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720B1 - 이오노머성 실란 커플링제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이오노머성 실란 커플링제 및 이의 용도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720B1
KR0145720B1 KR1019890007573A KR890007573A KR0145720B1 KR 0145720 B1 KR0145720 B1 KR 0145720B1 KR 1019890007573 A KR1019890007573 A KR 1019890007573A KR 890007573 A KR890007573 A KR 890007573A KR 0145720 B1 KR0145720 B1 KR 0145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toms
group
thermoplastic
carboxylic acid
coupl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371A (ko
Inventor
펄 플로에드만 에드윈
Original Assignee
노만 에드워드 루이스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만 에드워드 루이스,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만 에드워드 루이스
Publication of KR900000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7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as well as one or more C—O—Si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4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08K5/545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containing at least one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as well as one or more C—O—Si linkages
    • C07F7/1804Compounds having Si-O-C linka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이오노머성 실란 커플링제 및 이의 용도
지난 1940년대 이후부터 실란 커플링제는 충전된 열경화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들 저분자량 화합물은 충전제 입자와 중합체 분자 사이에 화학적 결합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믿어지고, 이들 대부분은 충전제 및 수지 등과 반응할 수 있거나 적어도 결합할 수 있는 적용성 그룹으로 혼입되어야 한다.
당해 분야에 공지된 각종 실란을 사용함으로써 열가소성 중합체와 기재(예: 무기 충전제) 사이의 접착력이 상당히 증진되지만, 이들 복합체를 물에 노출시키면 증강된 접착력을 유지시키기가 다소 제한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습식 환경은 실란 처리된 보강 섬유로 충전된 복합체의 굴곡강도를 점진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여전히 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섬유 충전 중합체를 사출성형 조작시에서처럼 고전단속도에 적용하면, 커플링제와 중합체 사이에 형성되는 공유결합(또는 결합 구조)이 어느 정도 파괴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또한 복합체의 궁극적인 물리적 특성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통상의 조건하에서, 그 자체와 중합체 사이에 강한 결합을 형성하는 커플링제가 요구되며, 결합은 사출성형 동안에 직면하게 되는 승온에서 이동하기 쉽게 된다. 높은 수분 조건에 처하게 되면 결합 내구성을 추가로 제공하는 이러한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것이 여전히 바람직하다.
1988년 6월 3일자로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202,163호에는 적어도 약간의 결합된 산 작용기가 이온성 화합물의 금속 양이온에 의해 중화된 산 작용성 필름 형성제와 산-작용성 실란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이오노머성 실란 조성물로 무기기재를 처리함으로써 상술한 바람직한 특징들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이 기술되어 있다. 이 특허원에서, 산 작용성 실란의 하나의 말단은 당해 분야의 커플링제의 경우에서처럼 무기 기재의 표면에서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그러나, 공지되어 있는 시스템과는 대조적으로, 실란의 또 다른 말단은 이온성 내부 반응을 통해 산 작용성 필름 형성제에 가역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기재와 중합체 사이의 미소 내부상 부분이 통상의 온도에서 강인하고 부동성이 되도록 존재하지만, 사출성형 동안에 직면하게 되는 상승 온도 및 고전단속도에서는 상대적으로 유동성이라는 가설이 성립된다. 본 발명에 이르러, 위에서 언급한 계류중인 특허원에 기술된 커플링제와 유사한 이오노머성 실란 커플링제가 실란 암산의 부분적으로 중화된 금속염(예를 들면, 이들은 분자중에 아미드와 카복실산을 둘 다 포함한다)을 포함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의 아민 작용성 실란(I), 아민 작용성 실란(I)의 반응성 수소원자 1당량당 약 1.1내지 1.5당량의 양으로 존재함으로써 화학양론적 과량의 카복실산 작용기를 제공하는 C4내지 C36유기 디카복실산(II) 및 1가 및 2가 금속 이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양이온을 갖는, 몰 당량을 기준으로 과량의 카복실산 작용기의 약 10% 내지 80%를 중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이온성 화합물(III)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 이오노머성 실란 커플링제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및 탄소소 1 내지 4의 알킬 라디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는 탄소수 2 내지 4의 2가 탄화수소 라디칼이며,
R는 탄소수 3 내지 6의 2가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R
Figure kpo00002
는 메틸, 에틸 및 프로필 라디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n은 0, 1 또는 2이다.
