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444B1 - 변속 재생시 테이프의 속도판별회로 - Google Patents

변속 재생시 테이프의 속도판별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444B1
KR0145444B1 KR1019940028894A KR19940028894A KR0145444B1 KR 0145444 B1 KR0145444 B1 KR 0145444B1 KR 1019940028894 A KR1019940028894 A KR 1019940028894A KR 19940028894 A KR19940028894 A KR 19940028894A KR 0145444 B1 KR0145444 B1 KR 0145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speed
signal
preamplifier
low 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9184A (ko
Inventor
이용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28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5444B1/ko
Priority to US08/552,956 priority patent/US5838513A/en
Priority to CN95120369A priority patent/CN1118806C/zh
Publication of KR960019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4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 G11B15/1875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adaptations for special effects 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8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recorde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6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tape while the head is rot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52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by using signals recorded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개시된 변속 재생시 테이프의 속도 판별 회로를 갖는 영상기기는 테이프의 속도인 SP(Standard Play)와 LP(Long Play)에 따라서 펄스 폭이 다른 드롭 아웃 펄스(Drop Out Pulse)를 비교기의 기준 전압과 비교함으로써, 비교기의 출력값에 따라서 변속 재생시 테이프의 기록 속도가 SP인지 LP인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헤드에 의해 테이프로부터 읽혀진 신호가 프리 앰프를 통해 소정의 크기까지 증폭된 후 제 1저역통과필터에서 필터링되고 재 증폭되어 재생시 ATF(AUTO TRACK FINDING)를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로 이용되는 영상기기에 있어서, 상기 프리 앰프에서 출력되는 SP와 LP로 기록된 테이프에 따라 펄스 폭이 서로 다른 드롭 아웃 펄스로 테이프의 속도를 판별하는 테이프 속도 판별 회로부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SP와 LP에 따라서 펄스 폭이 다른 드롭 아웃 펄스를 이용하여 테이프의 속도가 SP인지 LP인지의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정확하게 테이프의 속도를 판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롭 아웃 펄스를 이용함으로써 테이프 속도를 판별하기 위한 회로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변속 재생시 테이프의 속도 판별 회로를 갖는 영상기기
본 발명은 변속 재생시 테이프의 속도 판별 회로를 갖는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프의 속도인 SP(Standard Play)와 LP(Long Play)에 따라서 펄스 폭이 다른 드롭 아웃 펄스(Drop Out Pulse)를 비교기의 기준 전압과 비교함으로써, 비교기의 출력값에 따라서 변속 재생시 테이프의 기록 속도가 SP인지 LP인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 변속 재생시 테이프의 속도 판별 회로를 갖는 영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캠코더 및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 등의 영상기기에서는 SP와 LP등으로 기록된 테이프의 속도를 판별하기 위해 재생시에는 ATF(Auto Track Finding)신호를 이용하고, 변속 재생시에는 엔벨로프의 이득을 이용하여 판단하고 있다.
종래의 변속 재생시 테이프의 속도 판별 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도2및 도3은 테이프 속도 판별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먼저, SP로 기록된 테이프의 변속 재생에 따른 과정을 살펴본다.
테이프에 기록된 신호는 헤드에 의해 도 2a와 같이 읽혀진다. 즉, 헤드는 여러 트랙(TRACK)을 거치게 된다. 따라서, 채널 1에서 읽은 신호는 프리 앰프(10)에서 증폭되고, 이를 파형으로 나타내면 도 2b와 같은 엔벨로프 파형이다.
증폭된 신호인 엔벨로프는 제 1저역통과필터(20)에서 필터링된다. 여기서 헤드의 트레이스(Trace)위치를 검출하여 트래킹(Tracking)을 행하도록 하기 위한 ATF(Auto Track Finding)신호는 100 - 200㎑ 대역에 위치하므로 이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서 제 1저역통과필터(20)를 사용한다.
전술한 제 1저역통과필터(20)의 출력신호는 앰프(30)에 의해 다시 증폭되어 ATF를 수행한다. 또한, 전술한 앰프(30)의 출력신호는 테이프의 속도 판별 회로부(40)에 의해 SP인지 LP인지 판별된다.
전술한 테이프의 속도 판별 회로부(40)는 DC변환기(41)와 제 2저역통과필터(43)와 비교기(45)로 구성된다. 전술한 DC변환기(41)에서는 전술한 앰프(30)에서 출력된 신호를 평활하여 제 2저역통과필터(43)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면 도 2c의 a와 같은 파형이 출력된다.
