이다. 예컨데,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히터 몸체는 저장용 스푸올(storage spool)등과 같은 것에 감길수 있는 캐리어 스트립으로서 가장 편리한 구도를 취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요지는 납땜작업을 위한 열에너지가 터미널을 통해 접속위치에 곧바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 열전도관계로 터미널이 고정되는 히터 몸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광범위한 사항을 고려해서, 히터부분과 기판의 전체구조를 임의의 형태로 취할 수 있다.
기판(17)의 한 표면위에는 자기재료 층(19)이 부착된다. 전형적으로 자기재료 층이 기판에 놓여져서 그 재료를 함께 확산시키는 고압 및 고온을 받는 곳에 로올 클래딩처리(roll cladding process)가 이용되며, 기타 도금이나 스퍼터 디포지션(sputter deposition)과 같은 처리도 이용될 수 있다. 예시한 구현예에서는 자기재료 층(19)이 스트립(11)과 대면하는 전체기판위에 배치된다. 그러나, 하기한 바와 같이, 통상 0.002인치의 두께를 가지는 자기재료 층(19)은 단지 선택된 표면부분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히터부분(13)의 통상적인 재질은 니켈, 철, 또는 알로이 42(니켈 : 42%, 철 : 58%) 또는 알로이 42-6(니켈 : 42%, 크롬 : 6%)와 같은 니켈-철합금이다. 그러나, 자기재료 층(19)은 본 명세서에 기술한 특성을 가지는 기타의 금속이나 합금으로도 가능하다.
특정재료에 따라, 자기재료 층(19)의 통상적인 자기도자율은 구리의 도자율이 1인데 비해 50내지 1000이상의 범위에 있다. 또한 자기재료 층(19)의 전기 자항률은 구리가 1.72μΩ/㎝인데 비해 통상 20 내지 90μΩ/㎝의 범위에 있다. 자기재료 층(19)의 두께는 통상 1표피깊이다. 이 점에 관해서는 기판(17)과 자기재료층(19)은 일정한 진폭의 교류전류를 통과시킴으로써 여기되었을 때 자동조절 히터로서 작용한다. 상세하게는, 자기재료층(19)의 재료의 퀴리온도보다 낮은 온도에 대해서, 히터를 통해 흐르는 일정한 진폭의 전류중 63%보다 좀 많은 전류가 히터 표면으로부터 표피깊이에 집중된다는 것이다. 표피깊이는 재료 저항률의 제곱근에 비례하고, 또한 히터부분(13)의 자기 도자율과 히터를 통과하는 교류전류의 주파수의 곱에 반비례한다. 자기재료 층(19)의 퀴리온도와 같거나 높은 온도에서, 재료의 자기 도자율은 기판재료의 자기 도자율(즉, 구리에 대해 1인 자기 도자율)과 대략 같게 떨어져서, 표피깊이의 극적인 증가를 가져온다. 따라서, 훨씬 더 큰 일정한 진폭의 전류가 높은 저항률을 갖는 자기재료 층(19)에 보다는 낮은 저항률을 갖는 기판(17)에 분포되고, 그 결과 상당히 적은 열이 소산된다. 중요한 것으로서, 히터 몸체의 선택된 위치가 열에너지 흡수부하부(이를테면, 히트 싱크(heat sink)와 접촉상태로 있다면, 히터 몸체의 이들 위치에서의 온도는 비부하위치에서처럼 쉽게 상승하지 않는다. 따라서, 일정한 진폭의 전류가 비부하위치(이를테면, 온도가 자기재료 층(19)를 형성하는 재료의 퀴리온도보다 낮은 위치)에서 보다 큰 양으로 자기재료 층(19)에 집중되어질 가능성이 있다. 재료의 퀴리온도는 50 내지 1000℃ 범위일 수 있고, 자기재료 층(19)에 이용된 전형적인 재료는 땜납 또는 기타 용융성 재료에 따라 200 내지 500℃의 퀴리온도의 범위를 갖는다. 전형적인 땜납은 63%의 주석과 납으로 되어 있으며, 183℃의 융점을 갖는다.
다수의 전기 터미널(20)은 기판(17)의 종연부로부터 이격된 관계로 연장되어 있다. 제1도에 예시한 구현예에서는 2개의 터미널(20)이 예시되어 있으나, 기판(17)의 선택길이의 따라 정해진 수량의 터미널이 제공되어 같은 수의 도선과 납땜될 수도 있다. 각 터미널(20)의 기단과 말단 사이에는 터미널에 납땜되어질 와이어의 선단을 수취할 수 있는 구조로 된 땜납관(22)이 있다. 각 땜납관(22)은 터미널의 평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상향하여 연장하는 1쌍의 대향 플랜지에 의해 한정된다. 땜납관(22)과 기판(17) 사이에, 각 터미널(20)은 눈금선(24)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납땜작업 후 기판(17)으로부터 터미널의 제러를 수월하게 한다.
제2의 히터부분(15)은 히터부분(13)과 동일한 것으로서 자기 표피층(29)과 기판(27)을 포함한다. 기판(27)은 기판(17)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자기표피 층(29) 역시 자기재료 층(19)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되어 있다. 기판(27)은 전형적으로 기판(17)과 동일한 치수이며 아울러 스트립 절연층(11)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이 기판(27)의 종연부는 기판(17)의 종연부와 정렬되어 있다. 스트립(11)의 양면에는 2개의 표면층(19 및 29)이 접하여 있다.
