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049Y1 - Smps전원의 순간정전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Smps전원의 순간정전 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049Y1
KR910007049Y1 KR2019880015003U KR880015003U KR910007049Y1 KR 910007049 Y1 KR910007049 Y1 KR 910007049Y1 KR 2019880015003 U KR2019880015003 U KR 2019880015003U KR 880015003 U KR880015003 U KR 880015003U KR 910007049 Y1 KR910007049 Y1 KR 9100070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tandby power
smps
standby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5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535U (ko
Inventor
민병민
박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5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049Y1/ko
Publication of KR9000075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5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0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0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response to transient abnormal conditions, e.g. to lightning or to short duration over voltage or oscillations; Damping the influence of dc component by short circuits in ac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SMPS전원의 순간정전 방지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록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 회로도.
제3도는 스텐바이 전원과 스위칭 전원의 방전곡선.
제4도는 스텐바이 전원의 순간 정전시 스위칭 전원 드라이브 펄스 발생 관계도.
제5도는 SMPS콘트롤 집적소자의 등가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스텐바이 전원부 10 : 레벨검파부
15 : 파우어 콘트롤부 20 : 스위칭 전원부
RY : 릴레이 Q1-Q4 : 트랜지스터
T1 T2 T3 : 트랜스 IC1 : SMPS콘트롤 집적소자
본 고안은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전원을 사용 하는 기기에 있어서, 순간 정전시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파손을 방지해 주도록한 SMPS전원의 순간정전 방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SMPS전원 사용기기에 있어서, 정상적인 동작 상태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입력전원 자체가 순간 정전이 되거나 생산라인을 흐를 때 스텐바이(stand by)전원은 '온'되어있고 스위칭 전원은 '오프'되어 있는 상태가 발생하게 되면 SMPS전원공급 방식에서 사용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파괴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순간정전 등에 의하여 스텐바이 전원은 '온'되어 있고 스위칭 전원이 '오프'되어 있더라도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동작시키지 않게 하므로써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스텐바이 전원이 '온'되어 있음은 드레스 홀드(Threshold)전압보다 높은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록도로써 AC입력을 받아 스텐바이 전원을 공급하는 스텐바이 전원부(5)와, 상기 스텐바이 전원부(5)의 스텐바이 전원이 인가되는 릴레이(RY)를 동작시켜 AC입력을 스위칭 전원부(20)에 인가시키는 파우어 콘트롤부(15)와, 상기 릴레이(RY)를 통한 AC전원 입력시 스위칭 전원 드라이브 펄스를 발생시켜 각기 다른 전압(V1-Vn)을 출력시키는 스위칭 전원부(20)로 구성된 SMPS전원 회로에 있어서, 상기 스텐바이 전원부(5)의 스텐바이 전원 공급 상태를 검출하고 스텐바이 전원이 일정 레벨 이하로 검출될 때 스위칭 전원부(20)의 전원 드라이브 펄스 발생을 중단시키는 레벨 검파부(10)를 구성시킨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 회로도로써 스텐바이 전원부(5)는 AC전원 입력시 이를 정류시키고 정류된 전압을 일정전압으로 변환시켜 트랜지스터(Q1)로 구동이 제어되는 트랜스(T1)에 인가되게 구성되어 AC전원 입력시 트랜스(T1)의 2차측으로 스텐바이 전원(Vo)을 출력시키게 구성된다.
그리고 파우어콘트롤부(5)은 상기 스텐바이 전원부(5)의 스텐바이 전원(Vo)이 인가되는 릴레이(RY)를 파우어 콘트롤 신호로 트랜지스터를 구동시켜 '온'시키게 되면 AC입력은 스위칭 전원부(20)에 인가되어지게 되며 이때 파우더 콘트롤 신혼는 파우어 '온'시 하이레벨, 파우더 '오프'시 로우레벨로 인가되어 진다.
