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3741B1 - 엔진 발전기의 시퀀스 경보 회로 - Google Patents

엔진 발전기의 시퀀스 경보 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3741B1
KR0143741B1 KR1019940029335A KR19940029335A KR0143741B1 KR 0143741 B1 KR0143741 B1 KR 0143741B1 KR 1019940029335 A KR1019940029335 A KR 1019940029335A KR 19940029335 A KR19940029335 A KR 19940029335A KR 0143741 B1 KR0143741 B1 KR 0143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relay
stop
contac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9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186A (ko
Inventor
한재천
남석렬
Original Assignee
석진철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철,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철
Priority to KR1019940029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3741B1/ko
Publication of KR960018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3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37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fluid pressure, liquid level or liquid displacement, e.g. Buchholz rel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선박용 엔진 발전기의 시퀀스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용 엔진 발전기의 시퀀스 경보 회로를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시킴으로써, 선체의 진동 및 염수로 인한 부식등으로부터 발생되는 경보 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거이다.

Description

엔진 발전기의 시퀀스 경보 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발전기의 시퀀스 경보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의 부품 배치 예시도.
제3도는 종래 엔진 발저니의 시퀀스 경보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전원 입력부 20 : 운전표시 회로부
30 : 보호 및 램프경보 회로부 40 : 엔진정지 회로부
50 : 경보 및 벨정지 회로부 60 : 엔진속도 검출부
70 : 발전기 WL : 직류전원 표시등
GL : 발전기 운전 표시등 RL1 : 압력이상 표시등
RL2 : 냉각수 과온 표시등 RL3 : 과속도 표시등
5 : 엔진 정지용 릴레이 5T : 엔진정지 타이머
5S : 엔진 정지 솔레노이드 12 : 과속도 릴레이
13T : 동기속도 감지 타이머 28 : 벨 정지용 릴레이
26WX : 냉각수 온도감지 스위치용 릴레이
63QX : 윤활유 압력감지 스위치용 릴레이
86 : 보호(경보)신호 전달용 릴레이 P+ : 제어전원 (+) 측 단자
P- : 제어전원 (-) 측 단자
SDT : 엔진속도 검출기(speed Detector)
본 발명은 선박용 엔진 발전기의 시퀀스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용 엔진 발전기의 시퀀스 경보 회로를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시킴으로써, 선체의 진동 및 염수로 인한 부식등으로부터 발생되는 경보 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엔진 발전기의 시퀀스 경보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퀀스 제어(sequence control)란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어의 동작을 차례로 행하는 것으로써, 제어의 순서와 제어시간이 기억되어 정해진 제어순서를 정해진 시간에 행하는 시한제어와, 제어의 순서만이 기억되고 시간은 검출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순서제어 및 검출결과에 따라 제어명령이 결정되는 조건제어로 분류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제어되는 시퀀스(sequence)에는 릴레이, 마그네트 등 접점을 가진 유접점 시퀀스와 다이오드, 트랜스, 집적회로 등을 이용한 무접점 시퀀스가 있다.