기판(27)의 종연부로부터 다수의 전기터미널(21)이 이격된 관례로 연장한다. 터미널(21)이 연장하여 있는 기판(27)의 연부는 터미널(20)이 연장하여 있는 기판(17)의 연부와 정렬되며, 그에 의해 캐리어 스트립조립체(10)의 동일한 연부를 따라 터미널(20)과 터미널(21)은 위치조정된다. 터미널(20)들간의 간격은 터미널(21)들간이 간격과 동일하며, 그리고 터미널(20 및 21)은 손가락모양으로 연결되고 터미널(20 및 21)간의 종방향간격은 스트립(10)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다. 각 터미널(21)은 터미널(20)의 땜납관(22)과 동일한 땜납관(23)을 포함한다. 아울러, 터미널(21)에는 눈금선(25)이 마련되어서 납땜작업 후 캐리어 스트립/히터조립체(10)로부터 터미널의 절취를 용이하게 한다.
각 터미널(20, 21)은 각 기판(17, 27)과 열이 전도되는 관계로 되어서 터미널들로 하여금 대응하는 히터부분(13, 15)에서 발달한 열에너지를 납땜작업이 수행되어질 각 접속위치에 전달시킬 수 있도록 한다. 터미널들은 각 기판(17, 27)의 일체형부품으로서 각인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도에 명료하게 예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 스트립 조립체(10)는 히터로서도 작용하는데, 자신의 두께치수를 통해(이를테면, 양 히터부분(13 및 15)를 통해 그리고 절연층(11)을 통해 한정된 종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파이롯드 구멍(26)을 구비하여 자동화동작중 스트립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2도에 명료하게 예시한 바와 같이, 다중 도선이나 와이어의 노출된 도선 세그멘트(30)는 납땜작업을 위한 접속위치를 한정하기 위해 땜납관(22, 23)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노출된 도체 세그멘트(30)들은 캐리어 스트립/히터 조립체(10)의 종방향치수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아울러 미리 정해진 양의 땜납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미리 정해진 양의 땜납(9)이 땜납관(22, 23)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대안적인 것으로서, 미리 정해져서 부착된 땜납이 관(22, 23)과 그리고 공동케이블 또는 개개 와이어들의 일부분일 수 있는 도선의 노출도체부분(30)사이에 분포될 수도 있다. 노출도체부분(30)이 각 땜납관(22, 23)과 접촉상태롤 있게 된 다음, 히터조립체는 하기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제3도에 있어, 일정한 진폭을 갖는 교류전류의 공급원(31)이 조립체(10)의 종축단에서 히터부분(13)과 히터부분(15) 사이에 접속된다. 공급원(31)은 선택적으로 작동하며 또한, 개략적으로 예시하였지만, 히터조립체(10)의 임피던스를 맞추도록 설계된 적절한 임피던스조화회로를 포함한다는 것을 가정한 것이다. 공급원(31)은 어떤 적절한 형태의 진폭을 갖는 교류전류 공급원일 수 있고, 또한 미국특허 제4,626,767호(클래피어 등)에 개시된 것으로서 요구된 일정 진폭의 교류신호를 라디오주파수영역으로 제공하는 하나의 예시적인 공급원일 수 있다. 통상, 작동신호의 주파수는 13.56MHz이고, 신호의 일정한 진폭은 소정의 가열수준을 제공할 수 있게끔 선택된다.
조립체(10)를 따라 접속공급원(31)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 히터부분(13 및 15)을 상호 연결시키는 와이어 또는 기타 단락회로소자(33)가 있다. 따라서 조립체(10)를 통과하는 전류 흐름은 어떤순간에는 히터부분(13 및 15)에서 종방향으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있게 된다. 이 대향한 전류에 의해 히터부분(13 및 15)간에는 스트립 절연층(11)을 가로질러 합성된 전기장이 설정되어서 기판의 저저항외부면으로보다는 고저항의 표면층(19 및 29)으로 조립체(10)의 관통전류가 집중된다. 전류진폭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최적의 가열효과를 위해, 전류를 저저항 기판(17, 27)으로 보다는 보다 높은 저항층(19, 39)에 집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일정하게 유지된 전류로서의 저항가열은 전류통로가 더 큰 저항률을 가질 때 더 크게 된다. 그 히터부분에서의 대향전류 흐름에 의해 발달된 전기장은 히터조립체의 전류가 확실하게 그 히터부분의 고저항표면영역에 집중되도록 한다.
저항열로서 생긴 열에너지는 터미널(20, 21)에 의해 각종 접속위치에 전달되어 와이어 노출 도체부분(30)이나 터미널 땜납관(22, 23)에 미리 정해진 양으로 부착된 땜납을 녹인다. 땜납량은 각 접속위치에 있는 기계적으로 강력하고도 전기적으로 전도가능한 땜납접속을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양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다.
히터로서도 작용하는 캐리어 스티립 조립체(10)는 땜납이 굳은 후 터미널(20, 21)로부터 절단된다. 이 절단동작은 터미널(20, 21)에 대해 눈금선(24, 25)을 따라 조립체(10)를 구부려서 실행된다. 히터 조립체(10)가 일단 터미널로부터 제거되면, 터미널은 더 이상 서로 구조적으로 지지되지 않고, 그 대신에 와이어나 도선의 개별적인 노출도체부분(30)의 종단부로서 작용한다. 어떠한 작용을 위해서는 히터몸체가 터미널로부터 절단될 필요가 없다는 것도 이해해야 한다. 그와 같은 적용의 하나로서 다수의 그라운드 와이어들이 터머널 블록에서 서로 단락되어지는 경우에 그렇다.
