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823B1 - 디지탈 신호 기록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신호 기록 재생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823B1
KR0148823B1 KR1019930016947A KR930016947A KR0148823B1 KR 0148823 B1 KR0148823 B1 KR 0148823B1 KR 1019930016947 A KR1019930016947 A KR 1019930016947A KR 930016947 A KR930016947 A KR 930016947A KR 0148823 B1 KR0148823 B1 KR 0148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ording
data
video signal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6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849A (ko
Inventor
히로오 오까모또
마스오 오꾸
마사후미 나까무라
다까하루 노구찌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쯔또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23334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86216A/ja
Priority claimed from JP04233340A external-priority patent/JP31367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23803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84285A/ja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쯔또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쯔또무
Publication of KR940007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849A/ko
Priority to KR1019980008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8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기록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그대로 직접 기록하고 또한 기록신호의 일부만을 재생할 때에도 양호하게 원래의 영상신호를 재생할 수 있고 또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트릭 플레이 모드로 즉 통상 속도와는 다른 속도로 재생할 때에도 양호하게 원래의 영상신호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우선도가 높은 제1의 종류의 신호와 제1의 종류의 신호보다 우선도가 낮은 제2의 종류의 신호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제1의 종류의 신호를 기록매체상에 여러회 다중해서 기록하는 기록수단 및 기록매체에서 정보를 리드하고 디지털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재생수단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단독으로 신장할 수 있고 또한 인터프레임데이터를 신장할 때의 기준으로서 사용되는 인트러프레임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일 수 있고, 또 테이프상의 드롭아웃에 의해 기록신호의 일부분밖에 재생할 수 없을 때에도 양호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디지털 영상신호의 압축방법을 도시한 도면.
제3도의 (a) 및 제3도의 (b)는 인터페이스에서 기록재생장치로 공급되는 신호의 1예의 타이밍도.
제4도는 패킷의 포맷도.
제5도는 자기테이프상의 기록패턴을 도시한 도면.
제6도의 (a) 및 제6도의 (b)는 1회의 주사동작에 의해 기록된 2트랙을 도시한 도면.
제7도는 제6도의 (a) 및 제6도의 (b)에 도시한 각 영역의 1블럭의 포맷도.
제8도는 ID신호의 포맷도.
제9도는 제6도의 (a) 및 제6도의 (b)에 도시한 각 영역의 포맷도.
제10도의 (a)~제10도의 (f)는 각 영역의 구체적인 포맷도.
제11도는 기록프로세서의 블록도.
제12도는 재생프로세서의 블록도.
제13도는 통상의 속도와는 다른 속도 또는 트릭 플레이모드시의 헤드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
제14도는 수신장치내의 인터페이스회로의 블록도.
제15도는 기록재생장치내의 인터페이스회로의 블록도.
제16도는 서보회로의 블록도.
제17도는 서보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파형도.
제18도의 (a)~제18도의 (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의 회전헤드의 1회전에 의해 기록된 4트랙의 포맷도.
제19도는 영역의 포맷도.
제20도의 (a)~제20도의 (f)는 1A트랙 및 1B의 구체적인 포맷도.
제21도는 통상의 2배속 모드에 있어서의 헤드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
제22도의 (a) 및 제22도의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의 1회의 주사동작에 의해 기록된 2트랙의 블록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23도의 (a) 및 제23도의 (b)는 1회의 주사동작에 의해 기록된 2트랙의 블록의 다른 포맷을 도시한 도면.
제24도의 (a) 및 제24도의(b)는 1회의 주사동작에 의해 기록된 2트랙의 블록의 또 다른 포맷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신호를 기록재생하는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기록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신호를 압축하고 전송하는 디지털 방송방식이 ERROR CONCEALMENT IN DIGITAL SIMULCAST AD-HDTV DECODER IEEE Trans. on Consumer Electronics, Vol. 38, No. 3, August 1992, pp. 108-118 및 MPEG-Based Video Coding for Digital Simulcasting, International Workshop on HDTV '92, Nov. 18-20, 1992, Proceedings Vol. I, pp. 141-148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안되어 있다.
제2도는 상기 문헌에 기재된 디지털 영상신호 압축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21) 및 (22)는 각각 1프레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제2도에서 점으로 표시한바와 같이 영상신호의 9프레임마다 모든 화상정보를 압축하고, 그 이외의 프레임의 각각의 차분정보만 전(前)프레임 또는 후(後)프레임의 데이터에서 예측하여 압축하는 것에 의해 전송할 데이터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 전자의 프레임을 인트러프레임(intraframes)이라 하고, 후자의 프레임을 인터프레임(interframes)이라 한다.
