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233B1 - 식기세정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정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233B1
KR0148233B1 KR1019960011538A KR19960011538A KR0148233B1 KR 0148233 B1 KR0148233 B1 KR 0148233B1 KR 1019960011538 A KR1019960011538 A KR 1019960011538A KR 19960011538 A KR19960011538 A KR 19960011538A KR 0148233 B1 KR0148233 B1 KR 0148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washing
pump
casing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710A (ko
Inventor
히로아키 이누이
마사키 유라
타카시 미야우치
츠요시 이나다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22982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7038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61259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3344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8948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539010B2/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970014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2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0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by application of a pressure effect produced by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6Water heaters

Abstract

본 발명은 체크밸브 등을 필요로하지 않는 간단한 구성으로 안정적으로 소정의 세정성능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세정소음의 저감을 도모한 식기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세정조(1)(90)와, 식기를 수납하는 식기바구니(2)(91)와,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노즐(5)(87)과, 모터(19),(98)의 회전에 의해 세정수를 가압하는 펌프(3)(92)와, 상기 모터(19)(98)의 정역반전수단(20)(99)을 가지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대략 연직방향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펌프는 제1임펠러(9)(83)에 의해 세정노즐에 세정수를 토출하는 제1케이싱(10)(84)과, 제2와류형 임펠러(11)(80)에 의해 기밖으로 세정수를 배출하는 제2케이싱(12)(82)과, 이들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12)(82)과 세정조(1)(90)에 연통하는 세정수안내부(15)(95)를 구비한 것으로서, 세정 및 배수용 펌프를 1개로 해결함으로써 세정기구를 축소하고, 세정용적을 확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정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세정기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제6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세정기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펌프의 요부단면도
제4a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식기세정기의 요부단면도
4b도는 동 식기세정기의 요부좌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식기세정기의 펌프의 요부단면도
제6도는 동 식기세정기의 펌프의 요부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펌프의 요부단면도
제8도는 동 식기세정기의 펌프의 요부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펌프의 요부단면도
제10도는 동 식기세정기의 펌프의 요부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펌프의 요부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7~제8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식기세정기의 구성도
제13도는 동 식기세정기의 단면도
제14a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식기세정기의 요부단면도
14b도는 동 식기세정기의 요부하면도
제15도는 종래의 식기세정기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제1임펠러 13:제3임펠러
14:도수로 15:세정안내부
23:접속체 27,29:구멍
49:탄성지지부재(탄성체)
본 발명은 식기의 세정을 행하는 식기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종래의 식기세정기에 대해서, 제15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식기세정기본체(61)는, 내부에 세정조(62)를 설치하고 있고, 이 세정조(62)내에 급수밸브(63)에 의해 물 또는 더운 물을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장치구동시에 있어서 세정수는, 모터(65)에 의해서 구동되는 세정펌프(66)에 의해 세정조(62)의 내부를 순환다. 즉, 이 순환은, 세정수가 배수구(64)로부터 세정펌프(66)에 흡입되고, 이 세정펌프(66)로부터 세정조(62)내 바닥부의 세정노즐(67)에 공급되고, 여기로부터 분사되어, 식기를 세정한 후, 다시 배수구(64)에 복귀하는 것과 같은 경로로 행해진다.
세정노즐(67)과 세정조(62)의 바닥부와의 사이에는, 세정수가열용히터(68)를 장비하고 있다. 또, 세정노즐(67)의 위쪽에는, 식기를 정연하게 배치할 수 있고 세정수를 효과적으로 식기에 분사하도록 구성한 식기바구니(69)를 설치하고 있다. 이 식기바구니(69)에는 복수의 이동용롤러를 배설하여, 식기세정기본체(61)의 앞면외부에 꺼내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세정조(62)의 앞면부에는, 개폐자재한 도어(70)를 장착하고 있다. 또, 세정수를 기밖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배수펌프(71)도 구비하고 있다. 또, 세정조(62)의 아래쪽에는 언더프레임(72)를 배설하여, 세정조(62)를 고정지지하고 있다. 이 고정에는 언더프레임(72)의 위에 직접 세정조(62)를 얹는 경우나, 별도의 고정지지부재를 개재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식기세정기에 있어서는, 세정펌프(66)도 배수펌프(71)도 그 구동모터(65)의 회전축은 수평방향이고, 펌프의 고정은 탄성체(73)를 개재해서 세정조(62)나 언더프레임(72)에 장착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 모터(65)에는, 그 축에 모터(65)자체의 냉각을 하기 위하여 냉각용팬(74)을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이하에 표시하는 과제가 있었다.
먼저, 세정펌프(66)와 배수펌프(71)의 2개의 펌프 및 모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 세정기구를 위하여 필요한 용적이 크다. 그 때문에 식기세정기의 전체용적에 대해서, 식기를 수납할 수 있는 세정용적의 비율이 작다. 따라서, 수납가능한 식기의 최대치수, 형상에 대한 자유도, 식기점수 등이 제한되므로, 식기수납성이 낮은 것이다.
또, 펌프 및 그 구동용모터가 2조 필요하므로, 이들 관련요소부품 및 그 조립에 필요한 코스트가 높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정기구를 소형화해서 식기수납용적을 확대하는 동시에 저코스트화를 도모하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한다. 이 때문에, 세정과 배수를 1개의 모터에 의해서 행하는 것을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안한다.
그러나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이 구성에서는 세정중에 배수토출용 제2임펠러(80)가 배수경로(81)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이는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세정중에 제2케이싱(82)내가 공기를 배수경로(81)로부터 흡입한 에어가미상태가 되고, 세정시에 있어서의 소음의 중대를 초래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제1임펠러(83) 및 제2임펠러(80)으로부터의 흡인력으로 인해서, 공기를 제1케이싱(84)내에 끌어들여 버리기 때문에, 펌프능력의 저하에 의한 세정성능이 현저하게 저하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실사용시에는 배수경로(81)내에 체크밸브(85)를 설치하고 공기가 펌프내에 들어가지 않는 배려가 필요했다.
그러나 이것도 역시 항구적인 대책은 아니다. 즉, 이 체크밸브(85)에는 끊임없이 식기세정한 후의 오염물을 포함한 배수가 통과하기 때문에, 오염물이 체크밸브(85)내에 퇴적해서 밀폐성을 잃게하는 등 신뢰성이 낮고, 계속해서 세정성능을 유지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이 펌프의 구성상, 배수공정중에 반드시 세정쪽의 제1케이싱(84)이 공기를 끌어넣어서 에어가미를 하는 상태를 통과하기 때문에, 배수소음이 커진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세정중에 있어서 잔채필터(86)가 심하게 막혔을 때 펌프는 극단적인 흡수부족에 빠지고, 세정 토출용인 제1임펠러(83)는 에어가미상태가 되어서 토출능력이 저하한다. 이때, 제1임펠러(83)와 배수토출용 제2임펠러(80) 및 에어가미방지용 제3임펠러(87)와의 압력밸런스가 무너져버리고, 배수경로(81)내에서 일정치를 유지하고 있던 세정수위가 변동하면서도 상승하는 상태에 빠지는 경우가 있따. 그리고, 최악의 경우 세정중에 세정수가 기밖으로 배출한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배수시에는 구성상 펌프내의 세정수가 위로부터 차례로 배수되어가기 때문에, 최초에 제1케이싱(84)내의 세정수가 없어지고 에어가미상태가 되나, 또 배수가 진행되면 제1케이싱(84)내의 공기의 일부를 제3임펠러(87)가 흡입해 버린다. 이 때문에, 조기에 제2임펠러(80)가 에어가미상태가 되고, 제2임펠러(80)의 배수능력이 저하해서 잔수가 많아진다는 과제가 있었다.
