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243B1 - 중장비의 가변용량형 주행모우터 감속토오크 증대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비의 가변용량형 주행모우터 감속토오크 증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243B1
KR0150243B1 KR1019940020982A KR19940020982A KR0150243B1 KR 0150243 B1 KR0150243 B1 KR 0150243B1 KR 1019940020982 A KR1019940020982 A KR 1019940020982A KR 19940020982 A KR19940020982 A KR 19940020982A KR 0150243 B1 KR0150243 B1 KR 0150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control
valve
line
pilot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0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철
박찬일
Original Assignee
석진철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철,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철
Priority to KR1019940020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243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중장비를 운행하던 도중 가속페달을 오프시키면 주행모우터의 내부 용적이 최소치로 줄어들지 않고, 적정 수준이상으로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주행모우터의 내부에 잔류해 있던 압유에 의해 감속토오크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적조절실린더(8)와 함께 연동작동 하면서 주행모우터(4)의 내부용적을 조절해 주는 용적조절밸브(9)의 파일롯체임버(10)에 용적조절릴리이프밸브(13)와 용적조절신호용밸브(14)가 파일롯라인(15)을 통해서 연결되고, 상기 용적조절신호용밸브(14)에는 중장비의 가속페달을 오프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파일롯신호 3이 입력되도록 되어, 상기 파일롯신호 3이 용적조절밸브(9)에 입력되어 용적조절실린더(8)를 조절해 줌으로써 감속토오크를 증대시켜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장비의 가변용량형 주행모우터 감속토오크 증대장치(AN APPARATUS FOR INCREASING REDUCTION TORQUE OF DRIVING MOTOR OF VARIABLE CAPACITY TYPE IN HEAVY EQUIPMENT)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행모우터 감속토오크 증대장치를 구체화한 개략적 유압회로도.
제2도는 종래의 주행모우터 감속토오크 증대장치에 대한 유압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펌프 2 : 컨트롤밸브
3 : 카운트밸런스밸브 4 : 주행모우터
5 : 연결라인 6 : 압유공급라인
7 : 경사판 8 : 용적조절실린더
9 : 용적조절밸브 10 : 파일롯체임버
11 : 셔틀밸브 12 : 용적조절라인
13 : 용적조절릴리이프밸브 14 : 용적조절신호용밸브
15 : 파일롯라인 16 : 첵크밸브
17 : 첵크라인 18 : 첵크밸브
19 : 오리피스
본 발명은 가변용량형 주행모우터를 사용하는 중장비의 감속토오크 증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속페달을 놓았을때 주행모우터의 용적이 급격하게 줄어 들지 않도록 함으로써 감속토오크가 증대되어지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을 사용하는 굴삭기등과 같은 중장비에 있어서는 주행모우터를 용적이 필요에 따라 변하는 가변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가속페달을 밟지 않는 상태로 이 가속페달을 오프시키면, 주행모우터로 공급되어지던 압유의 흐름이 차단되어지기 때문에 주행모우터의 용적이 최소로 되어 이 주행모우터 내부에 잔류해 있는 압유에 의해 얻어지는 감속토오크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감속토오크 역시 최소로 되게 되고, 이러한 주행모우터 자체의 감속토오크가 적으므로 인해, 관성에 의해 계속하여 회전하려하는 힘을 붙잡기 위해서 장비의 브레이크나 기타 다른 부위가 제동시킬때 가해지는 힘에 의해 무리한 저항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제2도의 종래의 중장비에서 사용하고 있는 유압회로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자면, 일반적으로 중장비에서 주행모우터(101)는 펌프(102)에서 발생하는 압유가 컨트롤밸브(103)와 카운트밸런스밸브(104)를 통해서 제어된 다음 압유공급라인(105)를 통해서 공급되어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행모우터(101)는 용적조절실린더(106)와 용적조절밸브(107)에 의해서 모우터(101)내부의 압유를 수용하는 용적이 조절되면서 압유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질때는 상기 압유의 수용용적에 따라 구동력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발생 되어 지기도 하고, 또한 압유를 공급하지 않을 경우에는 모우터 내부에 남아 있는 잔류 압유에 의해 제동력이 발생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모우터(101)의 용적조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용적조절밸브(107)와 용적조절실린더(106)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용적조절밸브(107)와 용적조절실린더(106)는 상기 컨트롤밸브(103)와 카운트밸런스밸브(104)를 서로 연결시키는 양쪽 연결라인(108)에 접속된 셔틀밸브(109)를 통해서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 작동 제어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가속페달을 놓으면, 상기 컨트롤밸브(103)를 절환 작동시키는 파일롯라인(110)에 파일롯압유가 공급되지 않게 되고, 이 파일롯압유가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컨트롤밸브(103)가 중립위치로 절환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카운트밸런스밸브(104)도 중립위치로 절환되어서, 상기 압유공급라인(105)에 주행모우터(101)를 작동시키기 위한 압유가 공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라인(108)에도 압유가 공급되어지지 않아 셔틀밸브(109)를 통해서 상기 용적조절밸브(107)와 용적조절실린더(106)에도 이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압유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주행모우터(101)에 더 이상 압유가 공급되어지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이 모우터(101)의 용적이 최소로 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로 인해 모우터(101)의 감속토오크가 최저 셋팅치로 하강하게 된다.
