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190B1 - 방송네트워크 - Google Patents

방송네트워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190B1
KR0142190B1 KR1019890014772A KR890014772A KR0142190B1 KR 0142190 B1 KR0142190 B1 KR 0142190B1 KR 1019890014772 A KR1019890014772 A KR 1019890014772A KR 890014772 A KR890014772 A KR 890014772A KR 0142190 B1 KR0142190 B1 KR 0142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output
input
modul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4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198A (ko
Inventor
미셸 매슨 제랄드
르로이 드리스콜 죤
Original Assignee
지오르지오 엘.코랄루피
콤퓨네틱스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오르지오 엘.코랄루피, 콤퓨네틱스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지오르지오 엘.코랄루피
Publication of KR900007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64Distributing or queueing
    • H04Q3/68Grouping or interlacing selector groups or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8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with traffic restrictions for efficiency improvement, e.g. involving subnets or subdomai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방송 네트워크
제 1 도는 방송모듈(module)의 개략도
제 2 도는 방송벡터(vector)의 개략도
제 3 도는 방송링(ring)의 개략도
제 4 도는 방송하이퍼 링(hyper-ring)의 개략도
제 5 도는 4개의 방송모듈을 가지는 방송 하이퍼 링의 개략도
제 6 도는 4-입력 4-출력 방송링의 개략도
제 7 도는 방송 하이퍼 링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연결되어진 2개의 방송벡터의 개략도.
제 8 도는 각 벡터가 3개의 방송모듈을 가지며 그것들은 방송 하이퍼 링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되는 2개이 벡터의 개략도.
제 9 도는 제 8 도는 방송 하이퍼 링에 상당하는 방송벡터의 개략도
제 10 도는 방송 하이퍼 링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되는 2개의 방송링의 개략도
제 11 도는 방송 하이퍼 링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되는 2개의 방송벡터의 개략도
제 12 도는 각 4개의 방송모듈들로 구성되며 방송 하이퍼 링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되는 2개의 방송벡터의 개략도
제 13 도는 제 12 도의 방송 하이퍼 링에 해당하는 한 방송 하이퍼 링의 개략도
제 14 도는 스위치 연결 방송 하이퍼 링의 개략도
제 15 도는 16-입력 16-출력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의 개략도
제 16 도는 방송지정을 실현하는 방송 하이퍼 링을 가지는 방송 스위치 네트워크의 개략도
제 17 도는 방송지정을 실현하는 방송링을 활용하는 16-입력 16-출력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의 개략도
제 18 도는 방송지정을 실현하는 스위치의 단 두개 스테이지만을 활용하는 16-입력 16-출력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의 개략도
제 19 도는 방송지정을 실현하는 제공(presentation) 네트워크를 가지지않는 10-입력 12-출력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의 개략도
제 20 도는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에 끼워지는 방송 허브의 개략도
제 21 도는 방송네트워크 제어알고리즘을 설명함에 있어 사용되는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의 개략도
제 22 도는 방송지정을 나타내는 분배(distrbution) 네트워크 입력과 관련 제공 네트워크 출력을 가지는 제 21도의 방송 하이퍼 링의 개략도
제 23 도는 16개의 방송모듈의 방송링을 가지는 4-입력 4-출력 스위칭 네트워크의 개략도
그리고 제 24 도는 방송모듈 이행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방송 벡터 402 : 방송 하이퍼 링
404 : 제공 네트워크 406 : 분배 네트워크
434 : 방송 모듈 528 : 방송 링
400 :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
이 발명은 입력부터 출력까지 일대다(一對多) 상호 연결가능한 공간분할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특히 허브(hub) 구조에 함께 연결될 수 있는 방송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 구조들은 단지 일대일 연결 가능한 스위칭 컴포넌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새로운 공간분할 방송스위칭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공간분한 스위칭 네트워크는 입력포트(port) 집합으로 부터 출력포트집합까지 연결이 스위칭 엘레먼트와 함께 물리적 연결통로에 의해 확립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이다.
공간분할(space-division)이란 용어는 통신통로가 시간에서 연결을 분배하는 것과 반대로 공간에서 연결을 연결하는 것이므로 그런 용어가 사용된다. 대부분의 공간분할 스위칭 네트워크는 입력포트와 출력포트가 일반적으로 일대일 송수신장치로서 함께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일대일 송수신장치는 종종 순열 연결(permutation connection)이라고도 한다. 각각의 입력포트는 적절한 접속메카니즘에 의해 송신스테이션(ststion)의 송신포트에 직접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송신 스테이션은 접속하는 입력포트를 통해 스위칭 네트워크로 공급되는 음성/데이터 정보원으로서 사용된다.