그리고 잔수가 많으면, 세정수중에 우지 등의 지방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상태에서 식기세정기가 방치되면, 펌프내에서 지방이 응고되고, 그것 때문에 펌프록을 일으켜서 펌프가 재기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 제2임펠러(80)의 모터에의 장착부(88)는, 와류임펠러의 특성상 세정수의 흐름이 없기 때문에 잔채 등의 이물이 퇴적하기 쉽고, 이물이 임펠러에 끼는 것에 의한 펌프록이나 잔채의 퇴적에 의한 고약한 냄새의 발생 등의 과제가 있었다.
또, 펌프를 세정조(62)나 언더프레임(72)에 고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탄성체(73)를 개재하고 있어도 종래와 같은 구성에서는, 모터의 회전방향에 대한 자유도가 낮고 진동의 전달을 방지한다는 점에서는 불리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체크밸브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간단한 구성으로 안정적으로 소정의 세정성능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세정소음의 저감을 도모한 식기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목적으로 한다.
또, 부품점수의 삭감에 의한 저코스트화나, 헹굼성능의 향상을 도모한 식기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3목적으로 한다.
또, 더욱 잔수가 작고, 세정성능이나 헹굼성능의 향상이나 절수화를 도모한 식기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4목적으로 한다.
또, 배수소음의 저감이나 펌프록 등이 없는 신뢰성이 높은 식기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5목적으로 한다.
또, 세정시의 배수경로내의 세정수위의 안정을 도모한 식기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6목적으로 한다.
또, 세정, 배수시에 있어서의 펌프의 안정성이나 신뢰성이 높고, 배수소음이 낮은 식기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7목적으로 한다.
또, 특히 세정임펠러에 기인하는 NZ음을 발생하는 일없이 배수소음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는 식기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8목적으로 한다.
또, 세정,배수시에 있어서의 펌프의 안정성이나 신뢰성이 높고, 세정,배수성능이 높고, 또한 배수소음이 낮은 식기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9목적으로한다.
또, 세정조를 크게해서 식기에 대한 수납성을 향상하고, 진동, 소음을 저감한 식기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0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진동의 세정조나 언더프레임에의 전달을 매우 작게 억제한 식기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1목적으로 한다.
또, 펌프의 위치를 가능한 한 낮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진동의 전달을 매우 작게한 식기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2목적으로 한다.
또, 냉각풍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코일이 적은 염가의 모터를 사용한 식기세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3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기세정기는, 펌프내의 각 케이싱으로부터의 세정수의 토출압의 밸런스를 취함으로써, 잔수위를 내리는 것에 의한 헹굼성능의 향상이나 그에 따른 절수화, 또는 세정토출압의 상승에 의한 세정성능의 향상이나. 에어가미했을때의 공기의 빠짐을 개선함에 따른 세정, 배수소음의 저감을 실현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식기세정기에 있어서는, 펌프는 회전축을 연직방향으로 하고, 그 상하부를 탄성체를 개재해서 고정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에 의해, 세정조를 크게 해서 식기에 대한 수납성을 향상하고, 진동,소음을 저감한 식기세정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발명은, 세정조와, 식기를 수납하는 식기바구니와,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노즐과, 모터의 회전에 의해 세정수를 가압하는 펌프와, 상기 모터의 정역반전수단을 가지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대략 연직방향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펌프는 제1임펠러에 의해 세정노즐에 세정수를 토출하는 제1케이싱과, 제2와류형임펠러에 의해 기밖으로 세정수를 배출하는 제2케이싱과, 이들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과 세정조에 연통한 세정수안 내부를 구비한 것이고, 세정 및 배수용 펌프를 1개로 해결함으로써 세정기구를 축소하고, 세정용적을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발명은, 제1발명에 더하여, 또한 제2임펠러이면에 제3원심형 임펠러를 배설한 것이고, 제3원심형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세정안내부로부터 제2케이싱내에 세정수가 토출되고, 종래의 구성과는 반대로 제2케이싱이나 배수호스내에 일정수준까지 세정수가 채워지는 작용을 가진다. 또 이 제3임펠러는 배수시에는 배수능력을 발휘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제1임펠러에 공기가 진입하는 일이 없고, 소정의 세정성능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세정소음의 저감이 도모된다.
또, 본 발명의 제3발명은, 제2 혹은 제3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제2임펠러의 흡입구를 제2케이싱의 측벽부에 형성하고, 이 흡입구를 개재해서, 세정조로부터 펌프에 세정수를 인도하는 도수로와 제2케이싱을 연통하는 것으로서 흡입구를 저위치에 형성한 것이고, 배수시의 제2임펠러에의 공기의 말려들기 타이밍을 지연시키는 작용을 가진다. 따라서, 잔수위의 저감에 의한 헹굼성능의 향상이나 헹굼횟수의 삭감에 의한 절수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4발명은, 제2 또는 제3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제3임펠러의 흡입구 근처의 세정수안내부쪽에, 제3임펠러의 흡입구직경보다 큰 대략 원반형상의 저항체를 설치한 식기세정기이다. 이와 같이 흡입구직경보다 큰 대략 원반형상의 저항체를 설치함으로써, 세정시에는 제1임펠러의 흡수저항을 저감하도록 작용하고, 배수시에는 제1케이싱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제3임펠러가 흡입하기 어렵도록 작용하고, 세정시에 있어서의 세정급수저항의 감소에 의한 세정토출압이 향상한다. 또, 배수시에는 제1케이싱내의 공기의 제2케이싱내에의 흡입을 억제함으로써, 에어가미에 의한 배수능력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잔수량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성능의 향상이나 잔수량의 저감에 의한 헹굼성능의 향상 및 절수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5발명은, 제2 또는 제3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제2임펠러의 디스크상의 와류날개로부터 안쪽의 위치에, 제3임펠러쪽에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제2임펠러의 대략 중심부에 세정수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작용을 가진다. 또, 펌프회전시에 있어서의 제1임펠러쪽과 제3임펠러쪽의 압력차를 경감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이물의 퇴적에 의한 배수불량의 저감이나 모터록의 회피, 배수시에 있어서의 과다한 공기의 뒤섞임의 감소에 의한 배수소음의 감소가 도모된다.