즉, 도시되지 않은 가속페달을 밟으면 파일롯펌프(도시 안됨)에서 토출되는 파일롯압유가 상기 컨트롤밸브(103)의 스푸울을 이동시키기 위해 파일롯신호 1, 2를 입력하게 되고, 이 파일롯신호 1 또는 2가 선택적으로 입력됨에 따라 상기 컨트롤밸브(103)이 이동하면서 압유의 방향을 절환시켜주게 되며, 상기 컨트롤밸브(103)를 통해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카운트밸런스밸브(104)의 스푸울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압유의 흐름을 제어해주게 된다.
그런데 가속페달을 오프시키면 상기 파일롯신호가 가해지지 않게 되어 상기 컨트롤밸브(103)의 스푸울이 중립위치로 절환됨에 따라 펌프(102)의 압유가 더 이상 공급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카운트밸런스밸브(104)도 중립위치로 절환되어서 펌프(102)의 압유가 공급되지 않게 됨과 더불어, 상기 용적조절밸브(107)와 용적조절실린더(106)에도 압유가 공급되어지지 않아 주행모우터(101)의 경사판(101a)을 조절해 주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주행모우터(101)는 제작시 설정된 최저치의 용적으로 줄어들어서 그 상태로 작동하게 되고, 용적이 적은 만큼 주행모우터(101)의 감속토오크도 줄어 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 문제점을 해소시켜,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오프시켜도 주행모우터의 용적이 최소치로 줄어들지 않고 소정의 용적을 갖도록 조절되어 감속토오크를 크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모우터 자체에서 충분한 감속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장비의 기타 관련 부분에 무리한 저항을 발생시키지 않아 부품에 무리가 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도록 한 중장비의 가변용량형 주행모우터의 감속토오크 증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주행모우터의 용적을 제어하기 위해 용적조절실린더로 공급되는 압유의 방향을 제어하는 용적조절밸브의 파일롯체임버에, 가속페달을 오프시킴에 따라 별도의 제 3 파일롯신호압이 인가되면서 상기 제 3 신호압의 압유가 용적조절용신호밸브와 용적조절용릴리이프밸브를 통해서 상기 용적조절밸브의 파일롯체임버로 주입되어져, 용적조절실린더를 작동시킴으로써 가속페달을 오프시키더라도 주행모우터의 용적이 적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이 주행모우터 내부에 잔류해 있는 압유에 의해 주행모우터의 감속토오크가 커지게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체화한 유압회로도로서, 펌프(1)에서 토출된 압유가 컨트롤밸브(2)와 카운트밸런스밸브(3)를 거쳐서 주행모우터(4)로 주입되어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밸브(2)와 카운트밸런스밸브(3)는 연결라인(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카운트밸런스밸브(3)와 주행모우터(4)는 압유공급라인(6)을 통해서 압유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행모우터(4)의 경사판(7)에는 이 모우터(4)의 내부 용적을 조절하기 위한 용적조절실린더(8)와 용적조절밸브(9)가 연결설치되어 있고, 상기 용적조절밸브(9)의 파일롯체임버(10)에는 상기 양쪽 연결라인(5)과 서로 연통되어 있으면서 이들 양쪽 연결라인(5)을 따라 유입되는 압유를 전해 받도록 되어 있는 셔틀밸브(11)와 용적조절라인(12)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용적조절밸브(9)의 파일롯체임버(10)에는 용적조절릴리이프밸브(13)와 용적조절신호용밸브(14)가 파일롯라인(15)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용적조절신호용밸브(14)에는 중장비의 가속페달(도시 안됨)을 오프시키면 파일롯신호 3이 입력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압유공급라인(6)은 주행모우터(4) 입구쪽에서 용적조절용 첵크밸브(16)가 구비된 첵크라인(17)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용적조절라인(12)에는 용적조절밸브(9)의 압유가 셔틀밸브(11)쪽으로 되돌아 가지 못하게 하는 역류방지용 첵크밸브(18)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일롯신호 