디지털방송에 의해 전송된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적은 면적에 고효율로 직접 기록할 수 있다. 그러나, 영상신호가 압축되어 있기 때문데 영상신호를 모두 재생할 수 없으면 영상신호를 신장할 수 없다. 자기테이프상에 드롭아웃이 발생했거나 트릭 플레이 모드(trick play mode)(통상의 속도와는 다른 속도로 재생)로 재생할 때 또는 기록신호의 일부분만이 재생될 때 원래의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재생시 기록자기테이프의 중앙부에서는 거의 리드에러가 발생되지 않지만, 양끝부에서는 리드에러가 발생한다. 따라서, 인트러프레임이 테이프의 양끝부에 기록되면, 재생시에 양끝부에서 발생하는 리드에러에 의해 재생영상의 화질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그대로 즉 신장하지 않고 기록하고 또한 인트러프레임 데이터 등의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를 낮은 에러로 리드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양호하게 영상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그대로 직접 기록하고 또한 기록신호의 일부만을 재생할 때에도 양호하게 원래이 영상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그대로 기록하고 또한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트릭 플레이 모드로, 즉 통상 속도와는 다른 속도로 재생할 때에도 양호하게 원래의 영상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트러프레임 데이터 등의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 및 인터프레임 데이터 등의 우선도가 낮은 데이터를 자기테이프의 다른 영역에 기록하는 것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를 자기테이프의 내측 또는 중앙부에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트러프레임 데이터 등의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 및 인터프레임 데이터 등의 우선도가 낮은 데이터를 분리하고, 전자 즉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를 다중 기록하는 것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중기록방식의 다층영역에 기록된 인트러프레임 데이터중 양호하게 재생된 데이터를 출력하여 원해의 영상신호를 정확하게 재생한다. 인터프레임 데이터를 신장할 때 기준데이터로서 사용되는 인트러프레임 데이터는 독립적으로 인터프레임 데이터를 신장할 수 있고 또한 자기테이프의 다층영역에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높은 확률로 양호하게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릭 플레이 모드시 즉 통상 속도와는 다른 속도로 재생되 영상신호를 양호하게 출력하기 위해, 인트러프레임 데이터와 같은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재생하는 것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로 표시하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의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안테나, (4)는 전송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 (6)은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 (7)은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는 복조회로, (8)은 전송시에 발생한 에러를 정정하는 에러정정회로, (9)는 압축된 영상신호를 신장하는 영상신호 프로세서, (10)은 영상신호와 함께 전송된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신호 프로세서, (11)은 기록재생장치와의 신호의 입출력을 실행하는 멀티플렉서, (12)는 인터페이스회로이다. 또, (5)는 전송된 디지털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기록재생장치, (13)은 수신장치와의 입출력을 실행하는 인터페이스회로, (14)는 입력 디지털 영상신호에서 기록된 신호를 생성하는 기록프로세서, (15)는 재생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는 재생프로세서, (17)은 자기헤드A 및 B을 갖는 회전헤드드럼, (18)은 자기테이프, (19)는 자기테이프(18)의 주행을 제어하는 서보회로이다.
수신장치(4)에서 통상의 수신시에 멀티플렉서(11)은 복조회로(7)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고, 출력단자(2) 및 (3)으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동시에 압축된 디지털 영상신호가 인터페이스회로(12)를 거쳐서 기록재생장치(5)로 공급된다. 기록된 신호를 재생할 때에는 멀티플렉서(11)은 인터페이스회로(12)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고, 기록재생장치(5)에 의해 재생된 신호를 에러정정회로(8)로 공급한다. 에러정정회로(8)은 수신된 디지털 영상신호에 부가된 에러정정코드를 사용하여 재생된 신호의 에러를 정정한다. 그 후, 에러정정신호를 영상신호 프러세서(9) 및 음성신호 프로세서(10)에 의해 신장 등의 처리를 실행한 후, 출력단자(2) 및 (3)에서 출력한다.
에러정정전의 신호를 기록하므로, 에러정정회로(8)은 전송시에 발생하는 에러를 정정할 수 있고, 기록재생장치(5)에서 발생되고 장치(5)내에서는 정정할수 없는 에러에 대해서도 에러의 검출 및 정정을 할 수 있다. 또한, 기록재생장치(5)에서 발생되고 정정할 수 없는 에러에 대해서도 에러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기록재생장치(5)에서 재생신호와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에러정정회로(8)로부터의 출력은 기록재생장치에 기록해도 좋다.
기록재생장치(5)에서는 기록시에 기록프로세서(14)는 수신장치(4)에서 공급된 디지털 영상신호에 기록용 에러정정부호나 동기신호 등을 부가해서 기록신호를 출력하고, 회전헤드(17)에 의해 자기테이프(18)상에 기록한다. 재생시에 회전헤드(17)에 의해 재생된 신호는 재생프로세서(15)에 공급되고, 기록재생시에 발생한 에러를 정정하고 정정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여 수신장치(4)로 공급한다.
