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113B1 - 분리형 에어콘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에어콘의 실내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113B1
KR0146113B1 KR1019950019241A KR19950019241A KR0146113B1 KR 0146113 B1 KR0146113 B1 KR 0146113B1 KR 1019950019241 A KR1019950019241 A KR 1019950019241A KR 19950019241 A KR19950019241 A KR 19950019241A KR 0146113 B1 KR0146113 B1 KR 0146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fan
noise
air conditioner
stab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9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121A (ko
Inventor
진심원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19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6113B1/ko
Publication of KR970007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1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5Cross-flow or tangent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에어콘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에어콘의 BFP소음, 즉 크로스 플로우 팬(1)과 최소의 간격을 가지는 위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이크로스 플로우 팬(1)과 리어 가이더(2), 스태빌라이져(3)의 구성을 최적화시켰다고 하더라도 열교환기(4)가 설치되는 위치, 특히 열교환기(4)와 팬(1)과의 간격(L2)의 선정이 잘못되는 경우에 발생되므로 제품의 디자인이나 크기에 의해 열교환기(4)와 팬(1)과의 간격(L2)을 선정하여 열교환기를 설치하는 종래의 소음이 증대되든가, 풍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는 바, 상기 팬과 스태빌라이져의 간격을 L1, 팬과 열교환기의 간격을 L2라고 할 때, L2/L1의 값이 0.8~ 1.2이 되도록 열교환기를 설치한 본 발명을 제공하여 열교환기의 설치위치를 최적화함으로써 BPF소음을 감소시키고, 풍량이 증대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형 에어콘의 실내기
제1도는 분리형 에어콘의 실내기의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에어콘의 실내기의 소음도 및 풍량을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크로스 플로우 팬 2:리어 가이더
3:스태빌라이져 4:열교환기
본 발명은 분리형 에어콘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교환기의 설치를 최적화하여 BPF소음을 저감시키고, 풍량을 증대하도록 한 분리형 에어콘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분리형 에어콘 실내기의 구성을 제1도에 도시하였는 바, 이를 참조하여 분리형 에어콘 실내기의 구성 및 동작, 효과를 설명한다.
에어콘은 공기를 에어콘의 내부로 흡입하고, 토출하는 크로스 플로우 팬(CROSS FLOWER FAN)(1)과,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1)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유통을 안정화시킴과 아울러 크로스 플로우 팬(1)으로부터 전달되는 동압을 일정한 정압으로 회복시키는 리어 가이더(REAR GUIDE)(2)와, 유입되는 공기의 흡입영역과 토출영역을 구분짓는 스태빌라이져(STABILIZER)(3)의 기본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위치에 열교환기(4)가 설치되어 있어 팬(1)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기(4)를 거쳐 열교환된 후 리어 가이더(2)와 스태빌라이져(3)에 안내되어 토출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에어콘에서 상기 리어 가이더(2)는 공기의 유동을 안정화시키고, 정압을 회복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난류소음 즉, 광대역소음을 유발시키므로, 그 곡률의 팽창정도와 토출구의 길이에 중점을 두어 설계를 하게 되며, 상기 스태빌라이져(3)는 상기 리어 가이더(2)의 위치가 결정되면 최대 풍량이 발생되는 위치에 설치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에어콘에서 발생되는 소음성분 중 매우 중요하며 반드시 제거하여야 할 소음인 BPF(Blade Passing Frequency)소음은 리어 가이더(2)와 스태빌라이져(3)의 설치위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소음으로서, 팬(1)과 스태빌라이져(3)와의 간격(L1)이 넓어지면 BPF소음은 감소하지만 풍량과 효율이 감소하며, L1을 좁힐 경우에는 풍량과 효율이 증대되는 반면에 BPF소음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즉, BPF소음은 크로스 플로우 팬(1)과 최소의 간격을 가지는 위치에서 발생되는 소음이며, 크로스 플로우 팬(1)과 리어 가이더(2), 스태빌라이져(3)의 구성을 최적화시켰다고 하더라도 열교환기(4)가 설치되는 위치, 특히 열교환기(4)와 팬(1)과의 간격(L2)의 선정이 잘못되는 경우에 BPF소음이 커지거나, 또는 풍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제품의 디자인이나 크기에 의해 열교환기(4)와 팬(1)과의 간격(L2)을 선정하여 열교환기를 설치하는 일반적인 에어콘은 소음이 증대되든가, 풍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유발하기 마련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기와 팬과의 간격에 유의하여 열교환기를 설치함으로써 BPF소음을 저감함과 아울러 일정한 풍량을 유지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크로스 플로우 팬과, 리어 가이더와, 스태빌라이져로 구성되는 분리형 에어콘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팬과 스태빌라이져의 간격을 L1, 팬과 열교환기의 간격을 L2라고 할 때, L2/L1의 값이 0.8~ 1.2이 되도록 열교환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콘의 실내기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분리형 에어콘의 실내기는 패(1)과 리어 가이더(2), 스태빌라이져(3)가 최적위치에 구성된 후에 열교환기(4)가 설치되는 위치를 스태빌라이져와 팬과의 간격(L1), 열교환기와 팬과의 간격(L2)에 대해 유의한 실험에 근거한 것이다.