또, 본 발명의 제6발명은, 제2 또는 제3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제2케이싱에 세정안내부와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한 것이고, 제3임펠러로부터 토출한 세정수의 일부를 다시 세정안내부에, 나머지를 제2케이싱 및 배수경로내에 토출하도록 작용한다. 즉 펌프내에 세정수의 순환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제3임펠러의 배수경로내로부터의 공기의 흡입을 막는다는 작용을 확보하면서, 세정중의 잔채필터의 막힘에 의한 펌프의 불안정상태에는, 배수경로내에의 토출능력을 저감시킨다. 따라서 특히 세정시의 배수경로내의 세정수위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7발명은, 제2 또는 제3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제1케이싱에 세정안내부와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한 것이고, 제1임펠러로부터 토출한 세정수의 일부를 다시 세정안내부에, 나머지를 세정노즐에 토출하도록 작용한다. 즉, 펌프내에 세정수의 순환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세정중의 에어가미시에 제1케이시내에 진입한 에어의 일부가 다시 세정안내부에 복귀되고, 에어가미에 의한 제1임펠러의 토출능력이 조기에 복귀할 수 있다. 또, 배수시에 있어서 조기에 세정수 및 에어가미시의 에어가 제1케이싱내로부터 빠지기 때문에, 배수소음의 대폭적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8발명은, 제7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제1케이싱에 세정안내부와 연통하는 구멍을, 제1케이싱상에 있어서, 제1임펠러의 외경근처 또는 외경보다 바깥쪽에서, 또한 제1케이싱의 혀모양부 근처에 형성하고, 또한 배수시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상기 구멍의 단부면을 비스듬히 경사시킨 것이고, 유효하게 세정수 혹은 에어가미시의 에어의 일부를 세정안내부에 다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작용한다. 또한 세정시에는 토출압의 저하를 최저한으로 억제하면서, 배수시에 제1케이싱내의 세정수 및 공기가 빠지기 쉽게 작용하기 때문에, 새롭게 NZ음과 같은 세정중의 소음을 발생시키는 일없이, 배수소음의 대폭적인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9발명은, 제4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제2임펠러의 디스크상의 와류날개보다 안쪽의 위치에, 제3임펠러쪽에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또 제2케이싱에 세정안내부와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한 것이고, 세정시에는 제1임펠러에의 제3임펠러의 영향을 저감하도록 작용하고, 배수시에는 제1케이싱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제3임펠러가 흡입하기 어렵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세정성능 및 배수성능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 제2임펠러의 대략 중심부에 세정수의 흐름을 발생시키고, 펌프회전시에 있어서의 제2임펠러와 제3임펠러의 압력차를 경감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이물의 퇴적에 의한 배수불량의 저감이나 모터록의 회피, 배수시에 있어서의 과다한 공기의 뒤섞임의 감소에 의한 배수소음의 저감이 도모된다. 또, 제3임펠러로부터 토출한 세정수의 일부를 다시 세정안내부에, 나머지를 제2케이싱 및 배수경로내에 토출하도록 작용한다. 즉 펌프내에 세정수의 순환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제3임펠러의 배수경로내로부터의 공기의 흡입을 막는다는 작용을 확보하면서, 배수경로내에의 토출능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세정중의 잔채필터의 막힘시, 세정토출용인 제1임펠러가 에어가미상태가 되어서 토출능력이 저하해서, 제1임펠러와 배수토출용 제2임펠러 및 에어가미방지용 제3임펠러와의 압력밸런스가 무너진 경우에 있어서도, 배수경로내의 세정수가 기밖으로 배출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세정시의 배수경로내의 세정수위의 안정을 도모한 식기세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발명은, 세정과 배수의 적어도 1개를 담당하는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펌프는 회전축을 연직방향으로 하고, 그 상하부를 탄성체를 개재해서 고정지지하도록 한 것이고, 펌프를 세정조의 아래쪽에 배설하는 일없이, 세정조의 바닥면을 내릴 수 있고, 따라서, 종래와 동일한 높이에서도 세정조의 높이를 높게할 수 있으므로, 대형 식기를 수납할 수 있고, 또, 회전방향의 자유도가 대폭적으로 향상하므로, 진동전달로 작게할 수 있다.
또, 제11발명은, 제10발명에 더하여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의 하부에 세정조를 직접 또는 지지부재를 개재해서 지지하는 언더프레임을 구비하고, 펌프는, 상부를 탄성체를 개재해서 세정조에 지지하고, 하부를 언더프레임에 의해서 지지하고, 상기 세정조와 언더프레임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펌프를 고정지지하도록 한 것이고, 펌프의 회전방향의 자유도를 매우 크게 할 수 있고, 진동의 세정조나 언더프레임에의 전달을 매우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2발명은, 제10발명에 있어서, 펌프는, 상부를 중심부에서 지지하고, 하부를 대략 방사형상으로 복수의 탄성체에 의해서 지지하도록 한 것이고, 펌프의 위치를 가능한 한 낮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진동의 전달을 매우 작게할 수 있다.
또, 제13발명은, 제10발명에 있어서, 펌프에는, 펌프구동용 모터를 냉각하는 냉각팬을 가지고, 상기 펌프의 지지부재가 상기 냉각팬의 풍동을 겸하도록 한 것이고, 냉각풍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식기를 수납하는 식기바구니(91)를 세정조(9)내에 설치하고 있는 식기세정기의 구성도이다. (92)는 세정수를 가압하는 펌프,(93)은 세정수 및 식기를 가열하는 히터, (87)은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구를 가진 세정노즐이다. 또(86)은 잔채를 분리하는 필터, (94)는 세정펌프(3), 히터(4) 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이다. 상기 펌프(92)는, 와류형 제1임펠러(83)에 의해서 세정노즐(87)에 서정수를 토출하기 위한 제1케이싱(84)과, 마찬가지로 와류형 제2임펠러(80)에 의해 기밖으로 세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2케이싱(82)을 가진다. 또, 제1케이싱(84)과 제2케이싱(82)과 세정조(90)와의 3방향으로 연통한 세정수안내부(95)를 양 케이싱의 중간에 가지고 있다. (96)은 세정수안내부(95)로부터 제1케이싱(84)에 연통한 제1흡입구, (97)은 세정수안내부(95)로부터 제2케이싱(82)에 연통한 제2흡입구이다. 또, (98)은 펌프(92)를 구동하는 모터로서 2극유도모터이다. (99)는 이 모터(78)의 정역반전수단으로서, 모터(98)를 구동하는 콘덴서와 모터(98)의 주권선 및 보조권선의 접속을 절환해서 정전역전을 행항는 것이다. 또, 제1임펠러(83),제2임펠러(80)는 모터(98)의 출력측에 장착되어 있고, 양 임펠러는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이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식기를 식기바구니(91)에 수납하고, 세정조(90)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해서 도시하고 있지 않은 스위치를 ON했다고 하자. 스위치가 ON되어서 운전을 개시하면, 제어장치(94)는 먼저 소정량의 세정수를 세정조(90)에 공급하는 급수공정을 실행한다. 계속해서 펌프(92)에 의해서 가압한 세정수를 세저와 함께 세정노즐(97)에 형성한 분사구로부터 분사하는 본세정공정을 실행한다.
소정시간의 본세정공정을 거치면,다음에 식기등으로부터 떨어진 더러움을 포함한 세정수를 펌프(92)에 의해서 기밖으로 배출하는 배수공정에 들어간다. 계속해서,새롭게 세정수를 공급하는 급수공정과,세제나 잔채에 의해서 더러워진 식기를 헹구기 위하여 세정수를 제1 세정수단으로부터 분사하는 헹굼공정과, 배수공정이 연속하고, 이들을 4회반복해서 세정공정이 종료한다.
상기 펌프(92)의 구성과 세정공정에서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세정조(90)와 펌프(92)는, 세정조(90)의 바닥부의 급수부와 접속된 세정수안내부(95)로부터 제1흡입구(96)을 거쳐 제1임펠러(83)에 연통해서, 동시에 제2흡입구(97)로부터 제2임펠러(80)에 연통하고 있다. 여기서 제1임펠러(83)는 시계방향의 회전시에, 제2임펠러(80)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시에 각각 세정수를 세정수안내부(95)로부터의 흡입해서 토출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설정하고 있고, 각각 와류펌프라고 불리는 구성을 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와류형펌프는 회전방향에 따라서 토출과 흡입의 방향이 절환가능한 것이다.