본 발명은 또한
기재를 위에서 기술한 이오노머성 실란 커플링제로 처리하는 단계(a)와
단계(a)의 결과로 처리된 기재에 열가소성 매트릭스 중합체를 융합시키는 단계(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여, 개질되지 않은 열가소성 중합체, 개질되지 않은 열가소성 공중합체, 산 개질된 열가소성 중합체, 산 개질된 열가소성 공중합체 및 이오노머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매트릭스 중합체를 기재에 결합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오노머성 실란 커플링제 조성물은 아민 작용성 실란(I)과 화학양론적 과량의 유기 디카복실산(II)(여기서, 잔류성 산 작용기는 금속 양이온을 갖는 이온성 화합물(III)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화된다)을 포함한다.
아민 작용성 실란(I)은 다음 일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kpo00003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및 탄소소 1 내지 4의 알킬 라디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R'는 탄소소 2 내지 4의 2가 탄화수소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디메틸렌 그룹이며,
R는 탄소수 3 내지 6의 2가 탄화수소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렌 그룹이고,
R
Figure kpo00004
는 메틸, 에틸 및 프로필 라디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이며,
n은 0, 1 또는 2이고, 바람직하게는 1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이후에 기술하는, 유기 디카복실산과 반응하는 아민작용성 실란의 반응성 수소는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따라서, 이들 수소를 일단 반응시켜 아미드 그룹을 형성시키면, 기대되었던(즉, R이 수소인 경우) 질소상에서의 제2 말단 수소의 반응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은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는 명백한 일일 것이다.
성분(I)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아민 작용성 실란의 예는 구조식(i), (ii), (iii) 및 (iv)의 화합물이다:
Figure kpo00005
아민 작용성 실란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클로로알킬알콕시실란을 유기 아민과 반응시킴으로써 전형적으로 형성된다. 생성된 아민 작용성 실란은 일반적으로 순수한 종류가 아니며, 다수의 부생성물이 주요 성분과 함께 공존한다. 구조식(i)의 아민 작용성 실란은 미시간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Dow Corning Corp.)으로부터 DOW CORNING Z-6020으로서 시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조 반응 생성물 또는 정제된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증류시킨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구조식(i))이 바람직하다.
유기 디카복실산(II)은 4개 내지 36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4개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며, 예로는 이소프탈산, 아디프산, 푸마르산, 석신산, 세박산, 말레산과 같은 산류 및 올레산의 이합체와 같은 시판되는 화합물이 있다. 이들의 강력한 열안정성의 견지에서 방향족 산 중에서 선택되는 디카복실산이 바람직하며, 이소프탈산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온성 화합물(III)은 1가 또는 2가 금속의 염, 수산화물 및 산화물 중에서 선택된다. 금속염을 사용하는 경우, 아세테이트 또는 포르메이트와 같은 수용성 유기염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원에서는 할라이드 염은 부적합한 것으로 여겨진다. 적합한 이온성 화합물의 예는 나트륨, 리튬, 아연, 칼슘, 마그네슘 또는 칼륨 양이온을 갖는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이온성 화합물은 아연 아세테이트이다.
본 발명의 이오노머성 실란 커플링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성분(I), (II) 및 (III)을 물 또는 유기 용매 속에서 혼합한다. 그러나, 이후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기재에 도포할 수 있는 조성물을 물에 분산시킴으로써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이오노머성 실란은 물에 쉽게 분산되지만 실란 커플링제를 분산시키기 위해서 플루에드만(Plueeddemann)의 미합중국 특허 제 3,258,477호에 기술된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성분(II)는 1.1 내지 1.5당량의 카복실산 작용기가 성분(I)의 반응성 수소 각각의 당량에 대하여 유용한 정도의 과량을 가한다. 성분(III)은 과량의 카복실산 작용기의 약 10% 내지 80%가 이들에 의해 제공된 금속 양이온에 의해 중화되는 양으로 사용한다(1몰 당량 기준). 당해 분야의 전문가들은 통상의 실험을 통해 특정한 계에 필요한 최적의 중화 등급을 쉽게 결정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과량의 산 작용기의 약 30% 내지 60%가 금속 이온에 의해 중화된다. 이렇게 형성된 분산액은 아민 작용성 아민 작용성 실란과 금속 이온의 염을 함유한다. 이 분산액을 이후에 기술하는 바와같이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킨 다음, 약 150 내지 200 ℃에서 가열시킴으로써 반응시키년, 아민염이 아미드로 전환되어, 금속 양이온에 의해 부분적으로 중화되는 암산(예를 들면, 산은 동일한 분자중에 카복실산 작용기 뿐만 아니라 아미드를 갖는다)이 수득된다.
