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751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751B1
KR101431751B1 KR1020080115274A KR20080115274A KR101431751B1 KR 101431751 B1 KR101431751 B1 KR 101431751B1 KR 1020080115274 A KR1020080115274 A KR 1020080115274A KR 20080115274 A KR20080115274 A KR 20080115274A KR 101431751 B1 KR101431751 B1 KR 101431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guide
port unit
cov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6208A (ko
Inventor
유희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5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751B1/ko
Priority to CN2009100084453A priority patent/CN101737922B/zh
Publication of KR20100056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부에 상면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상면 개구부를 통해 승강되게 배치되며, 공기토출통로가 형성되고, 상면 및 후면이 개방된 전장실을 갖는 토출구 바디와, 상기 전장실의 상면 및 후면을 덮도록 절곡된 커버를 포함하는 토출구 유닛,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 유닛을 승강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 및 상기 토출구 유닛을 승강시키는 토출구 유닛 승강기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토출구 유닛에 설치되는 전장부품의 수리를 위해서 토출구 유닛을 본체의 상부에서 분리하지 않고, 토출구 유닛의 커버만을 분리하여 토출구 유닛의 전장부품 등을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 승강 가이드 마운트, 승강 가이드, 토출구 유닛, 커버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토출구 유닛 내부의 전방부품들의 서비스 편의를 위해서 본체의 상부에 승강되는 토출구 유닛의 상면과 후방을 함께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위해서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 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공기조화기에는 공조전의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와 공조후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공기 토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공기조화기 본체의 상부에 승강되도록 배치되는 토출구 유닛을 구비하고, 공기조화기의 작동시에는 토출구 유닛이 상승되면서 공조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고, 공기조화기가 작동을 하지 않는 경우 본체의 내부로 토출구 유닛이 삽입되면서 본체의 상부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가 작동을 하지 않는 경우 공기조화기의 외관에 공기토 출부가 노출되어 않아서 미감상 우수하고, 공기조화기 미작동시 공기토출부를 통하여 외부의 이물질 등이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구 유닛에는 풍향조절루버, 구동기구 등을 제어하는 전장부품이 설치된다. 그리고 종래의 토출구 유닛의 경우 상기 전장부품 등이 고장이 나는 경우 전장부품의 수리 및 교체를 위해서 토출구 유닛 자체를 분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토출구 유닛의 상면 및 후방을 개방된 전장실을 구비하고, 상기 전장실의 상면과 후면을 덮도록 절곡 형성된 커버를 이용하여 전장실을 덮도록 하여 전장실에 배치되는 전장부품의 수리가 편리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장실의 공간중 전장부품이 차지하는 공간을 제외한 공간을 이용하여 커버가 토출구 유닛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부와 형합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장실의 공간 중 전장부품이 차지하는 공안을 제외한 공간을 이용하여 토출구 유닛의 안정적인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와 리어가이드가 형성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부에 상면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상면 개구부를 통해 승강되게 배치되며, 공기토출통로가 형성되고, 상면 및 후면이 개방된 전장실을 갖는 토출구 바디와, 상기 전장실의 상면 및 후면을 덮도록 절곡된 커버를 포함하는 토출구 유닛,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 유닛을 승강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 및 상기 토출구 유닛을 승강시키는 토출구 유닛 승강기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승강가이드의 후판부 내측면에는 토출구 유닛의 승강을 안내하는 리어 가이드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에서 하향 절곡된 후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판부에는 상기 리어 가이드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안내되는 안내부가 후판부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 바디에는 상기 안내부를 둘러싸면서 지지하는 형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 유닛 승강기구는 상기 토출구 유닛을 승강시키는 구동부, 구동부에 의해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는 렉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가이드에는 상기 렉기어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렉기어 설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가이드와 상기 안내부는 좌, 우 이격된 복수 세트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는 상면에 개구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개구홀를 덮는 서비스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토출구 유닛에 설치되는 전장부품의 수리를 위해서 토출구 유닛을 본체의 상부에서 분리하지 않고, 토출구 유닛의 커버만을 분리하여 토출구 유닛의 전장부품 등을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다.
