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260B1 - 전원 공급 회로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260B1
KR0149260B1 KR1019950021052A KR19950021052A KR0149260B1 KR 0149260 B1 KR0149260 B1 KR 0149260B1 KR 1019950021052 A KR1019950021052 A KR 1019950021052A KR 19950021052 A KR19950021052 A KR 19950021052A KR 0149260 B1 KR0149260 B1 KR 0149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control signal
auxiliary power
power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1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8810A (ko
Inventor
김영백
Original Assignee
박정옥
주식회사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옥, 주식회사에스원 filed Critical 박정옥
Priority to KR1019950021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9260B1/ko
Publication of KR970008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2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전원 공급 회로.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보조전원공급부를 사용하는 기기에서 보조전원공급부의 과방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보조전원공급부를 차단할시 발생되는 허전압에 의해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거하는 전원 공급 회로를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전원 공급 회로는 주전원을 발생하는 주전원공급부와, 보조전원을 발생하는 보조전원공급부와, 전압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전원과 상기 보조전원을 입력하며, 상기 전압검출부의 설정전압보다 낮은 상기 주전원이 입력될시 스위칭되어 상기 보조전원을 출력하며, 상기 출력전원이 있을시 제2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전원스위칭부와, 상기 출력전원을 입력하여 동작하며, 상기 출력전원의 정상동작범위이내에서 제1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정상동작범위를 벗어날시 상기 제1제어신호를 오프시키는 제어부와, 초기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전원을 입력하며, 초기 보조전원 입력시 상기 초기화부에 의해 스위칭되어 제3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초기화동작수행 후 상기 제3제어신호를 오프시키는 초기구동부, 상기 보조전원을 입력하며, 상기 제1제어신호의 전위레벨과 상기 제2제어신호 혹은 상기 제3제어신호의 전위레벨의 차가 발생될시 상기 보조전원을 상기 전원스위칭부로 출력하는 스위칭부로 구성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 발생되는 허전압이 공급됨을 방지함에 있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회로
제1도는 종래의 전원 공급 회로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원 공급 회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전원 공급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전원의 공급이 차단될시 보조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기는 어떤 상황에서도 사용가능하도록 전원을 항시 공급해 주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하여 상기 기기에는 주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주전원이 차단될 경우를 고려하여 보조전원을 추가하여 사용한다. 상기 보조전원에는 배터리전원등이 사용된다.
종래의 전원 공급 회로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도를 참조하여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주전원공급부(111)는 주전원(V1)을 전원스위칭부(114)의 노드(N1)에 인가한다. 상기 전원스위칭부(114)는 제너다이오드(124)를 구비한다. 그리하여 상기 제너다이오드(124)에 의해 미리 설정된 설정전압이상인 정상공급상태의 주전원(V1)이 공급될시 상기 제너다이오드(124)는 턴온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전원스위칭부(114)는 상기 주전원(V1) 및 보조전원공급부(112)의 보조전원(V2)을 스위칭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보조전원공급부(112)는 배터리로 실현되어 있다. 스위칭부(115)의 스위치는 공통(common : 이하 CM이라 칭함)단자 및 노말콘텍(Normal Contact : 이하 NC라 칭함)단자 및 노말오픈(Normal Open : 이하 NO라 칭함)단자 및 릴레이스위치(Relay Switch : 이하 RS라 칭함)로 구성된다. 그리고 릴레이코일(Relay Coil : 이하 RC라 칭함)은 상기 RS단자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RC에 전류가 통과되면서 상기 RS는 상기 NO단자에 스위칭온된다. 그리고 상기 RC에 전류가 차단될시 상기 RS는 상기 NC단자로 스위칭오프된다. 그러므로 상기 스위칭부(115)는 상기 보조전원(V2)을 릴레이스위칭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전원스위칭부(114)는 상기 노드(N1)의 주전원(V1) 및 노드(N4)의 상기 보조전원(V2)을 릴레이스위칭하여 출력노드단자(N2)에 출력한다. 그리하여 상기 출력노드단자(N2)는 제1구동전원(V3)을 출력한다. 또한 레귤레이터(113)는 원하는 또 다른 출력레벨로 레귤레이팅하여 제2구동전원(V4)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13)는 상기 제2구동전원(V4)을 입력하여 동작하며, 상기 동작에 의해 제1제어신호(C1)는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전원(V3) 및 상기 제1제어신호(C1)는 상기 RC의 전류형성을 제어한다. 또한 초기구동부(116)는 상기 보조전원(V2)의 초기공급시 상기 보조전원(V2)을 스위칭하여 전원스위칭부(114)에 출력한다.