본 발명의 성분들을 분산시키는데 적합한 유기 용매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글리콜 모노에테르, 메탄올 및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와 같이 극성이 매우 큰 알콜이며, 메탄올 및 프로필렌 글리콜 에테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시판되는 카복실화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카복실화 열가소성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산 작용성 필름 형성제(IV)와 결합될 수 있으며, 수성 또는 용매 분산액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들 물질은 시판되며,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전형적으로 미량(일반적으로, 약 10몰% 이하)의 카복시 작용성 단량체를 하나 이상의 반응성 단량체와 공중합시켜 생성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상에서의 측위 또는 말단 -COOH 그룹을 이탈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들은 또한 카복실산 작용기를 중합체 쇄에 융합시킴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카복실화 계는 부가 형태의 중합반응, 전형적으로 자유 라디칼 중합 반응의 결과이지만,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알키드 수지와 같은 카복실화 축합 중합체를 기본으로 할 수도 있다. 필름 형성제(IV)는 이후에 기술하는 본 방법에 따라, 열가소성 매트릭스 중합체의 혼화성을 기초로 하여 형성되는데, 여기서 매트릭스 중합체는 기재에 결합된다. 이러한 산 작용성 필름 형성제를 사용하는 경우, 이들에 존재하는 카복실산 작용기는 본 발명의 이오노머성 실란 조성물의 경우에 필요로 하는 정도로 부분적으로 중화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필름 형성제는 위에서 기술한 이오노머성 실란 커플링제의 형성과 유사한 방법으로 탄소수 6 내지 10의 유기 디아민 1몰을 화학양론적 과량, 바람직하게는 약 1.1 내지 1.5몰의 본 발명의 디카복실산(II)과 반응시키고, 생성된, 과량의 카복실산 작용기를 본 발명의 이온성 화합물(III)로 부분적으로 중화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유기 암산의 금속염이다.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9몰을 이소프탈산 1.0몰 및 아연 아세테이트 0.02몰과 혼합한 다음,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켜 1,000g의 용액을 수득한다. 이 용액은 실온에서 저장하는 동안 안정을 유지한다. 이 용액을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킨 다음 약 175℃에서 약 15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용액을 헥사메틸렌디아민 0.9몰과 아디프산 1.0몰 및 아연 아세테이터 0.02몰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 올리고머성 폴리아미드 필름 형성제와 각종 비율로 추가로 유리하게 혼합한다. 다시, 이러한 필름 형성제를 수용액으로서 제조하고 위의 바람직한 이오노머성 실란 용액과 용이하게 혼합한다. 이 용액 또한 실론에서 저장해도 안정하다.
본 발명은 또한 기재를 본 발명의 조성물로 처리하는 단계(a) 및 단계(a)로부터 처리된 기재에 열가소성 매트릭스 중합체를 융합시키는 단계(b)에 의해 열가소성 매트릭스 중합체를 기재에 결합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매트릭스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나일론,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올레핀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및 우레탄과 같은 열가소성-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위어세 언급한 바와 같이, 소정의 매트릭스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선택은 커플링제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산 작용성 필름 형성제(IV)의 형태를 결정하는데, 이들 두 가지 물질은 혼화 가능해야 한다(즉, 이들은 상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매트릭스 중합체가 폴리에틸렌인 경우, 필름 형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카복실화 폴리에틸렌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매트릭스 중합체가 나일론과 같은 폴리아미드인 경우, 필름 형성제는 잔류성 카복실 작용기를 갖는 올리고머성 폴리아미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서, 기재를 먼저 당해 분야에서 잘 확립된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상술한 조성물 중의 하나로 처리한다. 이오노머성 실란 커플링제는 알콜 또는 수 분산액 또는 용액으로부터 침지시키거나 분무하거나, 예를 들어 용기중에서 무기 충전제와의 텀블링(tumbling)과 같이 건식 블렌딩시키거나, 충전제와 기계적으로 혼합한 다음, 약 175℃의 공기중에서 건조시킴으로써 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오노머성 실란 커플링제를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수분산액 또는 수용액으로부터 기재의 표면 위에 침착시키고, 건조시킨 다음, 가열하여 반응시킨다.