이러한 유접점 시퀀스로 동작되는 종해 선박용 엔진 발전기의 시퀀스 경보 회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회로에 직류전압을 인가시키는 전원 입력부(100)와 ; 상기 전원 입력부(100)로부터 인가된 전압에 의해 윤활유 압력 이상시 엔진을 보호하기 위한 엔진 보호부(200) ; 윤활유 압력 저하, 냉각수 과열, 엔진과속 등의 고장 발생시 엔진을 정지시키기 위한 엔진 정지부(300) ; 윤활유의 압력, 냉각수의 온도 및 과속도를 감지하여 이상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보 회로부(400) ; 엔진의 동기 속도를검출하기 위한 속도 검출부(500) ; 상기 전원 입력부(100)로부터 인가된 전압에 의해 엔진 구동시 이를 표시해주는 운전 표시부(600) 및 ; 엔진을 구동시키는 발전기(70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시퀀스 경보 회로는, 제어 전원인 직류 24 [V]가 전원 입력부(100)의 입력 단자(PO,NO)의 양단에 입력된 상태에서 회로 차단기(CB)를 연결시키면, 연결된 상기 회로 차단기(CB)를 통해 직류전원 표시등(WL)이 점등되고, 전체 시퀀스에 제어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전원 입력부(100)로부터 공급된 제어 전원은 속도 검출부(500)의 엔진속도 검출기(SDT)를 통하여 저속도용 릴레이(14)르르 구동시킴으로써, 엔진이 기동된 순간부터 엔진의 속도가 상기 저속도용 릴레이(14)를 통해 감지되고, 이때 상기 엔진이 저속도 이상으로 운전되면 운전 표시부(600)의 발전기 운전 표시등(GL)를 점등시켜 발전기가 운전중임을 표시 시킴과 아울러 평상시 차단 상태로 있는 A접점인 저속도용 릴레이(14) 접점을 연결시키며, 연결된 상기 저속도용 릴레이(14) 접점을 통해 엔진 보호부(200)의 저속도용 타이머(14T)를 구동시킨다.
상기 저속도용 타이머(14T)는 엔진의 동기 속도 즉, 500-600 [RPM]의 정격속도를 감지하여 상기 저속도용 타이머(14T)에 설정된 소정 시간이 지난 후, 평상시 차단 상태로 있는 A접점인 저속도용 타이머(14T) 접점이 연결되고, 연결된 상기 저속도용 타이머(14T) 접점을 통해 윤활유 압력감지용 스위치(63Q)를 연결시킴으로써 윤활유 압력감지 스위치용 릴레이(63QX) 에 직류 전유가 공급되며, 이때 엔진 윤활유의 압력이 0 이거나 규정치 이하가 되면 상기 윤활유 압력감지 스위치용 릴레이(63QX)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윤활유 압력감지 스위치용 릴레이(63QX)의 구동에 의해 평상시 차단 상태로 있는 A접점인 윤활유 압력감지 스위치용 릴레이(63QX) 접점이 연결되고, 연결된 상기 윤활유 압력감지 스위치용 릴레이(63QX) 접점을 통해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에 직류 전류가 공급되므로서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를 구동시키게 도니다.
상기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의 구동에 의해 엔진 정지부(300)의 평상시 차단 상태로 있는 A접점인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 접점이 연결되고, 연결된 상기 보신호 전달용 릴레이(86) 접점을 통해 엔진정지용 주 릴레이(5)에 직류 전류가 공급되므로서 엔진정지용 주 릴레이(5)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엔진정지용 주 릴레이(5)의 구동에 의해 엔진 정지부(300)의 평상시 차단 상태로 있는 A접점인 엔진정지용 주 릴레이(5) 접점이 연결되고, 연결된 상기 엔진정지용 주 릴레이(5) 접점을 통해 엔진정지용 타이머(5T)와 엔진 정지 솔레노이드(5S)에 직류 전류가 공급되므로서 엔진정지용 타이머(5T)를 구동시켜 엔진이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엔진정지용 타이머(5T)에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엔진 정지 솔레노이드(5T)가 동자가고 엔진정지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연결된 상기 윤활유 압력감지 스위치용 릴레이(63QX) 접점을 통해 경보 회로부(400)의 압력이상 표시등(RL1)을 점등시키게 됨과 아울러 경보 벨(BL)을 울리게 된다.