각 출력포트는 적절한 접속 메카니즘에 의해 수신 스테이션의 수신포트에 직접,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수신 스테이션은 설치되어 있는 연결통로상의 스위칭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되는 음성/데이터원의 싱크(sink)혹은 목적지로서 사용된다.
순열연결에 있어서 송신 스테이션과 수신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요건은 어느때고 각각이 입력포트는 기껏해야 하나의 출력포트로 연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한 일대일 연결을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대개 순열 스위칭 네트워크(permutation switching network)라고 한다.
송신 스테이션과 수신 스테이션 사이에는 일군의 통신 요건이 있는데 스위칭 네트워크에 요구되는 연결은 일대일 포트 짝짓기(paring)보다도 더 많이 요구하는데 송신 스테이션에 접속된 입력포트가 가끔 일대다(one-to-many) 방식으로 하나이상의 출력포트에 연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일대다 통신모드를 방송(broadcasting) 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송신 스테이션으로부터 여러개의 수신 스테이션으로의 방송연결에서 어떤 주어진 시간에 기껏해야 하나의 입력포트(송신 스테이션)로 출력포트(수신 스테이션)를 연결하는 것은 흥미롭다.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는 입력포트로부터 출력포트로의 복합적 방송연결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어떤 출력포트도 어떤 주어진 시간에 하나이상의 입력포트로 연결될 수 없다고 하는 제한을 가진다.
스위칭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기술들이 발달되어 왔다. 테라슬리나(Teraslinna)의 미국특허 4,402,048 에 와이드 밴드 스위칭(wide band switching)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와이드 밴드 스위칭 구조는 와이드 밴드신호가 와이드 밴드 스위칭 네트워크를 통해 와이드 밴드신호들 사이의 미세한 잡음으로 통신되도록 한다.
그 와이드 밴드 스위칭 네트워크는 스테이지들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스테이지는 복수의 스위칭 입출력 어레이를 가진다.
각각의 입력어레이는 하나의 입력터미널을 가지고 각각의 출력 어레이는 하나의 출력터미널을 가진다. 각각의 어레이는 하나의 집적회로로서 잡음은 단 하나의 와이드 밴드 신호가 어떠한 일 시간에 각 집적회로에 있도록 하고 모든 사용되지 않은 어레이의 입출력들을 그라운징함으로서 잡음이 감소된다.
페인(Payne)의 미국특허 4,696,000 에서 논-블로킹 셀프-루딩 노드(nonblocking self-routing nodes)를 개시하고 있다.
방송노드는 입력포트로부터의 주소정보의 송신에 응하여 스위칭 네트워크를 통한 복수의 경로를 만들어 이 복수의 경로로 그 주소정보를 루팅상태로 통신한다.
각 루팅 스위치노드는 주소정보의 수신에 응하여 경로중 하나를 주소지정 출력포트로 선택한다.
루더러(Luderer)의 미국특허 4,651,318 은 브로드 캐스트와 논-브로드캐스트 패킷(broadcast and non-nroadcast packet) 통신을 위한 복수의 팩 스위치 노드(pack switch nodes)를 포함하는 다단계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를 개시하고 있다.
각 노드는 패킷 하나의 수신에 응답한다.
만약 방송 패킷이 수신되면 그 스위치 노드는 이 패킷을 모든 출력 링크상의 다음 연속단계로 송신하여 그 스위치 노드를 다음 연속단계로 연결한다.
만약 그 패킷이 논-브로드캐스트 타입이라면 그 스위치 노드는 상황식벽 필드(state identification field)를 디코드하여 루팅 정보 집합들중 어느 것이 그 논-브로드캐스트 패킷을 다음 연속단계로 루팅하는데 사용되는 것인지를 결정한다.
리챠드(Richards)의 미국특허 4,566,008 은 N1 입력 채널을 N2 출력채널로 연결하기 위한 두 스테이지 복수연결 스위칭 네트워크를 개시하고 있다.
그 네트워크는 여러개의 제 1 스테이지 스위치와 하나의 제 2 스테이지 스위치를 포함한다.
제 2 스테이지 스위치는 N2 출구들을 가지는데 각각 N2 출력채널들 중 하나로 연결된다.
하나의 연결장치가 각 제 1 스테이지 스위치 고리(ringlet)들을 관련된, 선정된 입력채널로 연결하여 입력채널의 어떤 그룹 N2 에 대해 제 1 스테이지 스위치의 N2 그룹이 있게 되고 각각은 다른 입력채널의 그 그룹 N2 로의 하나의 입구 연결을 가진다.
이 리챠드의 특허는 또한 제 2 스테이지 스위치를 추가하고 각각의 추가 제 2 스테이지 스위치를 각 제 1 스테이지 스위치로 연결함으로서 네트워크가 확장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더 큰 네트워크에서는 제 1, 제 2 스테이지 스위치들은 그 발명에 따라 두 스테이지 네트워크에 의해 그들 자체가 대체될 수 있게 된다.
