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103B1 - 디지탈 영상 기기의 한글 자막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영상 기기의 한글 자막 처리 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103B1
KR0146103B1 KR1019950007461A KR19950007461A KR0146103B1 KR 0146103 B1 KR0146103 B1 KR 0146103B1 KR 1019950007461 A KR1019950007461 A KR 1019950007461A KR 19950007461 A KR19950007461 A KR 19950007461A KR 0146103 B1 KR0146103 B1 KR 0146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phoneme
korean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7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643A (ko
Inventor
윤동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07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6103B1/ko
Publication of KR960036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1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8Subtit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영상 기기의 한글 자막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한글 자막 선택을 이미 정해진 몇개의 완성된 단어중에서만 선정하여야 함으로 상황에 맞는 다양한 문장의 표현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글 조합형 폰트를 저장한 후 한글 자막 처리 설정시 초성, 중성, 종성의 자소를 각기 선택하여 조합함으로써 하나의 글자를 완성하도록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은 초, 중, 종성의 자소를 선택하여 조합함에 의해 하나의 문자를 완성함으로 다양한 문장을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탈 영상 기기의 한글 자막 처리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종래의 한글 자막 처리 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한글 자막의 종류를 보인 예시도.
제3도는 종래의 한글 자막 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한글 자막 처리 장치의 구성도.
제5도는 제4도에서 키 입력부의 일부 구성을 보인 블럭도.
제6도는 본 발명의 한글 자소를 보인 예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한글 자막 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
제8도는 제7도에서 한글 초성 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
제9도는 제7도에서 한글 중성 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
제10도는 제7도에서 한글 종성 처리를 위한 신호 흐름도.
제11도는 제7도에서 한글 자소 삭제를 위한 신호 흐름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한글 2바이트 조합형 코드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제1 메모리 202:제2 메모리
203:뷰파인더 204: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
205:화상 메모리 206: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
207:제어부 208:키 입력부
301:한글 타이틀 온/오프 키 302:전동 줌 스위치
303:되감기 키 304:재생 키
305:빨리 감기 키 306,307:커서 이동키
308:자소 선택 키
본 발명은 영상 기기의 한글 자막 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캠코더와 같은 디지탈 영상 기기에서 한글 조합형 폰트를 이용하여 자막 처리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완성형 자막 형식에 비하여 한글 자막 표기의 범위를 극대화시키는 디지탈 영상 기기의 한글 자막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한글 자막 처리 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입력신호를 디지탈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03)와, 완성형 한글 자막 데이타를 내장하는 제1 메모리와, 이 제1 메모리(101)의 한글 자막 데이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03)의 출력 데이타를 논리합하여 저장하는 화상 메모리(104)와, 이 화상 메모리(104)의 출력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5)와, 모드 설정을 위한 키 입력부(107)와, 이 키 입력부(107)의 출력 신호에 의해 설정 모드를 판별하여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06)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종래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06)는 키 입력부(107)의 출력 신호를 검색하여 한글 자막키가 입력되었는지 판별하는데(S1-S3), 한글 자막 키의 입력이 없으면 일반적인 기록, 재생 동작을 수행하고(S4) 한글 자막 키의 입력을 판별하면 제1 메모리(101)에 저장된 한글 자막 메뉴를 읽어 화상 메모리(104)에 저장한 후 일정 시간동안 그 저장된 메뉴 데이타를 뷰파인더(102)에 송출하여 영상으로 표시하게 된다(S5).
여기서, 제1 메모리(101)에는 제2도와 같이 한정된 종류의 한글 자막 데이타가 저장되어 있고 이 저장 데이타는 글자를 구성하는 자소 형태가 아니라 완성형의 단어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사용자가 뷰파인더(102)에 표시된 한글 자막 메뉴중에서 커서를 이용하여 특정의 한글 자막을 선택하면 제어부(106)는 선택된 자막의 실제 내용을 제1 메모리(101)에서 읽어들이도록 어드레스 및 라이트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 메모리(101)에서 읽은 데이타와 화상 메모리(104)의 저장 데이타를 논리합하여 다시 화상 메모리(104)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S6, S7).