이어서, 처리된 기재를 중합체에 유동성을 부여하기에 충분한 온도(예를 들면, 결정성 중합체의 경우에는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형성제 위에 매트릭스 중합체를 용융시킴으로써 매트릭스 중합체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원에서 목적하는 기재는 위에서 언급한 열가소성 매트릭스 중합체를 연장시키거나 보강하기 위해서 전형적으로 사용하는 충전제일 수 있다. 이들은 천연 또는 합성 무기 물질이며, 표면에 다소 많거나 적은 정도의 하이드록실 작용기를 함유하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다. 충전제의 이러한 일반적인 범주내에 있는 것으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유리 섬유, 침강 실리카, 분쇄된 석영, 규산알루미늄, 규산지르코늄, 규산칼슘, 유리 미세 비드, 운모, 석면, 점토, 유리질 에나멜 및 세라믹과 같은 규토질 물질이다. 적합한 충전제의 다른 예에는 알루미나, 탄화규소, 규소 휘스커(whisker), 금속 및 금속 산화물이 있다.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매트릭스 중합체에 분산되어 있는, 처리된 충전체 이외에, 촉매, 안료, 안정화제 및 산화방지제와 같은 다른 성분들도 전형적인 충전 중합체 조성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예를 들면, 압출 또는 사출성형에 의해 목적하는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플링제는 사출성형용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유리 섬유와 같은 보강 충전제를 처리하는데 특히 유리하다.
기재는 또한 벌크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여기서 본 발명의 커플링제는 기재의 표면을 초벌칠하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기재의 예에는 그중에서도 유리, 운모 복합체, 석면 복합체, 소성된 점토, 유리질 에나멜, 실리콘 카바이드, 알루미나 및 세라믹이 있다. 하도제로서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방법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기재의 표면은, 예를 들면, 침지, 브러슁(brushing), 분무 또는 와이핑(wiping)에 의해 커플링제로 습윤시킨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실란은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 도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방법은 약 5 내지 20중량% 농도의 수용액 또는 분산액으로 도포하는 것이다. 도포 후에, 초벌칠한 표면을 통상적으로 건조시켜 사용한 용매 또는 물을 제거한 다음 150 내지 175℃에서 베이킹하여 암산염을 수득한다. 본 발명의 초벌칠한 표면은 그 위에 융합된 매트릭스 중합체에 대해 내수성 결합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매트릭스 중합체는 산 개질된 열가소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이들 물질은 또한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위에서 기술한 매트릭스 중합체와 거의 동일한데, 여기서 최소 부분의 산 작용기는 중합체 주쇄에 공중합되거나 그래프트된다. 따라서, 성분(IV)로서 사용된 카복실화 중합체 분산액은 이러한 산 개질된 게중의 하나의 부류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이들은 또한 벌크 중합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산 개질된 중합체는 이오노머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합체의 이온 함량은 본 발명의 성분(II)의 산 작용기에 대한 적합한 중화도를 결정하는 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미량(예를 들면, 약 1 내지 10 중량%)의 산 개질된 중합체를 혼화가능한 개질되지 않은 매트릭스 중합체와 혼합할 수 있다는 사실이 또한 고려된다.
매트릭시 중합체를 산 개질된 중합체, 산 개질된 중합체와 개질되지 않은 중합체와의 혼합물 또는 이오노머성 중합체로부터 선택하면, 본 발명의 산 작용성 필름 형성제에 대한 필요성이 감소되거나 완전하게 제거된다는 사실도 또한 밝혀졌다. 어쨌든, 위에서 언급한 부분 중화의 원리를 다시 적용한다.
하기 실시예는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되었으며 특허청구된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물질은 다음과 같다:
필수적으로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아민 작용성 실란인,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Dow Corning Corp.)의 Z-6020.
카복실화 폴리에틸렌으로서 기술된, 일리노이주 롤링 메도우 소재의 켐플렉스 캄파니(Chemplex Co.)의 PLEXAR-6.
폴리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수성 유액으로서 기술된,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케미칼 캄파니(Down Chemical Co.)의 PRIMACOR 4983.
용융지수가 20이고 아크릴산 함량이 9.7몰%인 산 개질된 폴리에틸렌으로서 기술된, 미시간주 미들랜드 수재의 다우 케미칼의 PRIMACOR 3960.
저분자량의 이오노머로서 기술된, 뉴 저어지주 모리스타운 소재의 얼라이드 시그날 인코포레이티드(Allied Signal, Inc.)의 ACLYN 295.
필수적으로 올레산의 이량체로 이루어진 디카복실산으로서 기술된, 오하이오주 신시네티 소재의 에머리 인더스트리즈(Emery Industries)의 EMPOL 1024.
N-β(N-비닐벤질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모오하이드로겐 클로라디드의 메탄올 속의 40중량% 용액인,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의 Z-6032.
산 개질된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로서 기술된,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케미칼 캄파니의 DL 638A.
카복실산 개질된 우레탄 라텍스로서 기술된, 뉴욕주 힉스빌 소재의 루코 폴리머 코포레이션(Ruco Polymor Corp.)의 RUCOTHANE.
언급된 몰량의 각종 성분들을 혼합하고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켜 본 발명의 하도제 분산액을 제조한다.