방송연결을 공간분할 스위칭 네트워크로 실현화시키는데 존재하는 문제는 그 네트워크가 팬-아웃(fan-out)성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팬-아웃은 한 개의 입력포트로부터 출력포트로 복수로 방송연결을 행하기위해 이용될 때, 그 결과로 나타나는 연결경로는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통로나무에 해당하는데 거기에서 그 입력포트는 그 나무의 뿌리이고 그 출력포트는 그 나무의 잎이다.
팬-아웃을 이용한 공간분할 스위칭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경로 나무를 설정하는 것은 일대일 연결경로 집합을 설정하는 것보다도 더 복잡하다.
G.M. 마손(G.M. Masson)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팬-아웃상의 상부구역(upper bounds on fan-out in connection with networks)(회로이론에 관한 IEEE 번역, Vol. CT-20, PP.222-230, 1973)을 보라.
연결경로나무를 재배열함으로서 새로운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팬-아웃을 사용하는 공간분할 스위칭 네트워크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은 금지된다.
따라서 공간 연결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공간분할 네트워크는 일대일 또는 순열타입의 연결에 요구되는 훨씬 이상의 연결능력을 가져야 한다.
이것을 보기위해 N 입력을 가지는 순열 네트워크는 입출력의 N! 지정을 나타낼 수 있어야 하며, N 입력을 가지는 방송네트워크는 NN지정을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방송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스위칭 모듈들은 그들의 입출력에 관련 팬-아웃성을 가져야하기 때문에 순열 네트워크의 디자인과 분석에 대해 잘 확립된 이론의 대부분 방송문제에 적용될 수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허브(hub)로부터의 방송모듈이 단순히 일대다 혹은 팬-아웃 방송기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방송모듈집합과 연결된 변환 스위칭 모듈을 사용하는 방송 스위칭 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방송 네트워크와 관계있다.
그 방송 네트워크는 N 통신 스테이션들을 포함하는데 각 송신 스테이션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N 은 정수 ≥ 1 이다.
또한 M 수신 스테이션이 있는데 여기에서 M 은 정수 ≥ 2 이며, I 스위칭 스테이지가 있는데 I 는 정수 ≥ 0 이고, 그리고 방송허브(hub)가 있다.
방송허브와 I 스위칭 스테이지들은 연결되어 있으며 그것들은 N 송신 스테이션들을 M 수신 스테이션들로 연결할 수 있는데 그리하여 N 송신 스테이션중 어떤 하나는 한 신호를 수신 스테이션의 L 로 송신할 수 있고, 여기에서 L 은 정수이고 1 ≤ L ≤ M 이다.
그러나 각 수신 스테이션은 어떤 주어진 시간에 N 송신 스테이션의 단 하나로부터만 신호를 받을 수 있다.
방송허브와 스위칭 스테이지 들은 어떤 주어진 시간에 바람직한 수신 스테이션으로 N 송신 스테이션의 하나이상의 어떤 수 링크로 동시에 정해진다.
도면에 관하여 그 참조번호들은 여러 설명을 통해 유사 혹은 동일부분들을 표시한다.
특히 제 1 도에서 방송모듈(20)의 개략도가 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방송모듈은 두 개의 별개의 입력포트 집합과 두 개의 별개의 출력포트집합을 가진다.
1. Ei= ei1, ei2, ..... , eiq와 같이 표시되는 q 개의 외부입력포트들의 집합
2. Eo= eo1, eo2, ..... , eor와 같이 표시되는 r 개의 외부출력포트들의 집합
3. Ii= ii1, ii2, ...... , iis와 같이 표시되는 s 개의 모듈간(intermodule)혹은 내부입력포트들의 집합
4. Io= io1, io2, ...... , iot와 같이 표시되는 t 개의 모듈간 혹은 내부출력 포트들의 집합
외부 혹은 내부 포트표시에서 아랫첨자의 첫글자는 입력포트를 i 혹은 출력포트를 o 로 나타낸다.
두 번째 글자는 내부/외부 입력/출력 포트세트중에서 어떠한 내부/외부 입력/출력 포트인가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Ei| = q ) = ( |Eo| = r) = (|Ii| = s ) = (|Io
= t ) 이고, 여기에서 /A/는 A 집합의 사이즈 혹은 기본을 표시한다.
여기에서 확인을 위해 개략적으로 보여지는 어떤 주어진 방송모듈에 있어 수직상의 가장 정점에 있는 입력포트 혹은 출력포트는, 그것이 내부/외부 입력/출력 일지라도, 가장 낮게 인덱스된 입력 혹은 출력포트(즉 ei1, eo1, ii1, io1)이다.