이에 따라, 제어부(106)는 화상 메모리(104)의 저장 내용을 뷰파인더(102)에 송출하여 영상으로 표시하고 동시에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5)에 전송하여 디지탈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도록 한다(S8, S9).
그리고, 원래 자막은 촬영하고자 하는 화면의 초반부에 삽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한글 자막 선택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여 한글 자막 삽입 기간이 아니면 제어부(106)는 제1 메모리(101)의 출력 데이타와 화상 메모리(104)의 저장 데이타의 논리합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S11).
이 후, 화상 메모리(104)에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03)의 출력 신호가 저장되고 그 화상 메모리(104)에 저장된 순수 비디오 데이타가 뷰파인더(102)에 송출되어 영상으로 표시됨과 아울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5)에 전송되어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출력하게 된다.(S12, S13).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05)는 제어부(106)로부터의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fs)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상기 동작은 제3도와 같은 신호 흐름에 의해 수행되어진다.
그러나, 종래에는 한글 자막 선택을 이미 정해진 몇개의 완성된 단어 중에서만 선정하여야 함으로 상황에 맞는 다양한 문장의 표현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한글 조합형 폰트를 저장한 후 상황에 적합한 문자를 조합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문장을 표시하도록한 디지탈 영상 기기의 한글 자막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한글 자막 키의 입력을 판별하는 단계와, 한글 자막 키의 입력을 판별하였을 때 한글 초성 키의 입력에 원하는 초성 자음을 선택하고 한글 중성 키의 입력에 원하는 중성 모음을 선택하면 한글 종성 키의 입력에 원하는 종성 자음을 선택한 후 초, 중, 종성의 처리를 통해 문자를 조합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문자 조합을 수행할 때 한글 자막 키가 오프되는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한글 자막 키가 오프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타를 뷰파인더로 송출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합형 한글 자소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201)와, 이 제1 메모리(201)에서 출력된 조합형의 초성, 중성, 종성에 해당하는 자소를 저장하고 이들 자소 처리로 완성된 한글 문자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202)와, 비디오 입력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04)와, 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04)의 출력 데이타 및 상기 제1, 제2 메모리(201)(202)의 출력 데이타를 저장하는 화상 메모리(205)와, 이 화상 메모리(205)의 출력 데이타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뷰파인더(203)와, 상기 메모리(205)의 출력 데이타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06)와, 동작 모드 설정을 위한 키 입력부(208)와, 이 키 입력부(208)의 출력 신호를 검색하여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07)로 구성한다.
상기 키 입력부(208)는 한글 자막 기능을 온/오프하는 한글 자막 설정 키(302)와, 커서를 원하는 자소로 이동시킨 후 그 자소를 선택하는 전동 줌 스위치(302)와, 상기 한글 자막 설정키(301)로 한글 자막 기능을 설정하면 초, 중, 종성 모드의 설정키로 각기 동작하는 테이프 되감기 키(303), 재생 키(304), 빨리 감기 키(305)로 구성한다.
상기 전동 줌 스위치(302)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커서 이동키(306)(307)와, 커서가 위치하는 자소를 선택하는 자소 선택키(308)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이 온되면 키 입력부(208)의 출력 신호를 검색한 제어부(207)는 한글 자막 설정키(301)의 입력을 판별하여(S1, S2) 그 한글 자막 설정키(301)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기록, 재생 동작을 수행하고(S29) 한글 자막 설정키(301)가 입력된 경우에는 되감기 키(303), 재생 키(304) 및 빨리 감기 키(305)의 입력에 따라 초, 중, 종성 모드의 설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3-S5).
상기에서 되감기 키(301)의 선택으로 초성 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어부(207)는 제1 메모리(201)를 제어하여 초성 자음 데이타 `ㄱ-ㅎ'를 화상 메모리(205)에 저장시킨 후 뷰파인더(203)에 송출하여 영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키 입력부(208)의 전동 줌 스위치(302)에서 커서 이동키(306)(307)로 원하는 자음에 커서를 위치시킨 후 자소 선택키(308)을 누르면 그 선택된 자소의 비트값이 제2 메모리(202)의 레지스터(R1)에 저장되어진다(S15-S18).