종이 티슈로 닦아냄으로써 예비세척된 유리 현미경 슬라이드에 하도제 분산액을 도포한 다음 피복물을 언급된 온도에서 건조시키고 베이킹한다. 면도날을 사용하여 유리 슬라이드로부터 필름을 집어올리거나 박리시킨으로써 유리 표면에 대한 산 개질된 중합체의 초기 접착력을 측정한다. 이어서, 슬라이드를 실온에서 물에 함침시키고 다음과 같은 평가 계획을 사용하여 초벌칠한 유리에 대한 중합체의 접착력을 모니터링한다:
Figure kpo00006
실패시기는 접착평가가 우수함 이하로 떨어지거나 완전하게 박리되는 시점으로서 정의된다.
[실시예 1 내지 3]
Z-6020 1몰, 이소프탈산 1.1몰 및 과량의 카복실산 작용기의 40%를 중화시키기에 충분한 아연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하도제 조성물(SILANE A)을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현미경 슬라이드에 물로부터 도포한다. 피복물을 건조시킨후, PRIMACOR 3960의 얇은 필름(약 10mil 두께)을 200℃에서 압착시켜 초벌칠한 슬라이드 표면에 융합시킨다(실시예 2).
유사한 방법으로, 초벌칠한 슬라이드를 PRIMACOR 3960 5중량%와 혼합된 폴리에틸렌 조성물과 융합시킨다(실시예 3).
슬라이드를 초벌칠하지 않은 (비교)실시예 1을 또한 PRIMACOR 3960과 융합시키고 대조용으로서 제공한다. 위에서 기술한 시험방법에 따른 접착결과를 [표 1]에 기록하였다.
Figure kpo00007
[실시예 4 및 5]
위의 하도제 조성물(SILANE A)을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리 슬라이드에 도포한다. 이를 건조시킨 후에 산 작용성 유액, PRIMACOR 4983을 초벌칠한 표면에 피복하고 혼합물을 175℃에서 약 15분 동안 베이킹한다(실시예 5).
(비교) 실시예 4는 상기와 유사하게 제조되는데, 단 슬라이드는 초벌칠하지 않는다. 접착 시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8
[실시예 6 내지 8]
실시예 2에서 사용한 하도제 조성물 용액 1몰을 동량의 PRIMACOR 4983 유액(즉, 필름 형성제)과 혼합하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리 슬라이드에 도포한다. 피복물을 100℃에서 15분 동안 건조시키고,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얇은 필름을 250℃하에 슬라이드에 융합시킨다(실시예 8). 접착 시험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6은 하도제 또는 PRIMACOR 4983을 사용하지 않고 폴리에틸렌에 융합시킨 대조용 슬라이드를 나타낸다.
(비교) 실시예 7은 SILANE A로 초벌칠하지 않고 PRIMACOR 4983 유액으로 피복한 대조용 슬라이드를 나타낸다.
Figure kpo00009
[실시예 9 내지 18]
이소프탈산 0.1몰을 Z-6020 0.09몰과 혼합하고 물로 희석시켜 용액(SILANE B) 100g을 제조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아디프산 0.1몰과 헥사메틸렌디아민 0.09몰을 물에 희석시켜 용액(OLIGOMER A) 100g을 제조한다.
동량의 이들 두 가지 용액을 혼합하고 각종 금속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부분적으로 중화시켜 하도제 조성물을 형성시킨다. 이들 하도제를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에 도포하고, 175℃에서 15분 동안 베이킹한다. 나일론 6,6의 얇은 필름을 250℃에서 초벌칠한 표면에 융합시킨다. 필름의 초기 접착력은 모든 경우에 우수하다. 이어서, 슬라이드를 95℃의 물에 침지시키고,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력 보유도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평가한다. [표 4]에서, 각각의 샘플에 사용된 금속 아세테이트의 양은 하도제 조성물 중에서 중화된 과량의 카복실산 작용기의 %로서 제공된다.
Figure kpo00010
표 4로부터, 아연 이온을 상요한 100% 중화는 우수한 반면, 나트륨 이온을 사용한 10% 중화 및 마그네슘을 이용한 60% 중화는 나일론 6,6 중합체에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일정한 실험을 통한 중합체와 이오노머성 실란 커플링제의 각각의 조합의 최적화에 대한 필요성을 설명한다.
[실시예 19 내지 22]
실시예 9 내지 18의 방법에 따라 하도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시험하는데, 여기서 상이한 산들은 표 5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Z-6020과의 혼합물 속에서 이소프탈산에 대하여 치환된다. 이들 하도제 중에서, 과량의 카복실산 작용기의 40%는 아연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중화시킨다.