수직상의 가장 아래에 있는 입력 혹은 출력이 가장 높게 인덱스된 입력 혹은 출력포트(즉 eiq, eor, iis, iot)이다.
어떤 주어진 외부/내부 입력/출력의 항등식은 다른 입출력과 관련한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외부/내부 입력/출력은 뚜렷하고 그것의 항등식은
외부입력에 대해서는 1 부터 q 까지,
외부출력에 대해서는 1 부터 r 까지,
내부입력에 대해서는 1 부터 s 까지,
내부출력에 대해서는 1 부터 t 까지의 숫자로 되어 있다.
외부입출력은 방송모듈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하는 방송구조 안팎으로의 데이터 혹은 신호흐름에 제공되고 모듈간 입력과 출력은 그 구조의 방송모듈 사이의 데이터 혹은 신호흐름에 제공되고 모듈간 입력과 출력은 그 구조의 방송모듈 사이의 데이터 혹은 신호흐름에 제공된다.
이러한 방송모듈 입출력은 그 방송응용에 따라 신호 혹은 데이터를 일련으로 혹은 병행하여 보낼 수 있다.
방송모듈의 입출력 사이에는 완전한 팬-아웃성이 있다.
달리 말하면, 각 출력이 방송모듈간의 기껏해야 하나의 입력에 연결될 수 있다고하는 제한하에서 어떤 외부 혹은 모듈간/내부 입력이 데이터를 어떤 숫자의 (아마도 모든) 외부/내부 출력으로도 송신할 수 있다.
방송모듈은 스위칭 모듈과 구별이 뚜렷하다.
스위칭 모듈에는 단지 외부입력과 외부출력, 그리고 단지 일대일 연결만이 이러한 외부입력과 외부 출력사이에 가능하다.
달리 말하자면 전혀 팬-아웃 능력이 없다는 것이다.
스위칭 모듈은 방송모듈에 비할 때 훨씬 덜 복잡하고 덜 값비싼 장치로서 생각될 수 있겠다.
방송모듈의 상태는 그 모듈안의 입력포트와 출력포트 사이에 확립되어 있는 연결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7 도의 방송구조에서 사용되는 방송모듈(34)은 하나의 외부입력포트 ei1, 하나의 외부 출력포트 eo1, 하나의 내부입력포트 ii1, 그리고 하나의 내부출력포트 io1을 가진다.
방송모듈(34)에 대해 테이블 1 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27개의 가능한 상태가 있다.
일반적으로 방송모듈은 입출력 연결과 관련하여 (q + s)r+t의 어떤 상태로도 대치될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제어수단들에 의해서 행해질 수 있는데 그 수단들은 또한 전반적 방송 네트워크 시스템에 걸쳐 바람직한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가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베네스(Benes)의 네트워크와 전화통화를 연결시키는 수학적 이론 (Mathematical Theory of Connecting Networks and Telephone Traffic) (아카데믹 프레스, 뉴욕, 1965)을 보시오.
Figure kpo00001
테이블 1의 첫행은 제 3 도의 방송모듈의 세 개의 출력을 나타낸다.
테이블 1의 첫행 아래의 27 행 들은 각각 세 개의 입력들로 이루어져 있고, 입력과 출력사이의 다양한 상태의 연결들은 나열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 행들의 제 1 은 e입력포트가 각 출력포트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주고 있다. 이것은 단지 하나의 상태이다.
방송목적을 위해서는 출력의 어떤 숫자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입력이상은 가지지 않는 그러한 상태들만이 허용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와같이 e출력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e과 i입력포트와 같은 더 많은 상태들이 있지만 이것이 확실한 근거가 있는 상태는 아니다.
방송모듈은 다른 타입의 구조들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들은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에서 방송허브로써 사용된다.
그와같이 발명된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에 있어 신호나 데이터 팬-아웃은 단지 방송허브내에서만 대신한다. 가장 기본 방송허브는 방송벡터(22)이다.
제 2 도는 방송벡터(22)의 일 예를 보여주는데 거기에는 N 개의 수직으로 연결된 (내부입력과 출력을 통해) 방송모듈이 있다.
그 방송벡터에서 수직상 제일 위에 있는 방송모듈과 수직상 제일 아래에 있는 방송모듈이외의 방송모듈들은 그들의 이웃하는 두 개의 방송모듈에만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수직상 제일 위에 있는 방송모듈(23)과 수직상 제일 아래에 있는 방송모듈(24)는 단지 하나의 다른 방송모듈로만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서로로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제 3 도는 방송모듈이 방송링(25)를 형성하는 구조를 보여준다.
방송링에서 수직상 제일 위에 있는 방송모듈과 제일 아래에 있는 방송모듈들은 제 2 도의 방송벡터와 동일한 나머지 구조들과 서로 연결되어 있다.