둘째, 토출구 유닛 내부에 전장부품이 차지하는 공간을 제외한 부분에 토출구 유닛과 커버를 결합할 수 있는 안내부와 형합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토출구 유닛의 크기를 슬림화하면서 커버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고, 커버가 토출구 유닛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셋째, 토출구 유닛 내부에 전장부품이 차지하는 공간을 제외한 부분을 이용하여 토출구 유닛의 안정적인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부와 리어가이드가 형성된다. 따라서 토출구 유닛의 크기를 슬림화하면서 토출구 유닛이 승강가이드 상을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의 상승시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실시예의 토출구 유닛과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체(2)는 사용자가 냉방 또는 난방을 원하는 장소에 위치한다. 그리고 공기 흡입부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본체(2) 내부에서 열교환을 시켜 흡입 공기를 냉방 또는 난방 시킨 후, 공기 토출부를 통하여 다시 본체(2)의 외부로 토출된다.
본체(2)의 상면에는 상면 개구부(2a)가 형성된다. 상면 개구부(2a)는 후술하는 승강가이드 마운트(140), 승강가이드(150) 및 토출구 유닛(100)에 의해서 덮여진다. 그리고 토출구 유닛(100)은 상면 개구부(2a)를 통하여 승강을 하면서 공조된 실내공기를 본체(2) 외부로 토출한다.
그리고 본체(2)에는 공기흡입부가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토출구 유닛(100)외에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공기토출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가이드 마운트, 승강 가이드, 토출구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승강 가이드 마운트(140)는 본체(2)의 상면 개구부(2a)의 일부를 덮으면서 후술하는 승강가이드(150)를 안착시킨다. 그리고 승강 가이드 마운트(140)의 내측에는 승강 가이드(150)의 안착을 유도하는 유도 가이드(142)가 돌출 형성되고, 후술하는 승강 가이드(150)의 유도 가이드 삽입부(152b)에 끼워진 다. 따라서 승강 가이드(150)를 승강 가이드 마운트(140)에 삽입시키면서 결합시킬 때, 승강 가이드(140)의 안착을 유도하면서 용이하게 결합을 할 수 있다.
승강 가이드(150)는 본체(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 유닛(110)의 승강을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승강 가이드(150)는 승강 가이드 마운트(140)에 삽입되면서 안착된다. 그리고 승강 가이드 마운트(140)와 함께 본체(2)의 개구부(2a)의 일부를 덮도록 위치할 수 있다.
승강 가이드(150)의 후판부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토출구 유닛(110)의 승강을 안내 리어 가이드(152)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리어 가이드(152)에는 후술하는 토출구 유닛 승강기구(160)의 렉기어(161)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렉기어 설치부(152a)가 형성된다. 그리고 렉기어 설치부(152a)의 후방에는 승강 가이드 마운트(140)의 유도 가이드(142)가 끼워지는 유도가이드 홈(152b)이 형성된다.
도10은 본 실시예의 승강가이드(150)와 승강 가이드 마운트(140)의 결합시 후판부의 단면도이다. 도10을 참조하면, 승강 가이드(150)의 후판부는 전방으로 함몰 형성된 리어 가이드(152)가 형성되고, 리어 가이드(150)의 후방에는 유도 가이드(142)가 삽입되는 유도 가이드 홈(152b)이 형성되고, 유도 가이드 홈(152b)의 전방에는 렉기어(161)가 삽입되는 렉기어 설치부(152a)가 형성된다. 그리고 렉기어 설치부(152a)의 전면은 렉기어(161)와 피니언 기어(163)가 치합을 할 수 있도록 개구 형성된다.
따라서 승강 가이드(150)에 리어 가이드(152)를 형성하여 승강가이드(150)의 승강가이드 마운트(140)에 안착을 유도하면서 토출구 유닛 승강 기구(160)의 렉 기어(161)를 설치하여 본체(2) 내부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키면서 승강 가이드(140)와 승강 가이드 마운트(140)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 가이드(150)의 내측면에는 토출구 유닛(110)의 승강을 안내하는 플레이트(156)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 가이드(140)의 좌, 우측 내측면에 각각 플레이트(156)가 설치된다. 그리고 각 플레이트(156)는 후술하는 토출구 바디(110)의 이동 레일 고정부(121)에 고정되는 이동 레일(125)에 삽입되고, 이동 레일(125)는 플레이트(152)를 따라 상, 하 이동하게 된다.
토출구 유닛(100)은 승강 가이드(150)에 삽입되면서 설치된다. 그리고 승강 가이드(150)에 의해 안내되면서 토출구 유닛 승강기구(160)에 의해 본체(2)의 상면 개구부(2a)를 통하여 승강되게 배치된다.