이때, 엔진정지용 타이머(5T)의 셋팅시간 후 엔진정지용 타이머(5T)의 B접점이 열리고 엔진 정지 솔레노이드(5S)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경고 벨(BL)이 울린 후, 벨 정지 누름 시위치(PB4)를 눌러 주므로서 벨 정지 릴레이(28)의 B접점은 차단되고, 상기 벨 정지 릴레이(28)의 A접점은 연결되어, 상기 벨 정지 릴레이(28)의 A접점을 통해 직류 전류가 공급되므로서 벨 정지 릴레이(28)을 구동시켜, 경고 벨(BL)을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속도 검출부(500)의 엔진속도 검출기(SDT)로 공급되는 직류 전류는, 상기 엔진속도 검출기(SDT)에 접속된 엔진 보호부(200)의 냉각수 온도 감지용 스위치(26W)를 연결시킴으로써 냉각수 온도감지 스위치용 보조릴레이(26WX)에 직류 전류가 공급되며, 이때 엔진이 과열되어 냉각수의 온도가 규정치(약 95C)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상기 냉각수 온도감지 스위치용 보조릴레이(26WX)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냉각수 온도 감지 스위치용 보조릴레이(26WX)의 구동에 의해 평상시 차단 상태로 있는 A접점인 냉각수 온도감지 스위치용 보조릴레이(26WX) 접점이 연결되고, 연결된 상기 냉각수 온도감지 스위치용 보조릴레이(26WX) 접점을 통해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에 직류 전류가 공급되므로서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의 구동에 의해 엔진 정지부(300)의 평상시 차단 상태로 있는 A접점인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 접점이 연결되고, 연결된 상기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 접점을 통해 엔진정지용 주 릴레이(5)에 직류 전류가 공급되므로서 엔진정지용 주 릴레이(5)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엔진정지용 주 릴레이(5)의 구동에 의해 엔진 정지부(300)의 평상시 차단 상태로 있는 A접점인 엔진정지용 주 릴레이(5) 접점이 연결되고, 연결된 상기 엔진정지용 주 릴레이(5) 접점을 통해 엔진정지용 타이머(5T)와 엔진 정지 솔레노이드(5S)에 직류 전류가 공급되므로서 엔진정지용 타이머(5T)를 구동시켜 엔진이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엔진정지용 타이머(5T)에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엔진 정지 솔레노이드(5S)가 동작하고 엔진정지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연결된 상기 윤활유 압력감지 스위치용 릴레이(63QX) 접점을 통해 경보 회로부(400)의 압력이상 표시등(RL1)을 점등시키게 됨과 아울러 경고 벨(BL)을 울리게 된다.
이때, 엔진정지용 타이머(5T)의 셋팅시간 후 엔진정지용 타이머(5T)의 B접점이 열리고 엔진 정지 솔레노이드(5S)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경고 벨(BL)이 울린 후, 벨 정지 누름 스위치(PB4)를 눌러 주므로서 벨 정지 릴레이(28)의 B접점은 차단되고, 상기 벨 정지 릴레이(28)의 A접점은 연결되어, 상기 벨 정지 릴레이(28)의 A접점을 통해 직류 전류가 공급되므로서 벨 정지 릴레이(28)를 구동시켜, 경고 벨(BL)을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속도 검출부(500)의 엔진속도 검출기(SDT)로 공급되는 직류전류는, 상기 엔진속도 검출기(SDT)에 접속된 엔진 보호부(200)의 과속도 릴레이(12)를 구동시키게 된고, 상기 과속도 릴레이(12)의 구동에 의해 평상시 차단 상태로 있는 A접점인 과속도 릴레이(12) 접점이 연결되며, 연결된 상기 과속도 릴레이(12) 접점을 통해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의 구동에 의해 엔진 정지부(300)의 평상시 차단 상태로 있는 A접점인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 접점이 연결되고, 연결된 상기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 접점을 통해 엔진정지용 주 릴레이(5)에 직류 전류가 공급되므로서 엔진정지용 주 릴레이(5)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엔진정지용 주 릴레이(5)의 구동에 의해 엔진 정지부(300)의 평상시 차단 상태로 있는 A접점인 엔진정지용 주 릴레이(5) 접점이 연결되고, 연결된 상기 엔진정지용 주 릴레이(5) 저점을 통해 엔진정지용 타이머(5T)와 엔진 정지 솔레노이드(5S)에 직류 전류가 공급되므로서 엔진정지용 타이머(5T)를 구동시켜 엔진이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엔진정지용 타이머(5T)에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엔진 정지 솔레노이드(5S)가 동작하고 엔진정지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연결된 상기 윤활유 압력감지 스위치용 릴레이(63QX) 접점을 통해 경보 회로부(400)의 압력이상 표시등(RL1)을 점등시키게 됨과 아울러 경고 벨(BL)을 울리게 된다.