Figure kpo00011
[실시예 23 내지 33]
실시예 9 내지 18의 방법에 따라 제조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1중량% 수용액에 천을 침지시키고 175℃에서 15분 동안 건조시킴으로써 유리 천을 처리하는데 사용한다. 6개의 초벌칠한 유리 천을 250℃에서 나일론 6,6의 7개의 다른 층과 융합시켜 1/4in의 두꺼운 섬유 유리 적층물을 형성시킨다.
생성된 적층물을 1/2in의 넓은 조각으로 절단하고 굴곡강도에 대하여 시험하고, 비등수에 2시간동안 침지시킨 후 건조시킨다. [표 6]에 본 발명의 실란만을 사용한 경우는 물론, 동량의 필름 형성제 OLIGOMER A를 사용한 시스템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표 6]에서, SILANE C는 이소프탈산을 아디프산으로 대체한 경우 SILANE B와 동일하다.
Figure kpo00012
[실시예 34 내지 36]
Z-6020 1몰, 이소프탈산 1.1몰 및 과량의 카복실산 작용기의 50%를 중화시키기에 충분한 아연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하도제 조성물(SILANE D)을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물로부터 현미경 슬라이드에 도포한다. 피복물을 건조시킨 후, ACLYN 295의 얇은 필름을 155℃에서 압착시킴으로써 초벌칠한 슬라이드 표면 위에서 융합시킨다(실시예 36).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비교) 실시예 35를 제조하고 이오노머 필름과 융합시키는데, 여기서 하도제의 Z-6020과 이소프탈산은 함께 중화되지 않는다. 또한, (비교) 실시예 34에서, 이오노머 필름을 초벌질하지 않는 슬라이드에 융합시킨다.
슬라이드를 실온수에 2시간 침지시킨 후, 이오노머 필름의 접착력을 측정하고, 결과를 [표 7]에 기록한다.
Figure kpo00013

Claims (7)

  1. 다음 일반식의 아민 작용성 실란(I), 아민 작용성 실란(I)의 반응성 수소원자 1당량당 약 1.1 내지 1.5당량의 양으로 존재함으로써 화학양론적 과량의 카복실산 작용기를 제공하는 C4내지 C36의 유기 디카복실산(II) 및 1가 및 2가 금속 이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양이온을 포함하며 몰 당량 기준으로 과량의 카복실산 작용기의 약 10% 내지 80%를 중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이온성 화합물(III)을 반응시켜 제조한 이오노머성 실란 커플링제.
    Figure kpo00014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라디칼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이고,
    R'는 탄소수 2 내지 4의 2가 탄화수소 라디칼이며,
    R는 탄소수 3 내지 6의 2가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R
    Figure kpo00015
    는 메틸, 에틸 및 프로필 라디칼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이며,
    n은 0, 1 또는 2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카복실화 열가소성 중합체 및 카복실화 열가소성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산 작용성 필름 형성제(IV)를 추가로 포함하는 커플링제.
  3. 제1항에 있어서, 탄소소 6 내지 10의 유기 디아민, 화학양론적 과량의 탄소수 4 내지 36의 디카복실산 및 1가 및 2가 금속 이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양이온을 포함하며 몰 당량 기준으로 과량의 카복실산 작용기의 약 10% 내지 80%를 중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이온성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한 필름 형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커플링제.
  4. 다음 일반식의 아민 작용성 실란(I), 아민 작용성 실란(I)의 반응성 수소원자 1당량당 약 1.1 내지 1.5당량의 양으로 존재함으로써 화학양론적 과량의 카복실산 작용기를 제공하는 C4 내지 C36의 유기 디카복실산(II) 및 1가 및 2가 금속 이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양이온을 포함하며 몰 당량 기준으로 과량의 카복실산 작용기의 약 10% 내지 80%를 중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이온성 화합물(III)을 반응시켜 제조한 이오노머성 실란 커플링제로 기재를 처리하는 단계(a) 및 단계(a)의 결과로 처리된 기재에 개질되지 않은 열가소성 중합체, 개질되지 않은 열가소성 공중합체, 산 개질된 열가소성 중합체, 산 개질된 열가소성 공중합체 및 이오노머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매트릭시 중합체를 융합시키는 단계(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여, 열가소성 매트릭스 중합체를 기재에 결합시키는 방법.
    Figure kpo00016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라이칼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이고,
    R'는 탄소수 2 내지 4의 2가 탄화수소 라디칼이며,
    R는 탄소수 3 내지 6의 2가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R
    Figure kpo00017
    는 메틸, 에틸 및 프로필 라디칼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이며,
    n은 0, 1 또는 2이다.