제 2저역통과필터(43)의 값을 비교기(45)의 기준 전압(도 2c의 b참조)와 비교하면 SP의 경우는 기준 전압보다 낮으므로 비교기(45)는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현재 테이프는 SP로 기록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음, 테이프가 LP로 기록된 경우를 보면, 도 2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LP로 기록된 테이프는 SP로 기록된 테이프의 패턴과는 다르다. 즉, 트랙의 폭이 SP의 1/2배이다. 헤드 폭은 일정하므로 LP로 기록된 테이프를 변속 재생시 채널 1에서 읽은 신호는 도 3b와 같은 엔벨로프 파형으로 나타난다.
도 3b의 파형을 DC변환기(41)에서 평활하여 제 2저역통과필터(43)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면, 제 2저역통과필터(43)의 출력은 도3c의 a와 같이 비교기(45)의 기준 전압(도 3c의 b참조)보다 높은 전압이므로 비교기(45)는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테이프가 LP로 기록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것과 같이 테이프의 속도를 판별하는데 있어서 엔벨로프 파형을 이용하여 SP/LP를 판별하는 방법은 테이프의 상태 및 종류에 따른 엔벨로프의 이득이 변화하였을 때 SP/LP판단에 혼란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뿐만아니라 SP/LP를 판별하기 위한 테이프 속도 판별회로인 DC변환기, 저역통과필터 및 비교기를 추가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부품비 상승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SP와 LP에 따라서 펄스 폭이 다른 드롭 아웃 펄스를 비교기의 기존 전압과 비교하고, 비교기의 출력 값으로 SP인지 LP인지 판별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하게 테이프의 속도를 판별할 수 있고 드롭 아웃 펄스를 사용함으로써 회로를 간소화할 수 있는 변속 재생시 테이프의 속도 판별 회로를 갖는 영상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 재생시 테이프 속도 판별 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의한 SP로 기록된 테이프의 속도 판별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a는 테이프 속도의 테이프 패턴과 헤드의 궤적을 나타낸 도면,
도 2b는 프리 앰프에서 출력되는 엔벨로프 파형도,
도 2c는 비교기의 입력신호를 나타낸 파형도,
도 3은 도 1에 의한 LP로 기록된 테이프의 속도 판별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a는 테이프 속도의 테이프 패턴과 헤드의 궤적을 나타낸 도면,
도 3b는 프리 앰프에서 출력되는 엔벨로프 파형도,
도 3c는 비교기의 입력신호를 나타낸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재생시 테이프의 속도 판별 회로를 갖는 영상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SP로 기록된 테이프의 변속 재생시 테이프의 속도를 판별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a는 테이프의 속도의 패턴과 혜드의 궤적을 나타낸 도면,
도 5b는 프리 앰프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엔벨로프 파형도,
도 5c는 드롭 아웃 펄스를 나타낸 파형도,
도 5d는 제 3저역통과필터의 출력 신호를 나타낸 파형도,
도 5e는 비교기의 출력 값을 나타낸 파형도,
도 6은 LP로 기록된 테이프의 변속 재생시 테이프의 속도를 판별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
도 6a는 테이프의 속도의 패턴과 헤드의 궤적을 나타낸 도면,
도 6b는 프리 앰프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엔벨로프 파형도,
도 6c는 도 6b의 엔벨로프를 SP의 신호와 같은 시간 축으로 이동시킨 엔벨로프 파형도,
도 6d는 드롭 아웃 펄스를 나타낸 파형도,
도 6e는 제 3저역통과필터의 출력신호를 나타낸 파형도,
도 6f는 비교기의 출력 값을 나타낸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프리 앰프 20:제 1저역통과필터
30:앰프 50:테이프 속도 판별 회로부
51:제3저역통과필터 53:비교기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재생시 테이프의 속도 판별 회로를 갖는 영상기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헤드에 의해 테이프로부터 읽혀진 신호가 프리 앰프를 통해 소정의 크기까지 증폭된 후 제 1저역통과필터에서 필터링되고 재 증폭되어 재생시 ATF(AUTO TRACK FINDING)를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로 이용되는 영상기기에 있어서, 프리 앰프에서 출력되는 SP와 LP로 기록된 테이프에 따라 펄스 폭이 서로 다른 드롭 아웃 펄스로 테이프의 속도를 판별하는 테이프 속도 판별 회로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드롭 아웃 펄스에 대해서 설명하면, 헤드가 테이프로부터 읽어낸 신호에서 엔벨로프가 검출되지 않는 부에 발생하는 펄스이다. 