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788B1 - 주변음향기기 제어기능을 갖는 전화기 - Google Patents

주변음향기기 제어기능을 갖는 전화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788B1
KR0142788B1 KR1019940023065A KR19940023065A KR0142788B1 KR 0142788 B1 KR0142788 B1 KR 0142788B1 KR 1019940023065 A KR1019940023065 A KR 1019940023065A KR 19940023065 A KR19940023065 A KR 19940023065A KR 0142788 B1 KR0142788 B1 KR 0142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ontrol signal
mute
telephone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2872A (ko
Inventor
김예태
Original Assignee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1019940023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2788B1/ko
Publication of KR960012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7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통화시에 주변의 음향장치에 자동으로 원격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주변의 음향장치에 의한 방해 없이 통화를 할 수 있는 주변음향기기제어기능을 갖는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주변음향기기제어기능을 갖는 전화기는 통화상대를 지정하여 음성 또는 음향의 송, 수신을 할 수 있는 전화기에 있어서, 외부의 조건에 따라 통화의 시작을 인식하는 통화 인식부와, 상기 통화인식부의 통화 인식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카운터와, 주변 음향장치에 대한 각각의 음소거/음줄임코드정보와 반송파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카운터의 어드레스 지정순서에 따라 출력하는 제어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어신호발생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해당 반송파를 발생시켜 음소거/음줄임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원격제어신호출력부로 이루어진 자동 원격제어신호발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주변음량기기 제어기능을 갖는 전화기
제1도는 일반적인 전화통화를 나타낸 개념도
제2도 (a)는 본 발명의 전화통화를 나타낸 개념도
(b)는 제 2 도 (a)의 자동 원격제어신호 발생장치를 나타낸 구성블럭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자동 원격제어신호 발생장치 21 : 주변음향장치
22 : 제1전화기 23 : 제2전화기
24 : 통화인식부 25 : 카운터
26 : 제어신호발생부 27 : 원격제어신호출력부
본 발명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통화시에 주변의 음향장치에 자동으로 원격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주변의 음향장치에 의한 방해 없이 통화를 할 수 있는 주변음향기기제어기능을 갖는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일반작인 전화통화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일반적인 전화통화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일반적인 전화장치는 음성의 입력과 출력을 담당하는 송수화기 부분과 다이얼링하기 위한 다이얼키 패드, 다이얼링된 번호에 해당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발생기, 전화기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콘트롤로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는 다음과 같다.
가입자 A가 제1전화기(1)를 이용하여 가입자 B의 제2전화기(2)로 전화를 걸 경우 가입자 B의 제2전화기(2)의 종명신호가 울리게되고 가입자 B가 송수화기를 들면 가입자 A와 가입자 B의 선로가 연결되어 통화가 가능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통화방법에 있어서는 주변음향장치(3)가 동작하여 음향 또는 음성신호가 출력되고 있으면 사용자가 전화기가 아닌 별도의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주변음향장치(TV,오디오등)(3)에 음소거/음줄임신호를 인가하여 음을 줄이거나 소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전화통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주변의 음향장치에 자동으로 음소거/음줄임신호를 인가하여 주변의 음향장치에 의한 방해 없이 통화를 할 수 있는 주변음향기기제어기능을 갖는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변음향기기제어기능을 갖는 전화기는 통화상대를 지정하여 음성 또는 음향의 송, 수신을 할 수 있는 전화기에 있어서, 외부의 조건에 따라 통화의 시작을 인식하는 통화인식부와, 상기 통화인식부의 통화인식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카운터와, 주변음향장치에 대한 각각의 음소거/음줄임 코드정보와 반송파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카운터의 어드레스 지정순서에 따라 출력하는 제어신호발생부와, 상기 제어신호발생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해당 반송파를 발생시켜 음소거/음줄임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원격제어신호 출력부로 이루어진 자동 원격제어신호발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주변음향기기제어기능을 갖는 전화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a)는 본 발명의 전화통화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제 2 도는 (b)는 제 2 도 (a)의 자동원격제어신호발생장치를 나타낸 구성블럭도이다.
TV 또는 오디오를 사용중인 가입자 B에게 가입자 A가 제1전화기(22)를 이용해 전화를 걸었을 경우 가입자 B는 통화를 위해 제2전화기(23)의 송, 수화기를 들거나 통화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자동원격제어신호발생장치(20)를 갖는 제2전화기(23)의 통화인식부(24)가 통화가 시작됨을 판단하여 카운터(25)를 인에이블시키게 된다.
인에이블되어진 카운터(25)가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의 어드레스는 제어신호발생부(26)로 입력되어, 주변음향장치(21)(ON, OFF에 관계없이)에 대한 각각의 음소거/음줄임 제어신호를 반송파를 이용하여 출력하게 된다.
제어신호발생부(26)는 주변음향장치(21)에 대한 음소거/음줄임코드정보와 반송파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카운터(25)에서 입력되는 어드레스 지정 순서대로 음소거/음줄임 코드정보와 반송파정보를 원격제어신호출력부(27)로 출력하게 된다.
반송파 발생기와 출력정치로 구성된 원격제어신호출력부(27)는 반송파 정보에 의한 반송파를 발생시켜 반송파를 이용하여 각각의 주변음향장치(21)에 관한 음소거/음줄임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제 2 도는 (b)에서와같이 TV가 반송파를 사용하는 C사 제품이고, 오디오가 반송파를 사용하는 A사 제품이라 하면 통화가 인지되는 순간 카운터(25)의 동작에 의해 $Ø→$1→$2순으로 제어신호발생부(26)를 액세스하게 되고 음소거/음줄임 제어신호는 원격제어신호출력부(27)로부터 반송파를 사용하는 A사, B사, D사, C사, 그리고 반송파를 사용하는 F사, A사, G사 제품순으로 출력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주변음향기기제어기능을 갖는 전화기는 통화가 인지되면 전화기 주변의 주변음향장치(제어신호발생부에 음소거/음줄임 코드정보 및 반송파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로 원격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자동 출력하여 별도의 제어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통화에 방해를 주지 않게 음이 소거되거나 줄어들게 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전화통화를 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