제3도의 (a)는 인터페이스회로(12)에서 기록재생장치(5)로 출력된 신호의 1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인터페이스회로(12)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우선도가 높은 신호와 우선도가 낮은 신호로 분리한다. 데이터(62)는 패킷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패킷(620), 패킷(63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패킷은 우선도가 높은 패킷(H-패킷(620))과 우선도가 낮은 패킷(L-패킷(630))을 포함한다. H-패킷과 L-패킷 데이터의 비율은 1:4이다. 1개의 H패킷과 4개의 L-패킷을 1조로 하고, 여기에 동기신호(61)을 부가한다. 이 실시예에서 H-패킷과 L-패킷은 동일한 신호선에서 시분할로 공급된다.
H-패킷은 예를 들면 독립적으로 신장할 수 있는 모든 화상정보의 인트러프레임 데이터 및 중요한 제어신호로 형성된다. L패킷은 예를 들면 전후프레임에 인접한 데이터 즉 인접 프레임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신장할 수 있는 인터프레임 데이터 및 음성데이터로 형성된다.
제3도의 (b)는 인터페이스회로(12)에서 기록재생장치(5)로 출력된 신호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예에서, 인터페이스회로(12)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와 우선도가 낮은 데이터로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그 데이터를 출력한다. 제3도의 (a)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데이터(62)는 패킷구조 즉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H-패킷)(621) 및 우선도가 낮은 데이터(L-패킷)(631)로 이루어져 있다. H-패킷과 L-패킷의 데이터의 양의 비율은 1 : 4이고, L-패킷 데이터(631)의 전송레이트는 H-패킷데이터(621)의 4배이다. 1개의 H-패킷과 4개의 L-패킷을 1조로 하고, 여기에 동기신호(61)을 부가한다.
이하, 인터페이스회로(12),(13)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영상신호를 H-패킷과 L-패킷으로 분리하는 것은 기록재생장치(5)내의 인터페이스회로(13)에서 이루어진다. 안테나(1)에서 전송되어 수신된 디지털 영상신호가 이미 H-패킷열과 L-패킷열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터페이스회로내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다.
제4도는 패킷(620),(621),(630) 또는 (631)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64)는 헤더로서, 데이터의종류(H-패킷인지 L-패킷인지를 구분), 프레임번호, 프레임내의 위치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65)는 디지털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데이터이고, (66)은 전송시에 에러검출 및 정정을 위해 부가되는 패리티이다.
제5도는 자기테이프(18)상의 기록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24)는 기록패턴의 트랙의 각각을 나타낸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17)은 180도 대향해서 탑재된 2쌍의 헤드 A, B를 갖는다. 따라서, 1회 주사동작에 의해 2트랙이 동시에 기록된다. 예를 들면, 1A 및 1B의 2트랙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시에 기록된다.
제6도의 (a) 및 제6도의 (b)는 1주사 동작에 의해 기록된 2트랙의 포맷의 1에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면, 제6도의 (a)는 1A트랙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고, 제6도의 (b)는 1B트랙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각각의 트랙은 3영역으로 구성되고, 각 영역은 여러개의 블록으로 구성된다. 영역(25)는 트랙의 중심부이며, 이 영역에서의 에러발생빈도는 낮다. 이 영역(25)에는 H-패킷 데이터가 기록된다. 트랙의 양끝의 영역(26)에는 L-패킷 데이터가 기록된다. 따라서, 기록 데이터를 2분할하고, 2트랙에 분할된 데이터를 동시에 기록하는 것에 의해 기록레이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회전헤드의 회전수는 1회의 주사동작에 의해 기록되는 패킷의 수와 동기된다. 즉, 회전헤드는 1회의 주사동작으로 기록되는 패킷이 수신장치(4)에서 전송되는 시간동안 180도로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이것에 의해, 수신장치(4)와의 인터페이스의 처리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제7도는 제6도의 (a) 및 제6도의 (b)에 도시한 각 영역을 구성하는 블록의 각각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블록은 동기신호(31), ID신호(32), 패킷데이터(33) 및 패킷데이터(33)의 에러의 검출 및 정정을 위한 패리티(34)로 구성된다.
제8도는 ID신호(32)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트랙을 식별하기 위한 트랙번호(35)는 소정수의 사이클, 예를 들어 16사이클을 갖는다. 블록번호(36)은 트랙내의 블록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플래그(37)은 패킷의 형태 즉 H-패킷 또는 L-패킷을 판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어정보(38)은 테이프상의 기록시간, 프로그램번호 등의 정보를 나차낸다. 제어정보(38)이 트랙내에서 여러영역에 반복기록되면, 서치동작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패리티(39)는 ID신호내의 에러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영역(25)와 (26)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공통의 포맷을 갖고, 동기신호(31) 및 ID신호(32)는 생략하고 있다. 전반부분(41) 및 후반부분(43)에는 패킷 데이터를 기록하고, 중앙부분(42)에는 제2의 에러검출정정용 패리티를 기록한다. 에러검출정정용의 2중 패리티는 에러검출 정정능력을 향상시킨다. 패리티(42)는 영역의 끝부분과 같은 다른 위치에 배치해도 좋다.