여기서, 되감기 키(303)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207)는 문자 구성 동작의 포기로 판별하여 일반적인 설정 동작으로 판별하게 된다.(S16, S29)
상기에서 초성 자음 선택이 완료된 후 키 입력부(208)의 한글 자막 설정키(301)가 온 상태에서 사용자가 재생키(304)의 선택으로 중성 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어부(207)는 제1 메모리(201)를 제어하여 중성 모음 데이타를 화상 메모리(205)에 저장시킨 후 뷰파인더(203)에 송출하여 영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208)의 전동 줌 스위치(302)으로 초성 모드와 동일한 동작으로 원하는 모음을 선택하면 그 선택된 자소의 비트값이 제2 메모리(202)의 레지스터(R2)에 저장되어진다(S19-S22).
여기서, 재생 키(304)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207)는 문자 구성 동작의 포기로 판별하여 일반적인 설정 동작으로 판별하게 된다.(S20, S29)
상기에서 중성 모음 선택이 완료된 후 키 입력부(208)의 한글 자막 설정키(301)가 온 상태에서 사용자가 빨리 감기 키(305)의 선택으로 종성 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어부(207)는 제1 메모리(201)를 제어하여 종성 자음 데이타를 화상 메모리(205)에 저장시킨 후 뷰파인더(203)에 송출하여 영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208)의 전동 줌 스위치(302)으로 원하는 자음을 선택하면 그 선택된 자소의 비트값을 제2 메모리(202)의 레지스터(R3)에 저장하게 된다(S23-S25, S27).
여기서, 빨리 감기 키(305)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207)는 되감기 키(303)의 입력을 판별하여 그 되감기 키(303)의 입력으로 초성 모드가 다시 설정되면 이때의 입력 글자는 종성이 없는 글자로 판별하여 제2 메모리(202)의 레지스터(R3)에 필 코드(fill code)인 0000H값을 저장한 후 문자구성 동작을 반복하고 상기 되감기 키(303)의 입력이 없으면 문자 구성 동작의 포기로 판별하여 일반적인 설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24, S26, S29).
이때, 하나의 글자에 대한 초, 중, 종성 자소의 비트값이 제2 메모리(202)의 레지스터(R1-R3)에 저장되면 제어부(207)는 저장된 비트 값을 연산함에 의해 실질적인 하나의 문자를 구성하고 그 하나의 문자는 포인터가 가르키고 있는 화상 메모리(205)의 특정 부분부터 한 문자의 한글이 차지하는 비트 길이만큼의 범위에 대하여 논리합한 후 그 결과를 그 화상 메모리(205)에 저장하며 포인터를 증가시킴과 아울러 상기 화상 메모리(205)의 저장 데이타를 뷰파인더(203)에 송출하여 영상으로 표시한 후 키 입력부(208)의 출력 신호를 검색하여 한글 자막 설정키(301)가 오프되는지 판별하게 된다(S6-S11).
이에 따라, 한글 자막 설정키(301)가 온상태를 유지하면 한글 자소의 선택 및 문자 구성 동작을 반복하고 상기 한글 자막 설정키(301)가 오프되었을 때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화상 메모리(205)에 저장된 한글 자막 데이타를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06)를 통해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테이프에 기록하며 이 후, 화상 메모리(205)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04)의 출력 비디오 신호를 저장한 후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06)에 출력하여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전송하게 된다(S11-S14).
상기와 같은 동작을 제4도의 블럭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키 입력부(208)의 모드 설정으로 기록, 재생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04)는 제어부(207)로부터 출력는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fs)에 따라 비디오 입력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고 화상 메모리(205)는 상기 제어부(207)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04)에서 변환된 디지탈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게 된다.
이 후, 화상 메모리(205) 상에 저장된 데이타는 제어부(207)의 제어 신호에 의해 뷰파인더(203)로 송출되어 영상으로 표시됨과 동시에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06)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되어진다.
한편, 한글 자막 처리의 구현을 위하여 키 입력부(8)에 별도의 한글 자막 설정키(301)를 부착하는데, 이 한글 자막 설정키(301)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되감기 키(303), 재생 키(304), 빨리 감기 키(305)는 각각 초성, 중성, 종성 모드의 설정을 위한 키로 동작하고 전동 줌 스위치(302)는 커서이동 및 자소 선택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메모리(201)는 2바이트 한글 조합형 코드를 내장하고 있는 롬(ROM)으로서 제6도와 같이 필 코드(fill code)를 제외한 모든 자소 데이타를 초, 중, 종성의 순서로 저장하게 된다.