이하 상기 제1도의 구성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주전원공급부(111)의 주전원(V1)이 출력될시 노드(N1)에는 상기 주전원(V1)이 인가된다. 상기 주전원(V1)은 다이오드(121, 122, 123)와 순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정상공급상태의 상기 주전원(V1)은 제너다이오드(124)에 의한 설정전압보다 크므로 상기 제너다이오드(124)는 턴온된다. 이에 상기 주전원(V1)은 출력노드단자(N2)에 인가된다. 그리하여 제1구동전원(V3)은 출력된다. 이때 상기 제1구동전원(V3)는 RC의 제1단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출력노드단자(N2)의 전원을 입력한 레귤레이터(113)는 제2구동전원(V4)을 출력한다. 제어부(113)는 상기 제2구동전원(V4)에 의해 제1제어신호(C1)인 하이레벨을 인버터(135)에 인가한다. 상기 인버터(135)에 의해 로우레벨이 상기 RC의 제2단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RS는 제1단 및 제2단의 전위레벨차에 의해 전류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RS는 NO으로 스위칭온된다. 이에 보조전원(V2)이 상기 스위칭온으로 인해 노드(N4) 에 인가하고, 다이오드(134)의 애노드단에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다이오드(134)는 턴온된다. 그리고 상기 제너다이오드(124)의 턴온으로 인해 엔피엔트랜지스터(127)의 베이스단에 턴온전원이 인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엔피엔트랜지스터(127)는 턴온된다. 그리고 상기 엔피엔트랜지스터(127)의 콜렉터단과 상기 다이오드(134)의 캐소드단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다이오드(134)를 통과한 상기 보조전원(V2)은 상기 턴온된 상기 엔피엔트랜지스터(127)에 의해 접지단자로 인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다이오드(134)의 캐소드단 및 상기 턴온된 엔피엔트랜지스터(127)의 에미터단과 연결된 엔피엔트랜지스터(128)의 베이스단에는 턴오프전원이 인가된다. 그래서 상기 엔피엔트랜지스터(128)는 턴오프가 된다. 또한 피엔피트랜지스터(132)의 베이스단에는 상기 다이오드(123)을 통과한 상기 주전원(V1)이 인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피엔피트랜지스터(132)의 베이스단에 턴오프전원이 인가되므로 상기 피엔피트랜지스터(132)는 턴오프된다. 그러므로 상기 다이오드(134)를 통과한 상기 보조전원(V2)은 차단된다.