  5. 제4항에 있어서, 이오노머성 실란 커플링제가 카복실화 열가소성 중합체 및 카복실화 열가소성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산 작용성 필름 형성제(IV)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이오노머성 실란 커플링제가 탄소수 6 내지 10의 유기 디아민, 화학양론적 과량의 탄소수 4 내지 36의 디카복실산 및 1가 및 2가 금속 이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양이온을 포함하며 몰 당량 기준으로 과량의 카복실산 작용기의 약 10% 내지 80%를 중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이온성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한 필름 형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다음 일반식의 아민 작용성 실란(I), 아민 작용성 실란(I)의 반응성 수소원자 1당량당 약 1.1 내지 1.5당량의 양으로 존재함으로써 화학양론적 과량의 카복실산 작용기를 제공하는 C4내지 C36의 유기 디카복실산(II) 및 1가 및 2가 금속 이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양이온을 포함하며 몰 당량 기준으로 과량의 카복실산 작용기의 약 10% 내지 80%를 중화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이온성 화합물(III)을 반응시켜 제조한 이오노머성 실란 커플링제로 기재를 처리하는 단계(a) 및 개질되지 않은 열가소성 중합체, 개질되지 않은 열가소성 공중합체, 산 개질된 열가소성 중합체, 산 개질된 열가소성 공중합체 및 이오노머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열가소성 매트릭스 중합체를 단계(a)의 결과로 처리된 기재에 융합시키는 단계(b)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한 강화된 열가소성 매트릭스 중합체.
    Figure kpo00018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라디칼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이고,
    R'는 탄소수 2 내지 4의 2가 탄화수소 라디칼이며,
    R는 탄소수 3 내지 6의 2가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R
    Figure kpo00019
    는 메틸, 에틸 및 프로필 라디칼로부터 선택된 라디칼이며,
    n은 0, 1 또는 2이다.
KR1019890007573A 1988-06-03 1989-06-02 이오노머성 실란 커플링제 및 이의 용도 KR01457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4 1988-06-03
US07/202,164 US4871788A (en) 1988-06-03 1988-06-03 Inomeric coupling agents based on amic acid-functional silanes
US202,164 1988-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371A KR900000371A (ko) 1990-01-30
KR0145720B1 true KR0145720B1 (ko) 1998-08-17

Family

ID=22748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573A KR0145720B1 (ko) 1988-06-03 1989-06-02 이오노머성 실란 커플링제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71788A (ko)
EP (1) EP0344959B1 (ko)
JP (1) JPH075612B2 (ko)
KR (1) KR0145720B1 (ko)
CA (1) CA1334205C (ko)
DE (1) DE6891450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5992A (en) * 1990-01-18 1992-08-04 Ppg Industries, Inc. Amide-amine silane resin
US5178675A (en) * 1991-03-22 1993-01-12 Lord Corporation Alkoxy silane adhesive compositions
TW428018B (en) * 1995-06-29 2001-04-01 Ciba Sc Holding Ag Aminosilane salts and silanamides of carboxylic acids as corrosion inhibitors
US5929159A (en) * 1996-10-25 1999-07-27 Adsil Lc Oligomeric silicon coating compositions, articles coated therewith and method for forming coating composition and coated articles based thereon
US6451382B2 (en) 2000-02-08 2002-09-17 John B. Schutt Method for improving heat efficiency using silane coatings and coated articles produced thereby
NZ520879A (en) * 2000-02-28 2004-08-27 Adsil Lc Silane-based, coating compositions, coated articles obtained therefrom and methods of using same
US7547579B1 (en) * 2000-04-06 2009-06-16 Micron Technology, Inc. Underfill process
KR100485632B1 (ko) * 2001-12-31 2005-04-27 한국조폐공사 이색성을 갖는 착색 진주안료 및 이의 제조방법
EP2487201A4 (en) * 2009-10-09 2013-04-17 Mitsui Du Pont Polychemical IONOMER COMPOSITION, MOLDED BODY,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50A (en) * 1861-05-07 Churn
US3179612A (en) * 1962-02-02 1965-04-20 Dow Corning alpha, beta-unsaturated carboxylicester-substituted organosilicon compounds
US3258477A (en) * 1963-07-19 1966-06-28 Dow Corning Acryloxyalkylsilanes and compositions thereof
NL130863C (ko) * 1964-04-27
US3819675A (en) * 1969-05-15 1974-06-25 Dow Corning Cationic unsaturated amine-functional silane coupling agents
US3734763A (en) * 1969-05-15 1973-05-22 Dow Corning Cationic unsaturated amine-functional silane coupling agents
US3630827A (en) * 1970-08-05 1971-12-28 Dow Corning Laminated article comprising a polyolefin and a siliceous material coated with a silane and a chlorinated organic compound
US3955036A (en) * 1972-01-10 1976-05-04 Dow Corning Corporation Primer compositions
US3981851A (en) * 1972-01-10 1976-09-21 Dow Corning Corporation Primer compositions
JPS528854B2 (ko) * 1972-01-13 1977-03-11
US3816235A (en) * 1972-08-18 1974-06-11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Glass fiber size composition
US3884886A (en) * 1973-01-15 1975-05-20 Dow Corning Cationic unsaturated amine-functional silane coupling agents
US4001154A (en) * 1973-09-04 1977-01-04 The Dow Chemical Company Primer adhesive composition
US3956353A (en) * 1974-07-15 1976-05-11 Dow Corning Corporation Anionic coupling agents
CH630089A5 (de) * 1977-09-09 1982-05-28 Ciba Geigy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iliciummodifizierten imidyl-phthalsaeurederivaten.