대체로 FM AGC(Frequency Modulation- Auto Gain Controller)를 사용하여 테이프의 화질이나 보관상태에 따른 인벨로프의 향이 일정하게 될 수 있도록 하므로 드롭 아웃 펄스를 정확하게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드롭 아웃 펄스는 SP, LP에 따라서,펄스폭이 다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재생시 테이프의 속도 판별 회로를 갖는 영상기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가 테이프로부터 읽어낸 신호를 소정의 크기까지 증폭하는 프리 앰프(10)에는 프리 앰프(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필터링하는 제 1저역통과필터(2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저역통과필터(20)에는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여 재생시 ATF를 수행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앰프(30)가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프리 앰프(10)에는 프리 앰프(10)에서 출력되는 드롭 아웃 펄스를 이용하여 테이프의 속도를 판별하는 테이프 속도 판별 회로부(50)가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테이프 속도 판별 회로부(50)는 프리 앰프(10)에서 출력되는 드롭 아웃 펄스를 필터링하여 DC레벨로 변환시키는 제 3저역통과필터(51)와, 상기 제 3저역통과필터(51)의 출력신호와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SP인지 LP인지 판별할 수 있는 비교기(53)로 구성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프리 앰프(10)에서 출력되는 드릅 아웃 펄스대신에 헤드에 의해 재생되는 신호의 휘도 및 색신호를 처리하는 휘도/색신호 처리부(60)로부터 검출된 드롭 아웃 펄스를 테이프 속도 판별 회로부(50)의 제 3저역통과필터(51)로 입력되도록 하여 테이프의 속도를 판별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재생시 테이프의 속도 판별 회로를 갖는 영상기기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a는 변속 재생시 SP로 기록된 테이브의 트랙을 헤드가 읽는(TRACE)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채널 1(CH1)에 의해 읽혀진 신호의 엔벨로프이며, 도 5c는 전술한 도 5b의 엔벨로프가 픽업되지 않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신호로서 이를 드롭 아웃 펄스라고 한다.
도6은 LP로 기록된 경우로서, 도6a, 도6b, 도6c는 도5a, 도5b, 도5c의 경우와 같다.
그리고, SP와 LP로 기록된 테이프에 따라서 드롭 아웃 펄스의 폭이 다른 이유를 설명한다.
테이프 속도의 테이프 패턴은 도 5a와 도 6a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의 폭이 LP는 SP의 1/2배이다. 변속 재생시 헤드의 궤적은 도 5a와 도 6a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트랙을 가로 지르게 된다. 이때, 헤드의 폭은 일정하고, SP와 LP의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 폭은 서로 다르므로 채널 1(CH1)에 의해 읽혀진 혜드의 출력 신호는 도 5b와 도 6b와 같은 엔벨로프 파형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도 6b의 파형을 SP의 엔벨로프와 같은 시간 축상으로 이동하면 도 6c와 같다.
SP로 기록된 테이프와 LP로 기록된 테이프의 트랙 폭은 다르고, 동일한 헤드로 읽으므로 도 5b와 도 6c는 펄스가 픽업되지 않는 부분의 폭이 다르다. 드롭 아웃 펄스는 엔벨로프이 픽업되지 않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신호이므로 SP의 경우에는 드롭 아웃 펄스의 폭이 넓고, LP의 경우에는 드롭 아웃 펄스의 폭이 좁다.
전술한 드롭 아웃 펄스의 설명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테이프가 SP로 기록된 경우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변속 재생시 프리 앰프(10)에 의해 약 60dB정도 증폭된 신호는 도 5b와 같다. 그리고, 도 5b의 파형에서 엔벨로프이 픽업되지 않은 부분에서 발생하는 드롭 아웃 펄스 도 5c와 같다. 프리 앰프(10)에서 출력되는 드롭 아웃 펄스는 제 3저역통과필터(51)를 통과하면 도 5d의 a와 같다. 따라서, 비교기(53)의 기준 전압(도 5d의 b)보다 크므로 비교기(53)는 하이신호를 출력한다(도 5c참조).
다음, 테이프가 LP로 기록된 경우에 도 4와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LP로 기록된 테이프의 변속 재생시 프기 앰프(10)의 출력 신호는 도 6b와 같고, 도 6b를 SP의 엔벨로프과 같은 시간축상으로 이동시키면 도 6c와 같다. 도 6c의 파형에서 엔벨로프가 픽업되지 않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드롭 아웃 펄스는 도 6d와 같이 SP의 경우보다 펄스 폭이 좁다.