또한 상기 주전원(V2)이 상기 설정전압보다 낮게 될시 상기 노드(N1)의 전원레벨에 의해 상기 제너다이오드(124)는 턴오프가 된다. 그러면 상기 피엔피트랜지스터(127)는 턴오프가 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오드(134)를 통과한 상기 보조전원(V2)은 상기 엔피엔트랜지스터(128)의 베이스단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엔피엔트랜지스터(128)는 턴온된다. 그리고 상기 피엔피트랜지스터(132)의 베이스단에는 턴온레벨이 인가되어 상기 피엔피트랜지스터(132)는 턴온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전원(V2)은 상기 턴온된 피엔피트랜지스터(132)를 통과하여 출력노드단자(N2)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구동전원(V3) 및 상기 제2구동전원(V4)에 의한 제1제어신호(C1)는 출력된다. 상기 보조전원(V2)이 과방전되어 정상동작 레벨범위에서 벗어날시 상기 제어부(117)는 출력되는 전원을 감지하여 로우레벨의 제1제어신호(C1)를 출력한다. 그러면 인버터(135)를 통해 하이레벨이 상기 RS의 제2단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RC에 유기되는 전류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RC의 제1단에 하이레벨의 제1구동전원(V3)이 인가되고, 상기 제2단에 하이레벨의 상기 인버터(135)출력이 인가된다. 그래서 상기 RS는 상기 NC로 스위칭오프된다. 그러므로 상기 보조전원(V2)은 노드(N4)로 인가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때 상기 보조전원공급부(112)의 배터리는 부하가 없어지면서 상기 배터리의 공지된 특성으로 인해 출력되는 상기 보조전원(V2)의 레벨은 상승된다. 이때 여기서 서서히 상승되는 전압레벨을 허전압이라 한다. 이에 제너다이오드(136)는 노드(N3)과 제너다이오드(136)의 캐소드단과 연결어 상기 허전압이 상기 제너다이오드(136)의 캐소드단에 인가된다. 여기서 상기 제너레벨은 상기 보조전원(V2)레벨보다 낮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상승되는 허전압이 상기 제너다이오드(136)의 제너레벨보다 높게 될시 상기 제너다이오드(136)는 턴온된다. 이에 상기 제너다이오드(136)의 애노드단의 출력된 레벨은 엔피엔트랜지스터(139)의 베이스단에 턴온레벨로 인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엔피엔트랜지스터(139)는 턴온된다. 그리고 저항(141)을 통해 상기 보조전원(V2)은 상기 턴온된 엔피엔트랜지스터(139)의 콜렉터단으로 인가되어 접지단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턴온된 엔피엔트랜지스터(139)콜렉터단의 로우레벨은 피엔피트랜지스터(142)의 베이스단에 턴온레벨로 인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피엔피트랜지스터(142)는 턴온된다. 그러므로 상기 턴온된 피엔피트랜지스터(142)를 통해 보조전원(V2)은 노드(N4)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전원(V2)은 상기 다이오드(134)를 통과한다. 여기서 상기 주전원(V1)이 상기 설정전압보다 낮아 상기 피엔피트랜지스터(132)는 턴오프상태일시 상기 허전압은 상기 턴온된 피엔피트랜지스터(132)를 통해 출력노드단 (N2)로 출력된다. 이에 상기 보조전원공급부(112)에 부하가 걸리게 되므로 다시 출력되어 노드(N3)에 인가되는 상기 보조전원공급부(112)의 허전압은 하락된다. 따라서 상기 제너다이오드(136)가 턴오프되므로 상기 허전압은 차단된다. 그러나 상기 보조전원공급부(112)의 부하가 없어지면서 보조전원(V2)의 레벨은 상승되어 상기 허전압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동작의 반복으로 출력노드단자(N2)에는 상기 허전압이 인가되고, 이후 상기 허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현상이 반복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기기가 안정되지 못하고 오동작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전원공급부(112)의 배터리를 교환하여 초기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부의 RS는 상기 NC로 스위칭오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노드(N3)에 인가되는 보조전원(V2)은 상기 제너다이오드(136)의 제너레벨보다 높다. 그러므로 상기 제너다이오드(136)는 턴온되며, 상기 앤피앤트랜지스터(139)도 턴온된다. 따라서 상기 피앤피트랜지스터(142)는 턴온된다. 그러므로 상기 보조전원(V2)은 상기 노드(N4)에 인가된다. 그리고 주전원(V1)이 상기 설정전압보다 낮은 레벨상태이므로 상기 앤피앤트랜지스터(132) 턴온되어 상기 다이오드(134)를 통과한 상기 보조전원(V2)를 출력노드단자(N2)에 인가한다. 또한 출력되는 상기 제1구동전원(V3)이 상기 RC의 제1단에 인가되므로 상기 RC는 전류가 발생된다. 그러므로 상기 RS는 상기 NO로 스위칭온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전원(V2)는 상기 CM을 통해 노드(N4)에 인가된다. 그리하여 상기 턴온된 앤피앤트랜지스터(132)를 통과하여 보조전원(V2)는 출력노드단자(N2)에 인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문제점은 보조전원(V2)이 공급시 스위칭부(115)는 스위칭온하며, 보조전원공급부(112)의 배터리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스위칭오프를 한다. 