본세정공정이나 헹굼공정에서는 모터(98)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세정수안내부(95)의 제1흡입구(96)로부터 제1임펠러(83)에 세정수가 안내된다. 여기서 제1임펠러(83)가 유효하게 작용해서 세정수를 세정노즐(87)에 토출해서 세정이 행해진다. 한편, 이 회전방향에서는 제2임펠러(80)는, 먼저 배수경로의 세정수를 제2흡입구(97)로부터 토출하나, 계속해서 배수경로의 공기를 흡입하고, 펌프로서의 가압능력이 없어져서 공전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2임펠러(80)가 공전하면, 그 토출압이 없기 때문에 말려든 공기는 제2케이싱(82)내부에 체류한다. 따라서, 제1케이싱(84)에는 그 공기가 들어가지 않고, 안정되게 세정노즐에 세정수를 토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배수공정에서는 모터(98)를 정역반전수단(99)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세정수안내부(95)의 제2흡입구(97)로부터 제2임펠러(80)에 세정수가 안내된다. 여기서 제2임펠러(80)가 유효하게 작용해서, 세정수를 기밖으로 배출하는 것이 행해진다. 한편, 이 회전방향에서는 제1임펠러(83)는 세정노즐(87)의 분사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펌프로서의 가압능력이 없어져서 공전한다. 이 공기는 세정공정과 마찬가지의 작용으로, 제1케이싱(84)내부에 체류하므로, 종래와 같은 배수공정에서 저수위에서 공기를 끌어들면서 세정수를 교반함에 따른 소음은 없다. 제2케이싱(82)에는 그 공기가 들어가지 않고, 안정되게 세정수를 배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또 수위가 제2임펠러(80)까지 저하하면, 공기가 제2케이싱(82)에도 들어가나, 제2임펠러(80)의 직경은 제1임펠러(83) 비해서도 작아서 과대한 소음을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특히 제1케이싱(84)과 제2케이싱(82)의 중간에 세정수안내부(95)를 가짐으로써, 1개의 모터(92)에 의해서 세정과 배수가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로써 펌프 및 모터가 차지하는 세정기구의 용적을 삭감할 수 있어서, 수납식기의 최대치수를 확대한 식기세정기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정수안내부(95)는 세정조(90)와 1개의 관로에 의해서 접속하고 있으나, 세정수안내부(95)가 제2흡입구(97)와 세정조(90)를 다른 관로에 의해서 2개의 관로로 구성한 것이어도 되는 것이다.
[실시형태 2]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대해서, 제2도, 제3도 및 제4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2도는 종형세정배수일체펌프탑재의 식기세정기의 구성도를, 제3도는 종형세정배수일체펌프의 단면을, 제4도는 종형세정배수일체펌프의 부분단면 및 그 좌측면을 표시하고,(1)은 세정조,(2)는 식기를 수납하는 식기바구니로서 세정조(1)내에 설치하고 있다. (3)은 세정수를 가압하는 펌프,(4)는 세정수 및 식기를 가열하는 히터, (5)는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구(6)를 가진 세정노즐이다. 또(7)은 잔채를 분리하는 필터, (8)은 세정펌프(3), 히터(4) 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이다. 상기 펌프(3)는, 원심형 제 1임펠러(9)에 의해서 세정노즐(5)에 세정수를 토출하기 위한 제1케이싱(10)과 와류형 제2임펠러(11)에 의해 기밖으로 세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2케이싱(12)과, 세정중에 제2케이싱(12)내에 세정수를 토출하는 제2임펠러(11)의 이면에 배설된 원심형 제3임펠러(13)를 가진다.
또, 제1케이싱(10)과 제2케이싱(12)과 세정조(1)로부터 펌프(3)에 세정수를 인도하는 도수로(14)와의 3방향으로 연통한 세정수안내부(15)를 양케이싱의 중간에 가지고 있다.
(16)은 세정수안내부(15)로부터 제1케이싱(10)에 연통한 제1흡입구,
(17)은 세정수안내부(15)로부터 제2케이싱(12)에 연통한 제2흡입구,
(18)은세정수안내부(15)부터 제2케이싱(12)에 연통한 제3흡입구이다. 그리고 상기 도수로(14)는, 제2임펠러(11)의 흡입구(17)를 제2케이싱(12)의 측벽부의 하면과 같은 종래보다 저위치에 형성한 것이다.
또, (19)는 펌프(3)를 구동하는 모터로서 2극유도 모터이다. (20)은 이 모터(19)의 정역반전수단(도시는 생략)으로서, 모터(19)를 구동하는 콘덴서와 모터(19)의 주권선 및 보조권선의 접속을 절환해서 정전역전을 행하는 것이다. 또, 제1임펠러(9)와 제2임펠러(11) 및 제3임펠러(13)는 모터(19)의 출력축에 장착되어 있고, 각 임펠러는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21)은 펌프로부터 세정수를 기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경로이다.
또한, 제1임펠러(9)는 원심형이어도 와류형이어도, 또, 다른 방식의 것이어도 된다.
이하, 제2실시형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식기를 식기바구니(2)에 수납하고, 세정조(1)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해서 도시하고 있지 않은 스위치를 ON했다고 하자, 스위치가 ON되어서 운전을 개시하면, 제어장치(8)는 먼저 소정량의 세정수를 세정조(1)에 공급하는 급수공정을 실행한다. 계속해서 펌프(3)에 의해서 가압한 세정수를 세제와 함께 세정노즐(5)에 형성한 분사구(6)로부터 분사하는 본세정공정을 실행한다. 소정시간의 본세정공정을 거치면, 다음에 식기등으로부터 떨어진 더러움을 포함한 세정수를 펌프(3)에 의해서 기밖으로 배출하는 배수공정에 들어간다. 계속해서, 새롭게 세정수를 공급하는 급수공정과, 세제나 잔채에 의해서 더러워진 식기를 헹구기 위하여 세정수를 제1세정수단으로부터 분사하는 헹굼공정과, 배수공정이 연속하고,이들을 4회반복해서 세정공정이 종료한다.
상기 펌프(3)의 구성과 세정공정에서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세정조(1)와 펌프(3)는, 세정조(1)의 바닥부의 도수로(14)와 접속된 세정수안내부(15)로부터 제1흡입구(16)를 거쳐 제1임펠러(9)에 연통해서 동시에 제2흡입구(17)로부터 제2임펠러(11)에 연통하고 있다. 또, 세정수안내부(15)로부터 제3흡입구(18)를 거쳐 제3임펠러(13)에 연통하고 있다. 여기서 제1임펠러(9)와 제3임펠러(13)는, 시계방향의 회전시에, 제2임펠러(11)는 반시계방향의 회전시에 각각 세정수를 세정수안내부(15)로부터 흡입해서 토출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설정하고 있고, 각각 원심펌프, 와류펌프라고 불리는 구성을 하고 있다. 또한,일반적으로 와류형펌프는 회전방향에 따라서 토출과 흡입의 방향이 절환가능한 것이다.
본세정공정이나 헹굼공정에서는 모터(19)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세정수안내부(15)의 제1흡입구(16)으로부터 제1임펠러(9)에 세정수가 안내된다. 여기서 제1임펠러(9)가 유효하게 작용해서 세정수를 세정노즐(5)에 토출해서 세정이 행해진다. 한편, 이 회전방향에서는 제2임펠러(11)는, 먼저 배수경로(21)의 세정수를 제2흡입구(17)로부터 토출하나, 여기서 제3임펠러(13)가 제3흡입구(18)로부터 세정수를 제2케이싱내에 토출하는 작용에 의해, 토출된 세정수의 일부는 제2흡입구로부터 세정안내부에 복귀되고, 또 나머지 세정수는 배수경로(21)내에 고이게 된다.
따라서, 제2케이싱(12)은 물론이고, 제1케이싱(10)에는 그 공기가 들어가지 않고, 안정되게 세정노즐(5)에 세정수를 토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배수경로(21)내에 고이는 세정수의 수위는, 제3임펠러(13)의 날개외경이나 날개높이 등의 최적화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또, 배수공정에서는 모터(19)를 정역반전수단(20)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2흡입구(17)로부터 제2임펠러(11)에 세정수가 안내된다. 여기서 제2임펠러(11)가 유효하게 작용해서, 세정수를 기밖으로 배출하는 것이 행해진다. 또, 원심형임펠러인 제3임펠러(13)는 세정공정시와 마찬가지로 제3흡입구(18)로부터 세정수를 제2케이싱(120)내에 토출하도록 작용한다. 즉, 배수시에는 배수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동작을 한다.