이때, 엔진정지용 타이머(5T)의 셋팅시간 후 엔진정지용 타이머(5T)의 B접점이 열리고 엔진 정지 솔레노이드(5S)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경고 벨(BL)이 울린 후, 벨 정지 누름 스위치(PB4)를 눌러 주므로서 벨 정지 릴레이(28)의 B접점은 차단되고, 상기 벨 정지 릴레이(28)의 A접점은 연결되어, 상기 벨 정지 릴레이(28)의 A접점을 통해 직류 전류가 공급되므로서 벨 정지 릴레이(28)를 구동시켜, 경고 벨(BL)을 정지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의 시퀀스 경보 회로는, 1800 [rpm]을 기준으로 엔진 회전 속도의 저속도 기준이 600-700 [rpm] 이상인 경우는 정상적으로 동작되나, 엔진의 기종에 따라 저속도가 500-800 [rpm]에서 감지되는 kruddn 이 회전 속도에서 윤활유 압력이 거의 형성되지 않는 엔진은, 엔진이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윤활유 압력감지 스위치의 접점이 차단되지 않아, 저속도 운전이나 운전중인 엔진을 정지시 유압이상 보호회로의 오동작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강철로 되어있는 선체로 직류 (-) 전원이 접지되므로 회로에 노이즈 유입시 시퀀스의 정상 동작이 불가능 해지며, 진동과 습기의 영향으로 회로가 불안정하게 동작되고, 회로가 복잡하여 회로 설계시 설계면적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 문제점들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시퀀스 경보 회로를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시킴으로써 선체의 진동 및 염수로 인한 부식등으로부터 발생되는 경보 회로의 오동작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엔진 발전기의 시퀀스 경보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 발전기의 시퀀스 제어를 동기속도 감지 타이머를 이용하여 감지한 속도에 의해 제어하므로서 저속도 운전시 발생되는 유압 감지 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인쇄 회로 기판용 소형 릴레이를 이용하여 회로를 구성하므로서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발전기의 시퀀스 경보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회로에 제어 전원인 직류전압을 인가시키는 제어전원 입력부(10)와 ; 상기 제어전원 입력부(10)로부터 인가된 전압에 의해 엔진 구동시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운전표시 회로부(20) ; 상기 제어전원 입력부(10)로부터 인가된 전압에 의해 엔진 구동시 윤활유 압력 저하, 냉각수 과열, 과속도로 인한 엔진 이상으로부터 엔진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및 램프경보 회로부(30) ; 윤활유 압력 저하, 냉각수 과열, 릴레이 이상 등의 고장 발생시 엔진을 정지시키기 위한 엔진정지 회로부(40) ; 윤활유의 압력, 냉각수의 온도 및 과속도를 감지하여 이상시 소정 시간 경고음을 발생시킨 후 정지시키는 경보 및 벨정지 회로부(50) ; 상기 제어전원 입력부(100로부터 인가된 전압에 의해 엔진 구동시 엔진의 동기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엔진속도 검출부(60) 및 ; 엔진을 구동시키는 발전기(7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 전원인 직류 24 [V]가 제어전원 입력부(10)의 입력 단자(PO,NO)의 양단에 입력된 상태에서 회로 차단기(CB)를 연결시키면, 연결된 상기 회로 차단기(CB)를 통해 직류전원 표시등(WL)이 점등되고, 전체 시퀀스에 제어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제어전원 입력부(10)로부터 제어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벨 및 램프 테스트 버튼(PB1)을 누르면, 공급된 제어 전원은 눌려진 벨 및 램프 테스트 버튼(PB1)을 통해 운전 표시 회로부(20)의 다이오드(D1)에 순방향 전압을 인가시켜 상기 다이오드(D1)를 도통시킴으로써, 상기 다이오드(D1)를 통해 인가된 전압이 발전기 운전 표시등(GL)으로 흐르게 되어 경고벨과 램프를 확인한다.