한편 스텐바이 전원부(5)이 스텐바이 전원(Vo)이 SMPS콘트롤 집적소자(IC1)의 단자(①)에 인가되어지면 공지 공용되고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부 등가 회로도를 갖는 SMPS콘트롤 집적소자(IC1 : 일본국サソケソ전기 주식 회사 제조 SI-8102D)는 단자(⑧)입력 상태를 따라 단자(④)로 전원 드라이브 펄스를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SMPS콘트롤 집적 소자(IC1)의 전원 드라이브 펄스는 트랜스(T3)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4)의 구동을 제어하게 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4)의 구동에 따라 AC입력을 정류시킨 전원이 인가되는 트랜스(T2)의 구동을 제어하므로써 트랜스(T2)의 2차측 출력전압을 정류시켜 출력전압(V1)(V2)(V3)을 얻을 수 있도록 스위칭 전원부(20)을 구성한다.
이때 SMPS콘트롤 집적소자(IC1)는 단자(⑧)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에 따라 단자(④)로 출력되는 전원 드라이브 펄스를 선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순간정전 발생시 상기 SMPS콘트롤 집적소자(IC1)의 단자(⑧)에 인가되는 전압레벨을 제어해주어 스위칭 트랜지스터(Q4)의 파괴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즉 트랜스(T1)의 2차측에서 정류된 스텐바이 전원(Vo)이 출력되게 되면 상기 스텐바이 전원(Vo)은 저항(R1)과 콘덴서(C1)를 통하여 제너다이오드(ZD1)로 일정전압이 유지되게 되고 상기 제너다이오드(ZD1)로 유지된 전압은 트랜지스터(Q3)의 구동을 제어한후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출력으로 SMPS콘트롤 집적소자(IC1)의 단자(⑧)입력을 콘트롤하게 레벨 검출부(10)를 구성한 것이다.
즉 SMPS콘트를 집적소자(IC1)의 단자(⑧)에 로우레벨이 인가될때(이는 정상적인 전압 인가시임)에는 정상적인 스위칭 전원 드라이브 펄스를 출력시키고 하이레벨이 인가될때(이는 정전 상태임)에는 스위칭 전원 드라이브 펄스의 출력을 차단시켜 주므로써 스위칭 트랜지스터(Q4)의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같은 트랜지스터(Q4)의 파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 같은 스위칭 전원 드라이브 펄스의 발생 관계도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SMPS콘트롤 집적소자(IC1)에서 발생되는 스위칭 전원 드라이브 펄스는 마스터 파우어를 '온'시킨후 또는 순간 정전이 지난후 일정시간(t2)이 지나면 발생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90-260V를 입력 전원으로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SMPS전원을 사용하면 트랜스의 부피가 작아지고 그 효율도 높아 지게 되나 SMPS전원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순간정전시에는 스위칭 전원의 변화로 인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파괴되어버리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즉 제3도에서와 같이 스탠바이 전원이 순간 정전이 되면 스위칭 전원보다 천천히 방전하게 되며 이대 스탠바이 전원과 스위칭 전원의 방전 곡선이 드레스 홀드 레벨과 만나는 부분 즉 제3도에서 빗금친 부분에 해당되는 기간에 순간 정전이 다시 해제될 경우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파괴되어 버리는 것이다.
이렇게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파괴되어 버리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벨 검파부(10)에서는 스텐바이 전원부(5)의 스텐바이 전원을 검출하여 만약 AC전원이 정전되어 스텐바이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 즉시 스위칭 전원부(20)의 SMPS콘트롤 집적소자(IC1)의 스위칭 동작을 중지 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즉 초기 마스터 스위치를 '온'시켜 AC입력이 인가되면 스텐바이 전원부(5)에서 스텐바이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파우더 콘트롤 신호가 하이레벨로 인가되어 릴레이(RY)를 '온'시킴으로써 AC입력이 스위칭 전원부(20)의 스위칭 전압으로 공급되게 되며 또한 종래에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SMPS콘트롤 집적소자(IC1)의 단자(⑧)에 인가시켜주어 스텐바이 전원(Vo)이 SMPS콘트롤 집적소자(IC1)의 단자(⑧)에 인가되기만 하면 SMPS콘트롤 집적소자(IC1)에서는 제4도의 (B)와 같이 t2시간이 지난후에 단자(13)로 스위칭 전원 드라이브 펄스를 출력시키게 되고 이러한 스위칭 전원 드라이브 펄스에 의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Q4)가 동작하므로써 드라이브 펄스에 의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Q4)가 동작하므로써 트랜스(T2)의 2차측에 펄스 전압을 유지시키게 되고 트랜스(T2)2차측 펄스 전압을 정류시켜 출력전압 (V1)(V2)(V3) 으로 출력시키게 된다.