제10도의 (a)~제10도의 (f)는 영역(25) 및 (26)의 포맷을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하나의 영역은 34블럭으로 구성되고, 30블럭은 패킷데이터으로 사용되고, 4블럭은 패리티(42)영으로 사용된다. (51)은 1블럭(패킷)을 나타낸다. 2트랙에 걸쳐 기록된 120개의 L-패킷(L0-L119)는 LA영역(제10도의 (a)), LB영역(제10도의 (c)), LC영역(제10도의(d)) 및 LD영역(제10도의 (f))에 순차 기록된다. 한편, 30개의 H-패킷(H0-H29)는 HA영역(제10도의 (b)) 및 HB영역(제10도의 (e))에 2중기록 방식으로 기록된다. 또, HA 영역의 전반에 기록된 패킷은 HB영역의 후반에 다시 기록된다.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를 상기와 같이 다중기록방식으로 여러개의 다른 영역에 반복 기록하면, 테이프상에 드롭아웃이 존재해도 에러가 없거나 또는 에러가 적은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다.
제11도는 기록프로세서(14)의 블록도이다. 기록프로세서는 메모리(73), 패킷검출회로(74), 패리티발생기(75) 및 기록신호발생기(76)으로 구성된다. 인터페이스회로(13)으로 부터의 패킷데이터는 입력단자(71)을 경유해서 패킷검출회로(74)로 공급된다. 패킷검출회로(74)는 패킷의 종류를 검출하고, 메모리(73)은 그 검출된 종류에 따라 소정의 위치에 패킷 데이터를 저장한다. 패리티 발생기(75)는 메모리(73)에 저장된 패킷데이터에서 C1패리티(34) 및 C2패리티(42)를 생성하여 메모리(73)에 저장한다. 기록신호발생기(76)은 메모리(73)에서 패킷데이터 및 C1, C2패리티를 리드하고, 동기신호(31) 및 ID신호(32)를 부가해서 제7도에 도시한 블록 포맷을 형성한다. 기록신호발생기(76)으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출력단자(72)를 경유해서 드럼(17)상의 회전헤드 A, B로 공급된다.
제12도는 재생프로세서(15)의 블록도이다. 재생프로세서(15)는 메모리(83), 블록데이터 재생회로(84), 에러정정회로(85) 및 패킷데이터 출력회로(86)으로 구성된다. 드럼(17)상의 회전헤드A, B로부터의 재생신호는 입력단자(81)을 경유해서 블록데이터 재생회로(84)로 공급된다. 블록데이터 재생회로(84)는 동기신호(31) 및 ID신호(32)를 검출한다. 그리고, 메모리(83)은 ID신호내의 트랙번호(35), 블록번호(36) 및 플래그(37)에 따라 소정의 위치에 패킷을 저장한다. 에러정정회로(85)는 메모리(83)에 저장된 C1패리티(34) 및 C2패리티(42)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패킷데이터내의 에러를 정정한다. 동시에 에러상태를 나타내는 포인터를 생성하여 메모리(83)에 저장한다. 패킷데이터 출력회로(86)은 메모리(83)에서 패킷데이터를 리드하여 출력단자(82)에서 출력한다. H-패킷 데이터에 대해서는 우선 포인터를 리드하고, 정정할 수 없는 에러인지 아닌지 확인한다. 정정할 수 없는 에러이면 H-패킷 데이터를 그것이 기록되어 있는 다른 영역에서 리드한다. 패킷데이터가 출력될 때 포인터를 부가해서 수신장치(4)에서 기록 또는 재생시의 에러의 유뮤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재생이 통상 속도와는 다른 속도나 트릭 플레이 모드에서 이루어질 때, 헤드는 트랙과 어긋나게 주사되기 때문에 각 트랙의 일부분만 재생할 수 있다. 트릭 플레임 모드시, H-패킷을 우선적으로 재생하고 인트러프레임 데이터에서 영상을 생성하면 좋다.
제13도는 트릭플레이 모드시의 회전헤드의 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1점쇄선은 헤드A(트랙A와 동일한 방위각을 같는 헤드)의 궤적을 나타낸다. 트릭 플레임 모드시에 서보회로(19)에 의해 자기테이프(18)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제13도의 사선영역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H-패킷데이터를 기록하는 HA영역이나 HB영역의 전반 또는 후반을 헤드가 트레이스(추종)할 수 있다. H-패킷데이터는 HA영역의 전반 또는 후반 및 HB영역의 전반 또는 후반 모두에 2중 기록되기 때문에 어느쪽이든 한쪽을 재생할 수 있으면 좋다. 서보회로(19)의 구성에 대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재생프로세서(15)에 있어서 에러정정회로(85)는 C1패리티(34)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각 블록에 에러검출정정을 실행한다. 정정된 블록의 패킷 데이터는 수신장치(4)로 공급된다. 수신장치(4)에 있어서, 영상신호 프로세서(9)는 패킷의 헤더(64)에서 영상신호의 위치를 식별하여 신장한다. 재생할 수 없었던 영상신호는 이전의 영상신호에 의해 보간된다.