3을 입력받는 파일롯라인(15)과 첵크라인(17) 및 상기 용적조절밸브(9)와 연결된 용적조절라인(12)은 서로 크로스 연결되어 연통되어지도록 되어 있고, 이 파일롯라인(15)이 첵크라인(17)과 연결되는 지점에서 부터 상기 용적조절라인(12)과 연결되는 지점 사이에 오리피스(19)가 설치되어 상기 용적조절밸브(9)의 파일롯체임버(10)로 주입되는 압유를 제어해 주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는, 중장비를 운행하던 중 운전자가 가속페달에서 부터 발을 뗌으로써 가속페달을 오프시키면, 상기 컨트롤밸브(2)의 스푸울을 작동시키기 위해 입력되는 파일롯신호 1과 2가 차단됨으로써 상기 컨트롤밸브(3)가 중립의 위치에 오게되어 펌프(1)의 압유가 더이상 공급되어지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카운트밸런스밸브(3)의 스푸울에도 파일롯압이 공급되어지지 않아 이 밸브(3)가 중립위치에 오게 되어 상기 주행모우터(4)에 펌프(1)에서 펌핑된 압유가 더 이상 공급되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파일롯라인(15)에는 가속페달을 오프시킴으로써 발생하는 파일롯신호 3이 입력되어서, 상기 용적조절신호용밸브(14)를 온 시키면서 상기 용적조절릴리이프밸브(13)를 통해 상기 용적조절밸브(9)의 파일롯 체임버(10)로 주입되어져 용적조절실린더(8)를 주행모우터(4)의 용적이 많아지는 쪽으로 이동시켜 주게 된다.
이러한 작동의 과정에서, 상기 주행모우터(4)가 감속될 때 그 배압을 일으키는 주행모우터(4) 내부의 압유는 상기 첵크라인(17)에 설치되어 있는 첵크밸브(16)를 통해서 첵크라인(17)으로 유입된 다음 다시 용적조절밸브(9)의 파일롯체임버(10)로 유입되어져 주행모우터(4)의 감속기능을 도와 주는 역할을 하게 되고, 또한 상기 첵크밸브(16)는 파일롯라인(15)을 거쳐서 입력되는 파일롯신호 3의 압유가 주행모우터(4)쪽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용적조절라인(12)에 설치된 첵크밸브(18)도 상기한 바의 다른 첵크밸브(16)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파일롯신호압 3이 다른쪽으로 누출되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행모우터(4)의 감속토오크가 상승되는 정도는 용적조절릴리이프밸브(13)의 설정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주행모우터(4)의 용적을 조절하여 필요한 적정한 량으로 조절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는 중장비의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오프시키는 동시에 주행모우터(4) 자체에 의해서 소정치이상의 감속토오크가 발생하기 때문에, 필요에 의해 중장비를 감속시키거나 정지시켜야 하는 경우에 브레이크에 의한 제동력을 크게 하지 않아도 쉽게 제동을 걸 수 있게 되므로 브레이크등을 비롯한 다른 부품에 지속적인 무리를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펌프(1)에서 토출된 압유가 컨트롤밸브(2)와 카운트밸런스밸브(3)를 거쳐서 주행모우터(4)로 주입되고, 상기 컨트롤밸브(2)와 카운트밸런스밸브(3)는 연결라인(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카운트밸런스밸브(3)와 주행모우터(4)는 압유공급라인(6)을 통해서 압유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한편, 상기 주행모우터(4)의 경사판(7)에는 이 모우터(4)의 내부 용적을 조절하기 위한 용적조절실린더(8)와 용적조절밸브(9)가 연결설치되어 있고, 상기 용적조절밸브(9)의 파일롯체임버(10)에는 상기 양쪽 연결라인(5)과 서로 연통되어 있으면서 이들 양쪽 연결라인(5)을 따라 유입되는 압유를 전해 받도록 되어 있는 셔틀밸브(11)와 용적조절라인(12)을 통해 연결된 중장비의 주행모우터(4) 구동용 유압회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적조절밸브(9)의 파일롯체임버(10)에 용적조절릴리이프밸브(13)와 용적조절신호용밸브(14)가 파일롯라인(15)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용적조절신호용밸브(14)에는 중장비의 가속페달을 오프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파일롯압신호 3이 입력되도록 되며, 이 파일롯신호 3이 용적조절밸브(9)에 입력되어 용적조절실린더(8)를 조절해 줌으로써 감속토오크를 증대시켜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가변용량형 주행모우터 감속토오크 