이는 일반적인 SMPS전원 회로의 동작과 같다.
그러나 AC 전원이 제4도에 도시된 t1초 부근에서 순간 정전이 발생하였다면 (이는 제3도에서 빗금친 시간내에 정전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낸다.)
종래에는 제4도의 (B)에서와 같이 스위칭 전원 드라이브 펄스가 계속 '온'되어 있으나 스위칭 전원은 제3도에서와 같이 이미드레스 홀드 전압 이하로 방전해 있으므로 SMPS콘트롤은 다시 전압을 상승시키려는 쪽으로 동작하게 되므로 이때에는 드라이브 펄스 듀티(Drive Pulse Duty)가 다른 펄스가 발생하여 결국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파괴되어 버린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레벨 검파부(10)를 설치 구성하여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그 구체적 구성은 제2도에 도시하였다.
즉 레벨 검파부(10)는 스위칭 전원이 '온'되어 있는 상태 즉 순간정전 이외의 정상상태에서 트랜스(T1)에서 출력되어 정류된 스텐바이 전원(Vo)이 인가되게 되며 이때 레벨 검파부(10)의 콘덴서(C1)에 충전된 전압을 Vc 라하고 제너다이오드(ZD1)에 걸리는 기준전압을 Vz라 하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걸리는 전압은 Vo-(Vc+Vz)가 걸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Vo-(Vc+Vz)의 전압을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미터간 순방향 전압보다 높게 설정해 주게되면 트랜지스터(Q3)는 '턴온'되게 되어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전압이 로우레벨이 되게 된다.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전압이 로우레벨이 되면 SMPS콘트롤 집적소자(IC1)의 단자(⑧)가 로우레벨이되므로 SMPS콘트롤 집적소자(IC1)에서는 단자(④)로 전원 드라이브 펄스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스위칭 트랜지스터(Q4)가 상기 전원 드라이브 펄스로 스위칭 되어 트랜스(T2)의 2차측으로 정류된 출력전압(V1)(V2)(V3)을 출력시키게 된다.
그러다가 제4도의 (A)에서와 같이 순간 정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콘덴서(C1)에는 △i=C.△V만큼의 전류가 저항(R1)을 통하여 흐르게 되므로 저항(R1)에 의한 전압 강하로 인하여 콘덴서(C1)에 충전된 전압 Vc가 낮아지게 되고 이에따라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전압은 낮아지게 된다.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전압이 낮아지게 되면 트랜지스터(Q3)가 '턴오프'되어 콜렉터 전압이 하이레벨이되고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특 하이레벨 전압은 다이오드(D1)를 통한후 SMPS콘트록 집적소자(IC1)의 단자(⑧)에 인가되게 되므로써 SMPS콘트롤 집적소자(IC1)에서는 제4도의(c)에서와 같이 t3-t4기간동안 단자(④)로 출력되는 스위칭 전원 드라이브를 멈추게 만든다.
따라서 순간정전이 이루어지면 스텐바이 전원(Vo)이 △V만큼 전압 변동이 생길때(t3-t4기간)트랜지스터(Q3)를 '턴 오프'시켜 SMPS콘트롤 집적소자(IC1)의 단자(⑧)를 하이레벨로 인가시켜 주게 되므로써 제4도의(C)에서와 같이 t3-t4기간동안 제4도의(B)와는 반대로 SMPS콘트롤 집적소자(IC1)에서는 단자(sy 23;)로 출력시키는 스위칭 전원 드라이브 출력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t4에서 다시 AC전원이 정상적으로 인가되게 되면 t4에서 일정시간이 지난 t2시간부터 스위칭 전원드라이브 펄스를 발생하게 되므로써 전원(V1, V2, V3)이 '온'되어 출력되게 하여준다.