예시목적으로 제 2 도와 제 3 도는 단지 하나의 외부입력, 하나의 외부출력, 두 개의 내부입력, 그리고 두 개의 내부출력을 가진다.
모든 방송모듈중 가장 기본은 |E| = |E| = |I| = |I| = 1 을 가진다.
제 6 도는 그러한 방송모듈로 이루어지는 4-입력 4-출력 방송링(88)을 보여준다.
다음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그러한 제한된 방송모듈을 이용하는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는 더 강한 방송모듈을 이용하는 것보다는 방송지정의 현실화를 위해 그들의 연결성에 대해 더 큰 요구를 가진다.
제 4 도는 방송모듈이 방송 하이퍼 링(26)을 형성하는 방송구조를 보여준다.
방송하이퍼 링은 방송링에서 다른 그리고 혹은 가장 가까운 이웃이상의 방송모듈로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방송모듈로 이루어진다.
내부 입출력에 의한 방송구조에 있어서의 방송모듈의 이와같은 연결은 드레딩(threading)이라고 불리운다.
제 4 도의 예에서 각 방송모듈은 모든 다른 방송모듈로 연결되는데 그 드레딩을 완전하다(complete) 고 한다.
제 5 도는 16-입력 16-출력 방송 하이퍼 링(200)을 보여준다.
거기의 각 방송모듈(202)에 있어 4개의 외부입력과 3개의 모듈간/내부입력과, 그리고 3개의 모듈간 어레이출력이 있다.
즉, |E| = |E| = |I| = |I| = 1 이다.
제 5 도에서 각 4 개의 방송모듈은 다른 각 방송 모듈로의 링크를 가진다. 즉 그 드레딩은 완전하다.
일반적으로 방송 벡터링, 혹은 하이퍼 링의 방송모듈은 방송벡터, 링, 혹은 하이퍼 링의 다른 방송모듈의 서브세트(subset)로의 링크를 가진다. 즉 그 드레딩은 불완전하다.
이러한 링크는 제 5 도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은 싱글 링크일 수도 있고, 혹은 복수/과다의 링크일 수도 있다.
제 7 도는 방송하이퍼 링의 다른 보기를 보여준다.
이 하이퍼 링은 두 개의 벡터(209,211)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같은 종류의 하이퍼 링 구조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제 8 도의 3개의 방송 모듈(217)을 가지는 두 개의 벡터(213, 215)의 뚜렷한 보기를 보아야 한다.
제 9 도에 제 8 도의 구조의 변형이 보여진다. 이 하이퍼 링에서 방송모듈(A, B, C)은 외부입력, 내부입출력을 가지며 그러나 외부출력은 가지지 않는다.
유사하게 방송모듈(D, E, F)은 외부출력, 내부입출력을 가지며 외부입력은 가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 8 도 구조의 내외부 연결과 관련하여 전반적으로 동일한 결과가 나온다.
제 10 도는 두개의 링(221, 223)으로 이루어진 또 다른 방송 하이퍼 링을 보여준다.
분명히, 이것은 방송모듈(1)을 제외하고는 제 7 도의 구조와 유사하고 이 27 개의 링(211, 223)의 N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벡터, 링, 다른 하이퍼 링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방송 하이퍼 링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이 확실해야 한다.
제 11 도는 또 다른 하이퍼 링(27)의 보기를 보여준다. 제 11 도의 하이퍼 링의 보기에서 방송벡터(30)의 수직상 제일 위에 있는 방송모듈(23)은 방송벡터(32)의 수직상 제일 위에있는 방송모듈(28)에 연결된다.
덧붙여 방송링(32)의 수직상 제일 아래에 있는 방송모듈(29), 이러한 부류의 하이퍼 링과 전에 보여진 것 사이의 구별은 제 12 도와 제 13 도를 볼 때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제 12 도는 8개의 방송모듈을 포함하는 하이퍼 링을 보여주고, 제 13 도는 똑같은 구조이지만, 그러나 방송모듈 사이의 링키지의 드레딩이 여기에서 더 분명하다.
이전에 보여진 하이퍼 링에서는 각 방송모듈(A, B, C, D) 이 외부출력을 가지고, 단지 방송모듈(1, 2, 3, 4) 만이 외부입력을 가진다.
방송모듈(1, 2, 3, 4)은 단지 내부출력을 가지고 방송모듈(A, B, C, D)은 단지 내부입력을 가진다. 모듈사이의 링크의 드레딩은 이전에 본 하이퍼 링의 것과 관련해볼 때 더 복잡하다.
하이퍼 링의 일 최종 변형은 그 드레딩이 내부 입출력 사이에 스위칭 모듈(227)을 놓음으로서 변형되도록 한다.