그리고, 발전기가 기동되어 운전 상태가 되면, 상기 발전기 운전 표시등(GL)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엔진속도 검출부(60)의 엔진속도 검출기(SDT)로부터 출력되는 신호(LS)는, 운전표시 회로부(20)의 다이오드(D2)를 통해 상기 발전기 운전 표시등(GL)을 점등시켜 발전기(70)가 운전중임을 표시해줌과 아울러 상기 신호(LS)는 운전표시 회로부(20)의 다이오드(D3)를 통해 누적 시간계(HM)를 구동시켜 엔진의 가동시간을 누적하여 기록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엔진속도 검출부(60)의 엔진속도 검출기(SDT)로부터 출력되는 엔진 동기속도 신호(Sc)는 보호 및 램프경보 회로부(30)의 동기속도 감지 타이머(13T)에 인가되어 상기 동기속도 감지 타이머(13T)를 구동시키고, 상기 동기속도 감지 타이머(13T)의 구동에 의해 엔진 동기속도 신호(Sc)는 동시속도 감지 타이머(13T)의 출력단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로 인가된다.
여기서 상기 동기속도 감지 타이머(13T)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엔진 속도 검출부(60)의 엔진속도 검출기(SDT)로 부터 출력되는 엔진 동기속도 신호(Sc)가 다이오드(D4)를 통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다이오드(D4)를 통해 입력된 엔진 동기속도 신호(Sc)가 저항(R5)을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1)는 턴-온 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턴-온 동작에 의해 저항 (R6)으로 인가된 신호는 발광 다이오드(LD1)를 점동시키며, 상기 다이오드(D4)를 통해 입력된 엔진 동기속도 신호(Sc)가 콘덴서(C1)에 충전된 후 가변 저항(VR1)과 저항(R3)의 조정값만큼 감소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PUT1)가 턴-온 된다.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PUT1)의 턴-온 동작에 의해 입력된 신호는, 트랜지스터(Q2,Q3)의 베이스에 각기 인가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2,Q3)를 턴-온 시키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턴-온 동작에 의해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신호가 인가됨과 아울러 상기 트랜지스터(Q2)의 턴-온 동작에 의해 턴-온 되었던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 되어, 점등되었던 발광 다이오드(LD1)를 소등시킴으로써 동기속도 감지 타이머(13T)의 타이머 회로를 동작시킨다.
상기와 같이 엔진 동기속도 신호(Sc)가 트랜지스터(Q3)의 턴-온 동작에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로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엔진속도 검출부(60)의 엔진속도 검출기(SDT)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전원(P+)이 윤활유 압력 감지 스위치용 릴레이(63QX)에 인가되고, 이때 엔진 윤활유의 압력이 0 이거나 규정치 이하가 되면 상기 윤활유 압력감지 스위치용 릴레이(63QX)를 구동시키게 되며 상기 윤활유 압력감지 스위치용 릴레이(63QX)의 구동에 의해 상기 엔진속도 검출부(60)의 엔진 속도 검출기(SDT)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전원(P+)이 엔진 동기속도 신호(Sc)가 베이스로 인가된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에 인가되므로써, 트랜지스터(Q4)를 턴-온 시켜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에 접속된 윤활유 압력감지용 스위치(63Q)를 닫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윤활유 압력감지 스위치용 릴레이(63QX)의 구동에 의해 평상시 차단 상태로 있는 A접점인 윤활유 압력감지 스위치용 릴레이(63QX) 접점을 연결시키고, 연결된 상기 윤활유 압력감지 스위치용 릴레이(63QX) 접점을 통해 닫힌 상태로 있는 리세트 버튼(PB2)을 차단시켜 자기를 유지시키며, 또한 상기 윤활유 압력감지 스위치용 릴레이(63QX)의 구동에 의해 평상시 차단 상태로 있는 A접점인 타측의 윤활유 압력감지 스위치용 릴레이(63QX) 접점을 연결시키고, 연결된 상기 윤활유 압력감지 스위치용 릴레이(63QX) 접점을 통해 다이오드(D14)에 순방향 전압을 인가시켜 상기 다이오드(D14)를 도통시킴으로써, 상기 다이오드(D14)를 통해 인가된 전압이 저항(R10)의 조정값만큼 감소된 후, 포토 커플러(PC1)의 수광 다이오드를 통과하여 차단상태의 리세트 버튼(PB2)을 다시 닫히게 하므로서 자동으로 회로가 구동되도록 리세트시킨다.
