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482B1 - 솔잎엑기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솔잎엑기스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482B1
KR0146482B1 KR1019950003523A KR19950003523A KR0146482B1 KR 0146482 B1 KR0146482 B1 KR 0146482B1 KR 1019950003523 A KR1019950003523 A KR 1019950003523A KR 19950003523 A KR19950003523 A KR 19950003523A KR 0146482 B1 KR0146482 B1 KR 0146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e
pine needles
extract
powder
needl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0943A (ko
Inventor
최진태
Original Assignee
최진태
주식회사그린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태, 주식회사그린죤 filed Critical 최진태
Priority to KR1019950003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6482B1/ko
Publication of KR960030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48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솔잎으로 부터 엑기스를 재취하여 약용, 음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엑기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과제]
솔잎의 가공시 솔잎 그 자체가 지니는 유효성분의 파괴를 없게하고 솔잎 특유유향을 그대로 지니게 하는 제조방법.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1㎜ 내지 5㎜이하의 크기로 분쇄한 솔잎 분쇄물을 500 내지 700㎏/㎠의 유압기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솔잎내의 액상분을 섬유질로부터 분리하고 20내지 45℃의 진공농축기로 진공농축하여 시헙상태로 한 후 솔씨의 미분쇄물 또는 송화분말을 제조된 시럽에 대하여 0.3 내지 3.5중량% 첨가한다.
[발명의 중요한 용도]
한방 또는 민간요법등으로 사용되는 솔잎으로 부터 엑기스를 제조함으로써 한방용 또는 차용으로 사용되는 음용엑기스

Description

솔잎엑기스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솔잎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솔잎엑기스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솔잎은 한방 또는 민간요법으로 고래로부터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 많은 약효를 지니고 있다. 그 유효성분으로는 엽록소, 비타민A, 비타민C, 비타민K, 단백질, 식물성지질, 인, 철, 효소, 정유 및 미네랄등을 함유하고 있어,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여러 가지의 질병에 대한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솔잎의 이용방법으로는 생솔잎 또는 잘 말린 솔잎을 단순히 달여서 복용한다거나, 주정의 알콜성분으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복용한다거나, 아니면 고압으로 짜내어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상기와같은 방법에 의하여는 그 유효성분의 일부가 파괴되어 회수율이 떨어진다거나, 또는 충분한 공급을 하기가 어려워 상업화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솔잎엑기스를 상업화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약재로서 또 차등의 음용식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솔잎엑기스 조성물 및 그 유효성분의 파괴없이 거의 완벽하게 추출하는 방법을 개발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자연상태의 건강한 솔잎을 수거하여 잘게 분쇄한다음 피분쇄물을 500 내지 700㎏/㎠의 유압기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솔잎내의 액상분을 섬유질로부터 분리하고 20 내지 45℃의 진공농축기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수분을 제거하여 B형 점도계로 측정시에 그 정도가 2000내지 3500cp인 시럽상태가 되도록 한후 솔씨의 미세분쇄물 또는 송화분말을 제조된 시럽에 대하여 0.5% 재지 3.5중량%첨가하여 고속교반기로 교반 혼합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수거된 솔잎을 분쇄하는 이유는 솔잎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솔잎의 외피의 견고성으로 인하여 유압에 의한 압착시 많은 압력이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솔잎으로 부터 유효성분을 분리함에 있어서 많은 유효성분이 섬유질로 부터의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아 섬유질과 함께 많은 량의 유효성분이 폐기되는 문제가 있다.
이때 바람직하기로는 솔잎의 크기가 1㎜ 내지 5㎜의 크기로 절단되는 것이 분리후의 액상분에 섬유질 찌꺼기의 함유량을 줄여 시럽의 제조시에도 유리하게 된다.
또 분쇄기의 압력을 500 내지 700㎏/㎠ 로 하는 이유는 가압시 압력에의하여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비타민등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진공농축시의 온도범위를 20 내지 45℃로 하는 이유는 이 온도의 범위내에서 유효성분중의 비타민등의 파괴를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하여 제조된 시럽은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진공농축시에 정유성분중에 함유되어 있는 테르펜등의 휘발분이 수분과 함께 액기스로 부터 증발되어 시럽에서는 솔잎 특유의 향이 약해지게 된다.
이러한 솔잎 특유의 향을 그대로 살리기 위하여는 그 향을 지니는 물질의 첨가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때의 첨가물질로서의 솔방울로 부터 채취된 솔씨의 미세분쇄물을 첨가하거나, 소나무의 개화시에 얻어지는 송화분말을 첨가하여 주면 그 향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솔씨의 미세 분쇄물 또는 송화분말을 시럽에 대하여 0.5 내지 3.5중량% 첨가하는 이유는 0.5 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솔잎 특유의 향을 얻기가 어렵고, 3.5 중량% 이상 첨가하는 경우에는 솔씨의 미세 분쇄물 또는 송화분말의 가격으로 인하여 원가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렇게하여 제조된 솔잎엑기스 조성물은 그 용도에 따라서 온수에 적당량을 용해시켜 복용할 수도 있으며, 다른 약재와 혼합하여 질병의 치료에 사용될 수도 있고, 대두분말등과 혼합하여 더운 물에 용해하면 차로서 음용할 수 있다.