와이어나 도선에 이용된 절연물의 성질 및 조립체(10)에 형성된 열에너지의 양에 따라, 공급원(31)을 여기시키기 전에 눈금선(24, 25)을 따라 조립체(10)를 터미널(20, 21)에 대해 구부려서 납땜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 굽힘동작은, 제2도의 점선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조립체(10)가 와이어나 도선의 절연부분으로부터 멀리 이동되도록 해서 땜납관을 통하지 않고서도 와이어나 도선의 가열을 피할 수 있다.
조립체(10)의 성질은 납땜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곳에만 단지 저항열이 생기도록 한다. 상세히 말하지면, 조립체(10)를 통과하는 전류는 종방향으로 흘러서 터미널이 돌기하는 영역과 터미널간의 공간에 상응하는 영역에 교대로 마주친다. 터미널에 근접한 영역에 발달한 열에너지는 터미널에 의해 각 접속위치에 전달되어 이들 영역에서 온도가 급속히 형성되어지는 것을 막는다. 반면에, 공간영역에서는 온도가 층(19, 29)의 재료의 퀴리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급속히 상승하게 되며, 그에 의해 유효표피길이가 이들 영역에서 극적으로 커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많은 전류가 이들 영역의 저저항 기판재료를 통해 흘러 가도록 해서, 그곳에 거의 열에너지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터미널(20, 21)에 근접한 영역을 많은 양의 열에너지를 계속 발생시켜 이 열에너지를 각 접속위치에 전달한다. 접속위치의 과열은 동일한 메카니즘으로 방지된다. 즉, 일단 접속위치의 온도가 어떠한 수준에 도달하면, 히터로부터 접속위치로의 열전도는 그치고, 그에 의해 접속위치의 히티 싱크(heat sink)의 영향을 벗어날 수 있다. 이때 고저항층(19, 29)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간 열에너지는 고저항재료의 퀴리온도에 도달될 때까지 터미널(20, 21)의 온도를 급속히 상승시킨다. 이점에서, 히터조립체의 전체길에 따른 유효표피깊이는 증가하여 대부분의 일정한 진폭을 갖는 전류가 저저항 기판(17, 27)를 통해 흐르게 되고 또한 중요한 의미로서 저항열에 의해 거의 열에너지가 생기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가 제4도 및 제5도에 특정부호로서 기입되어 예시되어 있다. 이 구현예에 있어, 히터 조립체(40)로서 작용하는 캐리어 스트립은 단지 하나의 히터 부분만을 포함하는데, 이 히터부분은 저저항 기판(41)과 고정항의 도자성 표면층(43)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중 터미널(45)은 히터 조립체(40)의 1종연부로부터 나란히 이격된 관계로 돌기한다. 기판(41)과 표면층(43)의 치수, 즉 두께 치수는 제1도에 상술한 것과 같다. 히터 조립체(40)의 전류귀환로는 캠톤과 같은 재료의 절연층(47)이 1표면에 대해 같은 높이로 인접·배치된 구리제 접지모선(46)으로써 제공된다. 절연층(47)의 반대측표면은 히터 조립체(40)의 표면층(43)에 대해 인접하는 관계로 놓인다. 남땜작업을 위해 조립체(40)의 어느 위치에서 모선부재(46)와 절연층(47)을 고정시키는데 적당한 클램프와 같은 것이 이용된다. 일정한 진폭의 교류전류의 공급원(31)은 조립체(40)의 어느 한종단부와 접지모선(46)의 대응단부사이에 접속된다. 단락회로 접속부(49)는 조립체(40)의 타측종단부와 모선(46)의 대응 단부사이에 접속된다. 다중 터미널(45)은 제∼3도의 구현예에 대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각 다중 전기도선에 접속된다. 남땜후, 터미널(45)은 적절히 마련된 눈금선을 따라 히터 조립체(40)로부터 제거된다. 제4도 및 5도의 구현예는 단일 히터 조립체(40)와 단일 열을 이룬 터미널(45)만을 이용하고, 제1도의 히터 조립체(10)는 제각기 열을 이룬 것으로서, 이 2열의 터미널간의 간격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손가락형태를 갖춘, 2 히터부분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관한, 그리고 상기한 미국특허 제4,021,095호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단일 캐리어 스트립상에 있는 터미널들간의 간격은 연속적인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각인 성형된 터미널의 치수와 복잡성에 좌우된다. 보다 상세하게 말한다면, 터미널 몸체의 3차원구조가 복잡하면 할수록, 금속스트립으로부터 터미널을 형성시키는데 소비될 금속량도 더욱 커진다는 것이다. 아울러, 소비될 금속량이 커지면 커질수록, 터미널도 스트립의 길이 방향차원을 따라 더욱 이격되어 질 것이 요구된다. 가끔, 그와같은 간격은 터미널이 자동화적업중 개별적으로 지시되어야만 할 경우 비경제적인 이동 및 조립시간을 파생시킨다. 터미널(20, 21)을 2열의 손가락형태로 마련하는데 있어, 각 열의 터미널을 소정의 접촉간격에 대해 2배로 각인하여 소정의 접촉간격부분에 터미널을 손가락형태로 접속시켰을 경우, 제1도에 예시한 구현예에서는 단일열의 터미널을 이용하는 구현예(즉, 제4도 및 5도에 예시한 구현예)에 비해 어떠한 적용에서는 명확한 잇점을 부여한다.