그리고 배수공정이 진행하면, 세정수위의 저하의 함께 제1임펠러(9)는 완전히 공기를 교반할 뿐인 상태가 되고, 제1케이싱(31)에서의 공전음은 작은 것이다. 또한, 이때 모터(19)를 일시 정지함으로써, 제1케이싱(10)에 잔존하는 세정수를 세정수안내부(15)에 적하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제1케이싱(10)내의 공전음은 작게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배수공정이 진행해서 세정수위가 저하하면, 제1케이싱(10)은 ,세정안내부(15)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상태가 되고, 세정수를 토출하지 않게 된다. 또한, 세정수위의 저하와 함께 제1임펠러(9)는 완전히 공기를 교반할 뿐인 상태가 되고 있고, 제1케이싱(10)에서의 공전음은 작은 것이 된다.
또, 제2흡입구(17)로부터 제2임펠러(11)에 세정수가 안내되기 때문에, 제2임펠러(11)가 공기를 혼합해서 회전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수위가 매우 낮아지고, 배수종료직전에 단시간 발생할 뿐이 된다.
이와 같이 펌프(3)의 제2임펠러(11)를 제1임펠러(9)보다도 아래쪽에 또한 도수로(14)는 제2임펠러(11)의 흡입구(17)를 제2케이싱(12)의 측벽부의 하면과 같은 종래보다 저위치에 형성함으로써, 배수가 저수위까지 가능하게 되고, 더러움을 포함한 잔수가 적어져서 다음의 헹굼공정에서 새로운 세정수에 의한 더러움의 희석도가 향상해서, 헹굼성능이 높아진다. 따라서, 그 헹굼횟수나 각 헹굼공정에서의 세정수의 사용수량을 적게해도, 소정의 헹굼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 원심형인 편이 와류형보다도 식기세정기의 특히 세정용 펌프로서 필요한 펌프출력을 효율좋게 얻을 수 있으므로, 구동용으로서의 모터 및 세정기구의 소형화가 도모되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
또 종래의 펌프에 있어서는, 세정펌프용 흡수구와 배수용흡수구를 개별적으로 가진 구성을 취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의 펌프는 도수로(14)와 같은 1개의 펌프로 겸용한 구성이기 때문에,흡수용호스와 호스밴드 등의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모터의 회전방향에 대해서는, 어느쪽의 회전방향을 세정토출용으로 해도 본 발명의 효과는 마찬가지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제2임펠러이면에 제3원심형 임펠러를 배설하고, 제2임펠러의 흡입구를 제2케이싱의 측벽부에 형성하고, 이 흡입구를 개재해서,세정조로부터 펌프에 세정수를 인도하는 도수로와 제2케이싱을 연통함으로써, 체크밸브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간단한 구성으로 안정적으로 소정의 세정성능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세정·배수소음의 저감이나 배수능력의 향상, 헹굼성능의 향상이나,저코스트,세정기구의 소형화에 의한 식기수납용적을 확대한 식기세정기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실시형태 3]
제5도,제6도는 종형세정배수일체펌프의 단면을 표시하나, 기구부품의 기본구성에 대해서는, 제2도에 표시한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22)는 제2임펠러(11)의 모터(19)에의 장착부이다. 또, (23)은 세정안내부(15)에 있어서 제1임펠러(9)와 제2임펠러(11)의 축사이에 고정한 대략 원반상의 저항체이고, 외경은 제3흡입구(18)의 외경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제2임펠러(25)의 디스크상에서, 또한 와류날개보다 안쪽의 위치에 제3임펠러(13)쪽에 연통하는 구멍(24)를 형성했다.
또한,제1임펠러(9)는 원심형이어도, 와류형이어도 또 다른 방식의 것이어도 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기본적동작 및 세공공정에서의 동작은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종래의 구성에서는, 세정공정에 있어서 제1임펠러(9)의 흡입방향에 대해서 정반대의 방향으로부터 제3임펠러(13)의 흡입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제1임펠러(9)에 있어서는 그것이 흡입저항이 되고 세정토출압의 저하를 초래하고 있었으나, 저항체(23)를 제1흡입구(16)와 제3흡입구(18)의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제3임펠러(13)에 의한 흡입력의 영향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임펠러(9)의 흡입저항이 저하하고, 세정토출압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수경로(21)내에 고이는 세정수의 수위는, 제3임펠러(13)의 날개외경이나 날개높이 등의 최적화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또 종래세정공정에 있어서, 종래 세정수의 흐름이 없고 이물이 쌓이기 쉬었던 제2임펠러(25)의 모터(19)에의 장착부(22)는 제2임펠러(25)의 디스크에 형성된 제3임펠러(13)쪽에 연통하는 구멍(24)에 의해서 세정수의 흐름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물의 퇴적을 대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종래구성에 있어서는, 제3임펠러(13)에 의해 가압, 토출한 세정수는 제2케이싱(12)내에 토출되기 때문에, 제2임페러(25)에 의해서 가압, 토출된 세정수와 심하게 서로 부딪친다. 특히 공기가 혼입한 배수공정말기에 있어서는, 세정수와 공기가 뒤섞여서 매우 큰 소음을 발생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2임펠러(25)와 제3임펠러(13)의 사이에 구멍(24)을 형성함으로써, 양임펠러의 압력차가 작아지고, 배수소음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수 있다. 또한 구멍(24)의 수는, 점대칭의 위치에 복수개 형성하는 편이 제2임펠러(25)와 제3임펠러(13)각 부에 있어서의 압력차의 해소나 임펠러자체의 회전에 의한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서도 좋다고 생각하나, 수는 1개여도 설치위치가 점대칭위치가 아니어도 이 형태에 의한 효과는 충분히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배수공정에서는 모터(19)를 정역반전수단(20)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세정수안내부(15)의 제2흡입구(17)로부터 제2임펠러(11)에 세정수가 안내된다. 여기서 제2임펠러(11)가 유효하게 작용해서, 세정수를 기밖으로 배출한다. 이때 종래의 구성에서는 제1케이싱(10)내의 공기를 제3임펠러(13)가 흡인해버리기 때문에, 조기에 제2케이싱(12)내가 공기의 혼입에 의한 성능저하에 빠지고 있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항체(23)의 작용에 의해 제1케이싱내에 모인 공기를 제3임펠러(13)가 흡인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제2케이싱(12)내에 공기가 혼입하는 타이밍을 늦출 수 있다.
즉 배수시, 보다 오래 배수능력을 유지할 수 있고, 잔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원심형 임펠러인 제3임펠러(13)는, 세정공정시와 마찬가지로 제3흡입구(18)로부터 세정수를 제2케이싱(12)내에 토출하기 때문에, 배수성능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 급수공정에 있어서, 종래 구성에서는 제2임펠러(25)의 모터(19)에의 장착부(22)에 모인 공기는 빠지기 어렵고, 세정공정초기에는 에어가미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이하게 공기는 펌프(3)밖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세정공정초기의 소음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 제2임펠러의 디스크상에서, 또한 와류날개보다 안쪽의 위치에 제3임펠러쪽에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이물의 펌프내에의 퇴적을 막는 동시에, 세정공정초기나 배수시의 소음을 대폭으로 감소시킨 식기세정기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모터의 회전방향에 대해서는, 어느쪽의 회전방향을 세정토출용으로 해도 본 발명의 효과는 마찬가지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제1임펠러와 제2임펠러의 사이에 대략 원반형상의 저항체를 배설함으로써, 잔수의 감소에 의한 헹굼성능의 향상, 그에 따른 절수화나 세정성능이나 배수성능의 향상을 도모한 식기세정기를 얻을 수 있다. 또,제2임펠러의 디스크상에서, 또한 와류날개보다 안쪽의 위치에 제3임펠러쪽에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이물의 펌프내에의 퇴적을 막는 동시에, 세정공정초기나 배수시의 소음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킨 식기세정기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4]
이하 제4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7도, 제8도는 종형세정배수일체펌프의 단면을 표시하나, 기구부품의 기본구성에 대해서는, 제2도에 표시한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세정안내부(15)로부터 제2케이싱(26)에 연통하는 구멍(27)을 새롭게 형성한 것을 구성의 특징으로 하는 특유한 효과를 가진 것이다. 또한, 제1임펠러(9)는 원심형이어도 와류형이어도, 또 다른 방식의 것이어도 된다.
