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167B1 - 자동차의 록커 보강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록커 보강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167B1
KR0150167B1 KR1019950045583A KR19950045583A KR0150167B1 KR 0150167 B1 KR0150167 B1 KR 0150167B1 KR 1019950045583 A KR1019950045583 A KR 1019950045583A KR 19950045583 A KR19950045583 A KR 19950045583A KR 0150167 B1 KR0150167 B1 KR 0150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panel
service hole
reinforc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5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748A (ko
Inventor
백중현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45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167B1/ko
Publication of KR970026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1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방 사이드패널(10)과 후방 사이드패널(20)의 각각의 단부가 상호 적층 결합되는 록커패널 부위에 배치되며, 일측은 전방 사이드패널(10)상에 고정되고 타측은 후방 사이드패널(20)상에 고정되며 용접용 서비스홀(40)이 형성되는 제1보강부(30)와, 상기 제1보강부(30)의 일측에서 직각방향으로 돌출구성되고 사이드 임팩트 공간을 매립하며 용접용 서비스홀(52)이 형성되는 제1보강부(50)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록커 보강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보강부(20)의 서비스홀(40)의 일측부에는 제1충격흡수부(32)가 굴곡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상기 제1충격흡수부(22)에 상응하는 제2충격흡수부(34)가 글곡형성되며, 상기 제2보강부(50)의 서비스홀(52)의 전체 주변에는 4각 중공형 단면의 보강림(54)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각각의 보강부에 형성된 용접용 서비스홀 주변의 강도가 향상되어 록커 보강구 자체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동시에 충격 및 소음의 흡수 또는 완충 영역의 증대로 인해 충격 및 소음방지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록커 보강구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측면도.
제2도는 종래 자동차의 록커 부위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록커 보강구의 실시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록커 보강구의 실시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면 사이드패널 20 : 후면 사이드패널
22 : 제1충격 흡수부 24 : 제2충격 흡수부
30 : 제1보강부 32 : 제1절곡부
34 : 제2절곡부 50 : 제2보강부
52 : 서비스홀 54 : 보강림
본 발명은 자동차의 록커 보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전면 사이드패널과 후면 사이드패널이 서로 교차, 적층되어 고정되는 록커 보강구에 형성되는 서비스홀의 주변을 확장 및 보강하여 록커 보강구 자체뿐아니라 록커패널 전체를 더욱 효과적으로 보강하기 위한 자동차의 록커 보강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충돌시 탑승자와 차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안전장치가 장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안전장치 및 구조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자동차의 양측면 하부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커패널(1)이 제공되어있어 자동차의 정면 또는 측면 충돌시 충격으로부터 차체에 강성을 부여하는 바, 이같이 록커패널(1)에는 전방 사이드패널과 후방 사이드패널의 각각의 하단부가 배치되며, 이들 각각의 패널의 각각의 단부는 제2도에 부분적으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겹치기 용접되어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록커패널을 구비함으로써 자동차가 전면 또는 측면으로부터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차체의 보호에 기여하고 있으나.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전방 사이드패널과 후방 사이드패널을 고정하고 있는 용접부위가 쉽게 떨어짐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같은 전, 후방 사이드 패널을 상호 견고하게 결합 및 고정시키기 위해 록커 보강판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같은 록커 보강판은 전체적으로 평판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자체강도가 약함은 물론, 특히 그 록커 보강판에 형성된 용접용 서비스홀 부분이 취약부로 되어 록커패널의 접합부를 효과적으로 보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의 전방 및 후방 사이드패널의 결합부에 제공되는 록커보강구의 자체강도 및 록커패널 전체의 강도를 증대시켜 자동차의 차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록커 보강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자동차의 전방 사이드패널과 후방 사이드패널의 각각의 단부가 상호 적층 결합되는 록커패널 부위에 배치되며, 일측은 전방 사이드패널상에 고정되고 타측은 후방 사이드패널상에 고정되며 용접용 서비스홀이 형성되는 제1보강부와, 상기 제1보강부의 일측에서 직각방향으로 돌출구성되고 사이드 임팩트 공간을 매립하며 용접용 서비스홀이 형성되는 제2보강부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록커 보강구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의 용접용 서비스홀의 일측부에는 제1충격흡수부가 굴곡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상기 제1충격흡수부에 상응하는 제2충격흡수부가 글곡형성되며, 상기 제2보강부의 용접용 서비스홀의 전체 주변에는 4각 중공형단면의 보강림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록커 보강구에 의하면 제1보강부가 록커 부위의 결합력을 높일 뿐만 아니라 제2보강부가 측면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함은 물론, 특히 록커 보강구 자체의 강성이 증대됨으로써, 자동차의 충격에 대한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전방 사이드패널(10)과 후방 사이드패널(20)이 상호 접합되는 록커패널 부위를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제3도 및 제4도에 상세하게 나타난 바와 같이 두 패널이 적층되어 용접되는 부위에는 제1보강부(30)가 배치된다.