증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모우터(4) 입구쪽의 양쪽 압유공급라인(6)이 용적조절용 첵크밸브(16)가 구비된 첵크라인(17)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용적조절라인(12)에는 용적조절밸브(9)의 압유가 셔틀밸브(11)쪽으로 되돌아 가지 못하게 하는 역류방지용 첵크밸브(1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가변용량형 주행모우터 감속토오크 증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신호 3을 입력받는 파일롯라인(15)과 첵크라인(17) 및 상기 용적조절밸브(9)와 연결된 용적조절라인(12)이 서로 크로스 연결되어 있고, 이 파일롯라인(15)이 첵크라인(17)과 연결되는 지점에서 부터 상기 용적조절라인(12)과 연결되는 지점사이에 오리피스(19)가 설치되어, 상기 용적조절밸브(9)의 파일롯체임버(10)로 주입되는 압유를 제어해 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가변용량형 주행모우터 감속토오크 증대장치
KR1019940020982A 1994-08-24 1994-08-24 중장비의 가변용량형 주행모우터 감속토오크 증대장치 KR0150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982A KR0150243B1 (ko) 1994-08-24 1994-08-24 중장비의 가변용량형 주행모우터 감속토오크 증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982A KR0150243B1 (ko) 1994-08-24 1994-08-24 중장비의 가변용량형 주행모우터 감속토오크 증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0243B1 true KR0150243B1 (ko) 1998-10-15

Family

ID=19391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0982A KR0150243B1 (ko) 1994-08-24 1994-08-24 중장비의 가변용량형 주행모우터 감속토오크 증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2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556B1 (ko) * 2006-12-22 2013-11-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휠 굴삭기의 제동 성능 향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556B1 (ko) * 2006-12-22 2013-11-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휠 굴삭기의 제동 성능 향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1769A (en) Control system for hydraulically driven vehicles
EP0735298B1 (en) Traveling control system for hydraulically driven vehicle
KR100296535B1 (ko) 유압모터의구동장치
US6499296B1 (en) Hydraulic circuit
KR0150243B1 (ko) 중장비의 가변용량형 주행모우터 감속토오크 증대장치
JP3768566B2 (ja) 油圧ポンプの吐出流量制御装置
JP4325851B2 (ja) Hst走行駆動装置
KR100218748B1 (ko) 중장비의 가변용량형 주행모우터의 감속토오크 상승장치
JP3978292B2 (ja) 走行駆動装置
US5088384A (en) Hydraulic actuator controlled by meter-in valves and variable pressure relief valves
EP1172565B1 (en) Hydraulic circuit for construction machine
JPH04285303A (ja) ロ−ドセンシング油圧回路
WO2006059711A1 (ja) ポンプ容量制御回路
JP2882998B2 (ja) 油圧モータの駆動回路
KR100203806B1 (ko) 지게차용 유압 시스템
JPH11210879A (ja) 油圧駆動車両の制御装置
JP2889002B2 (ja) 作業車両の走行油圧回路
JP3864595B2 (ja) リリーフ弁のリリーフ圧制御装置
JPH0337642B2 (ko)
JPS63203434A (ja) 走行モ−タの変速装置
JPH0444121B2 (ko)
JP2540574Y2 (ja) 油圧駆動走行装置
JP3739518B2 (ja) 油圧走行装置のブレーキ装置
KR970011610B1 (ko) 중장비의 로드센싱형 유압시스템
JPS631564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