또한, 상기 다이오드(D14)에 인가된 순방향 전압은 다이오드(D14)를 통해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에 직류 전류를 공급하므로서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를 구동시키게 되고, 상기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의 구동에 의해 닫혀져 있는 리세트 버튼(PB2)을 다시 차단시킴과 아울러 엔진정지 회로부(40)의 평상시 차단 상태로 있는 A접점인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 접점을 연결시킴으로써 엔진정지 회로부(40)를 동작시키며, 상기 윤활유 압력감지 스위치용 릴레이(63QX) 접점을 통해 다이오드(D13)에 인가된 순방향 전압은 상기 다이오드(D13)를 도통시킴으로써, 상기 다이오드(D13)를 통해 인가된 전압이 압력이상 표시등(RL1)을 점등시키게 됨과 아울러 경보 및 벨정지 회로부(50)의 경고 벨(BL)을 울리게 된다.
한편, 상기 엔진속도 검출부(60)의 엔진속도 검출기(SDT)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OS)는 상기 보호 및 램프경보 회로부(30)의 과속도 릴레이(12)에 인가되어 상기 과속도 릴레이(12)를 구동시킴으로써, 닫힌 상태로 있는 리세트 버튼(PB2)을 차단시켜 과속도 신호를 발생시킴과 아울러 상기 과속도 릴레이(12)의 구동에 의해 평상시 차단 상태로 있는 A접점인 과속도 릴레이(12) 접점을 연결시키며, 연결된 상기 과속도 릴레이(12) 접점을 통해 다이오드(D7)에 순방향 전압을 인가시켜 상기 다이오드(D7)를 도통시키고, 상기 다이오드(D7)를 통해 인가된 전압이 상기 과속도 릴레이(12)를 구동시킴으로써 차단되었던 상기 리세트 버튼(PB2)을 다시 닫히게 하므로서 자기를 유지시키며, 또한 연결된 상기 과속도 릴레이(12) 접점을 통해 다이오드(D8)에 순방향 전압을 인가시켜 상기 다이오드(D8)를 도통시키고, 상기 다이오드(D8)를 통해 인가된 전압이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를 구동시킴으로써 닫혀져 있는 리세트 버튼(PB2)을 다시 차단시킴과 아울러 엔진정지 회로부(40)의 평상시 차단 상태로 있는 A접점인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 접점을 연결시킴으로써 엔진정지 회로부(40)를 동작시키며, 상기 과속도 릴레이(12) 접점을 통해 다이오드(D8)에 인가된 순방향 전압은 상기 다이오드(D13)를 도통시킴으로써, 상기 다이오드(D8)를 통해 인가된 전압이 저항(R10)의 조정값만큼 감소된 후, 포토 커플러(PC10의 수광 다이오드를 통과하여 차단 상태의 리세트 버튼(PB2)을 다시 닫히게 하므로서 자동으로 회로가 구동되도록 리세트시키고, 또한 상기 과속도 릴레이(12) 접점을 통해 다이오드(D6)에 인가된 순방향 전압은 상기 다이오드(D6)를 도통시킴으로써, 상기 다이오드(D6)를 통해 인가된 전압이 과속도 표시등(RL3)을 점등시키게 됨과 아울러 경보 및 벨정지 회로부(50)의 경고 벨(BL)을 울리게 된다.