제14도는 인테페이스회로(12)의 블록도이다. 제14도에 있어서, 기록시 복조회로(7)(제1도 참조)로부터의 출력신호(패킷)은 데이터 디바이더(divider)(100)로 공급되어 H-패킷 및 L-패킷으로 분리된다. 이 분리는 각 패킷에 포함되어 H-패킷인지 L-패킷인지 등의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신호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분리된 H-패킷과 L-패킷은 각각 H-레지스터(102)와 L-레지스터(104)에 저장된다. H-레지스터(102) 및 L-레지스터(104)의 출력은 멀티플렉서(MPX)(106)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타이밍발생기(108)은 수신장치(4)에서 발생된 클럭신호를 받고, 멀티플렉서(106)이 예를 들어 제3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열(62)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H-레지스터(102), L-레지스터(104) 및 멀티플렉서(106)에 공급한다. 또, 동기신호(61)도 발생한다. 멀티플렉서(106)으로부터의 출력(62)와 동기신호(61)은 기록재생장치(5)내의 인터페이스회로(13)으로 공급된다.
재생시에 인터페이스회로(13)으로부터의 데이터열(62)와 동기신호(61)은 각각 H-레지스터(112), L-레지스터(114) 및 동기검출기(110)으로 공급된다. 이 데이터열에 포함된 H-패킷과 L-패킷은 각각 H-레지스터(112)와 L-레지스터(114)에 저장된다. 동기검출기(110)에 의해 H-레지스터와 L-레지스터가 제어되고 저장된 H-패킷 및 L-패킷이 데이터합성기(116)으로 공급된다. 데이터합성기(116)은 패킷을 복조회로(7)로부터의 출력과 동일한 재생신호의 포맷으로 전환시켜 멀티플렉서(11)에 공급한다.
제15도는 기록재생장치의 인터페이스회로(13)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록시에, 수신장치(4)내의 인터페이스회로(12)로부터의 동기신호(61)과 데이터열(62)는 각각 H-레지스터(118), L-레지스터(120) 및 동기검출기(124)고 공급된다. 동기검출기(124)는 H-레지스터(118) 및 L-레지스터(120)을 제어하고, 데이터열(62)를 H-패킷과 L-패킷으로 분리하여 기록프로세서(14)로 공급한다. 동기검출기(124)는 또 기록프로세서(14)에서 사용되는 클럭을 발생시킨다.
재생시에 재생프로세서(15)로부터의 H-패킷, L-패킷 및 클럭(기록시의 H-레지스터(118), L-레지스터(120) 및 동기검출기(124)로부터의 출력신호와 동일한 신호)은 H-레지스터(126), L-레지스터(128) 및 타이밍발생기(130)으로 공급된다. H-레지스터(126)와 L-레지스터(128)로부터의 출력신호는 멀티플렉서(132)로 공급된다. 타이밍발생기(130)은 H-레지스터(126), L-레지스터(128) 및 멀티플렉서(132)를 제어하고, 제3도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데이터열(62)와 동기신호(61)을 발생하여 수신장치(4)의 인터페이스회로(12)의 H-레지스터(112), L-레지스터(114) 및 동기검출기(110)으로 각각 공급한다.
제3도의 (b)에 도시한 포맷의 데이터열도 마찬가지 회로구성에 의해 분리, 합성할 수 있다는 것을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6도는 서보회로(19)의 블록도이다. 제16도에 있어서 헤드(140)에 의해 검출되고 증폭기(142)에 의해 증폭된 트랙킹신호가 비교기(144)의 한쪽의 입력에 공급되고, 멀티플렉서(146)에서 비교기(144)의 다른 한쪽의 입력으로 공급된 기준신호와 위상 비교된다. 비교결과를 나타내는 비교기(144)로부터의 출력신호는 모터드라이브회로(145)로 공급된다. 모터드라이브회로(145)는 비교결과에 따라 캡스턴모터(148)을 제어한다. 멀티플렉서(146)의 한쪽의 입력단에는 통상의 속도모드로 재생된 기준신호가 공급되고, 다른 한쪽의 입력단에는 트릭 플레이 모드(예를 들면, 2배속 모드)로 재생된 기준신호가 공급된다. 멀티플렉서(146)의 재생모드 설정신호를 제어해서 임의의 재생모드를 선택한다.