이하 제4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세정공정에 관한 기본적인 동작은, 상기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세정공정에 있어서, 제3임펠러(13)는 제2케이싱(26) 및 배수경로(21)내에 세정수를 토출함으로써, 배수경로(21)로부터의 공기의 흡입을 방지하나, 필터(4)의 막힘이 심할 경우에 펌프(3)에의 흡입유량이 공급부족이 되고, 펌프(3)는 배수경로(21)내로부터 세정수를 끌어들여 버린다. 결과로서, 펌프(3)는 매우 불안정한 상태에 빠지고, 기밖으로 세정수를 토출해서 히터(7)의 헛가열 등이 발생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펌프(3)가 불안정한 상태에 빠져도 기밖으로 세정수가 흘러나오지 않기 위해서는 제3임펠러(13)의 외관의 토출능력을 저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제3임펠러(13)로부터 토출한 세정수의 일부를 구멍(27)에 의해서 다시 세정안내부(15)에 되돌려줄 수 있다.
즉, 제2케이싱(26)내에 세정수를 토출하는 능력을 떨어뜨리지 않고 외관의 토출능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세정공정에 있어서의 불안정상태에 있어서도 세정수를 기밖으로 배수시키는 일없이,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구멍(27)의 수는 1개여도 설치위치가 점대칭위치가 아니어도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충분히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세정안내부로부터 제2케이싱에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특히 세정시의 배수경로내의 세정수위의 안정을 도모한 식기세정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형태 5]
이하 제5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9도, 제10도는 종형세정배수일체펌프의 단면을 표시하나, 기구부품의 기본구성에 대해서는, 제2도에 표시한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세정안내부(15)로부터 제1케이싱(28)에 연통하는 구멍(29)을 새롭게 형성한 것을 구성의 특징으로 하는 점에서 특유한 효과를 가진 것이다. 또한, 제1임펠러(9)는 원심형이어도 와류형이어도, 또 다른 방식의 것이어도 된다.
이하 제5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세정공정에 관한 기본적인 동작은,상기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세정공정에 있어서, 제3임펠러(13)는 제2케이싱(26) 및 배수경로(21)내에 세정수를 토출함으로써, 배수경로(21)로부터의 공기의 흡입을 방지하나, 필터(4)의 막힘이 심할 경우에 펌프(3)에의 흡입유량이 공급부족이 되고, 펌프(3)는 배수경로(21)내로부터 세정수를 끌어들여 버린다. 결과로서, 제1케이싱(28)에 단번에 공기가 진입하고, 제1임펠러(9)는 토출능력을 잃는다. 그러나 구멍(29)의 작용에 의해 제1케이싱(28)내에 진입한 공기의 일부가 다시 세정안내부에 복귀되고 제1임펠러(9)의 능력이 조금 회복하고, 세정노즐(5)에 공기를 토출한다. 그리고 이 사이클을 반복하는 동안에 제1케이싱(28)내의 공기는 서서히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제1임펠러(9)의 토출능력은 완전히 회복한다. 또, 배수공정에 있어서, 제1케이싱(28)내에 존재하는 세정수가, 펌프(3)회전시 및 일시정지시의 양 동작시에 있어서 조기에 세정안내부(15)에 토출 혹은 적하한다. 따라서 배수소음의 원인인 제1임펠러(9)의 세정수의 뒤섞이는 소리를 대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제7발명의 구성을 취할때, 제1임펠러(9)의 외경보다 안쪽에 구멍(28)을 형성한 경우, 에어가미등이 일어나지 않는 정상운전시에는 상기 구멍(28)과 제1임펠러(9)와의 거리가 가깝고, 반대로 제1임펠러(9)의 회전수와 날개매수에 비레하는 NZ음을 일으켜 버리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구멍(28)의 위치를 제1임펠러(9)의 외경보다 바깥쪽에 또한 토출압력이 높은 혀모양부(30)의 근처에 위치시킴으로써, NZ음의 발생을 막을 수 있는 동시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또, 배수시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구멍(28)의 단부면을 비스듬히 경사시킨 구성을 취함으로써, 세정시의 토출압의 감소를 막고, 또한 배수시의 에어 또는 세정수의 배출효과를 얻을 수 있고, 배수소음은 더욱 저감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세정안내부로부터 제1케이싱에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세정시의 에어가미에 의한 능력저하로부텅의 복귀를 조기에 행할 수 있고, 배수소음을 대폭으로 저감한 식기세정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형태 6]
이하 제6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1도는 종형세정배수일체펌프의 단면을 표시하나, 기구부품의 기본구성에 대해서는, 제2도에 표시한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11도에 있어서,세정조(1)로부터 펌프(3)에 세정수를 인도하는 도수로(14)는, 제2케이싱(26)과 세정안내부(15)와의 양쪽에 연통하는 동시에, 제2임펠러(25)의 흡입구(17)를 제2케이싱(26)의 측벽에 형성했다. (23)은 세정안내부(15)내에 있어서 제1임펠러(9)와 제2임펠러(25)의 축사이에 고정한 대략 원반상의 저항체이고, 외경은 제3흡입구(18)의 외경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제2임펠러(25)의 디스크상에서,또한 와류날개보다 안쪽의 위치에는, 제3임펠러(13)쪽에 연통하는 구멍(24)을 형성하고 있다. 또 세정안내부(15)로부터 제2케이싱(26)에 연통하는 구멍(27)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1임펠러(9)는 원심형이어도 와류형이어도, 또 다른 방식의 것이어도 된다.
이하, 제6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세공공정에 관한 기본적인 동작은, 상기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는 이미 설명한 제2~제4실시형태의 작용을 모두 가지나. 이들 구성을 모두 아울러 가짐으로써 더욱 그 효과는 큰 것이 된다.
즉 저항체(23)와 제2케이싱(26)상의 구멍(27)의 2개를 구비함으로써, 제1임펠러(9)가 받는 흡수저항이 대폭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세정토출압이 더욱 상승하고, 세정성능이 대폭으로 향상하는 것이다. 또, 제2임펠러(25)의 흡입구(17)를 제2케이싱(26)의 측벽에 형성하고, 또한 저항체(23)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므로써, 배수시의 잔수가 더욱 감소하고, 헹굼성능의 향상과 그에 따른 한층더한 절수화가 도모되는 것이다.
또, 제2임펠러(25)상의 구멍(24) 및 제2켕이싱(26)상의 구멍(27)을 형성함으로써 에어가미상태가 되었을때에 공기의 빠짐이 더욱좋아지기 때문에, 펌프(3)가 에어가미가 없는 정상운전상태에 복귀할때까지의 시간이 짧아지고, 세정성능 및 배수성능의 향상,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배수소음, 세정소음의 대폭적인 저감이 도모되는 것이다.
또한 펌프(3)내의 각 소에 구멍(24)(27)을 형성했으나, 그 직경은 도수로(14)내의 최소면적부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이물이 걸리거나, 퇴적하거나 등과 같은 문제를 발생하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세정, 배수시에 있어서의 펌프의 안정성, 신뢰성이 높고, 세정, 배수성능, 세정, 배수소음이 모두 대폭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식기세정기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실시형태 7]
이하에 제7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2도 및 제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식기세정기본체(31)는, 내부에 세정조(32)를 설치하고 있고, 이 세정조(32)내에 급수밸브(33)에 의해 물 또는 더운 물을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장치구동시에 있어서 세정수는, 모터(35)에 의해서 구동되는 세정펌프(36)에 의해 세정조(32)의 내부를 순환한다. 즉, 이 순환은, 세정수가 배수구(34)로부터 세정펌프(36)에 흡입되고, 이 세정펌프(36)로부터 세정조(32)내 바닥부의 세정노즐(37)에 공급되고, 여기로부터 분사되고, 식기를 세정한 후, 다시 배수구(34)에 복귀되는 경로로 행해진다.