히터조립체(10)는 2 히터부분을 이용함으로써, 저저항 귀환접지모선(46)에 접속하여 이용된 조립체(40)의 열용량에 2배의 열용량을 갖는다는 것도 알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조립체(10)의 여기(energization)는 히터의 별도의 도구(즉, 제5도의 소자(46, 47)를 결합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당히 단순화된다. 오히려 조립체(10)는 제작자에 의해 각 히터부분(13, 15)이 히터의 전류귄환로로서 작용하도록 하는 방도로 제조되는 것이다.
제6도에 예시한 본 발명의 구현예는 직접적인 전도보다는 전자기적인 유도전류에 의해 자동조절 히터에 전류를 발생시킨다. 히터(60)는 적어도 한 열의 터미널을 가지며 이 터미널은 터미널(45)이 히터(40)에 고정된 것과 같은 방법(제4도)으로 히터(60)에 고정된다.(제6도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도면의 평면속으로 연장하여 있음). 터미널은 히터와 열적으로 서로 통하는 관계에 있다. 히터(60)에 전류를 가하는 부재는 구리와 같은 재료로서 U형구조로 만곡된 길쭉한 스트립으로 형성된 제1도체(67)를 포함한다. 이 도체(67)의 내부표면에는 전기절연재료로 형성되어 도체의 길이 대부분에 뻗어있는 스트립(69)이 있다. 사용중, 히터(60)는 U형 제1도체(67)의 레그들 사이에 배치되어 절연성 스트립(69)로부터 공기틈새에 의해 이격되거나 또는 각 표면층(63, 65)에서 서로 같은 높이로 절연성스트립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히터(60)는 통상적으로 적절한 부속장치(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제1도체(67)내에 유지된다. 가령, 스트립(67)에 고정된 임의의 적절한 전기절연성 브라켓을 마련하여 히터(60)을 제1도체에 지지할 수 있게끔 한다.
동작중, 일정한 진폭의 교류전류의 공급원(31)은 U형 제1도체(67)의 말단에 횡단하여 접속된다. 이러한 도체는 와류전류를 2차 권선부로서 작용하는 히터 스트립(60)에 유도시키기 위해 변압기의 주권선부로서 기능을 한다. 유도된 와류전류는 공지된 바와 같이 주전류에 의해 발달된 자기 플럭스에 직교한 평면으로 흐르는 경향이 있다. 도체(67)의 주교류전류에 의해 형성된 플럭스는 히터(60)의 표면에 직교한 방향을 갖는다. 따라서, 유도된 와류전류는 히터표면에 평행한 평면으로 흐른다. 와류전류는 표피효과현상을 일으키기 쉽고, 이에 따라서, 이 전류는 고저항표피표면층(63)에 표피층재료의 퀴리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집중된다. 주전류의 진폭은 표피층의 와류전류로부터 생긴 저항열이 히터(60)로부터 돌기하는 터미널을 접속위치에 부착된 땜납을 녹이는데 요구되는 온도로 가열시키는데 충분할 수 있게끔 선택된다. 납땜작업 후, 터미널들은 상기한 방도로 히터 조립체로부터 절단될 수 있다. 전류 역시 히터둘레 절연물로서 감싸진 다수의 선회와이어 또는 히터와 상기 선회와이어간에 내재된 공기틈새로 구성된 주 회로에 의해 조립체(60)에서 전자기학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가열 전류의 전자기학적 유도는 미국특허 제4,745,264호(카터명)에서 기술한 변압기구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제7도 및 8도에는 캐리어 스트립의 형태로서 이 스트립으로부터 다수의 터미널(41)이 서로 이격된 관계로 뻗어 있는 자동조절 히터조립체를 예시하고 있다. 이 구현예의 히터몸체(50)는 자기표피층(55 및 57)을 가지는 구리와 같은 재료의 단일기판(53)을 자신의 양표면에 갖추고 있다. 터미널(51)은 전형적으로 기판으로부터 돌기하며 아울러 히터몸체의 길이에 가로질러 접속된 공급원(31)으로부터 일정 진폭의 교류전류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한 방도로 가열된다. 공급원을 위한 히터몸체에 대한 접속은 3층(53, 55 또는 57) 어느 곳에서도 가능하다. 터미널(51)은 납땜작업이 완료된후 눈금선(59)을 따라 히터조립체(50)로부터 쉽게 절단된다.
단 하나의 자기 표피층(55 또는 57)보다는 2 표피층(55 및 57)을 이용하면 보다 효과적인 자동조절특성을 가지는 히터가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전류흐름이 다른 방도로 강요되지 않는다면, 표피효과는 자기 표피층이 배치된 표면만이 아닌 기판의 전체표면에 전류를 집중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자기재료가 기판의 일표면에만 배치된다면, 타표면에 있는 저저항료의 표피깊이 속을 흐르는 전류는 소정의 저항가열을 의미있게 행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서 전류는 그냥 소모되는 것이다. 더욱이 이 전류는 자기재료의 퀴리온도에서 전류분배변화(즉, 표피깊이의 증대)를 이룰 수 없고 온도자동조절도 행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기판의 사각형횡단면과 자기표피층의 2표면을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면, 소정의 동작은 효과적으로 얻을 수 없다. 이론적으로, 기판의 모든 표면은 자기표피층으로 피복되어 열적으로 자동조절현상의 최대 잇점을 가져야 한다. 실제, 장방형 단면, 및 깊이 보다 훨씬 더 큰 폭을 가지는 기판은 단지 2개의 큰 표면이 자기표피층으로 덮혀 있을 때 효과적으로 자동조절히터로서 작용하게 된다. 예컨데, 기판(53)의 폭은 통상 깊이 또는 두께보다 적어도 50배 더 크다. 물론, 전류가 1표면을 따라 흐르도록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기장이 히터부분(13)과 (15)사이에 형성되는 제3도와 같이, 단지표면이 자기표피층으로 덮혀 있을 때만 효과적인 자동조절이 얻어진다.