US4413085A (en) * 1978-08-21 1983-11-01 Ppg Industries, Inc. Storage stable polyolefin compatible non-crosslinking size for fiber glass strands
FR2476666A1 (fr) * 1980-02-25 1981-08-28 Rhone Poulenc Ind Nouveau procede de couplage entre un elastomere et une charge notamment a base d'un compose de la silice
USRE32250E (en) 1981-03-30 1986-09-23 Dow Corning Corporation Stabilization of silicates using salts of substituted nitrogen or sulfur containing siliconates
CH660744A5 (de) * 1982-11-05 1987-06-15 Invent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hochviskoser bzw. thermisch formstabiler, mindestens teilvernetzter polyamide.
US4548842A (en) * 1983-12-20 1985-10-22 Union Carbide Corporation Fatty ethenoid acylaminoorganosilicon compounds and their use in compositions for coating glass
CA1259312A (en) * 1985-11-11 1989-09-12 Jaroslav Kahovec Silane reagents containing a complexion grouping and inorganic material modified with these reagents
US4690959A (en) * 1986-05-09 1987-09-01 Dow Corning Corporation Polyethylene composite comprising a coupling agent composition comprising fumaric acid and an aminosilane
US4718944A (en) * 1986-10-07 1988-01-12 Dow Corning Corporation Coupling agent compositions
US4863978A (en) * 1988-06-03 1989-09-05 Dow Corning Corporation Ionomeric silane coupling a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71788A (en) 1989-10-03
EP0344959B1 (en) 1994-04-13
JPH075612B2 (ja) 1995-01-25
EP0344959A2 (en) 1989-12-06
DE68914505D1 (de) 1994-05-19
JPH0220570A (ja) 1990-01-24
DE68914505T2 (de) 1994-11-10
KR900000371A (ko) 1990-01-30
EP0344959A3 (en) 1990-10-03
CA1334205C (en) 1995-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8277A (en) Hydrolyzable silicone polymers
US4231910A (en) Primer composition
KR0145720B1 (ko) 이오노머성 실란 커플링제 및 이의 용도
US20080096027A1 (en) Tough and strongly-adherent anti-icing coatings
EP0264022B1 (en) Coupling agent compositions for adhering thermoplastic resins to inorganic substrates
JPS6111983B2 (ko)
US4800125A (en) Coupling agent compositions
US4053682A (en) Process for improving the adhesion of hot melts to metal substrates
US3642693A (en) Methods for preparing organopolysiloxanes using group ii-a metal hydrolysis catalysts
JPS60156755A (ja) カルボキシ官能シリコーン硬化性素材
WO2001058909A1 (en) Phenylethynyl-containing imide silanes
JPH09509978A (ja) ポリアミド熱溶融型接着剤
US4863978A (en) Ionomeric silane coupling agents
US5001011A (en) Ionomeric silane coupling agents
US5002831A (en) Ionomeric coupling agents based on amic acid-functional silanes
US4282346A (en) Preparation of copolyamide from dicarboxylic acid mixture, piperazine and polyoxyalkylene diamine
US4219460A (en) Block copolymer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US4215159A (en) Cavity filling with a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US4229567A (en) Copolyamide resins from piperazine and polyoxyalkylene diamine having improved creep resistance
US4222976A (en) Cavity filling with a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Plueddemann Composites having ionomer bonds with silanes at the interface
US4219458A (en) Block copolymer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CA1139477A (en) Block copolymer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and method of filling a cavity
EP0009951A1 (en) A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and a process for filling a cavity in a substrate with this composition
JPH0327936A (ja) 複合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