한편, 상기 엔진속도 검출부(60)의 엔진속도 검출기(SDT)로 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류는, 상기 엔진속도 검출기(SDT)에 접속된 보호 및 램프경보 회로부(30)의 냉각수 온도감지 스위치용 릴레이(26WX)에 공급되고, 이때 엔진이 과열되어 냉각수의 온도가 규정치(약 95℃)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상기 냉각수 온도감지 스위치용 릴레이(26WX)를 구동시킴으로써, 냉각수 온도 감지 스위치(26WX)를 닫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냉각수 온도감지 스위치용 릴레이(26WX)의 구동에 의해 평상시 차단 상태로 있는 A접점인 냉각수 온도감지 스위치용 릴레이(26WX) 접점을 연결시키고, 연결된 상기 냉각수 온도감지 스위치용 릴레이(26WX) 접점을 통해 다이오드(D11)에 인가된 순방향 전압은 상기 다이오드(D11)를 도통시킴으로써, 상기 다이오드(D11)를 통해 인가된 전압이 저항(R10)의 조정값만큼 감소된 후, 포토 커플러(PC1)의 수광 다이오드를 통과하여 차단 상태의 리세트 버튼(PB2)을 다시 닫히게 하므로서 자동으로 회로가 구동되도록 리세트시키고, 또한 상기 냉각수 온도감지 스위치용 릴레이(26WX) 접점을 통해 다이오드(D10)에 인가된 순방향 전압은 상기 다이오드(D10)를 도통시킴으로써, 상기 다이오드(D10)를 통해 인가된 전압이 냉각수 과온 표시등(RL2)을 점등시키게 됨과 아울러 경보 및 벨정지 회로부(50)의 경고 벨(BL)을 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보호 및 램프경보 회로부(30)의 동작에 따른 엔진정지 회로부(40)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보호 및 램프경보 회로부(30)의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의 구동에 의해 엔진정지 회로부(40)의 평상시 차단 상태로 있는 A접점인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 접점을 연결시키고, 연결된 상기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 접점을 통해 다이오드(D15)에 직류 전류가 공급되므로서 엔진 정지용 릴레이(5)를 구동시키게 되며, 상기 엔진 정지용 릴레이(5)의 구동에 의해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에 전류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5)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엔진정지 타이머(5T)를 구동시킴으로써 엔진을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엔진 정지용 릴레이(5)의 구동에 의해 평상시 차단 상태로 있는 A접점인 엔진 정지용 릴레이(5) 접점을 연결시키고, 연결된 상기 엔진 정지용 릴레이(5) 접점을 통해 다이오드(D17)에 직류 전류가 공급되므로서 엔진정지 타이머(5T)를 구동시키게 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수동으로 엔진을 정지시키고자 하는 경우 엔진정지 버튼(PB3)을 누르면, 눌려진 엔진정지 버튼(PB3)을 통해 전원(P24)이 엔진정지 타이머(5T)로 인가되어 상기 엔진정지 타이머(5T)를 구동시킨다.