이때 상기 보조전원공급부(112)의 배터리전원레벨이 서서히 상승된 허전압은 초기구동부(116)를 턴온시켜 출력노드단자(N2)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배터리전원레벨이 하락되고, 상기 출력노드단자(N2)에는 상기 허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기기는 오동작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전원공급부를 사용하는 기기에서 보조전원공급부의 과방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보조전원공급부를 차단할시 발생되는 허전압에 의해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거하는 전원 공급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원 공급 회로에 있어서, 주전원을 발생하는 주전원공급부와, 보조전원을 발생하는 보조전원공급부와, 전압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전원과 상기 보조전원을 입력하며, 상기 전압검출부의 설정전압보다 낮은 상기 주전원이 입력될시 스위칭되어 상기 보조전원을 출력하며, 상기 출력전원이 있을시 제2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전원스위칭부와, 상기 출력전원을 입력하여 동작하며, 상기 출력전원의 정상동작범위이내에서 제1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정상동작범위를 벗어날시 상기 제1제어신호를 오프시키는 제어부와, 초기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전원을 입력하며, 초기 보조전원 입력시 상기 초기화부에 의해 스위칭되어 제3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초기화동작수행 후 상기 제3제어신호를 오프시키는 초기구동부, 상기 보조전원을 입력하며, 상기 제1제어신호의 전위레벨과 상기 제2제어신호 혹은 상기 제3제어신호의 전위레벨의 차가 발생될시 상기 보조전원을 상기 전원스위칭부로 출력하는 스위칭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어느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허전압이라는 용어는 보조전원공급부에 부하가 걸리지 않을시 보조전원이 서서히 상승되는 전압레벨을 나타낸다. 또한 제1제어신호이라는 용어는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부에서 감지하여 출력하는 제어신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회로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도를 참조하여 구성을 살펴보면, 주전원공급부(111)는 주전원(V1)을 출력하여 전원스위칭부(214)에 출력한다. 상기 전원스위칭부(114)는 제너다이오드(124)를 구비한다. 그리하여 상기 제너다이오드(124)에 의해 미리 설정된 설정전압이상인 정상공급상태의 주전원(V1)이 공급될시 상기 제너다이오드(124)는 턴온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전원스위칭부(214)는 상기 주전원(V1) 및 보조전원공급부(112)의 보조전원(V2)을 스위칭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보조전원공급부(112)는 배터리로 실현 되어 있다. 그리하여 출력된 전원은 노드(N6)에 인가된다. 그리하여 제1구동전원(V1)이 출력되며, 원하는 또 다른 구동레벨인 제2구동전원(V4)는 레귤레이터(113)에 의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2구동전원(V4)을 입력한 제어부(117)는 동작하며, 제1제어신호(C1)을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7)는 상기 제2구동전원(V4)가 정상전압레벨범위에서 벗어날시 로우레벨의 제1제어신호(C1)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정상전압레벨범위의 최소레벨은 상기 설정전압보다 낮게 구현한다. 스위칭부(115)의 스위치는 공통(common : 이하 CM이라 칭함)단자 및 노말콘텍(Normal Contact : 이하 NC라 칭함)단자 및 노말오픈(Normal Open : 이하 NO라 칭함)단자 및 릴레이스위치(Relay Switch : 이하 RS라 칭함)로 구성된다. 그리고 릴레이코일(Relay Coil : 이하 RC라 칭함)은 상기 RS단자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RC에 전류가 형성되어 상기 RS는 상기 NO단자에 스위칭온된다. 그리고 상기 RC에 전류가 차단될시 상기 RS는 상기 NC단자로 스위칭오프된다. 이때 상기 RC의 제1단에 입력된 상기 제1제어신호(C1) 및 상기 RC의 제2단에 입력된 노드(N4)의 레벨에 의해 상기 RC는 제어된다. 상기 노드(N4)에 상기 노드(N6)의 레벨인 제2제어신호가 다이오드(239)를 통해 인가되며, 또한 초기구동부(216)에 의해 제3제어신호가 다이오드(238)를 통해 인가된다. 상기 스위칭부(115)는 상기 보조전원(V2)을 릴레이스위칭하여 전원스위칭부(214)에 출력한다. 또한 초기구동부(216)는 상기 보조전원공급부(112)가 교체되어 초기공급될시 스위칭온하여 상기 노드(N4)에 제3제어신호인 상기 보조전원(V2)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보조전원(V2)은 상기 RC에 인가된다. 그리하여 상기 스위칭부(215)는 구동된다.