제2도에 예시한 구현예에서는, 납땜되는 각종 와이어의 노출단부가 터미널 땜납컵에 위치하여 있는 것을 보여준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에 피복와이어의 노출중간부를 납땜시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것의 일예가 제9도에 예시되어 있은데, 자동조절 히터조립체(70)는 본 명세서에 기술한 어느 한 히터 조립체로서 조립체로부터 연장하는 다중터미널(71)을 갖는다. 각 터미널(71)은 말단과 기단사이에 땜납관부분(73)을 갖추고 있으며 아울러, 이 터미널은 터미널의 말단과 땜납관부분(73)간의 어느 한 위치에 직각상태로 적절히 구부려져 있다. 터미널의 기단부에 있는 눈금선(75)은 납땜작업후 히터 몸체로부터 터미널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납땜되어질 와이어(76)는 그의 길이방향의 어느 중간지점에 절연물이 벗겨진 노출와이어부분(78)을 가져서 납땜작업에 앞서 이부분이 각 땜납관(73)에 배치되도록 한다. 전류가 상기한 방법으로 자동조절히터 조립체를 통과할 때, 땜납관에 미리 부착되거나 또는 노출된 와이어부분(78)에 있는 땜납은 용융되어 전류흐름이 끝난 후 고형화 된다. 중간 와이어부분(78)의 접속은 상기 와이어의 다른부분이 와이어의 길이를 따라 다른 접속위치에서도 납땜될 수 있게 한다. 이런 형식의 접속은 가끔 데이지 체인(daisy chain)으로서 칭해진다.
제10도에 대해 설명한다면, 제1 및 제2 자동조절 히터조립체(80 및 85)가 모선(89)의 양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히터 조립체(80)는 기판(81)과 자기표피층(82)을 포함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터미널(제1도의 터미널(20)에 유사한 것으로서 도시되이 있지는 않음)이 기판 및 또는 표피층으로부터 길게 뻗는다. 히터 조립체(85)는 기판(86), 자기표피층(87) 및 히터 조립체(80)의 터미널과 상호 연결된 하나이상의 터미널을 포함한다. 표피층(82)은 절연층(83)의 1표면에 형성되고, 그의 다른 표면은 모선(89)이 1표면에 접한다. 표피층(87)은 절연층(88)의 1표면에 형성되고, 그의 다른 표면은 모선(89)의 제2표면에 접한다. 납땜작업을 실행시키기 위해, 일정한 진폭의 교류전류의 공급원(31)은 히터 조립체(80 및 85)의 양 종단간에 접속된다. 와이어 또는 기타 단락회로접속부(90)는 히터 조립체(80)의 제2단과 모선(89)의 일단사이에 접속되고, 제2단락회로 접속부(91)는 히터 조립체(85)의 제2단과 모선(89)의 제2단사이에 접속된다. 따라서 히터 조립체(80, 85)사이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히터 조립체를 통과하는 전류는 원격된 저저항기판(81, 86)을 통과하기 보다는, 고저항표피층(82, 87)에 확실히 집중된다. 따라서, 상당히 큰 저항가열이 납땜작업을 위해 형성된다.
제11도의 구현예는 제10도의 구현예와 같은 구조이지만 접속부들은 히터 조립체(80, 85)가 일련적인 아닌 평행한 상태로 접속되도록 되어있다. 특히, 공급원(31)의 일단은 유닛의 일단에서 각 히터 조립체에 접속되어 있다. 공급원(31)의 타측은 유닛의 동일한 단부에서 모선(89)에 접속된다. 점퍼(95)는 각 히터(80, 85)의 양단을 모선(89)의 타단에 접속시킨다. 이들 접속의 결과로서, 어느 시점에서 모선(89)을 통과하는 전류는 각 히터 조립체(80 및 85)를 통과하는 전류방향에 종방향으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갖는다. 최종적인 전기장은 모선(89)과 각 히터 조립체(870, 85)사이에 형성되고, 그에 따라서 히터 조립체를 통과하는 전류는 원격되어 있는 저저항 기판(81, 86)을 통해 흐르기 보다는 고저항 표피층(82, 87)에 집중된다.