세정노즐(37)과 세정조(32)의 바닥부와의 사이에는, 세정수가열용 히터(38)를 장비하고 있다. 또, 세정노즐(37)의 위쪽에는, 식기를 정연하게 배치할 수 있고, 세정수를 효과적으로 식기에 분사하도록 구성한 식기바구니(39)를 설치하고 있다. 이 식기바구니(39)에는 복수의 이동용롤러(43)을 배설하여, 식기세정기본체(31)의 앞면외부로 꺼내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세정조(32)의 앞면부에는, 개폐자재한 도어(40)를 장착하고 있다. 또, 세정조(32)의 아래쪽에는 언더프레임(42)을 배설하고, 세정조(32)를 고정지지하고 있다.
또, 모터(43)에는, 그 축에 모터(43)자체의 냉각을 하기 위하여 냉각용팬(44)을 고정하고 있다.
세정펌프(펌프)(36)는, 모터(43)에 의해 회전구동하도록 해서 세정펌프유닛(47)을 구성하고 있다. 이 세정펌프유닛(47)은, 회전축을 연직방향으로 해서 배설하고, 호스(45)(46)에 의해 배수구(34)와 세정노즐(37)에 접속해서 세정수의 순환을 행한다.
지지부재(48), 냉각팬(44)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하고, 모터(35)에 고정한다. 이 지지부재(48)는 위쪽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모터(35)에 바람을 보내는 풍동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풍동을 형성함으로써, 냉각팬(44)의 바람을 효율좋게, 집중적으로 모터(35)에 닿게할 수 있다. 또, 이 지지부재(48)에 의해, 회전하는 냉각팬(44)의 상부에 세정조(32)에 지지고정을 행하는 지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탄선지지부재(탄성체)(49)(50)는, 탄성체로 형성하고, 세정펌프유닛(47)의 상하의 중심부근에 장착하고 있다. 탄성지지부재(49)를 세정조(32)로부터 돌출한 돌기부(41)에 꽂아넣고, 또 탄성지지부재(50)는 언더프레임의 위에 얹는다. 이때, 세정펌프유닛(47)의 위치결정으로서언더프레임(42)에 오목부(51)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51)에 걸어맞춤한다.
이들 구성에 의하면, 세정펌프유닛(47)의 장착에 있어서, 상하의 중심부근에 탄성지지부재(49)(50)를 배설하고 있고, 모터(35)의 회전방향에 대해서는, 호스(48)(49)에만 의한 저항뿐이고, 회전방향의 자유도는 매우 크다. 따라서, 모터(35)의 진동의 세정조(32)나 언더프레임(42)에의 전달은, 매우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즉, 진동이나 소음이 작은 식기세정기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세정펌프유닛(47)의 배치에 있어서는, 회전축을 수평으로 하면, 위쪽으로부터의 투영면적이 많고, 광범위에 걸쳐서 높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한편, 회전축을 연직방향으로 하면, 위쪽으로부터의 투영면적이 작고, 이 면적이 작은 부분만을 높게할 뿐이어도 상관없다.
따라서, 세정노즐(37)의 궤적의 바깥쪽에 세정펌프유닛(47)을 배치하면, 부분적인 장소에 있어서는, 높이를 필요로 하나, 세정조(32)의 바닥전체를 위쪽으로 올릴 필요가 없어지므로, 세정조(32)의 위치를 내림으로써 큰 식기를 세정조(32)에 넣을 수 있다.
[실시형태 8]
이하에 제8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기구부품의 기본구성에 대해서는, 제12도에 표시한 제7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1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탄성지지부재(52)는, 세정펌프(45)의 형상을 피한 방사형상위치에 복수개 배치하고, 세정펌프유닛(47)의 아래쪽을 지지하고 있다. 또, 세정펌프유닛(47)의 위쪽은, 중심부에 탄성지지부재(49)를 배치해서 지지하고 있다.
탄성지지부재에 있어서 진동의 전달을 억제하는 가장 유효한 수단은, 탄성지지부재의 형상에 있어서 높이를 높게하는 것이다. 실시형태7에 있어서, 세정펌프(36)의 위치를 가능한 한 낮게 설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중심부분에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50)의 높이를 높게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탄성지지부재(50)를 빼고 높이가 높은 탄성지지부재(52)를 장착한다.
이 구성에 의해, 세정펌프(36)의 위치를 가능한 한 낮은 위치에 배치하는 동시에, 진동의 전달이 매우 작은 탄성지지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세정펌프(36)를 예로 들고 있으나, 배수펌프나 세정펌프, 배수펌프, 일체형펌프에서도 마찬가지인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1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세정기구의 소형화와 식기수납성의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발명에 의하면, 체크밸브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간단한 구성으로 안정적으로 소정의 세정성능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배수성능이 향상하고, 또, 세정기구를 소형화해서 식기수납용적을 확대한 식기세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3발명에 의하면, 특히 배수임펠러내에 이물이 퇴적함에 따른 배수불량을 없애고, 저수위까지의 배수성능이 얻어져서 잔수가 적은 것에 따른, 헹굼성능의 향상이나 정수화와 배수소음의 저하를 도모한 식기세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4발명에 의하면, 대략 원반상의 저항체를 펌프내에 설치함으로써, 세정성능의 향상, 잔수량의 저감에 의한 헹굼성능의 향상 및 절수화를 도모한 식기세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5발명에 의하면, 제2임펠러의 디스크상에서 또한 와류날개보다 안쪽에, 상기 제3임펠러쪽에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특히 배수임펠러내에 이물이 퇴적함에 따른 배수불량을 없애고, 배수소음의 저하를 도모한 식기세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6발명에 의하면, 세정안내부로부터 제2케이싱에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특히 세정시의 배수경로내의 세정수위의 안정을 도모한 식기세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7발명에 의하면, 세정안내부로부터 제1케이싱에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특히 배수시의 소음저감을 도모한 식기세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8발명에 의하면, 세정안내부로부터 제1케이싱에 연통하는 구멍을 제1케이싱위에 있어서, 제1임펠러의 외경근처 또는 외경보다 바깥쪽에서 또한 제1케이싱의 혀모양부 근처에, 또한 배수시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상기 구멍의 단부면을 비스듬히 경사시켜 형성함으로써, 새롭게 세정시의 NZ음을 발생하지 않고, 배수소음의 대폭적인 저감을 도모한 식기세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9발명에 의하면, 세정조로부터 펌프에 세정수를 인도하는 도수로를, 제2케이싱과 세정안내부와의 양쪽에 연통시키고, 대략 원반상의 저항체를 펌프내에 설치하는 제2임펠러의 디스크상에서, 또한 와류날개보다 안쪽에, 제3임펠러쪽에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또 세정안내부로부터 제2케이싱에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세정, 배수시에 있어서의 펌프의 안정성, 신뢰성이 높고, 세정, 배수성능, 세정, 배수소음의 대폭적인 저감을 도모한 식기세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10발명에 의하면, 세정과 배수의 적어도 1개를 담당하는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펌프는 회전축을 연직방향으로하고, 그 상하부를 탄성체를 개재해서 고정지지하도록 했으므로, 세정조의 바닥면을 내릴 수 있어서 세정조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있고, 대형식기를 수납할 수 있고, 또, 펌프의 회전방향의 자유도가 대폭적으로 향상하므로, 진동전달도 작게할 수 있다.
