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544B1 - 자동차 카페트 스크랩을 이용한 화물칸 장식재용 보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카페트 스크랩을 이용한 화물칸 장식재용 보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544B1
KR0148544B1 KR1019950025572A KR19950025572A KR0148544B1 KR 0148544 B1 KR0148544 B1 KR 0148544B1 KR 1019950025572 A KR1019950025572 A KR 1019950025572A KR 19950025572 A KR19950025572 A KR 19950025572A KR 0148544 B1 KR0148544 B1 KR 0148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carpet
antistatic agent
manufacturing
sc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5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167A (ko
Inventor
유태욱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50025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8544B1/ko
Publication of KR970011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08Anti-static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6Scrap or recycl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카페트 스크랩이나 불량품에 대전방지제를 첨가하고 분쇄, 압출하여 자동차의 화물칸 장식재용 보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카페트 스크랩을 이용한 화물칸 장식재용 보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 카페트 스크랩을 이용한 화물칸 장식재(Trunk Trim)용 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카페트 제작중에 발생되는 스크랩(scrap)와 불량품을 분쇄, 압출 등의 공정을 거쳐 자동차의 화물칸 장식재 등으로 사용되는 재생보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트, 바닥, 천정, 트렁크 등의 실내공간에 사용되는 장식재의 제작중에는 많은 양의 스크랩이 발생되며, 특히 카페트의 경우 발생되는 스크랩의 양이 많을 뿐만 아니라 불량품 발생시 타 장식재 재료와는 달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라텍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으로 구성된 다성분재인 관계로 재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카페트의 스크랩이나 불량품은 전량 소각 또는 매립하여 폐기처분하게 되는데, 소각시 발생되는 유독가스에 의한 대기오염, 매립시 토양오염 등 많은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된다.
더우기, 오늘날 자동차 산업은 경쟁이 치열해져 원가절감을 위한 많은 노력이 경주되고 있으며, 또한 환경문제가 중요시되어 자동차 제조시 발생되는 폐기물의 처리도 환경에 유해하지 않아야 하는 어려운 현실에 직면해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 중 가장 많은 스크랩이 발생하고 불량품을 재사용할 수 없는 카페트를 이용하여 보드를 제조하여 다시 자동차용 부품으로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의 화물칸 내장재에 사용되는 재료는 부직포 라텍스, D-보드, 폴리프로필렌 보드 등 여러가지가 있다.
이 중 폴리프로필렌 보드의 재생재료인 D-보드의 경우 가격이 고가인 폴리프로필렌 보드의 생산이 중단되면 제조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환경문제를 개선하면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다성분으로 구성된 카페트의 스크랩 및 불량품을 조분쇄하고 대전방지제등을 첨가하여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재생보드를 제조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카페트 스크랩 및/또는 카페트 불량품을 8 내지 10㎜ 크기로 분쇄한 후 250~260℃의 온도에서 압출하여 1차 압출물을 제조하고, 이 압출물에 대전방지제를 첨가하고, 5~8㎜의 크기로 분쇄한 후 180~220℃의 온도에서 적당량의 폴리프로필렌(PP) 등과 압출, 성형하여 재생보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카페트 스크랩 및/또는 카페트 불량품은 폴리프로필렌(PP) 혼입시 30~100% 중량비로 혼합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이때 첨가되는 폴리프로필렌(PP) 등은 최대 70%까지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멜트인덱스(MI)가 너무 높지 않은 것(MI가 24이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적당량의 폴리에틸렌(PE)와 목분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카페트의 기계적 물성은 2차 압출되는 동안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게 되어 재생보드의 기계적 특성을 부여하는 보강재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1차 압출물에 대전방지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첨가량은 1차 압출물 대비 1 내지 20중량%가 바람직하다.
만일, 첨가량이 너무 소량이면 충분한 대전방지 효과를 낼 수 없으며, 너무 과량이면 오히려 대전방지 효과가 상쇄되어 효과적인 작용을 할 수 없다.
이러한 대전방지제로서 이온계, 비이온계, 양면활성계의 대전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중 CADEX GS-90 등이 효과적이다.
1차 압출물 제조에 사용되는 입자의 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 더욱 많은 혼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1차 압출물을 분쇄한 입자의 크기가 10㎜를 초과하면 성형후 혼화성이 감소하여 PET 섬유 덩어리가 뭉쳐져 물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대전방지제를 첨가하므로써 보드내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엉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고른 분포 및 일정한 방향성을 유지시키고 조분쇄를 하므로써 분산성을 향상시켜 파열강도 및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카페트 스크랩 100%를 사용하여 보드를 성형시 공급량을 일정하게 하여 압출기의 토크가 많이 걸리지 않게 하며 스크류(Screw)의 RPM을 올려야 한다. 일반적으로 250~300RPM이 적당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카페트 스크랩 50㎏(100wt%)을 8 내지 10㎜ 크기로 분쇄한 후 250~260℃의 온도에서 1차 압출하고, 이 압출물을 5~8㎜의 크기로 분쇄하여 이 압출분쇄물에 대전방지제를 1~20phr 첨가한 후 180~220℃에서 적당량의 폴리프로필렌(PP) 등을 첨가하여 압출 성형하여 재생보드를 제조하였다.
[물성비교]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성형물을 TD방향(압출방향의 90°방향)으로 12구간 분할하여 1, 2, 4, 6, 8, 10, 12구간을 5줄씩 시료 채취하였다.
상기 채취된 시료의 파열강도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채취된 시료중 2, 8, 10구간 시료의 인장강도 및 신율을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Claims (3)