이하 상기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주전원공급부(111)는 주전원(V1)을 노드(N1)에 인가한다. 상기 노드(N1)는 다이오드(221,222)의 애노드단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주전원(V1)은 노드(N6)에 인가된다. 따라서 제1구동전원(V3) 및 제2구동전원(V4)에 의한 제1제어신호(C1)이 출력된다. 상기 제1제어신호(C1)의 하이레벨은 인버터(233)에 인가된다. 이에 상기 인버터(233)에 의한 상기 로우레벨이 상기 RC의 제1단에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노드(N6)의 주전원(V1)은 다이오드(239)의 애노드단에 인가한다. 그래서 상기 다이오드(239)는 턴온이 된다. 따라서 노드(N4)에 상기 주전원(V1)이 인가된다. 또한 다이오드(238)과 상기 주전원(V1)은 역방향이므로 상기 주전원(V1)은 상기 RC의 제2단에 인가된다. 즉, 상기 RC의 제1단에 로우레벨이 인가하고, 상기 RC의 제2단에 상기 주전원(V1)이 인가한다. 그러므로 상기 RC에 전류가 형성되고, 상기 RS상기 NO로 스위칭온된다. 따라서 보조전원공급부(119)의 보조전원(V2)은 CM단자를 통과하여 노드(N5)에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노드(N1)의 주전원(V1)의 레벨은 제너다이오드(223)의 캐소드단에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제너다이오드(223)의 캐소단에 정상공급상태의 상기 주전원(V1)이 입력될시 상기 제너다이오드(233)는 턴온상태가 된다. 이는 상기 제너다이오드(233)의 설정전압을 정상공급상태의 상기 주전원(V1)전압보다 낮게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턴온된 제너다이오드(233)의 애노드단은 앤피앤트랜지스터(226)의 베이스단에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앤피앤트랜지스터(226)는 턴온된다. 상기 턴온된 앤피앤트랜지스터(226)에 상기 노드(N5)의 보조전원(V2)이 인가되고, 상기 보조전원(V2)은 접지단으로 인가된다. 그리하여 상기 앤피앤트랜지스터(226) 콜렉터단의 로우레벨은 저항(227)을 통과하여 앤피앤트랜지스터(228)의 베이스단에 인가된다. 이에 상기 앤피앤트랜지스터(228)는 턴오프된다. 또한 상기 제2구동전원(V4)는 다이오드(231)의 애노드단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다이오드(231)는 턴온되어 상기 제2구동전원(V2)는 상기 턴오프된 앤피앤트랜지스터(228)의 콜렉터단에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턴오프된 앤피앤트랜지스터(228) 콜렉터단의 하이레벨이 피앤피트랜지스터(240)의 베이스단에 인가된다. 이에 상기 피앤피트랜지스터(240)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상기 노드(N5)의 보조전원(V2)는 차단된다.