제12도에 예시한 구현예는 제1도에 대해 상술한 조립체(10)와 같은 형식의 히터 조립체(100)를 포함하고 또한 다수의 이격된 터미널(103)과 상호 연결된 다수의 이격된 터미털(101)를 포함한다. 터미널은 코넥터 하우징(105)에 일부 삽입된다. 종종 코넥터 제작자는 코넥터 하우징의 각접촉부 수취통로에 일부 수취고정된 개별적인 터미널을 갖춘 코넥터를 판매하는 것이 편리하다. 종래 기술에서는 수요자에게 배달하기 앞서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절단한 터미널을 수요자에 의해 적절한 와이어 또는 도선에 납땜되고 그런 다음 각 통로에 더 밀어 넣어 최종위치에 놓여지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서, 코넥터는 손가락형 터미널(101, 103)이 하우징(105)의 각 통로속에 일부 삽입되고 히터 조립체로서 작용하는 캐리어 스트립(100)은 그대로 남아 있는 상태로 판매될 수 있다. 수요자는 이때 조립체(100)내의 2 히터 조립체를 가로질러 공급원(31)을 접속시킴으로써 납땜작업을 행하여 각 와이어를 터미널에 동시에 접속시킬 수 있다. 납땜작업후, 터미널은 적절한 눈금선과 같은 것을 따라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절단되며, 그 다음 하우징 통로의 최종위치에 완전히 삽입된다. 여기에 기술한 어떠한 형태의 히터 조립체 구현예도 제12도에 대해 설명한 특수단부와 접속하여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13도에 예시한 구현예에 있어, 히터 몸체 터미널(110)은 구리, 구리합금등의 태브(111)형태를 취하여 이것을 천공하거나 기타 다른 방도로 형성화시켜 코넥터, 터미널 보다, 또는 기타 유사한 접속기구에 기계학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태브의 양표면 또는 1 표면은 상기한 적절한 자기표피층으로 덮여진다. 구리, 구리합금등의 환형 슬리이브(11)는 태브(111)와 함께 형성되어 전기와이어(117)의 절연물이 벗겨진 팁(115)을 집중적으로 그리고 편리하게 받아들이도록 한다. 슬리이브(113)의 내부표면 또는 와이어의 팁(115)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가 미리 부착된 땜납을 갖는다. 태브는 주 권선부(119)를 형성하는 전기절연와이어의 1이상의 선회로서 둘러싸인다. 납땜작업을 실행시키기 위해, 공급원(31)으로부터의 일정진폭의 교류전류는 주 권선부를 통과하여 태브에서 와류전류를 유도하고 이에 의해 태브는 와류전류에 감응하여 자동조절히터로서 작용한다. 와류전류에 의해 발달한 열에너지는 슬리이브(113)에 전달되고 이 슬리이브는 미리 부착된 땜납을 녹여서 슬리이브를 와이어 팁에 고정시키게 된다. 각 태브-형 히터는 따라서 그의 주 권선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여기되고 그리고 납땜작업후 권선부로부터 이동하고 접속된 와이어(117)로서 터미널보드등에 고정되도록 한다. 대안적으로, 주 권선부는 터미널과 납땜접속부로 구성된 영구부분을 남겨놓도록 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제1-13도에 관한 상술한 히터는 모두 자동조절히터이다. 즉, 이들 히터는 표피효과와 퀴리온도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온도조절가열을 국부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러나 광범위한 의미에서는 본 발명은 하나이상의 터미널이 열전도관계로 돌기하는 여러형식의 히터에 대한 것이다. 이런 것중 일반적인 형식의 히터에 대한 일예가, 제4도가 제시되어 있는데, 이 히터는 자동조절이 없는 전기저항히터로서 사용하는데 적절한 고저항금속의 스트립(120)형태를 취한다. 다중전키터미널(121)은 스트립(120)의 하나이상의 연부로부터 열전도관계를 유지하면서 돌기한다. 전압공급원(123), 전류한 정저항기(125) 및 선택 자동식스위치(127)로 구성된 일련의 회로는 스트립(120)의 양단을 가로질로 접속된다. 스위치(127)가 폐쇄되었을 때, 전류는 저항히터 스트립(120)을 포함하는 회로를 통과하여 저항열에 의해 열에너지를 형성시킨다. 열에너지는 터미널(121)에 의해 와이어 도선의 선단에 터미널(121)에 납땜되어지게끔 배치된 적절한 접속위치에 전달된다. 제14도에 예신한 구성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조절히터가 과열을 방지하는데 그리고 히터의 선택된 국부위치에서 요구되는 열에너지를 형성시키는데 바람직한 잇점을 주지는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자동조절기능이 없는 상기 예시한 저항히터는 열에너지를 각종 접속위치에 전달하는 절단가능한 터미널과 함께 이용되어 터미널이 이들 위치에 배치된 도선에 바로 납땜되도록 한다.
여기에 예시한 것으로서 다양한 히터 조립체의 장방형 스트립구조는, 히터 조립체가 자신으로부터 돌기하는 다양한 터미널의 캐리어 스트립으로서 작용할 때, 특히 이용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필히 알아야만 할 사항으로 여기에 설명한 발명은 터미널이 돌기하는 히터 조립체가 캐리어 스트립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점에 관해서는, 히터 조립체는 어떠한 임의의 형상을 취할 수 있고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원리에 일치하는 어떠한 형식의 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구현예는 히터 조립체의 공동연부로부터 연장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 터미널은 히터로부터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할 수도 있고 아울러 각종 형상, 치수, 만곡형태등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구조의 중요한 특징은 터미널이 히터몸체에 열전도관계로 있다는 것이다.
앞서 주지한 바와 같이, 여기에 언급한 설명은 와이어나 터미널에 미리 부착된 땜납에 관련한 것이지만, 땜납이외의 재료도 이용 가능하다. 예컨대, 몇몇 전도성 접착제와 페이스트(paste)가 열경화성 플라스틱에 금속분말을 현탁시키는 것과 같은 것으로 제조하여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이용되는 금속분말은 통상, 은, 금, 구리 및 알루미늄이고 접착성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에폭시-형 수지이다. 이들 재료의 융점 및 특성은 공지된 바와 같다.