스위치 연결 방송 하이퍼 링의 일 보기가 제 14 도에 보여진다.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는 달리 스위칭 모듈(그것들에 일대일 혹은 순열연결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인) 로 이루어진 구조에 방송허브를 끼워넣음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의 가장 기본 디자인은 단순히 두개의 순열 스위칭 네트워크 사이에 방송벡터, 링 혹은 하이퍼 링을 놓는다. 이것을 PBD 네트워크라 한다.
제 15 도는 16-입력 16-출력 PBD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를 보여준다.
그것은 16-입력 16-출력 3 스테이지 공간분할 순열 네트워크로 이루어져 있다.
제공 네트워크(presentation networkrk )(302)가 있는데 방송 하이퍼 링(306)의 외부입력에 연결되며 그 다음에 분배 네트워크(304)라고 하는 또 다른 16-입력 16-출력 공간분할 순열 네트워크가 따르며 이 분배 네트워크는 동일 방송 하이퍼 링(306)의 외부출력에 연결된다.
2개의 16-입력 16-출력 순열네트워크는 연결된 (4 × 4) 스위칭 모듈을 포함한다.
(4 × 4) 스위칭 모듈은 단지 이러한 전반적 FBD 구조에 있어 방송 스위칭 가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입력부터 출력까지의 일대일 연결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제 15 도의 방송 하이퍼 링(306)의 좌측에 있는 16-입력 16-출력 순열 네트워크는 방송 하이퍼 링(30)에 대해 제공 네트워크(302)역할을 하는데 그것의 기능은 각 송신 스테이션 입력포트로부터 방송 하이퍼 링(306)의 어떤 외부입력으로 단 하나의 연결통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하이퍼 링의 우측에 있는 16-입력 16-출력 순열 네트워크는 그 방송 하이퍼 링(306)으로부터 분배 네트워크(304)의 역할을 하는데 거기에서 그것의 기능은 방송 하이퍼 링(306)의 각 외부 출력으로부터 적절한 네트워크 출력 목적지로 일대일 연결경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제공 네트워크(302)는 방송 하이퍼 링(306)의 수신 스테이션으로 방송이 될 신호나 데이터를 제공해주고, 분배 네트워크(304)는 방송 하이퍼 링(306)으로부터 나온 신호 혹은 데이터를 적절한 수신스테이션으로 분배한다.
방송 하이퍼 링(306)은 방송 기능 수행에 덧붙여 또한 신호나 데이터를 정열하여 제공 네트워크(306)로부터 분배 네트워크(304)로의 이동을 조절해야 한다.
이것을 하는 방송 하이퍼 링(306)의 능력은 |E|, |E|, |I|, |I|와 같은 그 구조의 파라미터 내부/모듈간 연결링크의 드레딩에 달려 있다.
제공/분배 네트워크(302)(304)는 그 전반적 구조가 완전한 방송능력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 완전한 변환 네트워크로서 기능할 필요는 없다는 점이 이해 되어야 한다.
정말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 디자인이 아래에서 보여질 것인데 거기에서 사용되는 제공/분배 네트워크(302)(304)가 모든 변환을 행할 수는 없다.
PBD 네트워크의 3 요소들 (즉 제공 네트워크, 방송벡터, 링, 혹은 하이퍼 링, 그리고 분배 네트워크) 사이의 상호작용은 그 발명된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의 작용에 중요하다.
제공, 분배, 방송의 3박자 기능을 이용하는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 디자인 접근이 되풀이하여 사용될 수 있는 분해 테크닉이 제 15 도의 디자인에 함축되어 있다.
제 15 도에서 16-입력 16-출력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300)가 16-입력 16-출력 순열 네트워크인 제공 네트워크(302)와 분배 네트워크(304) 그리고 여기에서 방송 하이퍼 링(306)으로서 보여지는 방송구조에 의해 설계되었다.
달리 말하면, 커다란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가 순열 네트워크(그것에 대한 수많은 디자인이 알려져 있다)와 더 작은 방송 네트워크 사용에 의해 설계되었던 그와같은 설계개념이 이제 각 개개 방송 네트워크에 대해 되풀이될 수가 있다.
이러한 식의 설계를 되풀이하는 것이 결국 그 방송 네트워크가 기본 방송모듈로 실현화되는 지점에 이르게 될 것이다.
방송지정의 실현화가 제 16 도에서 보여진다.
이러한 방송지정은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400)에 있는 각 출력으로의 송신을 포함한다.
방송지정을 표시하기위하여 송신 스테이션은 집합 1, 2, ....., 16 으로 표시될 수 있고, 수신 스테이션은 집합 a, b, ......, p 로 표시될 수 있다.