먼저, 스태빌라이져(3)와 팬(1)과의 간격(L1)의 최적값, 즉 적정한 풍량을 유지하면서 BPF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최적값 L1이 결정되면, 그 L1에 따른 열교환기(4)와 팬(1)과의 간격인 L2의 값이 결정된다. 다시 말해 L1값에 따른 L2의 비율에 따라 에어콘의 최적 성능이 구현되는 것이다. 따라서 열교환기(4)는 L2/L1의 비율에 따라 최적위치에 설치한다.
실험에 의하면 제2도에 도시한 BPF소음도와 풍량의 영향을 보인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풍량으 L2/L1=0.9에서 최대값을 보이며, 소음은 L2/L1이 1.0부근에서 최저값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L2/L1값이 0.8~1.2 사이에서 크로스 플로우 팬의 최대효율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L2/L1값이 1.2보다 클 경우에는 세트의 유동시스템 저항이 커지게 되어 풍량이 감소되고, 소음이 증가되는 것이며, 0.8보다 작을 경우에는 BPF소음이 급격히 커지면서 풍량이 감소한다고 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에어콘의 실내기는 열교환기의 설치위치를 최적화하여 BPF소음을 감소시키고, 풍량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팬 또는 유로를 재구성하지 않고도 열교환기와 팬과의 간격만을 조정하여 신제품은 물론 간단한 금형의 수정으로 기존 제품에 비해 현저하게 풍량을 증대시키고,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크로스 플로우 팬과, 리어 가이더와, 스태빌라이져로 구성되는 분리형 에어콘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팬과 스태빌라이져의 간격을 L1,팬과 열교환기의 간격을 L2라고 할 때, L2/L1의 값이 0.8~1.2이 되도록 열교환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콘의 실내기.
KR1019950019241A 1995-07-01 1995-07-01 분리형 에어콘의 실내기 KR0146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241A KR0146113B1 (ko) 1995-07-01 1995-07-01 분리형 에어콘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241A KR0146113B1 (ko) 1995-07-01 1995-07-01 분리형 에어콘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121A KR970007121A (ko) 1997-02-21
KR0146113B1 true KR0146113B1 (ko) 1998-08-17

Family

ID=19419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9241A KR0146113B1 (ko) 1995-07-01 1995-07-01 분리형 에어콘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61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5780A (zh) * 2016-01-26 2016-04-1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5780A (zh) * 2016-01-26 2016-04-1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
CN105485780B (zh) * 2016-01-26 2018-09-1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121A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0907B1 (en) Air conditioner
JP6129431B1 (ja) 送風機およびこの送風機を搭載した空気調和装置
KR100323702B1 (ko) 시로코 팬
CN103075791B (zh) 空气调节器的室内机
JP2016142431A (ja) 空気調和機
KR19990007199A (ko) 횡류 팬용 유동 안정기
KR19980050605A (ko) 공기 조화기의 상방흡입 횡류형 실내기
CN106796035B (zh) 空气调节机
KR20040032342A (ko) 와류방지익을 구비한 원심 송풍기
JP5024349B2 (ja) 送風機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並びに空気清浄機
KR0146113B1 (ko) 분리형 에어콘의 실내기
KR19990050284A (ko) 에어콘의 실내기
JP2951145B2 (ja) 送風装置
JP3171487B2 (ja) 空気調和機
JPH03229991A (ja) 横断流送風機
JP2005016457A (ja) 送風機及び送風機を備えた熱交換ユニット
CN216814358U (zh) 一种风管机和分布式送风装置
JPH09318094A (ja) 空気調和機
KR200273754Y1 (ko) 공기조화기저소음벨마우스의구조
CA2354833C (en) Cross-flow fan
KR20050058132A (ko) 유로안내돌기가 구비된 분리형 에어컨
KR200255322Y1 (ko) 차량용 오버헤드형 증발기
KR100958863B1 (ko) 유로가이드가 구비된 분리형 에어컨
JPH11336697A (ja) 空気調和機
KR100789813B1 (ko) 크로스플로우 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