  1. 카페트 스크랩 및/또는 카페트 불량품과 부직포 라텍스 보드를 8 내지 10㎜ 크기로 분쇄한 후 250~255℃의 온도에서 압출하여 1차 압출물을 제조하고, 이 1차 압출물을 5~8㎜의 크기로 다시 분쇄한 후 180~220℃의 온도에서 압출, 성형하는 자동차 카페트 스크랩을 이용한 화물칸 장식재용 보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차 압출물에 대전방지제를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카페트 스크랩을 이용한 화물칸 장식재용 보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는 이온계, 비이온계, 양면활성계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카페트 스크랩을 이용한 화물칸 장식재용 보드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의 첨가량은 1차 압출물 대비 1 내지 2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카페트 스크랩을 이용한 화물칸 장식재용 보드의 제조방법.
KR1019950025572A 1995-08-19 1995-08-19 자동차 카페트 스크랩을 이용한 화물칸 장식재용 보드의 제조방법 KR0148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5572A KR0148544B1 (ko) 1995-08-19 1995-08-19 자동차 카페트 스크랩을 이용한 화물칸 장식재용 보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5572A KR0148544B1 (ko) 1995-08-19 1995-08-19 자동차 카페트 스크랩을 이용한 화물칸 장식재용 보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167A KR970011167A (ko) 1997-03-27
KR0148544B1 true KR0148544B1 (ko) 1998-11-02

Family

ID=19423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5572A KR0148544B1 (ko) 1995-08-19 1995-08-19 자동차 카페트 스크랩을 이용한 화물칸 장식재용 보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85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565B1 (en) * 2001-08-22 2003-01-10 Gilgwang Greentech Co Ltd Gas discharging f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167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6176B1 (en) Method of recycling scrap material containing a thermoplastic
CA2262634C (en) Composite building materials from recyclable waste
US6767623B1 (en) Sandwich panel
EP0899072A1 (en) Method for producing plastic forms from waste synthetic resin
MXPA04003786A (es) Un metodo para reciclar alfombras y articulos hechos de las mismas.
CA2676961A1 (en) Resin pellet from recycled waste
KR0148544B1 (ko) 자동차 카페트 스크랩을 이용한 화물칸 장식재용 보드의 제조방법
EP0643093A1 (de) Flächiges Halbzeug aus GMT-Recyclat
KR0142447B1 (ko) 카펫트 부스러기와 부직포 라텍스 보드를 재활용한 압출보드의 제조방법
US5951712A (en) Method for plastic waste reclamation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KR0153321B1 (ko) 폐카페트 및 카페트 스크랩을 이용한 재생보드의 제조방법
DE19830913A1 (de) Kunststoffverarbeitungs- und -recyclingverfahr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nststoffwerkstoffen
DE4234953A1 (de) Kunststoffolie, enthaltend kontaminiertes Recyclat,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ieser Folie
EP2138292A1 (en) Recovery of cellular plastic material
EP3966273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n additive for bituminous conglomerates with high mechanical performances
KR970011935B1 (ko) 자동차 내장재의 재활용을 위한 카페트 보드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JPH08131989A (ja) 有機繊維廃材の再生処理方法
EP3411153B1 (en) Process for preparing automotive shredder fibre residue pellets
NL2013695C2 (en) Fibre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s.
EP2052827A1 (de) Verfahren und Anlage zur Herstellung eines fügbaren Granulats aus Kunststoffschwerfolienabfällen und einer Recycling-Kunststoffschwerfolie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JP3109016B2 (ja) ポリプロピレン製カ−ペット屑を利用した柔軟性のある内装用複合シ−トの製造方法
KR20020087197A (ko) 폐 부품을 이용하는 고성능 재생 보드의 제조방법
JP2003183413A (ja) プレス成形して得られる再生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49341A (ko) 과산화물을 사용한 재생수지의 제조방법
KR100537855B1 (ko) 폐gmt를 재활용하여 재생수지를 제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