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479B1 - 자동차의 상하 승강식 컵 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상하 승강식 컵 홀더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46479B1 KR0146479B1 KR1019950042920A KR19950042920A KR0146479B1 KR 0146479 B1 KR0146479 B1 KR 0146479B1 KR 1019950042920 A KR1019950042920 A KR 1019950042920A KR 19950042920 A KR19950042920 A KR 19950042920A KR 0146479 B1 KR0146479 B1 KR 01464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lifting
- recess
- enclosure
- cup hold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ix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상하 승강식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차내부에 올려놓은 컵 따위가 차의 흔들림으로 인해 그 내부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수직공을 갖도록 고리형원기둥체로 된 주벽을 형성하고, 그 주벽의 외주면 상단부터 차레로 단턱부와 출입공을 갖는 요홈 그리고 대향된 한 쌍의 구멍을 형성하여 된 함체와; 상기 수직공에 삽설되고, 일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이면에는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에서 승강되게 한 누름구와; 그 누름구와 하단을 각각 견인줄로 연설하여 상기 함체의 출입공을 통해 서로 견인할 수 있게 하면서, 하단에 돌턱부가 형성되고 그 이면에는 링을 설치하여 상기 함체의 외주면에 접촉 승강되게 한 이동구와; 상기 함체의 요홈에 설치된 후 상기 누름구의 승강에 따라 상기 이동구를 승강되게 한 이동구와; 상기 함체의 요홈에 설치된 후 상기 누름구의 승강에 따라 상기 이동구를 승강되게 한 제어 수단으로 구성한 것으로, 컵 등의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외관을 깨끗히 할 수 있게 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 기술에서 컵 홀더의 설치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요부 단면도로, (a)는 누름구를 누르지 않은 상태이고, (b)는 누름구를 누른 상태이며, (c)는 이동구를 누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제어 수단 10:컵 홀더
20:함체 21:수직공
22:주연 23:단턱부
24:요홈 25:출입공
26:구멍 30:누름구
32:걸림홈 34,36:스프링
40:이동구 42:견인줄
44:돌턱부 51:작동 레버
53:회동 레버 55:멈춤구
본 발명은 상하 승강식으로 된 컵 홀더를 인스트루먼트 판넬이나 암 레스트 부위에 직접 설치함으로써 음료가 든 컵이라든지 동전 따위의 보관을 편리하게 하는 동시에 그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의 상하 승강식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주행 중 운전자 및 탑승자들은 갈증을 해소할 목적으로 차내에서 각종 음료수 캔이라든지 일회용 컵을 사용하고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음료수 및 커피 등이 담겨있는 캔 및 일회용 컵을 손에 들고서 마신다든지 아니면 탑승자의 경우 운전석 전방의 인스트루먼트 판넬 상에 올려 놓곤 하고 있었다. 또한 운전자의 경우 핸들을 손으로 잡고 있기에 주로 인스트루먼트 판넬이나 콘솔박스 등의 평평한 부위에 올려 놓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동차는 평탄한 도로만을 주행하는 것이 아니라 평탄치 못한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상기처럼 올려 놓은 컵 등이 넘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그 안의 내용물이 쏟아짐으로 인해 차 내부를 오염시킨다든지 옷을 더럽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상기 캔 및 컵 등을 잡아 고정시킬 필요성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컵 홀더라는 것을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이러한 컵 홀더를 구성함에 있어 도면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컵 홀더는 인스트루먼트 판넬에 격납식으로 설치되는 경우와 콘솔박스에 상시용으로 놓는 경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하게 된다. 그 컵 홀더 케이스(1)는 상면으로 음료 따위의 내용물이 들어 있는 컵 및 캔을 수납할 수 있는 수개의 원형 안착홈(2)이 형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서는, 상기 컵 및 캔의 직경이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상기 컵 홀더의 안착홈에 정상적으로 수납할 수 있었다. 