또한 상기 주전원공급부(111)의 주전원(V1)의 전압이 상기 설정전압보다 낮게 될시, 상기 노드(N1)에 연결된 상기 제너다이오드(223)는 차단된다. 이에 상기 앤피앤트랜지스터(226)는 턴오프가 되며, 상기 앤피앤트랜지스터(228)는 턴온이 된다. 그러면 상기 앤피앤트랜지스터(228) 콜렉터단의 로우레벨은 상기 피앤피트랜지스터(240)의 베이스단에 인가되어 상기 피앤피트랜지스터(240)는 턴온된다. 그러므로 상기 노드(N5)의 보조전원(V2)은 상기 노드(N6)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전원공급부(112)가 전원공급하게 된다. 상기 보조전원(V2)이 공급되다가 상기 보조전원공급부(112)가 과방전되어 상기 제2구동전원(V2)이 정상전압레벨범위에서 벗어날시 상기 제1제어신호(C1)는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 천이되어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인버터(233)는 하이레벨을 상기 제1단의 RC에 출력한다. 이에 상기 RC의 제1단에 하이레벨이 인가되고, 상기 RC의 제2단에 하이레벨이 인가되어 상기 RC에 전류가 형성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상기 RS는 상기 NC로 스위칭오프된다. 그러면 상기 보조전원(V2)의 공급도 차단된다. 이때 상기 보조전원공급부(112)의 허전압이 서서히 상승된다. 그러나 저항(236) 및 캐패시터(235)의 시정수보다 허전압이 더 느리게 상승된다. 또한 상기 캐패시터(235)에 충전된 전압은 다이오드(234)를 통해 피앤피다이오드(237)의 에미터단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피앤피트랜지스터(237)의 에미터단 및 피앤피트랜지스터(237)의 베이스단의 전위는 같다. 그러므로 상기 피앤피트랜지스터(237)는 턴오프된다.
또한 상기 보조전원공급부(112)를 교체한 후 초기공급시에 상기 보조전원(V2)이 상기 피앤피트랜지스터(237)의 에미터단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캐패시터(235)에 충전된 전위보다 상기 피앤피트랜지스터(237)의 에미터단의 전위가 높다. 그러므로 상기 피앤피트랜지스터(237)는 턴온된다. 이에 상기 피앤피트랜지스터(237)에 스위칭온된 상기 보조전원(V2)은 다이오드(238)과 순방향이므로 상기 노드(N4)에 인가된다. 여기서 다이오드(239)와 상기 보조전원(V2)은 역방향이므로 상기 보조전원(V2)은 상기 RC의 제2단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RC에 전류가 형성되어 상기 RS는 상기 NO로 스위칭온된다. 그러면 상기 노드(N2)의 보조전원(V2)는 상기 CM단자를 통과하여 상기 노드(N5)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피앤피트랜지스터(240)가 턴온시 상기 보조전원(V2)은 노드(N6)에 인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전원공급부(112)로 배터리로 사용함에 있어 상기 보조전원공급부(112)가 한계치까지 방전될시 과방전을 억제키위해 상기 보조전원공급부(112)의 전원은 차단된다. 이때 발생되는 허전압은 상기 저항(236) 및 상기 캐패시터(235) 및 다이오드(234)의 충/방전으로 인해 상기 피앤피트랜지스터(237)이 스위칭제어되어 차단된다.