제17도는 통상속도 재생모드용 기준신호와 2배속 재생모드용 기준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신호사이에 소정의 위상차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2배속 재생모드와 같은 트릭 플레이 모드에서 회전헤드가 자기테이프상의 임의의 영역을 트레이스하도록 자기테이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독립적으로 신장을 실행할 수 있고 또한 인터프레임 데이터를 신장할 때 기준으로 사용되는 인트러프레임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테이프상에 드롭아웃이 발생하고 기록신호의 일부만이 재생될 때에도 양호한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 트릭 플레이 모드시에도 인트러프레임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재생하여 양호한 영상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인트러프레임 데이터와 같은 H-패킷은 제6도의 (a)와 제6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테이프의 여러 트랙상 및 테이프의 안쪽 또는 중앙부에 다중으로 기록된다. 그러나, 테이프의 안쪽 또는 중앙부에서는 기록/리드에러가 그다지 발생하지 않으므로, H-패킷을 다중기록하지 않고 중앙부에 기록해도 좋다. 이 경우, 전송된 압축데이터를 그대로 직접 테이프상에 기록한 경우에 비해 양호한 신호를 얻을수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다음에 기술한다. 이 실시예는 상기한 실시예와는 기록데이터의 포맷이 다를 뿐 회로구성은 동일하다. 이 실시예의 회로구성의 설명은 상술한 실시예의 회로구성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인터페이스회로(12)에서 기록재생장치(5)로 공급된 신호는 예를 들어 제3도의 (a) 및 제3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다. 자기테이프(18)상의 기록패턴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17)상에 2쌍의 회전헤드A, B를 180도 대향해서 탑재하는 것에 의해 1회의 주사동작으로 2트랙을 동시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A 및 1B 의 2트랙이 동시에 기록된다.
제18도의 (a)~제18도의 (d )는 회전헤드A, B가 1회 회전할 때 형성되는 4트랙 1A, 1B, 2A, 2B를 도시한 도면이다. 각 트랙은 3영역으로 구성되고, 그의 각각은 여러개의 블록으로 구성된다. 에러 정정빈도가 낮은 영역(25)에는 H-패킷 데이터가 기록되고, 트랙의 양끝영역(26)에는 L - 패킷데이터가 기록된다. H-패킷 데이터의 상기 정보는 트랙 1A, 1B, 2A, 2B에 반복적으로 기록된다.
제18도의 (a)~제18도의 (d)에 도시한 각 영역을 구성하는 블록의 각각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신호(31), ID신호(32), 패킷데이터(33), 패킷데이터(33)의 에러검출정정용 패리티(34)로 구성된다.
ID신호(32)의 포맷은 제8도에 도시한 것과 유사하다. 이 포맷에서 트랙번호(35)에 의해 트랙 1A, 1B, 2A, 2B의 각각을 식별할 수 있다. 영역(25) 및 (26)은 제19도에 도시한 공통의 포맷을 갖는다. 제19도에 있어서 동기신호(31) 및 ID신호(32)는 생략되어 있다. 이 영역의 중앙부분(41)에는 패킷데이터가 기록되고, 전후부분(42)에는 제2의 에러검출정정용 패리티가 기록된다. 에러검출정정용 패리티를 2중으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에러검출정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패리티(42)를 영역의 끝부분과 같은 다른 위치에 배치시켜도 좋다.
제20도의 (a)~제20도의 (f)에 도시한 각 영역(25) 및 (26)의 포맷을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각 영역은 66블럭으로 구성되고, 60블럭(패킷)은 데이터(41)용으로 사용되고, 6블럭은 패리티(42)용으로 사용된다. (51)은 1블럭(패킷)을 나타낸다. 제20도의 (a)~제20도의 (f)에 도시한 포맷은 제18도의 (a) 및 제18도의 (b)의 1A, 1B의 2트랙에 대한 것이다. 2트랙에 걸쳐 기록된 240개의 L-패킷(LO-L239)는 영역 L1, L2, L3 및 L4에 순차 기록된다. 120개의 H-패킷(H0-H119)는 영역 H1 및 H2에 기록된다. 제18도의 (c) 및 제18도의 (d)에 도시한 트랙 2A, 2B에서 영역L5-L8에는 다음의 240개의 L-패킷(L240-L479)이 기록되고, 영역H1, H2 에는 트랙1A, 1B와 동일한 H-패킷(H0-H119)이 기록된다. 이와같이 우선도가 높은 패킷데이터를 다른 트랙에 반복적으로 기록하는 것에 의해 테이프상에 드롭아웃이 발생해도 에러가 없거나 에러가 적은 영역에서 정확한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기록프로세서와 재생프로세서의 구성 및 동작은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수신장치(4)에 있어서, 기록/재생시에 발생하는 정정할 수 없는 에러는 전송시에 발생하는 에러의 검출 및 정정을 위해 부가되는 패리티(66)을 사용해서 검출하여 정정할 수 있다. 또, 이 때 재생프로세서(15)에서 공급된 포인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정정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은 처음에 기술한 실시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트릭 플레이 모드시에 헤드가 트랙과 어긋나게 주사하므로, 각 트랙에서 데이터의 일부분만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트릭 플레이 속도모드시에 H-패킷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재생하고 인트러프레임데이터에서 영상을 생성한다.
