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375B1 - 승강 가능한 루버를 갖는 공조기기 - Google Patents

승강 가능한 루버를 갖는 공조기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375B1
KR0149375B1 KR1019960003797A KR19960003797A KR0149375B1 KR 0149375 B1 KR0149375 B1 KR 0149375B1 KR 1019960003797 A KR1019960003797 A KR 1019960003797A KR 19960003797 A KR19960003797 A KR 19960003797A KR 0149375 B1 KR0149375 B1 KR 0149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main body
screw shaft
air conditione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586A (ko
Inventor
이부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03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9375B1/ko
Publication of KR970062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3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가능한 루버를 갖는 공조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처리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를 갖는 루버부와; 상기 루버부와 상기 본체부사이에 개재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측의 숫나사부에 맞물리는 너트부재 및 상기 스크류축을 정역구동하여 상기 루버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승강 시키는 구동모터를 갖는 승강기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공간을 냉방 혹은 난방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승강 가능한 루버를 갖는 공조기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가능한 루버를 갖는 공조기기의 부분후면사시도.
제2도는 스크류축과 안내관의 축선을 통과하는 확대단면도로서 루버부의 승강상태를 나타내며,
제3도는 제2도의 루버부 하강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공조기기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부 2 : 루버부
3 : 연결부 4 : 본체브래킷
5 : 하부브래킷 6 : 상부브래킷
7 : 칼럼지지부 8 : 스크류축
9 : 너트축 10 : 안내봉
11 : 안내판 12 : 구동모터
13 : 베어링 14 : 커플링
본 발명은 승강 가능한 루버를 갖는 공조기기에 관한 것이다.
공조기기는 흡입부로 유입된 공기를 일련의 순환과정을 거쳐 처리하여, 기기의 전면을 향하여 설치된 루버를 통하여 처리된 공기 즉 냉기 혹은 온기로 토출한다.
제4도는 종래의 공조기기의 사시도로서, 본체(21)의 하부측에 공기흡입부(23)와 상부측에 루버(22)가 마련되어 있다. 루버(22)에는 수직방향이 풍향조절을 위한 수직풍향조절판(24)과 수평방향의 풍향조절을 위한 수평풍향조절판(25)이 설치되어, 이들의 회동각도 위치에 따라 수직 또는 수평방향에서의 송풍방향을 결정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기기에서, 루버는 일반적으로 공조기기의 본체에 일체로 고정되어 높이의 변동이 불가능하며, 수직 풍향조절판과 수평풍향조절판만을 가지고 이들의 회동각도에 따라 수직 및 수평방향에서의 송풍방향을 결정하기 때문에, 냉방 혹은 난방될 실내공간의 크기나, 그 공간내이 인원, 가구 혹은 설비의 배치구조에 따라 냉기 혹은 온기를 효율적으로 대류시키지 못한다.
예를 들어, 실내공간이 비교적 높을 경우, 효율적인 대류를 위해서는 냉풍시 루버의 토출구가 높게 위치 하도록 하고, 온풍시는 토출구가 비교적 아래에 위치하도록 루버의 높이를 변경 가능하다면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공간을 냉방 혹은 난방할 수 있도록 루버의 토출구 높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한 공조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루버부를 갖는 공조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루버부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본체부와 상기 루버부 중 타측에 고정되어 상기 스크류축의 숫나사부에 맞물리는 너트부재와; 상기 스크류축을 정역구동하여 상기 루버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승강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루버부 사이에는 상기 스크류축과 평행하게 관상으로 설치되어 본체부에 대한 루버부의 승강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관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내관은 한 쌍을 이루어 각각 상기 본체부와 상기 루버부에 설치되며, 각각 상이한 단면 크기로 형성되어 상호 맞물리도록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가능한 공조기기의 부분후면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공조기기는 전면에 공기흡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공기 처리용 시스템이 내장된 본체부(1)와, 본체부에서 처리된 공기 즉, 냉기 또는 온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진 상부의 루버부(2) 및 본체부(1)와 루버부(2) 사이에서 루버부(2)이 하단부로부터 본체부(1)를 향하여 연장된 연결부(3)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1)이 후면에는 가로방향으로 내향 돌출된 본체브래킷(4)의 중앙영역에 수직상방으로 연장된 스크류축(8)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스크류축(8)에 대응하여 루버부(2)에는 역시 내향 돌출한 하부브래킷(5) 및 상부브래킷(6)에 지지되어 스크류축(8)과 맞물리는 너트축(9)이 설치되어 있다. 스크류축(9)의 양측에는 스크류축(8)에 평행하게 한 쌍의 안내봉(10)이 설치되어 있고, 이 안내봉(10)은 루버부에 마련된 안내관(11)내에 구속되어 승강가능하다.
제2도는 스크류축과 안내관의 축선을 통과하는 확대단면도로서 루버부의 승강상태를 나타내며, 제3도는 제2도의 루버부 하강상태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스크류축(8)은 그 하부영역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칼럼지지부(7)를 가지며, 이에 의해 트러스트베어링(13)을 개재하여 본체브래킷(4)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스크류축(8)은 그 하단부가 정역구동 가능한 구동모터(12)의 구동축에 커플링(14)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 이 구동모터(12)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루버부(2)의 후면에서 본체부(1)의 본체브래킷(4)과 평행하게 내향돌출한 상부브래킷(6)과 하부브래킷(5)의 사이에 고정설치된 너트축(9)는 내부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하부브래킷(5)을 통과하여 삽입된 스크류축(8)과 맞물리며, 스크류축(8)의 정역회동에 따라 승강한다. 너트축(9)의 승강함에 따라 너트축(9)이 고정된 루버부(2)도 승강하게 된다.
스크류축(8)의 좌측 및 우측에 스크류축(8)과 평행하도록 본체브래킷(7)으로부터 하부브래킷(8)까지의 상향연장된 안내봉(10)은 너트축(9)이 좌측 및 우측에 상부브래킷(6)과 하부브래킷(8) 사이에 고정된 안내관(11)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들 안내판(11)과 안내봉(10)은 스크류축(8)의 회전에 이해 루버부(2)가 승강할 때 그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구성에 의해서, 외부조작이나 내부제어에 대해 구동모터(12)가 스크류축(8)을 회전구동 시키면, 스크류축(8)의 회전운동은 스크류축(8)이 숫나사부에 맞물리는 너트축(9)의 상하왕복운동으로 전환되어, 이에 따라, 루버부(2)는 승강하게 되며, 연결부(3)도 루버부(2)와의 일체승강에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연결부(3)는 루버부(2)의 승강에 의해 드러날 수 있는 본체부(1)로부터이 배관이나 배선을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
루버부(2)의 승강은, 필요시 조작자에 의해 수동조작 되거나 혹은 내부제어에 의해 연속자동승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양측의 안내봉과 그에 부속된 안내관은 상호 직경 혹은 단면형상을 달리 함으로써, 조립 혹은 설치상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 가능한 루버부를 갖는 공조기기에 의해, 냉기 혹은 온기 토출을 위한 루버부 높이의 다양한 조절이 가능하여, 공조기기에 의한 냉방 혹은 난방시 대류효율을 높여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3)