토출구 유닛(100)는 토출구 바디(120)와 커버(110)를 포함한다.
토출구 바디(120)는 저면과 전면이 개방되고 본체(2)에서 공조된 공기가 저면에서 흡입되어 전면으로 토출되도록 형성된 공기토출통로(127)를 포함한다. 그리고 토출구 바디(120)는 공기토출통로(127)의 상면 및 후면에 전장부품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으로 형성된 전장실(128)을 포함한다. 그리고 공기 토출 통로(127)와 전장실(128)은 상부 구획판(127a)와 후방 구획판(127b)의 의해서 구획된다.
공기 토출 통로(127)는 토출구 바디(120)의 개방된 저면과 전면 및 상부 구획판(127a)와 후방 구획판(127b)에 의해서 형성된다. 그리고 저면에서 흡입되어 전면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수평루버(134)와 수직루버(132)가 설치되는 루버 서포터(130)가 설치된다.
전장실(128)은 상부 구획판(127a)의 상부와 후방 구획판(127b)의 후방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간은 후술하는 커버(110)에 의해서 덮이게 된다. 전장실(128)에는 인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모듈(124)과 토출구 유닛(100)에 설치된 센서나 모터 등의 전장부품들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123)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센서 모듈(124)은 상부 구획판(127a)의 상면에 위치하고, 컨트롤 박스(123)는 하부 구획판(127b)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토출구 바디(120)의 후방 구획판(127a)에는 후술하는 커버(110)에 형성된 안내부(113)를 둘러싸면서 지지하는 형합부(122)가 형성된다. 형합부(122)는 후방 구획판(127b)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된 한 쌍의 리브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격된 거리는 안내부(113)의 두께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안내부(113)가 형합부(122)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2개의 형합부(122) 사이의 공간에는 컨트롤 박스(123)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컨트롤 박스(123)가 위치하는 공간을 활용하면서 커버(110)와 토출부 바디(120)의 결합시 커버(110)의 결합을 안내하면서 토출구 바디(120)와 커버(110)가 견고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컨트롤 박스(123)는 전장실의 후방을 통하여 형합부(122)의 사이의 공간에 결합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커버(110)를 토출구 바디(120)에선 분리한 후 컨트롤 박스(123)를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토출구 바디(110)의 하부에는 상기 설명한 레일(125)이 고정되는 레일 고정부(121)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고, 레일 고정부(121)에 레일(125)이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레일(125)는 승강 가이드(150)의 내측에 설치되는 플레이 트(156)와 결합되어 플레이트(156)상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토출구 유닛(100)의 승강 가이드(150) 상의 승강운동을 안내한다.
커버(110)는 상부 구획판(127a)와 후방 구획판(127b)의 상면과 후방에 형성되는 전장실(128)을 덮도록 절곡 형성된다. 즉 커버(110)은 상부 구획판(127a)의 상부를 덮는 상판부(111)와 상판부(111)에서 하향 절곡된 후판부(114)를 포함한다. 그리고 후판부(114)는 후방 구획판(127b)의 후방을 덮도록 형성된다.
상판부(111)은 토출구 유닛(100)이 본체(2) 내부로 삽입된 경우 본체(2)의 상면 개구부(2a)의 일부를 덮는다. 그리고 상판부(111)에는 적외선 센서 모듈(124)와 컨트롤 박스(123)의 서비스를 위한 개구홀(111a)이 형성되고 개구홀(111a)은 서비스 패널(112)에 의해서 덮인다. 결국 본체(2)의 상면 개구부(2a)는 승강 가이드 마운트(140), 승강 가이드(140), 상판부(114) 및 서비스 패널(112)에 의해서 완전히 덮이게 된다(도4참조).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판부(111)와 서비스 패널(112)는 다양한 체결수단에 위해서 결합될 수 있다.
후판부(114)에는 승강 가이드(150)의 리어 가이드(15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안내되는 안내부(113)가 후판부(114)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후판부(114)의 후방에서 후반부(114)의 전방으로 함몰 형성되고, 리어 가이드(152)는 상기 함몰 형성된 안내부(113)의 내측으로 끼워지면서 결합을 하게 된다. 안내부(113)의 하부는 후판부(114)의 밑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토출구 유닛(100)이 승강 가이드(150)에서 완전히 상승한 경우에도 리어 가이드(152)의 상부는 안내부(113)에 끼워져 있게 된다. 결국 토출구 유닛(100)이 토출구 유닛 승강 기구(160)에 의해 승강하는 경우, 토출구 유닛(100)의 승강 움직임은 리어 가이드(15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안내부(113)에 의해서 안내되게 된다.