제21도는 2배속 모드시의 헤드의 주사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동일 도면에서, (71)은 헤드A(트랙A와 동일한 방위각을 갖는 헤드)를 나타내고, (72)는 헤드B(트랙B와 동일한 방위각을 갖는 헤드)를 나타내고, 1점쇄선은 헤드의 주사궤적을 나타낸다. 2배속 모드시에, A헤드(71) 및 B헤드(72)는 2트랙마다 주사한다. 따라서, 헤드가 트랙의 중앙부 H1, H2를 주사할 수 있도록 서보회로(19)에 의해 자기테이프(18)을 제어하면, 제21도에서 사선영역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2트랙마다의 영역 H1, H2에서 H-패킷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H-패킷이 2트랙단위로 반복 방식으로 기록되므로, 기록영역의 어느쪽인가 한쪽에서 재생할 수 있으면 좋다. 즉, 2배속 모드시에 모든 H-패킷 데이터와 인트러프레임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3배속 이상의 모드에서도 다중 기록되지 않는 약2배의 H패킷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H패킷 데이터의 다중기록 회수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통상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역H1 및 H2내의 H-패킷 데이터가 6개의 다른 트랙 1A와 1B, 2A와 2B 및 3A와 3B에 3중 기록으로 반복 기록되면, 3배속 모드로 모든 H-패킷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n회 반복기록하는 것에 의해 n배속 모드로 모든 H-패킷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사용된 헤드의 수가 변경되면, 다른 영역에 기록될 트랙의 수는 1회의 주사동작에 의해 기록된 트랙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 2헤드를 사용하영 1회의 주사동작으로 1트랙을 기록하면, 1트랙 길이의 H- 패킷데이터를 2이상의 트랙에 걸쳐 반복적으로 기록한다. 8헤드를 사용하여 1회의 주사동작으로 4트랙을 기록하면, 4트랙 길이의 H-패킷 데이터를 8트랙 또는 4트랙의 3배 이상에 걸쳐서 반복적으로 기록하면 좋다.
이 실시예에서도 단독으로 신장을 실행할 수 있고, 인터프레임 데이터를 신장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사용되는 인트러프레임 데이터가 재생될 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기록된 신호의 일부가 테이프상의 드롭아웃에 의해 손실된 경우라도 양호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 트릭 플레이 모드시라도 인트러프레임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재생하는 것에 의해 양호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와는 기록하는 포맷이 다를 뿐 회로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회로구성에 대해서 상술한 실시예의 회로구성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인터페이스회로(12)에서 기록재생장치(5)로 공급된 신호는 예를 들면 제3도의 (a) 또는 제3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다. 자기테이프(18)상의 기록패턴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17)상에 2쌍의 회전헤드A, B가 180도 대향해서 탑재되므로, 1회의 주사동작으로 2트랙을 동시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1A 및 1B의 2트랙을 동시에 기록할 수 있다. 패킷 데이터는 각각의 트랙에 블록 형식으로 기록된다.
제22도의 (a) 및 제22도의 (b)는 1회의 주사동작으로 기록된 2트랙의 블록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블록(25)에는 H-패킷 데이터가 기록되고 블록(26)에는 L-패킷 데이터가 기록된다. 예를 들어, 제22도의 (a)는 1A트랙의 포맷도이고, 제22도의 (b)는 1B트랙의 포맷도이다. 1트랙은 3블럭을 단위로 하고, 1블럭에는 H패킷데이터가 기록되고, 2블럭에는 L-패킷데이터가 기록된다. 예를 들어 1트랙에는 90블럭이 기록된다. 또, H-패킷데이터의 동일 정보는 2개의 다른 트랙A 및 B상에 반복 또는 2중으로 기록된다.
제22도의 (a) 및 제22도의 (b)에 도시한 블록(25) 또는 (26)의 각각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신호(31), ID신호(32), 패킷데이터(33), 패킷데이터(33)의 에러검출정정용 패리티(34)로 구성된다.
ID신호(32)의 포맷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마찬가지로 트랙(35), 블록(36),플래그(37), 제어정보(38) 및 패리티(39)로 구성된다.
각 트랙의 데이터포맷은 제9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제9도에 있어서 패킷데이터는 전반부분(41)과 후반부분(43)에 기록되고, 제2의 에러검출정정용 패리티는 중앙부분(42)에 기록된다. 패리티(42)는 3블럭 단위의 각 블록의 데이터의 부호계열을 형성한다. 즉, 제22도의 (a) 및 제22도의 (b)에 도시한 H패킷데이터블럭, L1 또는 L3 패킷데이터블럭 및 L2 또는 L4 패킷데이터블럭은 패리티(42)의 부호계열을 구성한다. 이와같이, 에러검출 정정용 패리티를 2중으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에러검출 정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패리티(42)는 트랙의 끝부분과 같은 다른 위치에 배치시켜도 좋다.