즉 상기 안착홈이 일정한 직경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안착홈에 장착되는 컵 및 캔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컵 따위가 차의 흔들림으로 인해 상기와 마찬가지로 그 내부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목적은 차 내부의 인스트루먼트 판넬이나 암 레스트 뚜껑 등에 상하 승강식으로 된 컵 홀더를 설치함으로써 음료가 든 컵이나 동전 따위를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게 하면서 그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자동차의 상하 승강식 컵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본 발명은, 내부에 수직공을 갖도록 고리형 원기둥체로된 주벽을 형성하고, 그 주벽의 외주면 상단부터 차례로 단턱부와 출입공을 갖는 요홈 그리고 대향된 한 쌍의 구멍을 형성하여 된 함체와; 상기 수직공에 끼워져 장착되고, 일측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이면에는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에서 승강되게 한 누름구와; 그 누름구와 하단을 각각 견인줄로 연설하여 상기 함체의 출입공을 통해 서로 견인할 수 있게 하면서, 하단에 돌턱부가 형성되고 그 이면에는 링을 설치하여 상기 함체의 외주면에 접촉 승강되게 한 이동구와; 상기 함체의 요홈에 설치된 후 상기 누름구의 승강에 다라 상기 이동구를 승강되게 한 제어 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자동차의 상하 승강식 컵 홀더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자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요부 단면도로, (a)는 누름구를 누르지 않은 상태이고, (b)는 누름구를 누른 상태이며, (c)는 이동구를 누른 상태를 도시한 것인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 내부의 소정 위치에 형성한 함실(12)에 설치한 컵 홀더(10)에 있어서, 함체(20)와 누름구(30)와 이동구(40)와 제어 수단(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함체(20)는, 내부에 수직공(21)을 갖도록 고리형 원기둥체로 된 주벽(22)을 형성하고, 그 주벽(22)의 외주면 상단부터 차례로 단턱부(23)와 출입공(25)을 갖는 요홈(24) 그리고 대향된 한 쌍의 구멍(26)을 형성하여 된다.
상기 누름구(30)는, 상기 수직공(21)에 끼워져 장착되고, 일측에는 걸림홈(32)이 형성되며, 이면에는 스프링(34)이 설치된 상태에서 승강 작동되게 한다.
상기 이동구(40)는, 상기 누름구(30)와 하단을 각각 견인줄(42)로 연설하여 상기 함체(20)의 출입공(25)을 통해 서로 견인할 수 있게 하면서, 하단에 돌턱부(44)가 형성되고 그 이면에는 스프링(46)을 설치하여 상기 함체(20)의 외주면에 접촉 승강되게 한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함체(20)의 요홈(24)에 설치된 후 상기 누름구(30)의 승강에 따라 상기 이동구(40)를 승강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어 수단(C)은, 상하 승강되면서 하단은 경사지고 상단은 상기 누름구(30)의 걸림홈(32)에 걸려지도록 걸림부(52)를 형성하여 된 작동 레버(51)와, 그 작동 레버(51) 하단과 접촉되는 일단은 경사지게 형성하면서 타단은 돌부(54)를 형성한 회동 레버(53)와, 상기 이동구(40)가 상승되면서 그 하단의 돌턱부(44)가 밀어 상기 함체(20)의 출입공(25)을 개폐할 수 있게 한 멈춤구(55)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작동 레버(51)는 요홈(24)의 내측에 일직되게 형성되어 있으나 그 상부 끝단은 누름구(30)의 걸림홈(32)을 향하여 일정한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하고, 이 부위에 내부 폭 중앙에 형성방향으로 길게 슬롯(51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롯(51a)에는 요홈부로부터 돌출형성된 핏폿(51b)이 끼워져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 레버(51)의 끝단에는 외측 이동구의 수직공(21)을 향하여 경사진 단면을 가지고 있다. 이 단면에 상기 회동 레버(53)이 접하여 연동하게 된다.
상기 회동 레버(53)는 상기한 바와같이 한쪽은 이동구(40)의 돌턱구(44)을 향하여 형성된 돌부(54)를 하면서 그 다른 쪽은 상기 작동 레버의 경사단면을 향하고 있다. 그리고 이 회동 레버(53)은 요홈(24)로부터 형성된 보스(53a)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져 있으며, 이 보스(53a)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돌기(53b)를 형성하면서, 외측으로부터 장착된 와이어스프링(S)이 상기 보스(53a)를 중심으로 상기 돌기(53b)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작동 레버(51)와 회동 레버(53)의 관계를 보면, 회동 레버(53)는 와이어스프링(S)에 의해 오른쪽으로 회전하려고 하나, 이것은 작동 레버(51)의 경사진 단면에 의해 구속된다.