방송지정은 그리고나서 다음 방송연결로 표시될 수가 있다.
(1 --→ 0), (2 --→ 0), ... (16 --→ 0) 여기에서 0는 송신 스테이션 j 가 그것의 신호나 데이터를 방송하는 출력을 표시하는 수신 스테이션 집합의 서브세트이다.
따라서, 제 16 도의 보기 방송지정은 다음으로 표시된다.
( 1 --→ (b,f,k)), (3 --→ (h)), (4 --→ (e,n)), (6 --→ (c,i,j,p)), (10--→ (g,l,o)),(15 --→ (a,d,m))
이러한 방송지정 표시에서, 지정에서 수신 스테이션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는 수신 스테이션들은 표시되지 않는다.
제 16 도에 그려져 있는 이들 방송연결의 실현에서 방송 하이퍼 링(402)이 팬-아웃을 제공하는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400)의 유일한 부분이라는 것이 보여진다.
제공 네트워크(404)와 분배 네트워크(406)가 유일하게 그들의 입출력과 관련하여 순열 연결을 제공하고 있다.
더우기 그 제공 네트워크(404)를 통한 경로들이 수신 스테이션(1,3,4,6,10,15)으로부터만 나온다.
송신 스테이션(10)이 출력으로 연결되는 우회 경로가 제 16 도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는데, 왜냐하면 그것이 팬-아웃이 방송허브에서 사용되는 드레딩 패턴으로 행해질 수 있다고 하는 유동성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 16 도의 방송연결 (10 --→ (g,l,o)) 의 실현화를 고려해보자.
송신 스테이션(10)의 송신 포트(408)는 스위치(412)의 제 2 입력포트(410)에 접속하고 있다.
스위치(412)는 제공 네트워크(404)의 제 1 스위칭 스테이지(414)에 있다.
스위치(412)의 제 2 입력포트(410)가 스위치(412)의 제 2 출력포트(416)에 연결된다.
스위치(412)의 제 2 출력포트(416)가 스위치(420)의 제 3 입력포트(418)에 연결된다.
스위치(420)의 제공 네트워크(404)의 제 2 스위칭 스테이지(422)에 있다.
스위치(420)의 제 3 입력포트(418)가 스위치 (420)의 제 3 출력포트(424)에 연결된다.
스위치(420)의 제 3 출력포트(424)가 스위치(428)의 제 2 입력포트(426)에 연결된다.
스위치(428)가 제공 네트워크(404)의 제 3 스위칭 스테이지(430)에 있다.
스위치(428)의 제 2 입력포트(426)가 스위치(428)의 제 4 출력포트(432)에 연결된다.
스위치(428)의 제 4 출력포트(432)가 방송모듈(434)의 e입력포트에 연결된다.
팬-아웃이 방송 하이퍼 링(402)의 방송 모듈(434)에서 발생한다.
방송 하이퍼 링(434)은 e입력포트가 방송모듈(434)의 i, e, e출력포트로 팬-아웃되는 상태에 있다.
방송모듈(434)의 i출력포트가 방송모듈(436)의 i입력포트로 연결된다.
방송모듈(436)은 방송모듈(436)의 i입력포트가 방송모듈(436)의 i출력포트에 연결되는 그러한 상태에 있게 된다.
방송모듈(436)의 i출력포트가 방송모듈(438)의 i입력포트에 연결된다.
방송모듈(438)은 방송 하이퍼 링(402)에 있다.
방송모듈(438)의 i입력포트가 방송모듈(438)의 e출력포트로 연결된다.
방송모듈(438)의 e출력포트가 스위치(442)의 제 2 입력포트(440)에 연결된다.
스위치(442)는 분배 네트워크(406)의 제 1 스위칭 스테이지(444)에 있다.
스위치(442)의 제 2 입력포트는 스위치(442)의 제 2 출력포트(446)에 연결된다.
스위치(442)의 제 2 출력포트(446)가 스위치(450)의 제 4 입력포트(448)에 연결된다.
스위치(450)가 분배 네트워크(406)의 제 2 스위칭 스테이지(452)에 있다.
스위치(450)의 제 4 입력포트(448)가 스위치(450)의 제 4 출력포트(454)로연결된다.
스위치(450)의 제 4 출력포트(454)가 스위치(458)의 제 2 입력포트(456)에 연결된다.
스위치(458)가 분배 네트워크(406)의 제 3 스위칭 스테이지(460)에 있다.
스위치 (458)의 제 2 입력포트(456)가 스위치(458)의 제 3 출력포트(462)연결된다.
스위치(458)의 제 3 출력포트(462)가 수신 스테이션(0)의 수신포트(464)에 접속한다.
방송모듈(434)의 e출력포트가 스위치(468)의 제 3 입력포트(466)에 연결된다.