결국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110)가 절곡된 형상으로 토출구 바디(120)의 상면과 후면을 덮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토출구 유닛(100)의 상승시 토출구 유닛(100) 후방에 일체감을 줄 수 있어서 미감상 우수하다. 그리고 토출구 바디(120)의 후방에서 결합되는 컨트롤 박스(123)의 수리 및 교체를 위해서 토출구 유닛(100) 전체를 본체(2)에서 분리하지 않고 커버(110)만을 토출구 바디(120)에서 분리하여 서비스를 할 수 있다.
토출구 유닛 승강 기구(160)은 토출구 유닛(100)을 본체(2)의 상부로 이동시키거나 본체(2)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토출구 유닛 승강 기구(160)은 렉기어(161), 피니언 기어(166) 및 구동부(165)를 포함한다.
서로 치합되는 렉기어(161)와 피니언 기어(166)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좌, 우 일정거리 이격되게 한 쌍의 렉기어(161)가 구비된다. 그리고 피니언 기어(166)도 한 쌍이 구비되고, 한 쌍의 피니언 기어(166)를 연결하는 샤프트(167)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토출구 유닛 승강 기구(160)은 피니언 기어(166)와 샤프트(167)를 수용하면서 지지하는 한 쌍의 하우징(162,163)을 포함한다. 그리고 한 쌍의 하우징(162,163) 중 어느 하나는 토출구 바디(120)에 형성된 후방 구획판(127b)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에 위치한 하우징(162)이 후방 구획판(127b)에 결합이 된다.
그리고 한 쌍의 렉기어(161)는 승강 가이드(150)에 형성된 리어 가이 드(152)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리어 가이드(152)에는 렉기어 설치부(152a)가 형성되고, 렉기어(161)은 렉기어 설치부(152a)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렉기어 설치부(152a)에 개방된 면을 통하여 피니언 기어(163)과 치합하게 된다.
구동부(165)는 하우징(162,163)의 일측에 결합되어, 하우징(162,163)의 내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피니언 기어(166)와 샤프트(167)을 구동한다. 그리고 하우징(162,163)은 토출구 바디(120)의 후방 구획판(127b)에 결합되어 있는 바, 구동부(165)의 구동에 의해서 토출구 유닛(100) 전체가 승강 가이드(150)에 형성된 리어 가이드(152) 내부의 렉기어(161)를 따라 승강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토출구 유닛(100)의 승강은 커버(111)에 형성된 안내부(113)와 승강 가이드(150)에 형성된 리어 가이드(152)에 의해서도 안내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설명한 토출구 바디(120)에 형성된 레일 고정부(121)에 고정된 레일(125)과 승강 가이드(150)의 내측에 위치하는 플레이트(156)에 의해서도 안내되게 된다.
한편, 도10은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유닛의 후방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토출구 유닛(100)이 본체(2)의 내부로 삽입된 경우, 승강 가이드 마운트(140)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유도 가이드(142)는 승강 가이드(150)에 형성된 리어 가이드(152) 중 후방에 형성된 유도 가이드 홈(152b)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유도 가이드 홈(152b)의 전방에는 렉기어 설치부(152a)가 형성되고, 렉기어 설치부(152a)에는 렉기어(161)가 삽입되어 위치한다. 그리고 렉기어 설치부(152a)의 전면은 개구 형성되어 렉기어(161)가 피니언 기어(166)가 치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렉기어 설치부(152a)와 유도 가이드 홈(152b)를 포함하는 리어 가이드(152)는 후판부(111)의 전면으로 함몰 형성된 안내부(113)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안내부(113)은 토출구 바디(120)의 후방 구획판(127b)에 돌출된 한 쌍의 리브 형상의 형합부(122)에 삽입되면서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본체(2)의 상부에 형성된 상면 개구부(2a)를 통하여 각각 삽입되면서 형성되는 승강 가이드 마운트(140), 승강 가이드(150) 및 토출구 유닛(100)을 결합하는 경우, 상기 설명한 유도 가이드(142), 리어 가이드(152), 안내부(113) 및 형합부(122)를 각각 삽입시키면서 결합을 할 수 있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결합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2)의 상부에 위치하는 승강 가이드 마운트(140), 승강 가이드(150) 및 토출구 유닛(100)이 각각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리어 가이드(152)와 안내부(113)는 승강 가이드(150)와 토출구 유닛(100)이 견고히 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하면서, 토출구 유닛(100)이 승강 가이드(150)상을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설명한 구성은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2)의 후방에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3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7는 본 실시예의 토출구 유닛 상승시의 측단면도이고, 도8은 본 실시예의 토출구 유닛 하강시의 측단면도이다. 도 7 및 도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토출구 유닛의 승강 동작을 설명한다.