가용재료로서 땜납이 이용되는 응용에 대해서는, 접촉부의 가습(wetting) 및 청결을 위해 통상적으로 적절한 플럭스재료를 이용할 필요가 있음을 당업자는 잘알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는데 있어, 플럭스는 터미널이나 와이어에 미리 부착된 땜납과 플럭스의 혼합물의 일부이거나 또는 남땜시 분리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또한 통상적인 크림, 페이스트 또는 액체물 형상의 땜납-플러스 혼합물이 납땜시 접속위치에 가해질 수도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은 다중 터미널과 다중 전기도선사이에 동시적으로 다중 납땜접속부를 실행시키는 새로운 방법과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전기적 및 열적으로 통하는 터미널이 열에너지를 히터 몸체로 부터 접속위치에 보내고 그런 다음 히터몸체로부터 절단되어 각 납땜된 접속부에 대해 영구적인 부분으로서 남도록 한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다중 전기터미널을 다중 전기도선에 동시적으로 납땜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구현예들을 기술하였지만, 당업자들은 여기에 언급한 기술관점으로 보아 기타 다양한 변형예가 제시될 수도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에는 첨부도면에 관한 본 발명의 기술범위안에 모두 포함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다수의 전기도선과 다수의 전기터미널간의 복수 접속위치에 있는 미리 정해진 량의 가용성 도전재료를 충분한 열에너지로 녹이도록 해서 상기 다수의 도선과 터미널을 일제히 결합시키는 남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납땜장치가 적어도 상기 충분한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선택 작동형 히터몸체(10, 40, 50, 60, 70)로 구성되고, 상기 히터몸체는 비교적 낮은 전기저항률 및 비교적 낮은 자기도자율을 갖는 통전(通電) 가능한 제1재료로 된 기판(17, 27, 41, 51, 61)을 가지며, 상기 기판은 제1표면, 및 상기 제1표면의 최소한 일부분에 배치된 통전 가능한 제2재료의 얇은 표면층(19, 29, 43, 53, 63, 65)을 가지며, 상기 제2재료는 제1재료의 저항률보다 더 높은 전기 저항률을 가짐과 아울러 자신의 퀴리온도 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상기 비교적 낮은 자기도자율 보다는 크고 자신의 퀴리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비교적 낮은 자기도자율과 같은 자기도자율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전기 터미널(20, 21, 45, 71)은 상기 히터몸체의 구조적으로 일부분인 상태로 서로 열적으로 전도 가능한 관계로 있고; 상기 각 전기 터미널은, 상기 히터몸체를 작동시켜 상기 접촉위치를 한정하기 전에, 상기 각각의 전기도선(30)이 배치되는 땜납관(22, 23)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각 터미널(20, 21, 45, 71)은 상기 히터몸체(10, 40, 50, 60, 70)로부터 각각의 접속위치까지 통하는 각각의 열에너지 전도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도선과 터미널을 동시 결합시키는 납땜 장치.
KR1019890017348A 1988-11-29 1989-11-28 다수의 도선과 터미널을 동시에 결합시키는 납땜장치 KR0150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77361 1988-11-29
US07/277,361 US5032703A (en) 1988-11-29 1988-11-29 Self regulating temperature heater carrier str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720A KR900008720A (ko) 1990-06-03
KR0150443B1 true KR0150443B1 (ko) 1998-10-15

Family

ID=23060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7348A KR0150443B1 (ko) 1988-11-29 1989-11-28 다수의 도선과 터미널을 동시에 결합시키는 납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32703A (ko)
EP (1) EP0371630B1 (ko)
JP (1) JP2789117B2 (ko)
KR (1) KR0150443B1 (ko)
CA (1) CA1333086C (ko)
DE (1) DE6891366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1752A (en) * 1989-07-31 1995-06-06 The Whitaker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pin grid array and terminal for use therein
US5147223A (en) * 1990-09-21 1992-09-15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containing compon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288959A (en) * 1993-04-30 1994-02-22 The Whitaker Corporation Device for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opposed contact arrays
US5279028A (en) * 1993-04-30 1994-01-18 The Whitaker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pin grid array and terminal for use therein
US5357074A (en) * 1993-08-17 1994-10-18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interconnection device
US5357084A (en) * 1993-11-15 1994-10-18 The Whitaker Corporation Device for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contact arrays
KR100361888B1 (ko) * 1994-12-29 2003-0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공성및파우더특성이우수한열가소성충격보강제의제조방법
KR100339158B1 (ko) * 1994-12-30 2002-11-23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열가소성수지조성물의제조방법
US5519192A (en) * 1995-01-17 1996-05-21 Cardel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tively soldering electrical connector elements
DE19757612C1 (de) * 1997-12-23 1999-07-08 Siemens Ag Hybridschaltung mit einem System zur Wärmeableitung
EP0952628A1 (en) * 1998-04-20 1999-10-27 Alcatel Apparatus for soldering flat rectangular connectors and method using same
TW417339B (en) * 1998-12-11 2001-01-01 Hon Hai Precsion Industry Co L Trimming connection method for cables and the device thereof
WO2001048561A1 (fr) * 1999-12-28 2001-07-05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Appareil de fixation
DE10010935C1 (de) * 2000-03-06 2001-09-27 Daimler Chrysler Ag Kabelhalter für Fahrzeugstrukturen
US6800488B2 (en) * 2000-12-13 2004-10-05 Lifescan, Inc. Methods of manufacturing reagent test strips
KR100431452B1 (ko) * 2001-08-30 2004-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mbs)계 수지의제조방법
US20030234470A1 (en) * 2002-06-20 2003-12-25 Haan Stephen F. Embossing apparatus, method of use thereof and resulting article