Claims (1)

  1. 잘게 분쇄한 솔잎 분쇄물을 500 내지 700㎏/㎠의 유압기에서 압력하여 솔잎내의 액상분을 섬유질로부터 분리하고 20 내지 45℃의 진공농축기로 진공농축하여 시럽상태로 제조하는 솔잎엑기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솔씨의 미세 분쇄물 또는 송화분말을 제조된 시럽에 대하여 0.5 내지 3.5중량%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엑기스의 제조방법.
KR1019950003523A 1995-02-23 1995-02-23 솔잎엑기스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0146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523A KR0146482B1 (ko) 1995-02-23 1995-02-23 솔잎엑기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523A KR0146482B1 (ko) 1995-02-23 1995-02-23 솔잎엑기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943A KR960030943A (ko) 1996-09-17
KR0146482B1 true KR0146482B1 (ko) 1998-08-01

Family

ID=1940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523A Expired - Fee Related KR0146482B1 (ko) 1995-02-23 1995-02-23 솔잎엑기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64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865A (ko) * 1999-01-22 2000-05-06 정동백 솔잎을이용한식품보존제및식품첨가제제조법.
KR20010006972A (ko) * 1999-04-20 2001-01-26 정동백 필수 아미노산을 다량 함유하는 소나무 추출액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610B1 (ko) * 2001-03-08 2007-10-09 주식회사 바드 진공-가압 충격식 천연물 추출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865A (ko) * 1999-01-22 2000-05-06 정동백 솔잎을이용한식품보존제및식품첨가제제조법.
KR20010006972A (ko) * 1999-04-20 2001-01-26 정동백 필수 아미노산을 다량 함유하는 소나무 추출액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943A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amgir Herbal drugs: their collection, preservation, and preparation; evaluation, quality control, and standardization of herbal drugs
JP6325253B2 (ja) 液体植物物質を含浸させた植物由来製品の製造法
KR20180086676A (ko) 히비스커스를 포함하는 피부 미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98609B1 (ko) 한방약초농축액을 이용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조성물
KR101281059B1 (ko) 삼푸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042798B1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KR20110062214A (ko)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0146482B1 (ko) 솔잎엑기스의 제조방법
KR20080098944A (ko) 둥근마추출액을 함유한 음료의 제조방법
CN101953947A (zh) 一种复合蜂胶保健品的配制方法
KR100315330B1 (ko) 손바닥선인장 열매분말 또는 농축액을 함유한 건강식품캡슐의 제조방법
KR100538536B1 (ko) 함초가 혼합된 미용팩 제조방법
KR101234304B1 (ko) 머위 및 돼지감자가 함유된 차 및 그 제조방법
CN104026269A (zh) 一种具有滋养皮肤功效的保健芝麻油及其制备方法
KR101881663B1 (ko) 발효 구인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사용한 보습력 및 흡수력이 뛰어나며 피부 재생을 도모하는 발효 구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화장품 및 혈관계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발효 구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성식품
CN101002825A (zh) 富含α-亚麻酸、杜仲有效成分的杜仲软胶囊的制备方法
KR0183436B1 (ko) 칡전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281060B1 (ko) 모발생장촉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RU2043114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я сборов лекарственных растений
JPH02291243A (ja) ブラジル原産の薬用白甘藷抽出成分含有液とその製造方法
CN101260359A (zh) 一种桃花酒的生产方法
CN104026268A (zh) 一种补脑安神保健芝麻油及其制备方法
CN104026267A (zh) 一种具有滋补强身功效的保健芝麻油及其制备方法
KR100890405B1 (ko) 사자발 쑥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KR20180088349A (ko) 발효 구인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사용한 보습력 및 흡수력이 뛰어나며 피부 재생을 도모하는 발효 구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화장품 및 혈관계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발효 구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성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2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5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5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