상기 동작에서 엔진정지 타이머(5T)의 동작은 상기 보호 및 램프경보 회로부(30)의 동기속도 감지 타이머(13T)와 같은 시퀀스로 동작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엔진정지 회로부(40)의 연결된 상기 보호신호 전달용 릴레이(86) 접점을 통해 다이오드(D16)에 직류 전류가 공급되므로서, 평상시 닫혀져 있는 B접점인 벨 정지용 릴레이(28) 접점을 통해 벨(BL)을 구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다이오드(D16)를 통해 직류 전류가 벨 정지용 릴레이(28)에 공급되므로서, 상기 벨 정지용 릴레이(28)의 구동에 의해 공급된 직류 전류가 벨 정지 버튼(PB4)에 인가되어 벨(BL)을 정지시킨 후, 상기 벨 정지용 릴레이(28)의 구동에 의해 평상시 차단 상태로 있는 A접점인 벨 정지용 릴레이(28) 접점을 닫히게 하므로서, 자기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용 소형 릴레이를 사용하여 타이머를 구성한 후 상기 인쇄회로 기판의 상하를 절연 처리하므로서, 선체의 진동과 염수로 인한 부식등으로 부터 오는 판넬의 오동작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시킴으로써 설계 면적을 축소시킬 수 있어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로 인한 생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조립 및 보수 점검이 용이하여 제품의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엔진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회로에 제어 전원인 직류전압을 인가시키는 제어전원 입력부(10)와 ; 상기 제어전원 입력부(10)로 부터 인가된 전압에 의해 엔진 구동시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운전표시 회로부(20) ; 상기 제어전원 입력부(10)로 부터 인가된 전압에 의해 엔진 구동시 윤활유 압력 저하, 냉각수 과열, 과속도로 인한 엔진 이상으로 부터 엔진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및 램프경보 회로부(30) ; 윤활유 압력 저하, 냉각수 과열, 릴레이 이상 등의 고장 발생시 엔진을 정지시키기 위한 엔진정지 회로부(40) ; 윤활유의 압력, 냉각수의 온도 및 과속도를 감지하여 이상시 소정 시간 경고음을 발생시킨 후 정지시키는 경보 및 벨정지 회로부(50) ; 상기 제어전원 입력부(10)로 부터 인가된 전압에 의해 엔진 구동시 엔진의 동기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엔진속도 검출부(60) 및 ; 엔진을 구동시키는 발전기(7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발전기의 시퀀스 경보 회로.
KR1019940029335A 1994-11-09 1994-11-09 엔진 발전기의 시퀀스 경보 회로 KR0143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9335A KR0143741B1 (ko) 1994-11-09 1994-11-09 엔진 발전기의 시퀀스 경보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9335A KR0143741B1 (ko) 1994-11-09 1994-11-09 엔진 발전기의 시퀀스 경보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186A KR960018186A (ko) 1996-06-17
KR0143741B1 true KR0143741B1 (ko) 1998-10-01

Family

ID=19397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9335A KR0143741B1 (ko) 1994-11-09 1994-11-09 엔진 발전기의 시퀀스 경보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37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186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0512B1 (ko) 압축기 상태 제어기
US5568033A (en) On-site electric motor start-up diagnostic tool
JPS5854829A (ja) モ−タ保護制御回路
US4255738A (en) Device for detecting unwanted signal combinations of two signal lamps in traffic lights
KR0143741B1 (ko) 엔진 발전기의 시퀀스 경보 회로
US5416399A (en) On-site electric motor start-up diagnostic tool
JPS59215924A (ja) エンジン故障/遮断の原因の持続的指示を与える方法及び装置
KR0164475B1 (ko) 전기자동차의 이상확인 및 복원장치
JPH03246395A (ja) 排水用水中ポンプの自動運転装置
KR820001360Y1 (ko) 모우터 계자전류 이상 검출장치
KR0122461Y1 (ko) 교류입력전원이 겸용인 전동기의 보호장치
KR940004421Y1 (ko) 모우터의 온도상승시 경보음 발생회로
JPS6464523A (en) Vehicle mounted controller
KR100319985B1 (ko) 캐패시터 구동형 전동기의 기동장치
KR820001131B1 (ko) 직기용 자동 정지 안전장치
JP2841956B2 (ja) インバ−タ制御給水システムの断水防止回路
JP2788110B2 (ja) 温度異常停止装置
KR0115906Y1 (ko) 세탁기의 세탁모터 오동작 방지회로
KR900010446Y1 (ko) 음향 감지 경보 차단장치
KR100267315B1 (ko) 상용 자동차의 속도 표시램프 단락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890003305B1 (ko) 비상용 자동(auto) 발전기의 제어 장치
SU122489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от превышени допустимой частоты вращени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 привода главного движени станка
KR200170199Y1 (ko) 자동차단장치가 장착된 시스템
JPS61135395A (ja) モ−タ駆動回路の自己診断回路
KR0124345Y1 (ko) Acb시퀜스 공용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