공기조화기가 작동을 하게 되면, 구동부(165)의 구동에 의해서 피니언 기어(166)와 샤프트(167)가 회전을 하게 된다. 피니언 기어(166)와 샤프트(167)을 둘러싸고 있는 하우징(162,163)은 토출구 바디(120)의 후방 구획판(127b)에 결합되어 있고, 렉기어(161)는 승강 가이드(150)에 형성된 리어 가이드(152)의 렉기어 설치부(152a)에 설치되어 있고, 렉기어(161)와 피니언 기어(166)는 서로 치합되어 있다. 따라서 토출구 유닛(100) 전체가 승강 가이드(150)를 따라 상승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경우, 토출구 유닛(100)의 승강은 커버(111)에 형성된 안내부(113)와 승강 가이드(150)에 형성된 리어 가이드(152)에 의해서 안내되게 된다. 그리고 토출구 바디(120)에 형성된 레일 고정부(121)에 고정된 레일(125)과 승강 가이드(150)의 내측에 위치하는 플레이트(156)에 의해서도 안내되게 된다. 따라서 토출구 유닛(100)의 본체(2)의 상면 개구부(2a)를 통하여 본체(2)의 상부로 승강을 하여 공기 토출 통로(127)를 통하여 본체(2)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를 본체(2) 외부로 토출하게 된다.
하강시에는 구동부(165)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설명한 반대로 토출구 유닛(100)은 본체(2)의 상면 개구부(2a)를 통하여 본체(2)의 내부로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승강 가이드 마운트(140)와 승강 가이드(150)와 함께 토출구 유닛(100)은 본체(2)의 상면 개구부(2a)를 덮게 된다(도4참조).
도 5는 본 실시예의 서비스 패널 분리시의 본체의 평면도이고, 도9는 본 실시예의 커버 분리시의 본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토출구 유닛(100)의 커버(110)에 형성된 서비스 패널(112)를 커버(110)에서 분리하여 전장실(128) 내부에 위치하는 적외선 센서 모듈(124)이나 컨트롤 박스(123)의 간단한 수리 등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 박스(123)은 본체의 후방에서 전장 실(128)에 결합이 된다. 따라서 컨트롤 박스(124)를 본체에서 분리하여 수리를 하여야 하는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구 유닛(100)의 커버(110)가 전장실(128)의 상면과 후면을 덮도록 형성이 되는 바, 토출구 유닛(100) 전체를 본체(2)의 상부에서 분리를 하지 않고도 커버(110)을 토출구 유닛(100)에서 분리를 하여 컨트롤 박스(123)을 교체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유닛 상승시의 사시도;
도3은 본 실시예의 승강 가이드 및 토출구 유닛의 분해시의 사시도;
도4 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평면도;
도5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서비스 패널 분리시의 평면도
도6은 본 실시예에서 승강 가이드 마운트, 승강 가이드 및 토출구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7 은 본 실시예의 토출구 유닛 상승시의 측단면도;
도8 은 본 실시예의 토출구 유닛 하강시의 측단면도;
도9 는 본 실시예의 커버 분해시의 후방 사시도;
도10 은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기의 후방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본체 100: 토출구 유닛
110: 커버 111: 상판부
112: 서비스 패널 113: 안내부
114: 후판부 120: 토출구 바디
121: 레일 설치부 122: 형합부
123: 컨트롤 박스 124: 적외선 센서 모듈
125: 레일 127: 공기 토출 통로
128: 전장실 130: 베인 서포터
140: 승강 가이드 마운트 142: 유도 가이드
150: 승강 가이드 152: 리어 가이드
152a: 렉기어 설치부 152b: 유도 가이드 홈
156: 플레이트 160: 토출구유닛승강기구
161: 렉기어 162,163: 하우징
164,166: 피니언 기어 165: 구동부
167: 샤프트

Claims (6)

  1. 상부에 상면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상면 개구부를 통해 승강되게 배치되며, 공기토출통로가 형성되고, 상면 및 후면이 개방된 전장실을 갖는 토출구 바디와, 상기 전장실의 상면 및 후면을 덮도록 절곡된 커버를 포함하는 토출구 유닛;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구 유닛을 승강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 및
    상기 토출구 유닛을 승강시키는 토출구 유닛 승강기구;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의 후판부 내측면에는 토출구 유닛의 승강을 안내하는 리어 가이드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에서 하향 절곡된 후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판부에는 상기 리어 가이드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안내되는 안내부가 후판부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공기조화기.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바디에는 상기 안내부를 둘러싸면서 지지하는 형합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4.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유닛 승강기구는 상기 토출구 유닛을 승강시키는 구동부, 구동부에 의해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 및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는 렉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가이드에는 상기 렉기어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렉기어 설치부가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5.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리어 가이드와 상기 안내부는 좌, 우 이격된 복수 세트로 형성된 공기조화기.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면에 개구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개구홀를 덮는 서비스 패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80115274A 2008-11-19 2008-11-19 공기조화기 KR101431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274A KR101431751B1 (ko) 2008-11-19 2008-11-19 공기조화기