제23도의 (a) 및 제23의 (b)는 1회의 주사동작으로 기록된 2트랙의 다른 블록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3도의 (a) 및 제23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신호(31) 및 ID신호(32)를 3블록 단위로 부가한다. 이것에 의해 기록신호의 용장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우선도가 높은 데이터 즉 H-패킷데이터의 블록을 동기신호(31)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므로, 재생시의 검출능력을 각 블록에 동기신호를 부가한 경우와 동일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패리티(34) 및 패리티(42)는 제9도와 같이 부가하면 좋다.
제24도의 (a) 및 제24도의 (b)는 1회의 동작으로 기록된 2트랙의 다른 블록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4도의 (a) 및 제24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H-패킷데이터의 상기 정보는 트랙A의 서로 다른 영역에 반복적으로 기록하고, L-패킷은 트랙B에 기록한다. H-패킷을 다른 영역에 기록하는 반복회수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재생시의 검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동기신호(31) 및 ID신호(32)를 각 블록 또는 4블록 단위로 부가하면 좋다.
기록 프로세서와 재생 프로세서의 구성 및 동작은 제11도 및 제12도와 동일하다.
트릭 플레이 모드시에 헤드는 트랙과 어긋나게 주사되므로, 각 트랙에 기록된 데이터의 일부분만이 재생된다. 따라서, 트릭 플레이 모드시에 H-패킷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재생하고 인트러프레임 데이터에서 영상을 생성하면 좋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독으로 신장할 수 있고 또한 인터프레임데이터를 신장할 때의 기준으로서 사용되는 인트러프레임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또, 테이프상의 드롭아웃에 의해 기록신호의 일부분밖에 재생할 수 없을 때에도 양호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Claims (2)

  1. 여러종류의 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입력하는 수단, 입력된 디지털 영상신호에서 소정의 종류의 신호를 분리하고 이 분리된 특정 신호를 기록매체상에 여러회 다중해서 기록하는 기록수단 및 상기 기록매체에서 기록정보를 리드하고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재생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기록재생장치.
  2. 여러 종류의 신호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입력하는 수단, 입력된 디지털 영상신호에서 소정의 종류의 신호를 분리하고 이 분리된 특정 신호를 기록매체상에 여러회 다중해서 기록하는 기록수단. 가변속 재생시에 상기 기록매체상에 기록된 상기 특정신호를 헤드가 트레이스하도록 상기 자기매체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기록매체에서 기록정보를 리드하고 상기 디지털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재생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신호 기록재생장치.
KR1019930016947A 1992-09-01 1993-08-30 디지탈 신호 기록 재생 장치 KR0148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940A KR100221414B1 (ko) 1992-09-01 1998-03-17 디지탈신호 기록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33340 1992-09-01
JP4233341A JPH0686216A (ja) 1992-09-01 1992-09-01 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
JP04233340A JP3136791B2 (ja) 1992-09-01 1992-09-01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JP92-233341 1992-09-01
JP4238031A JPH0684285A (ja) 1992-09-07 1992-09-07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JP92-238031 1992-09-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940A Division KR100221414B1 (ko) 1992-09-01 1998-03-17 디지탈신호 기록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849A KR940007849A (ko) 1994-04-28
KR0148823B1 true KR0148823B1 (ko) 1998-10-15

Family

ID=27331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6947A KR0148823B1 (ko) 1992-09-01 1993-08-30 디지탈 신호 기록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88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849A (ko) 199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48887B1 (en) Digital video tape recorder with data block I.D. signal error correction
US5404248A (en) Video dat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efficient error correction
US5960150A (en) Digital VTR
US6141485A (en) Digital signal recording apparatus which utilizes predetermined areas on a magnetic tape for multiple purposes
JP3158740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送信方法及びダビング方法
US5841941A (en) Encoded data stream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ith tape speed, channel number, and cylinder speed control in accordance with bit rate
US5737480A (en) Data recording apparatus
KR0148823B1 (ko) 디지탈 신호 기록 재생 장치
KR100221414B1 (ko) 디지탈신호 기록재생장치
JP357275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3136791B2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US7200324B2 (en) Magnetic-tape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magnetic-tape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3203863B2 (ja) 回転ヘッド型記録再生装置
JPH0684285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US6192182B1 (en) Digital information signal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3301424B2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JP3123050B2 (ja) 記録装置
JP3322160B2 (ja) ディジタル映像信号記録方法、記録再生方法、記録装置、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媒体
JPH11164261A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処理装置および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再生装置
JPH0686216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
KR0135795B1 (ko) 트릭플레이를 위한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의 기록방법 및 그 기록 및 재생장치
JP3262035B2 (ja) ディジタル映像信号再生方法、再生装置及び復号装置
JP3240755B2 (ja) ディジタルテレビとディジタルvtr
JPH10269697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装置
JPH0746523A (ja) 映像信号記録装置と映像信号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