먼저, 사용자가 키 입력부(8)의 키를 누르면 제어부(7)는 한글 자막 설정키(301)의 눌림인 온 상태인지를 판별하여 오프 상태이면 일반적인 과정을 수행하고 온 상태이면 초성 자음의 입력을 대기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키 입력부(208)에서 임의의 키를 선택하는 경우 초성키인 되감기 키(303)가 아님을 제어부(207)가 판별하면 문자 구성의 포기로 간주하고 초성 키인 되감기 키(303)으로 판별하면 상기 제어부(207)는 제1 메모리(101)를 제어하여 초성 자소 `ㄱ-ㅎ'에 해당하는 자소 데이타를 화상 메모리(205)에 저장한 후 뷰파인더(203)에 전송하도록 하여 영상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키 입력부(208)의 전동 줌 스위치(302)에서 커서 이동키(306 또는 307)로 커서를 특정 자소에 위치시킨 후 자소 선택키(308)을 선택하면 제어부(207)의 제어에 의해 선택된 초성 자소에 해당하는 비트값이 제2 메모리(202)에 할당된 레지스터(R1)에 저장되어진다.
또한, 중성 및 종성에 대한 선택은 초성의 경우와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되고 그 중성 및 종성에 해당하는 비트 값이 제2 메모리(202)의 레지스터(R2)(R3)에 각기 저장되며 다만, 종성 처리 과정에서 종성 키가 아닌 초성키의 선택으로 판단하면 초성과 중성만으로 구성되는 글자의 입력으로 판단하여 제2 메모리(202)의 레지스터(R3)에는 필 코드(fill code)인 0000H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한 글자에 해당되는 초성, 중성, 종성에 대한 비트 값이 레지스터(R1)(R2)(R3)에 각기 저장되면 제어부(207)는 이 저장된 비트값을 2바이트 한글 조합형 처리를 수행하여 실질적인 하나의 한글 문자를 구성하고 이 완성된 하나의 문자인 한글을 포인터가 지정하고 있는 화상 메모리(205)의 특정 부분부터 한 문자의 한글이 차지하는 비트 길이만큼의 범위에 대하여 서로 논리합한 후 그 결과를 다시 화상 메모리(205)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에서 한글 조합의 동작을 제12도에서 설명하면 최상위 비트(MSB)가 1이면 한글 조합으로 판별한 후 5비트씩 분할하여 초, 중, 종성에 대한 비트값으로 인식함에 의해 제6도와 같은 표에 해당하는 자소를 결정함으로써 해당 입력 글자를 완성하게 된다.
이 후, 다음에 입력될 문자를 고려하여 화상 메모리(205)에 대한 포인터값을 일정량만큼 증가시키고 현재까지의 입력 글자를 검색하기 위하여 상기 화상 메모리(205)에 저장 데이타를 뷰파인더(203)에 송출함에 의해 영상으로 표시하게 된다.
상기에서 제1 메모리(201)에 저장된 자소 데이타가 제6도와 같이 하나로 표시되어 있지만 `ㄱ'의 경우를 예로 들면 그 제1 메모리(201)에 저장되는 초성 `ㄱ'의 종류는 한가지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제1 메모리(201)에 저장된 `ㄱ'의 종류는 레지스터(R2)에 저장되어 있는 중성이 `ㅗ'. `ㅘ', `ㅏ' 형태중 어느것에 해당하는냐에 따라 `ㄱ'의 쓰임새가 고, 과, 가와 같이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207)는 중성의 종류를 판별하여 초성의 형태를 결정하고 최종 글자를 구성하기 위하여 제1 메모리(201)에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함에 의해 가장 적절한 자소를 읽어 하나의 글자를 완성하게 된다.