상기 멈춤구(55)는 상기 이동구(40)의 돌턱부(44)를 향하여 장착되어 있고, 상기 돌턱부(44)가 작용하는 하측단면은 라운딩처리되어 있고, 아울러 부호를 부여하지 않은 스프링이 작용하여 상기 이동구(40)을 향하여 전진하려 한다. 한편, 상기 멈춤구(55)의 후방단부는 상기 작동 레버의 상측 끝단과 기구적인 관계를 갖는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 및 작동 상태를 보면서 이에 따른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 조립 상태는, 먼저 상기 함체(20)의 수직공(21)에는 이면에 스프링(34)이 장착된 누름구(30)를 설치하여 상하 승강되게 하고, 이어 상기 함체(20)의 외측으로는 이동구(40)를 설치하여 이면에 설치된 스프링(46)과 상기 이동구(40)와 상기 누름구(30) 사이에 설치된 견인줄(42)을 이용하여 승강 자재되게 하고, 상기 누름구(30)의 하강에 의해 이동구(40)의 작동을 제한하는 제어 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형성한 본 발명의 상하 승강식 컵 홀더를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판넬 및 암 레스트 소정 부위로 형성한 함실(12)에 장착하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조립된 상태에서 그 작동 상태를 보면, 우선 도면 제2도(b)에서와 같이 음료가 든 컵 따위를 보관하기 위해 상기 누름구(30)를 손으로 눌러 하강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누름구(30)는 그 이면에 설치한 스프링(34)을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구(30)의 걸림홈(32)에 걸려진 상기 작동 레버(51)는 슬롯(51a)를 따라 빗면을 따라 하강하게 되면서 이와 접촉상태에 있는 회동 레버(53)를 경사진 단면을 따라 밀어 도면에서와 같이 반시계(좌측)방향으로 강제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의 회동 레버(53)의 와이어스프링(S)은 압축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동 레버(53)가 회전함에 따라 돌부(54)는 이동구(40)의 돌턱부(44)에 걸려진 상태에서 해제되므로, 상기 이동구(40)는 압축된 상태의 스프링(46)에 의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리하여 상기 이동구(40)는 상부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멈춤구(55)는 상기 이동구(40)의 돌턱부(44)에 의해 밀려 상기 요홈(24)에 형성한 출입공(25)을 막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된 상태에서 음료가 든 컵이나 동전 따위를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이러한 보관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제2도의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상기처럼 돌출된 이동구(40)를 손으로 누르게 되면, 그 이동구(40)는 하강하게 되면서 상기와 같이 누르고 있던 상태에서 해제되므로, 상기 멈춤구(55)는 그 자체가 설치된 탄지 수단에 의해 원래대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멈춤구(55)에 의해 눌려 있던 상기 작동 레버(51)가 슬롯(51a)의 빗면을 따라 위로 상승하여 이동하면서 회동 레버(53)의 끝단을 해방시킨다. 따라서, 상기 회동 레버(53)는 스프링(S)이 복원되면서 보스(53a)를 중심으로 시계(우측)방향으로 회전되어 원래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구(40)의 돌턱부(44)는 상기 회동 레버(53)의 돌부(54)에 다시금 걸려지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이동구(40)가 당기고 있던 견인줄(42)을 풀어주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누름구(30)는 다시 상승하게 되어 상기 작동 레버(51)의 걸림부(52)는 상기 누름구(30)의 걸림홈(32)에 걸려지는 것이다. 이 상태는 도면 제2도 (a)에 도시되어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 자동차의 상하 승강식 컵 홀더에 따르면, 차 내부에서 사용되는 각종 컵과 동전 따위를 인스트루먼트 판넬 등에 설치된 컵 홀더를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컵 등의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외관을 깨끗히 할 수 있게 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 자동차 내부의 소정 위치에 형성한 함실(12)에 설치한 컵 홀더(10)에 있어서, 내부에 수직공(21)을 갖도록 고리형 원기둥체로 된 주벽(22)을 형성하고, 그 주벽(22)의 외주면 상단부터 차례로 단턱부(23)와 출입공(25)을 갖는 요홈(24) 그리고 대향된 한 쌍의 구멍(26)을 형성하여 된 함체(20)와; 상기 수직공(21)에 끼워 장착되고, 일측에는 걸림홈(32)이 형성되며, 이면에는 스프링(34)이 