  1.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루버부를 갖는 공조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루버부 중 어느 일측을 설치되는 스크류축과; 상기 본체부와 상기 루버부 중 타측에 고정되어 상기 스크류축의 숫나사부에 맞물리는 너트부재와; 상기 스크류축을 정역구동하여 상기 루버부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승강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루버부 사이에 상기 스크류축에 평행하게 적어도 한 개 설치되어, 상기 루버부와 승강을 안내하는 관상의 안내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은 한 쌍을 이루어 각각 상기 본체부와 상기 루버부에 설치되며, 각각 상이한 단면 크기로 형성되며 상호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
KR1019960003797A 1996-02-16 1996-02-16 승강 가능한 루버를 갖는 공조기기 KR0149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3797A KR0149375B1 (ko) 1996-02-16 1996-02-16 승강 가능한 루버를 갖는 공조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3797A KR0149375B1 (ko) 1996-02-16 1996-02-16 승강 가능한 루버를 갖는 공조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586A KR970062586A (ko) 1997-09-12
KR0149375B1 true KR0149375B1 (ko) 1998-11-02

Family

ID=1945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797A KR0149375B1 (ko) 1996-02-16 1996-02-16 승강 가능한 루버를 갖는 공조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93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397B1 (ko) * 2004-03-12 2007-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431751B1 (ko) * 2008-11-19 201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397B1 (ko) * 2004-03-12 2007-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431751B1 (ko) * 2008-11-19 201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586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0677B1 (ko) 공기조화기
JP4994496B2 (ja) 送風装置
CN108800328B (zh) 柜式空调室内机
CN116300719A (zh) 空调机的室内单元
KR0149375B1 (ko) 승강 가능한 루버를 갖는 공조기기
CN110578968A (zh) 落地式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1108496C (zh) 空调器的传感器组件、利用该组件的气流控制装置
KR940007838Y1 (ko) 에어콘의 송풍장치
CN2383023Y (zh) 多功能双筒循环热风谷物烘干机
KR0149928B1 (ko) 공기조화기
KR100567808B1 (ko) 에어컨의 오토셔터 작동장치
KR0149374B1 (ko) 승강 가능한 루버를 갖는 공조기기
KR10075895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9798594B (zh) 送风结构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10075894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0601954U (zh) 落地式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0150079B1 (ko) 에어콘의 공기토출구 승강장치
KR101917872B1 (ko) 자동 풍향 가이드가 구비된 냉풍건조장치
KR10068818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8818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20506915U (zh) 风管机
CN210548674U (zh) 一种汽车铜散热器钎焊链带式焙烧炉
CN210663949U (zh) 一种改进型真空炉方形加热室冷却系统
KR100484915B1 (ko)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용 수직 블레이드의 수동 조절 구조
CN218377918U (zh) 一种可调限位的执行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