이 후, 하나의 글자가 완성되면 제어부(207)는 키 입력부(208)의 출력 신호를 판별하여 한글 자막 설정키(301)가 온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있으면 초성 자음 과정을 반복 설정하여 입력 문자를 선택하는 동작을 계속하여 뷰파인더(203)에 선택 글자를 계속하여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한글 자막 설정키(301)가 오프된 것을 판별하면 제어부(207)는 자막의 특성상 촬영 서두에만 기록함으로 상기 한글 자막 설정키(301)가 오프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동안 화상 메모리(205)에 저장된 자막을 뷰파인더(203)에 전송하여 영상으로 표시함과 아울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06)에 출력하여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프에 기록하게 된다.
한편, 상기 과정에서 한글 자막 설정키(301)이 온 상태일 때 영문 자막키가 온 상태이면 한글 자막 모드에서도 영문 자막을 입력시킬 수 있다.
이 후,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가 입력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204)에서 변환된 디지탈 비디오 신호는 화상 메모리(205)에 저장된 후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06)을 통해 다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되어진다.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206)는 제어부(207)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샘플링 주파수(fs)에 의하여 동작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 중, 종성의 자소를 선택하여 조합함에 의해 하나의 문자를 완성함으로 다양한 문장을 표시할 수 있다.

Claims (8)

  1. 한글 자막 설정 키가 온인지 판별하는 자막 처리 설정 단계와, 상기에서 한글 자막 설정키가 온되면 초, 중, 종성의 자소를 선택하여 하나의 글자를 결정하고 뷰파인더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자소 선택 및 조합 단계와, 상기에서 하나의 글자가 완성되면 한글 자막 설정키가 오프되는지 판별하는 자막 처리 종료 판별 단계와, 상기에서 한글 자막 설정키가 온 상태를 유지하면 자소 선택 및 조합 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한글 자막 설정키가 오프 상태이면 일정 시간동안 완성된 자막을 표시한 후 비디오 입력 신호의 기록 동작을 수행하는 비디오 신호 기록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 기기의 한글 자막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자소 선택 및 조합 단계는 한글 자막 설정키의 온 상태에서 초성키인 되감기 키가 입력되면 뷰파인더에 초성 자음을 표시하고 커서를 원하는 자소로 이동시킨 후 선택하는 초성 자음 선택 과정과, 상기에서 초성 자음이 선택된 후 중성키인 재생키가 입력되면 뷰파인더에 초성모음을 표시하고 커서를 원하는 자소로 이동시킨 후 선택하는 중성 모음 선택 과정과, 상기에서 중성 모음이 선택된 후 종성키인 빨리감기 키가 입력되면 뷰파인더에 종성 자음을 표시하고 커서를 원하는 자소로 이동시킨 후 선택하는 종성자음 선택 과정과, 상기에서 초, 중, 종성 선택 과정이 종료되면 해당 비트값을 연산하여 하나의 글자를 완성하는 자소 조합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 기기의 한글 자막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초성 자음 선택 과정은 한글 자막 설정키가 온상태일 때 초성키인 되감기 키가 입력되는지 판별하는 제1 과정과, 상기에서 되감기 키의 입력이 없으면 글자 구성의 포기로 판별하여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하고 되감기 키가 입력되면 뷰파인더에 초성 자음을 표시하는 제2 과정과, 상기에서 표시된 초성 자음중 특정 자소를 선택하고 그 선택 자소의 비트값을 저장하는 제3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 기기의 한글 자막 처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중성 자음 선택 과정은 한글 자막 설정키가 온상태일 때 중성키인 재생 키가 입력되는지 판별하는 제1 과정과, 상기에서 재생 키의 입력이 없으면 글자 구성 동작의 포기로 판별하여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하고 재생 키가 입력되면 뷰파인더에 중성 모음을 표시하는 제2 과정과, 상기에서 표시된 중성 모음중 특정 자소를 선택하고 그 선택 자소의 비트값을 저장하는 제3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 기기의 한글 자막 처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종성 자음 선택 과정은 한글 자막 설정키가 온상태일 때 종성키인 빨리 감기 키가 입력되는지 판별하는 제1 과정과, 상기에서 빨리 감기 키가 입력되면 뷰파인더에 종성 자음을 표시하고 그 표시된 종성 자음중 특정 자소를 선택하면 그 선택 자소의 비트값을 저장하는 제2 과정과, 상기에서 빨리 감기 키의 입력이 없으면 초성 키인 되감기 키의 입력이 있는지 판별하는 제3 과정과, 상기에서 되감기 키의 입력이 없으면 글자 구성의 포기로 판별하여 일반적인 동작을 수행하고 되감기 키의 입력이 있으면 계속적인 한글 자막 처리 동작을 인식하는 제4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 기기의 한글 자막 처리 방법.