GB0322047D0 (en) * 2003-09-20 2003-10-22 Heat Trace Ltd Method of processing parallel resistance electrical heating cable
US7256364B2 (en) * 2004-12-21 2007-08-14 Remy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simultaneous resistance brazing of adjacent conductor joints
US7316064B2 (en) * 2005-08-26 2008-01-0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Induction reflow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P1779954B1 (de) * 2005-10-26 2013-06-19 Zehnder Verkaufs- und Verwaltung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eizkörpers
US20090305583A1 (en) * 2008-06-09 2009-12-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pin
CN101308981A (zh) * 2008-07-11 2008-11-19 永泰电子(东莞)有限公司 一种运用红外线加热的焊接工艺及焊接装置
IT1392682B1 (it) * 2009-01-20 2012-03-16 Mecal S R L Procedimento di tipo migliorato per l'aggraffatura di terminali metallici su cavi elettrici e pressa per la realizzazione di questo procedimento
CN102856766B (zh) * 2012-09-28 2014-10-22 乐清市易捷通电子有限公司 一种冷压端子的生产方法及装置
CN108092015B (zh) * 2013-11-26 2020-03-06 申泰公司 缆线、缆线组件以及将缆线连接到基板的方法
CN103846517B (zh) * 2014-03-31 2016-04-13 东莞市德颖光电有限公司 一种全自动焊锡机
JP6784453B2 (ja) * 2016-08-05 2020-11-1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圧着電線の製造方法
KR20210114648A (ko) 2020-03-11 2021-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닐시안 화합물-공액디엔 화합물-방향족 비닐 화합물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9161A (en) * 1953-01-13 1956-08-14 Aircraft Marine Prod Inc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US3491426A (en) * 1968-04-05 1970-01-27 Raychem Corp Wire holding fixture
US3589591A (en) * 1969-08-06 1971-06-29 Ibm Bonding apparatus
US3750252A (en) * 1972-05-01 1973-08-07 Du Pont Solder terminal strip
US3820055A (en) * 1972-11-14 1974-06-25 Amp Inc Multi-contact connector and contact terminal for flat cable
US4701587A (en) 1979-08-31 1987-10-20 Metcal, Inc. Shielded heating element having intrinsic temperature control
ATE75350T1 (de) * 1982-12-01 1992-05-15 Metcal Inc Verbinder mit schmelzeinsatz und innerer temperatursteuerung.
US4717814A (en) * 1983-06-27 1988-01-05 Metcal, Inc. Slotted autoregulating heater
BR8506983A (pt) * 1984-10-17 1987-01-06 Amp Inc Processo e produto para terminacao com rasgo de solda selecionado
GB8509718D0 (en) * 1985-04-16 1985-05-22 Plessey Co Plc Adap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US4795870A (en) * 1985-06-18 1989-01-03 Metcal, Inc. Conductive member having integrated self-regulating heaters
US4788404A (en) * 1985-06-20 1988-11-29 Metcal, Inc. Self-soldering flexible circuit connector
US4814587A (en) * 1986-06-10 1989-03-21 Metcal, Inc. High power self-regulating he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32703A (en) 1991-07-16
CA1333086C (en) 1994-11-15
DE68913664D1 (de) 1994-04-14
DE68913664T2 (de) 1994-09-15
JPH02192875A (ja) 1990-07-30
EP0371630B1 (en) 1994-03-09
EP0371630A1 (en) 1990-06-06
KR900008720A (ko) 1990-06-03
JP2789117B2 (ja) 199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0443B1 (ko) 다수의 도선과 터미널을 동시에 결합시키는 납땜장치
EP0371646B1 (en) Self regulating temperature heater with thermally conductive extensions
US4659912A (en) Thin, flexible, autoregulating strap heater
US5010233A (en) Self regulating temperature heater as an integral part of a printed circuit board
US5336118A (en) Method of making a pin grid array and terminal for use therein
US5065501A (en) Generating electromagnetic fields in a self regulating temperature heater by positioning of a current return bus
EP0206620B1 (en) Self-heating, self-soldering bus bar
US4789767A (en) Autoregulating multi contact induction heater
US5167545A (en) Connector containing fusible material and having intrinsic temperature control
US4852252A (en) Method of terminating wires to terminals
US5357074A (en) Electrical interconnection device
KR0150444B1 (ko) 표면장착 코넥터의 복수개 터미널을 회로기판상의 접촉패드들에 결합시키는 장치
EP0241597A1 (en) Electrical circuit containing fusible material and having intrinsic temperature control
US5357084A (en) Device for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contact arrays
EP0177147A2 (en) Method of hermetically sealing a closure to a container to be subsequently unsealed for reopening
US5288959A (en) Device for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opposed contact arrays
EP0449790A2 (en) Induction welding station for contact inserting machines on hybrid circuit substrates or on traditional printed circuit cards
US4990736A (en) Generating electromagnetic fields in a self regulating temperature heater by positioning of a current return bus
US5421752A (en) Method of making a pin grid array and terminal for use therein
JP3450557B2 (ja) 端子付き電線及びそのはんだ付け方法
JP2002117953A (ja) 電気導体を接続する為の装置及びその方法
JPH038127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