CN2009100084453A CN101737922B (zh) 2008-11-19 2009-01-23 空调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274A KR101431751B1 (ko) 2008-11-19 2008-11-19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208A KR20100056208A (ko) 2010-05-27
KR101431751B1 true KR101431751B1 (ko) 2014-08-21

Family

ID=42280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274A KR101431751B1 (ko) 2008-11-19 2008-11-19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31751B1 (ko)
CN (1) CN10173792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6220B2 (en) * 2019-03-06 2023-10-24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with movable top cov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147B1 (ko) * 2012-10-26 2019-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0483085Y1 (ko) * 2014-12-08 2017-04-18 (주) 프렉코 제습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CN105135652B (zh) * 2015-09-11 2019-05-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气调节装置顶盖组件及空气调节装置
CN105135524B (zh) * 2015-09-11 2018-10-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立式空调器
CN109795291B (zh) * 2019-02-20 2024-02-27 浙江智动汽车部件有限公司 可升降式空调出风口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375B1 (ko) * 1996-02-16 1998-11-02 김광호 승강 가능한 루버를 갖는 공조기기
US20030157883A1 (en) 2002-02-19 2003-08-21 Young-Yeal Kwak Grille controlling apparatus for indoor ventilator
KR20050054185A (ko) * 2003-12-04 2005-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퓨져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01014648Y (zh) 2007-02-14 2008-01-30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分体空调器室内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48922C (zh) * 2004-11-30 2007-11-1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排出口单元的升降机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375B1 (ko) * 1996-02-16 1998-11-02 김광호 승강 가능한 루버를 갖는 공조기기
US20030157883A1 (en) 2002-02-19 2003-08-21 Young-Yeal Kwak Grille controlling apparatus for indoor ventilator
KR20050054185A (ko) * 2003-12-04 2005-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퓨져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01014648Y (zh) 2007-02-14 2008-01-30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分体空调器室内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6220B2 (en) * 2019-03-06 2023-10-24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with movable top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37922B (zh) 2013-03-13
KR20100056208A (ko) 2010-05-27
CN101737922A (zh)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751B1 (ko) 공기조화기
KR20100073121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90043232A (ko) 공기조화기
CN111868444B (zh) 空调设备的室内机
KR20180043332A (ko) 공기 조화 장치용 헤드 커버 조립체 및 공기 조화 장치
KR101484037B1 (ko) 공기조화기
KR101532575B1 (ko) 공기조화기
KR2010002535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1482122B1 (ko) 공기조화기
JP6116840B2 (ja) 空気調和機
KR20090043234A (ko) 공기조화기
KR101345265B1 (ko) 공기조화기
KR101325768B1 (ko) 공기조화기
KR101611313B1 (ko) 공기조화기
KR20170057895A (ko) 함체용 송풍장치
KR101482126B1 (ko) 공기조화기
KR101327463B1 (ko) 공기조화기
KR102552675B1 (ko) 리프트 가능한 공기 배출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1482129B1 (ko) 공기조화기
KR101507442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76405A (ko) 공기조화기
KR100609163B1 (ko) 공기조화기
KR100909243B1 (ko) 공기조화기
KR10158224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1450565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