설치된 상태에서 승강되게 한 누름구(30)와; 그 누름구(30)와 하단을 각각 견인줄(42)로 연설하여 상기 함체(20)의 출입공(25)을 통해 서로 견인할 수 있게 하면서, 하단에 돌턱부(44)가 형성되고 그 이면에는 스프링(46)을 설치하여 상기 함체(20)의 외주면에 접촉 승강되게 한 이동구(40)와; 상기 함체(20)의 요홈(24)에 설치된 후 상기 누름구(30)의 승강에 따라 상기 이동구(40)를 승강되게 한 제어 수단(C)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승강식 컵 홀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C)은; 상하 승강되면서 하단은 경사지고 상단은 상기 누름구(30)의 걸림홈(32)에 걸려지도록 걸림부(52)를 형성하여 된 작동 레버(51)와, 그 작동 레버(51) 하단과 접촉되는 일단은 경사지게 형성하면서 타단은 돌부(54)를 형성한 회동 레버(53)와, 상기 이동구(40)가 상승되면서 그 하단의 돌턱부(44)가 밀어 상기 함체(20)의 출입공(25)을 개폐할 수 있게 한 멈춤구(5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상하 승강식 컵 홀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42920A KR0146479B1 (ko) | 1995-11-22 | 1995-11-22 | 자동차의 상하 승강식 컵 홀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42920A KR0146479B1 (ko) | 1995-11-22 | 1995-11-22 | 자동차의 상하 승강식 컵 홀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26372A KR970026372A (ko) | 1997-06-24 |
KR0146479B1 true KR0146479B1 (ko) | 1998-08-17 |
Family
ID=19435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42920A KR0146479B1 (ko) | 1995-11-22 | 1995-11-22 | 자동차의 상하 승강식 컵 홀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4647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7210640B4 (de) * | 2017-06-23 | 2021-12-30 | Audi Ag | Ablag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blagevorrichtung, Steuereinrichtung und Kraftfahrzeug |
CN109866671B (zh) * | 2019-04-01 | 2024-04-09 | 嘉兴市迪贝斯电声有限公司 | 升降杯座 |
-
1995
- 1995-11-22 KR KR1019950042920A patent/KR014647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26372A (ko) | 1997-06-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87945B2 (en) | Size adjustable cup holder in a motor vehicle | |
US5598999A (en) | Device for holding two drink containers in central console of motor vehicle | |
US20020179660A1 (en) | Holder for a drink container | |
KR100513677B1 (ko) | 자동차용 컵 홀더 | |
US6695271B2 (en) | Holder for a beverage container | |
US6708938B2 (en) |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 |
KR0146479B1 (ko) | 자동차의 상하 승강식 컵 홀더 | |
KR100407235B1 (ko) | 음료 용기용 홀더 | |
EP1074428A3 (de) | Halterung für Getränkebehälter in einem Kraftfahrzeug | |
CN112140972B (zh) | 车用按压式杯托及汽车 | |
US20010023872A1 (en) | Holder for a beverage container | |
JP3538379B2 (ja) | 自動車において使用される飲み物容器用のホルダ | |
JP3625740B2 (ja) | 車両用収納体 | |
KR100250918B1 (ko) | 차량적재용 소품수납장치 | |
KR100330900B1 (ko) | 자동차용 컵홀더 | |
KR200227359Y1 (ko) | 포켓형컵홀더 | |
KR0140658Y1 (ko) | 크기가 다양한 컵을 수용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 |
KR100324390B1 (ko) | 자동차용 컵홀더 | |
JPH07186808A (ja) | カップホルダーユニット | |
JPH08142732A (ja) | 車両用カップホルダ | |
KR0116344Y1 (ko) | 자동차의 슬라이드식 컵 홀더 | |
KR20090043925A (ko) | 자동차용 컵홀더 | |
JPH10119627A (ja) | 車載用容器ホルダ | |
KR200153101Y1 (ko) | 차량용 컵 홀더 | |
KR100427767B1 (ko) | 자동차용 컵홀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