또, 제11발명에 의하면,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의 하부에 세정조를 직접 또는 지지부재를 개재해서 지지하는 언더프레임을 구비하고, 펌프는 상부를 탄성체를 개재해서 세정조에 지지하고, 하부를 언더프레임에 의해서 지지하고, 상기 세정조와 언더프레임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펌프를 고정지지하도록 했으므로, 펌프의 회전방향의 자유도를 매우 크게 할 수 있고, 진도의 세정조나 언더프레임에의 전달을 매우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2발명에 의하면, 펌프는, 상부를 중심부에서 지지하고, 하부를 대략 방사형상으로 복수의 탄성체에 의해서 지지하도록 했으므로, 펌프의 위치를 가능한 한 낮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진동의 전달을 매우 작게할 수 있다.
또, 제13발명에 의하면, 펌프에는 펌프구동용 모터를 냉각하는 냉각팬을 가지고, 상기 펌프의 지지부재가 상기 냉각팬의 풍동을 겸하도록 했으므로, 냉각풍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코일이 적은 염가의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세정조와, 식기를 수납하는 식기바구니와,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노즐과, 모터의 회전에 의해 세정수를 가압하는 펌프와, 상기 모터의 정역반전수단을 가지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대략 연직방향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펌프는 제1임펠러에 의해 세정노즐에 세정수를 토출하는 제1케이싱과, 제2와류형임펠러에 의해 기밖으로 세정수를 배출하는 제2케이싱과, 이들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과 세정조에 연통한 세정수안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2와류형임펠러이면에 제3원심형임펠러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제2임펠러의 흡입구를 제2케이싱의 측벽부에 형성하고, 이 흡입구를 개재해서, 세정조로부터 펌프에 세정수를 인도하는 도수로와 제2케이싱을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세정수안내부로부터 제1임펠러 또는 제3임펠러에의 흡입구를 각각 모터의 회전축의 원심원상에 형성하고, 제3임펠러의 흡입구근처의 세정수안내부쪽에, 제3임펠러의 흡입구 직경보다 큰 대략 원반형상의 저항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제2임펠러의 디스크상의 와류날개로부터 안쪽의 위치에, 제3임펠러쪽에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기.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세정수안내부로부터 제1임펠러 또는 제3임펠러에의 흡입구를 각각 모터의 회전축의 동심원상에 형성하고, 제2케이싱에 세정안내부와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기.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세정수안내부로부터 제1임펠러 또는 제3임펠러에의 흡입구를 각각 모터의 회전축의 동심원상에 형성하고, 제1케이싱에 세정안내부와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제1케이싱에 세정안내부와 연통하는 구멍은, 제1케이싱상에 있어서, 제1임펠러의 외경근처 또는 외경보다 바깥쪽에서, 또한 제1케이싱의 혀모양부 근처에 위치시키고, 또한 배수시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상기 구멍의 단부면을 비스듬히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기.
  9. 제4항에 있어서, 제2임펠러의 디스크상의 와류날개보다 안쪽의 위치에, 제3임펠러쪽에 연통하는 구멍을 형상하고, 또 제2케이싱에 세정안내부와 연통하는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기.
  10. 세정과 배수의 적어도 1개를 담당하는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펌프는 회전축을 연직방향으로 하고 그 상하부를 탄성체를 개재해서 고정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세정조와, 상기 세정조의 하부에 세정조를 직접 또는 지지부재를 개재해서 지지하는 언더프레임을 구비하고, 펌프는, 상부를 탄성체를 개재해서 세정조에 지지하고, 하부를 언더프레임에 의해서 지지하고, 상기 세정조와 언더프레임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펌프를 고정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기.
  12. 제10항에 있어서, 펌프는, 상부를 중심부에서 지지하고, 하부를 대략 방사형상으로 복수의 탄성체에 의해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기.
  13. 제10항에 있어서, 펌프에는 펌프구동용 모터를 냉각하는 냉각팬을 가지고, 상기 펌프의 지지부재가 상기 냉각팬의 풍동을 겸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정기.
KR1019960011538A 1995-09-07 1996-04-17 식기세정기 KR0148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29829 1995-09-07
JP7229829A JPH0970382A (ja) 1995-09-07 1995-09-07 食器洗浄機
JP95-261259 1995-10-09
JP26125995A JP3334448B2 (ja) 1995-10-09 1995-10-09 食器洗い機
JP28948295A JP3539010B2 (ja) 1995-11-08 1995-11-08 食器洗浄機
JP95-289482 1995-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710A KR970014710A (ko) 1997-04-28
KR0148233B1 true KR0148233B1 (ko) 1998-08-17

Family

ID=27331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538A KR0148233B1 (ko) 1995-09-07 1996-04-17 식기세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0148233B1 (ko)
CN (2) CN1195443C (ko)
MY (1) MY116555A (ko)
TW (1) TW2846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779B1 (ko) * 2003-12-05 2006-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0735882B1 (ko) * 2006-12-14 2007-07-04 주식회사 케이티씨 수압을 이용한 잔수 및 슬러지 배출장치
KR101634172B1 (ko) * 2009-04-03 2016-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EP2468171B1 (en) * 2010-12-21 2013-10-1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Pump mounting in a water-conducting household appliance
CN104068805B (zh) * 2014-07-11 2017-05-03 蔡嘉诚 一种多功能洗碗机
US11071437B2 (en) * 2019-01-09 2021-07-2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shwashing appliance and vibration-reducing mounting assembly
CN113728958A (zh) * 2021-06-15 2021-12-03 湖南裕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流体饲料喷洒设备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4600A (en) * 1975-02-03 1977-01-25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pecial low washing liquid usage cycle
FR2642881B1 (fr) * 1989-02-03 1995-03-31 Esswein Sa Procede d'isolement acoustique des sources de bruits dans un lave-vaisselle et lave-vaisselle mettant en oeuvre ce procede
IT223520Z2 (it) * 1990-12-17 1995-07-20 Zanussi Elettrodomestici Lavastoviglie con cesto estrai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37911A (zh) 2003-08-27
CN1100513C (zh) 2003-02-05
CN1195443C (zh) 2005-04-06
TW284680B (en) 1996-09-01
MY116555A (en) 2004-02-28
CN1156577A (zh) 1997-08-13
KR970014710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9370B1 (ko) 식기세척기의 펌프 시스템
US6418943B1 (en) Wash liquid circulation system for a dishwasher
CN101406379A (zh) 洗碗机
US20060237049A1 (en) Primary filter cleaning system for a dishwasher
EP0268835B1 (en) Pump unit, particularly for dishwashers
JPS6319180B2 (ko)
KR20060007259A (ko) 식기 세척기의 상부노즐 첵 밸브 결합 구조
KR0148233B1 (ko) 식기세정기
KR100467256B1 (ko) 식기세척건조기
KR100493306B1 (ko) 드럼세탁기
US5566696A (en) Dishwasher with balancing vanes on pump impeller
US20030005950A1 (en) Mid-level spray-arm assembly
JP3539010B2 (ja) 食器洗浄機
JP3965756B2 (ja) 遠心ポンプ
JP3601145B2 (ja) 食器洗浄機
JPH10117996A (ja) 食器洗い機の運転方法
EP0913119B1 (en) Shunt drain system
JP3601137B2 (ja) 食器洗浄機
US5184638A (en) Dishwasher with reversible motor pumping system
JP3718920B2 (ja) 遠心ポンプ
JP3389470B2 (ja) 食器洗浄機
JP2000237114A (ja) 食器洗浄機
KR0122437Y1 (ko) 식기세척기
KR20120003070U (ko)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부품세척기
KR100378711B1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