  1. 통화상대를 지정하여 음성 또는 음향의 송, 수신을 할 수 있는 전화기에 있어서 외부의 조건에 따라 통화의 시작을 인식하는 통화 인식부와, 상기 통화인식부의 통화 인식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카운터와, 주변 음향장치에 대한 각각의 음소거/음줄임코드정보와 반송파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카운터의 어드레스 지정순서에 따라 출력하는 제어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어신호발생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해당 반송파를 발생시켜 음소거/음줄임 제어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원격제어신호출력부로 이루어진 자동 원격제어 신호발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변음향기기제어기능을 갖는 전화기.
KR1019940023065A 1994-09-13 1994-09-13 주변음향기기 제어기능을 갖는 전화기 KR0142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3065A KR0142788B1 (ko) 1994-09-13 1994-09-13 주변음향기기 제어기능을 갖는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3065A KR0142788B1 (ko) 1994-09-13 1994-09-13 주변음향기기 제어기능을 갖는 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872A KR960012872A (ko) 1996-04-20
KR0142788B1 true KR0142788B1 (ko) 1998-08-01

Family

ID=19392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065A KR0142788B1 (ko) 1994-09-13 1994-09-13 주변음향기기 제어기능을 갖는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27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3718B2 (en) * 2001-10-31 2005-03-08 Silberline Manufacturing Co., Inc. Phosphonic acid derivative treatment of metallic flak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872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9796B2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incoming call for use with the same
US5073922A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JPH10233833A (ja) 携帯電話機
KR0142788B1 (ko) 주변음향기기 제어기능을 갖는 전화기
KR970055729A (ko) 이동단말기에서의 음성인식에 의한 전화번호 송신방법 및 장치
KR20010017204A (ko) 휴대폰의 착신음 음량 레벨 제어방법
KR930009849B1 (ko) 부재시 수신 다이얼 디지트를 저장하는 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70741B1 (ko) 소리인식형 호출장치
KR970024782A (ko) 디지탈 전화기의 음성인식 시스템 및 음성인식방법
KR960028003A (ko) 전화기의 전화번호 음성 서어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47676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음 발생 방법
KR100215722B1 (ko)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
KR100194414B1 (ko) 무선전화기의 비밀번호에 따른 링발생방법
KR200168870Y1 (ko) 오디오 청취 및 전화기능을 갖는 다기능 키보드
KR100383574B1 (ko) 사설교환기에서 국선 다이알 송출시의 노이즈 제거방법
JPH07154452A (ja) 電話装置
KR100223639B1 (ko) 무선휴대장치를 가지는 팩시밀리에서 알람발생방법
KR950007506B1 (ko) 음성안내 전화기
JP2002009898A (ja) 電話機及び留守番電子メールの送信方法
JP2000101704A (ja) 通信端末装置及び電子機器
KR980013183A (ko) 전화기의 자동 호출 선로 설정방법
GB2273630B (en) Telecommunications
KR20000049342A (ko) 전화기의 발신음 변환방법
KR19990003375A (ko) 음성을 출력시켜주는 전화 장치 및 방법
KR19980056078A (ko)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