이와같이 순간정전이 발생하여 스텐바이 전원 레벨이 변화되면 이를 레벨 검파부에서 감지하여 SMPS콘트롤 집적소자의 콘트로 단자를 제어해 주게 되므로서 순간정전이 발생하면 스위칭 전원 드라이브 펄스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보호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전원 전압의 변동이 심한곳, 또는 생산라인에서 발생되는 순간정전으로부터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AC 입력을 받아 스텐바이 전원을 공급하는 스텐바이 전원부(5)와, 상기 스텐바이 전원부(5)의 스텐바이 전원이 인가되는 릴레이(RY)를 동작시켜 AC입력을 스위칭 전원부(20)에 인가시키는 파우어 콘트롤부(15)와, 상기 스텐바이 전원부(15)의 스텐바이 전원 공급에 의하여 SMPS콘트롤 집적소자(IC1)에서 전원 드라이브 펄스를 발생시켜 릴레이(RY)를 통한 AC 입력을 각기 다른전압(V1-Vn)으로 출력시키는 스위칭 전원뷔(20)로 구성된 SMPS전원 회로에 있어서, 상기 스텐바이 전원부(5)에서 인가되는 스텐바이 전원 레벨을 검파하고 상기 스텐바이 전원 레벨이 일정 레벨 이하로 검파될 때 스위칭 전원부(20)의 SMPS콘트롤 집적소자(IC1)에서 출력되는 전원 드라이브 펄스 발생을 중단시키는 레벨 검파부(10)를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는 SMPS전원의 순간 정전 방지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레벨 검파부(10)는 스텐바이 전원부(5)의 스텐바이 전원 공급 상태를 검출하는 콘덴서(C1) 및 저항(R1)과, 상기 콘덴서(C1) 및 저항(R1)에 의하여 검출된 스텐바이 전원을 일정 전압으로 유지시키는 제너다이오드(ZD1)와, 상기 제너다이오드(ZD1)로 유지된 일정전압에 의하여 구동이 선택되고 SMPS콘트롤 집적소자(IC1)의 단자(⑧)입력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된 SMPS전원의 순간 정전 방지회로.
KR2019880015003U 1988-09-08 1988-09-08 Smps전원의 순간정전 방지회로 KR9100070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5003U KR910007049Y1 (ko) 1988-09-08 1988-09-08 Smps전원의 순간정전 방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5003U KR910007049Y1 (ko) 1988-09-08 1988-09-08 Smps전원의 순간정전 방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535U KR900007535U (ko) 1990-04-04
KR910007049Y1 true KR910007049Y1 (ko) 1991-09-20

Family

ID=19279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5003U KR910007049Y1 (ko) 1988-09-08 1988-09-08 Smps전원의 순간정전 방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0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535U (ko) 1990-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5875B2 (en) Power abnormal protection circuit
EP1376841B1 (en) Switched mode power suppl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5828207A (en) Hold-up circuit with safety discharge for preventing shut-down by momentary power interruption
US6480043B2 (en) Circuit and method for protecting a switching power supply from a fault condition
KR100574252B1 (ko) 과전류 보호 스위치 모드 전원
KR100562242B1 (ko) 스위칭 전원 장치용 오류 제어 회로
US6385060B1 (en) Switching power supply with reduced energy transfer during a fault condition
US6469454B1 (en)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ontroller
US4709320A (en) Low voltage shutdown circuit
JPH0624390U (ja) 電源回路
KR100521112B1 (ko) 보조 전원 장치의 제어 회로
EP0130254B1 (en) Power supply for a circuit interrupter
KR100522017B1 (ko) 스위칭 전원 장치용 오류 제어 회로
EP1394927B1 (en) Power supply with surge protection
US4234829A (en) High voltage disabling circuit for a television receiver
US4675547A (en) High power transistor base drive circuit
EP0035379A1 (en) A gate circuit for a thyristor and a thyristor having such a gate circuit
KR910007049Y1 (ko) Smps전원의 순간정전 방지회로
US5621632A (en) Switch mode power supply circuit
EP0740385B1 (en) Protection circuit for a switch mode power supply
KR19990072223A (ko) 강하하는 전원에서 적절한 리셋을 보장하는리셋 회로
KR20000007848A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서지보호회로
KR100202080B1 (ko) 저전압 보호회로
KR0149260B1 (ko) 전원 공급 회로
KR910008725Y1 (ko) 리모콘 전원 안정화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