  6.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수단과, 한글 자소 데이타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와, 이 제1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초성, 중성, 종성의 자소 데이타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와, 상기 제1 메모리의 자소 데이타, 상기 제2 메모리의 문자 데이타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 수단의 프레임 단위의 화상 데이타를 저장하는 화상 메모리와, 이 화상 메모리의 저장 데이타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화상 메모리의 출력 데이타를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수단과,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한글 자막 처리 모드일 때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된 자소중 원하는 특정 자소를 선택하는 키 입력 수단과, 이 키 입력 수단의 키 눌림을 판별하여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한글 자막 처리 모드에서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된 자소 데이타를 조합하여 하나의 글자를 완성하는 제어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 기기의 한글 자막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키 입력 수단은 한글 자막 처리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한글 자막 설정키와, 이 한글 자막 설정키가 온 상태일 때 초성, 중성, 종성 모드를 각기 설정하기 위한 되감기 키, 재생 키, 빨리 감기키와, 상기 한글 자막 설정키가 온 상태에서 상기 되감기 키, 재생 키, 빨리감기 키의 입력으로 표시 수단에 표시된 자소중 특정 자소로 커서를 이동시킨 후 선택하는 전동 줌 스위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 기기의 한글 자막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전동 줌 스위치는 커서의 이동 방향을 선택하는 커서 이동 키와, 이 커서 이동 키에 의해 커서가 위치하는 자소를 선택하기 위한 자소 선택 키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영상 기기의 한글 자막 처리 장치.
KR1019950007461A 1995-03-31 1995-03-31 디지탈 영상 기기의 한글 자막 처리 방법 및 장치 KR0146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7461A KR0146103B1 (ko) 1995-03-31 1995-03-31 디지탈 영상 기기의 한글 자막 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7461A KR0146103B1 (ko) 1995-03-31 1995-03-31 디지탈 영상 기기의 한글 자막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643A KR960036643A (ko) 1996-10-28
KR0146103B1 true KR0146103B1 (ko) 1998-09-15

Family

ID=19411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7461A KR0146103B1 (ko) 1995-03-31 1995-03-31 디지탈 영상 기기의 한글 자막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61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0978A (ko) * 1999-12-28 2001-07-07 박종섭 자모음 조합 표시 구조를 갖는 한글 자막 방송 수신기 및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643A (ko) 199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48981B2 (ja) 計算機
US54868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vering and revealing the display of captions
KR0146103B1 (ko) 디지탈 영상 기기의 한글 자막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07219218A (ja) 語学学習用電子機器および訳文再生方法
JPH11272690A (ja) データ表示装置及び方法及び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824168B2 (ja) ディジタル映像再生装置
US6142367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mathematical expressions including variables
JP2005135301A (ja) 携帯型端末装置
US4740913A (en) Ornamental display device for electronic dictionary
JP2000089880A (ja) データ表示装置
JP4099907B2 (ja) 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提供媒体
KR0166696B1 (ko) 캠코더의 한글제목 표시 시스템
KR100231646B1 (ko) 브이씨알에서의 캡션 데이터 구간 반복 제어방법
EP0605026B1 (en) Data entry and display system
JP2007219219A (ja) 語学学習用電子機器および学習用文章リスト作成方法
JPH0452500B2 (ko)
KR910008260Y1 (ko) 비디오 프린터의 절환장치
KR100197370B1 (ko) 영상 기기의 배경색 선택 장치 및 그 방법
JPS62107374A (ja) 文書作成装置
JPH064526A (ja) 入力表示装置
KR940003831B1 (ko) 칼라 비디오 프린터의 영상합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20176694A1 (en) Optical disc reproducing apparatus
KR930003420B1 (ko) 멀티 화면 구성시 빈공간 자동 탐색 장치 및 방법
JPH10275155A (ja) 情報検索装置
JPH0410164A (ja) 文字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