따라서, 제 3저역통과필터(51)를 통과하면 도 6c의 a와 같고, 이 값은 비교기(53)의 기준 전압(도 6e의 b참조)보다 작으므로 비교기(53)는 로우신호를 출력한다(도 6f참조). 이로써, 테이프의 속도가 SP인지 LP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SP와 LP에 따라서 펄스 폭이 다른 드롭 아웃 펄스를 이용하여 테이프의 속도가 SP인지 LP인지의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정확하게 테이프의 속도를 판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롭 아웃 펄스를 이용함으로써 테이프 속도를 판별하기 위한 회로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헤드에 의해 테이프로부터 읽혀진 신호가 프리 앰프를 통해 소정의 크기까지 증폭된 후 제 1저역통과필러에서 필터링되고 재 증폭되어 재생시 트랙을 자동으로 검색하는 데 이용되는 영상기기에 있어서, 상기 프리 앰프에서 출력되는 SP와 LP로 기록된 테이프에 따라 펄스 폭이 서로 다른 드롭 아웃 펄스로 테이프의 속도를 판별하는 테이프 속도 판별 회로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변속시 테이프 속도 판별 회로를 갖는 영상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앰프에서 출력되는 드롭 아웃 펄스 대신에 헤드에 의해 재생되는 신호의 휘도 및 색신호를 처리하는 휘도/색신호 처리 부로부터 검출되어 테이스 속도 판별 회로부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변속시 테이프 속도 판별 회로를 갖는 영상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속도 판별 회로부는; 상기 프리 앰프에서 출력되는 드롭 아웃 펄스를 필터링하여 DC레벨로 변환시키는 제 3저역통과필터; 상기 제 3저역통과필터의 출력신호인 드롭 아웃 펄스와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SP인지 LP인지 판별할 수 있는 비교기로 구성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 재생시 테이프 속도 판별 회로를 갖는 영상기기.
KR1019940028894A 1994-11-04 1994-11-04 변속 재생시 테이프의 속도판별회로 KR0145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8894A KR0145444B1 (ko) 1994-11-04 1994-11-04 변속 재생시 테이프의 속도판별회로
US08/552,956 US5838513A (en) 1994-11-04 1995-11-03 Circuit for discriminating the tape speed in speed-change playback mode
CN95120369A CN1118806C (zh) 1994-11-04 1995-11-03 识别变速放像方式中磁带速度的电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8894A KR0145444B1 (ko) 1994-11-04 1994-11-04 변속 재생시 테이프의 속도판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184A KR960019184A (ko) 1996-06-17
KR0145444B1 true KR0145444B1 (ko) 1998-07-15

Family

ID=19397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8894A KR0145444B1 (ko) 1994-11-04 1994-11-04 변속 재생시 테이프의 속도판별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38513A (ko)
KR (1) KR0145444B1 (ko)
CN (1) CN111880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9264B2 (ja) * 1997-11-07 2006-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再生装置
WO2001098873A2 (en) * 2000-06-20 2001-12-27 Steven James Joseph Koskins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data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3284A (en) * 1974-12-25 1977-12-13 Sony Corporation Time base corrector
US4306255A (en) * 1978-06-22 1981-12-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gnetic record/playback system of rotating head type
JPS61206953A (ja) * 1985-03-08 1986-09-13 Sharp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に於ける記録速度判別方法及びその装置
US4769720A (en) * 1985-09-21 1988-09-06 Robert Bosch Gmbh Processor for video signals obtained from an information carrier such as a magnetic tape
US5225749A (en) * 1990-09-26 1993-07-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ystem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 of a rotary member
US5384642A (en) * 1991-02-02 1995-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cking and picture quality in a VTR
KR100207621B1 (ko) * 1993-11-30 1999-07-15 윤종용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스큐보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269A (zh) 1997-01-01
US5838513A (en) 1998-11-17
CN1118806C (zh) 2003-08-20
KR960019184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3262A (en) Audio signal muting circuit for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S629552A (ja) 信号再生装置
JP2690933B2 (ja) 信号判別装置
KR0145444B1 (ko) 변속 재생시 테이프의 속도판별회로
EP0639826B1 (en) Magnetic recording device with automatic media-test function
US5585932A (en) Video index search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employing amplitude-variable tracking signals
KR950007940B1 (ko) 자동 트래킹 제어방법과 장치
US4743921A (en) Information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tracking control system
KR920020475A (ko) 신호 레코더에서의 삽입 편집을 자동으로 적절하게 실행하는 2채널 방법 및 장치
KR0126805B1 (ko) 표준/장시간모드 판별회로 및 그 방법
KR0121698Y1 (ko) 표준/장시간모드 판별신호 기록/재생장치
JP2547822B2 (ja) 情報信号再生装置
US5159504A (en) Information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KR950009777B1 (ko) 영상기록재생장치의 기록모드 검출회로
JP2940729B2 (ja) 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KR100270253B1 (ko) 비디오 테이프 재생 장치
KR950005248B1 (ko) 기록재생장치의 기록신호 판별회로
JP2692866B2 (ja) 再生装置
KR20000035435A (ko) 기록 형식 판정 장치 및 신호 재생 방법 및 장치
KR920020488A (ko) 신호 레코더에서의 삽입 편집을 자동으로 적절하게 실행하는 1채널 방법 및 장치
JP3006021U (ja) 記録モード判別装置
KR910004722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음성헤드 스위칭회로
JP3334187B2 (ja) Vtrの記録速度モード判別回路
JP3918268B2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及び映像信号記録再生方法
JP3158362B2 (ja) 再生装置の変速再生信号処理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