Claims (4)

  1. 전원 공급 회로에 있어서, 주전원을 발생하는 수단과, 보조전원을 발생하는 수단과, 전압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주전원과 상기 보조전원을 입력하며, 상기 전압검출수단의 설정전압보다 낮은 상기 주전원이 입력될시 스위칭되어 상기 보조전원을 출력하며, 상기 출력전원이 있을시 제2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전원스위칭수단과, 상기 출력전원을 입력하여 동작하며, 상기 출력전원의 정상동작범위이내에서 제1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정상동작범위를 벗어날시 상기 제1제어신호를 오프시키는 제어수단과, 초기화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전원을 입력하며, 초기 보조전원 입력시 상기 초기화수단에 의해 스위칭되어 제3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초기화동작수행 후 상기 제3제어신호를 오프시키는 초기구동수단과, 상기 보조전원을 입력하며, 상기 제1제어신호의 전위레벨과 상기 제2제어신호 혹은 상기 제3제어신호의 전위레벨의 차가 발생될시 상기 보조전원을 상기 전원스위칭수단으로 출력하는 스위칭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구동수단이, 에미터단이 보조전원공급부에 연결되며, 컬렉터단이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베이스단이 일렬로 연결된 저항과 캐패시터를 통하여 접지단에 연결된 피앤피트랜지스터와, 상기 피앤피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과 상기 저항 및 캐피시터간의 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노드에 애노드단이 연결된 다이오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이, 상기 제1제어신호를 제1단에 입력하고, 상기 제2제어신호 및 상기 제3제어신호를 와이어드논리곱하여 제2단에 입력하여 상기 제1단과 상기 제2단의 전위레벨차가 발생될시 전류가 형성되는 릴레이코일과, 릴레이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전원을 입력하는 공통단자와, 상기 릴레이코일의 전류가 형성될시 상기 릴레이스위치가 스위칭온 되어 상기 공통단자의 보조전원을 상기 전원스위칭수단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노말오픈단자와, 상기 릴레이코일의 전류가 형성되지 않을시 상기 릴레이스위치가 스위칭오프되어 상기 공통단자의 보조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노말컨텍단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공급되는 상기 전원이 원하는 레벨로 출력하는 레귤레이터가 상기 전원스위칭수단에 병렬로 하나이상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회로.
KR1019950021052A 1995-07-18 1995-07-18 전원 공급 회로 KR0149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1052A KR0149260B1 (ko) 1995-07-18 1995-07-18 전원 공급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1052A KR0149260B1 (ko) 1995-07-18 1995-07-18 전원 공급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810A KR970008810A (ko) 1997-02-24
KR0149260B1 true KR0149260B1 (ko) 1998-12-15

Family

ID=1942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1052A KR0149260B1 (ko) 1995-07-18 1995-07-18 전원 공급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92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386A (ko) * 2020-04-27 2021-11-0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배터리 상태 확인방법, 배터리 상태 확인에 사용되는 방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386A (ko) * 2020-04-27 2021-11-0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배터리 상태 확인방법, 배터리 상태 확인에 사용되는 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810A (ko) 199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198B1 (ko) 전력 제어 시스템 개시 방법 및 회로
EP0398526B1 (en) Improved power supply circuit for a gaseous discharge tube device
EP0035379A1 (en) A gate circuit for a thyristor and a thyristor having such a gate circuit
EP0417933B1 (en) Circuits for detecting a decrease in the voltage of a DC source
KR0149260B1 (ko) 전원 공급 회로
KR0149584B1 (ko) 전원전압 공급회로
JPH01311617A (ja) スイッチング素子駆動装置
EP0425039B1 (en) Power supply circuit for direct voltage regulators with step-up configuration
US6150770A (en) Flash apparatus
KR19990072223A (ko) 강하하는 전원에서 적절한 리셋을 보장하는리셋 회로
US10547194B2 (en)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KR100244216B1 (ko) 디스플레이 소자의 구동회로
KR0172860B1 (ko) 충전장치
JP4372271B2 (ja) El発光装置およびこのel発光装置を内蔵した電子機器
KR100876112B1 (ko) 배터리 과방전 보호회로
KR910007049Y1 (ko) Smps전원의 순간정전 방지회로
KR0134541Y1 (ko)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장치
KR100189072B1 (ko) 내시경 광원부 이중 구조를 갖는 램프 자동 절환장치
JP2017182903A (ja) ライト点灯制御装置
KR850006661A (ko) 백 업 회 로
KR930004801Y1 (ko) 병렬 전원의 자동 절체회로
CN117674578A (zh) 上电缓启动电路、芯片及激光雷达
JP2024057628A (ja) 突入電流防止回路
JPH06276699A (ja) 電源回路
JPH11242269A (ja) 閃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