즉, 상기 제1보강부에 일측부는 전방 사이드패널(10)상에 고정되고 타측은 후방 사이드패널(20)상에 고정되기 때문에, 전방 사이드패널(10)과 후방 사이드패널(20)의 고정력을 중대시킨다. 본 발명에서 각각의 패널(10,20)간의 고정 및 제1보강부(30)와 패널 사이의 고정은 통상의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할 수 있으나, 용접에 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제1보강부(30)의 대략 중앙부에는 용접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해서 서비스홀(40)이 형성되어 있어, 이 서비스홀(40)을 통해서 수작업 또는 로봇에 의한 용접에 의해 각각의 패널(10:20)간 또는 각각의 패널과 보강부(30)간의 용접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서비스홀(40)의 주변에는 자동차의 충돌시 그 충격력을 더 넓은 범위에서 흡수 및 완충할 수 있도록, 그 서비스홀(40)의 일측부에는 제1충격흡수부(32)가 굴곡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제1충격흡수부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제2충격흡수부(34)가 굴곡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록커 보강구의 제1보강부(30)의 일측에는 직각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사이드 임팩트 공간을 매립하는 제2보강부(5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2보강부(50)는 임팩트 공간을 매립하는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보강부(50)는 측방으로부터의 충격력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제2보강부(50)에도 용접용 서비스홀(52)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서비스홀(52)의 주변 전체에는 제2보강부의 자체 강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그 제2보강부(50)에 집중되는 충격을 흡수 및 완충하기 위해 사각중공단면을 갖는 보강림(54)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록커 보강구에 의하면, 자동차의 전방 사이드패널과 후방 사이드패널 간의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켜 자동차의 정면 또는 측면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력에 저항하는 강도가 현저히 증대됨은 물론, 특히 각각의 보강부에 형성된 용접용 서비스홀 주변의 강도가 향상되어 록커 보강구 자체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동시에 충격 및 소음의 흡수 또는 완충 영역의 증대로 인해 충격 및 소음방지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전방 사이드패널(10)과 후방 사이드패널(20)의 각각의 단부가 상호 적층 결합되는 록커패널 부위에 배치되며, 일측은 전방 사이드패널(10)상에 고정되고 타측은 후방 사이드패널(20)상에 고정되며 용접용 서비스홀(40)이 형성되는 제1보강부(30)와, 상기 제1보강부(30)의 일측에서 직각방향으로 돌출 구성되고 사이드 임팩트 공간을 매립하며 용접용 서비스홀(52)이 형성되는 제2보강부(50)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록커 보강구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30)의 서비스홀(40)의 일측부에는 제1충격흡수부(32)가 굴곡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상기 제1충격흡수부(32)에 상응하는 제2충격흡수부(34)가 글곡형성되며, 상기 제2보강부(50)의 서비스홀(52)의 전체 주변에는 4각 중공형 단면의 보강림(54)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록커 보강구.
KR1019950045583A 1995-11-30 1995-11-30 자동차의 록커 보강구 KR0150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5583A KR0150167B1 (ko) 1995-11-30 1995-11-30 자동차의 록커 보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5583A KR0150167B1 (ko) 1995-11-30 1995-11-30 자동차의 록커 보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748A KR970026748A (ko) 1997-06-24
KR0150167B1 true KR0150167B1 (ko) 1998-09-15

Family

ID=19437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5583A KR0150167B1 (ko) 1995-11-30 1995-11-30 자동차의 록커 보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16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748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8365B2 (ja) 移動体用緩衝装置
KR0150167B1 (ko) 자동차의 록커 보강구
JP5234324B2 (ja) 車両の車体構造
JPH08216923A (ja) 自動車のセンタピラー構造
KR0179630B1 (ko) 범퍼의 패시아 장착용 보조브래킷
KR200171468Y1 (ko) 자동차용 범퍼의 임팩트 빔 보강구조
KR100333886B1 (ko) 자동차의 프런트 프레임의 충돌에너지 흡수구조
KR0124372Y1 (ko) 자동차의 측면충격에 의한 플로워 사이드 판넬의 회전 방지구조
WO2020256042A1 (ja) フレーム構造
JP4349330B2 (ja) 車体構造
KR100214699B1 (ko) 차량 프런트 범퍼의 보강구조
KR0123501Y1 (ko) 차량의 전면 라디에이터 써포트용 프레임 구조
KR100391659B1 (ko) 자동차의 전방차체구조
KR100342608B1 (ko) 보강부재를 가지는 자동차 프레임
KR200197871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KR100522481B1 (ko) 차량의 범퍼 고정 구조
KR200187476Y1 (ko) 자동차의 루프사이드레일 구조
KR200197875Y1 (ko) 자동차의 리어멤버 보강구조
KR0139446B1 (ko) 차량용 도어 패널의 구조
KR200187474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구조
KR100394706B1 (ko) 자동차의 리어범퍼 보강구조
KR0134643Y1 (ko) 자동차 실사이드 보강구조
KR200187475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구조
KR19990034198A (ko) 차량용 도어의 구조
KR200210033Y1 (ko) 자동차의 차체 보강용 프레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