스위치(468)이 스위칭 스테이지(444)에 있다.
스위치(468)의 제 3 입력포트(466)가 스위치(468)의 제 3 출력포트(470)에 연결된다.
스위치(468)의 제 3 출력포트(470)가 스위치(474)의 제 3 입력포트(472)에 연결된다.
스위치(474)가 스위치 스테이지 (452)에 있다.
스위치(474)의 제 3 입력포트(472)가 스위치(474)의 제 2 출력포트(476)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474)의 제 2 출력포트(476)가 스위치(480)의 제 3 입력포트(478)에 연결된다.
스위치(480)의 제 3 입력포트(478)가 스위치(480)의 제 3 출력포트(482)에 연결된다.
스위치(480)의 제 3 출력포트(482)는 수신 스테이션(g)의 수신포트(484)와 접속한다.
방송모듈(434)의 e출력포트가 스위치(468)의 제 4 입력포트(486)에 연결된다.
스위치(468)의 제 4 입력포트(486)가 스위치(468)의 제 4 출력포트(488)에 연결된다.
스위치(468)의 제 4 출력포트(488)가 스위치(492)의 제 3 입력포트(490)에 연결된다.
스위치(492)가 스위치 스테이지(452)에 있다.
스위치(492)의 제 3 입력포트(490)가 스위치(492)의 제 3 출력포트(494)에 연결된다.
스위치(492)의 제 3 출력포트(494)가 스위치(497)의 제 4 입력포트(496)에 연결된다.
스위치(497)의 제 4 출력포트(498)가 수신 스테이션(l)의 수신포트(499)와 접속한다.
방송 스위치 네트워크(400)에 그려져 있는 다른 연결 경로들은 보기 방송 지정의 추가 방송연결이 실현되도록 하는 것으로 그것들은 기술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러한 연결경로들은 방송연결(10 --→ (g, l, o) 에 대해 말했던 것과 유사한데 제 16 도를 보면 알겠지만 다른 방송모듈과 스위치 혹은 동일 방송모듈과 스위치의 다른 입력과 출력 포트가 활용화되는 것을 제외한다.
제 17 도에, 제 16 도에서 사용된 보기 방송 지정의 또 다른 실현이 |E|= |E|= |I|= |I|= 1 이 성립되는 제 6 도의 기본 방송 모듈들로 구성된 방송링(528)을 활용하는 PBD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500)에 대해 보여진다.
제 15 도의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300)에 관련한 이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500)로 방송지정이 실현될 수 있는 방법들에는 별로 유동성이 없다.
이것은 단지 그 방송링(528)이 신호들을 팬-아웃 하여 제한된 순서로 분배 네트워크로 송신되도록 하는 것만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방송지정 (1 --→ (b, f, k))의 실현을 생각해 보자.
송신 스테이션(1)의 송신포트(520)는 제공 네트워크(510)의 제 1 스위칭 스테이지 (508)에 있는 스위치(506)의 제 1 입력포트(504)와 접속한다.
스위치(506)의 제 1 입력포트(504)는 스위치(506)의 제 1 출력포트(506)에 연결되고 스위치(516)의 제 1 입력포트(514)에 연결된다.
스위치(516)는 제공 네트워크(510)의 제 2 스위칭 스테이지(517)에 있다.
스위치(516)의 제 1 출력포트(518)는 스위치(522)의 제 1 입력포트(520)에 연결된다.
스위치(522)는 제공 네트워크(510)의 제 3 스위칭 스테이지(523)에 있다.
스위치(522)의 제 1 입력포트(520)는 스위치(522)의 제 2 출력포트(524)에 연결된다.
스위치(522)의 제 2 출력포트(524)는 방송 하이퍼 링(528)의 방송모듈(526)의 e입력포트에 연결된다.
방송모듈(526)은 거기의 e입력포트가 방송모듈(526)의 e출력포트와 i출력포트로 팬-아웃되는 상태에 있다.
방송모듈(526)의 i출력포트는 방송모듈(530)의 i입력포트로 연결된다.
방송모듈(530)의 i입력포트는 거기의 i입력포트가 방송모듈(530)의 i출력포트와 e출력포트로 팬-아웃되는 상태에 있다.
방송모듈(530)의 i출력포트는 방송모듈(532)의 i입력포트로 연결된다.
방송모듈(532)은 거기의 i입력포트가 방송모듈(532)의 e출력포트로 연결되는 상태에 있다.
방송모듈(532)의 e출력포트는 스위치(536)의 제 4 입력(534)으로 연결된다.
스위치(536)가 분배 네트워크(540)의 제 1 스위칭 스테이지(538)에 있다.
스위치(536)의 제 4 입력포트(534)는 스위치(544)의 제 4 출력포트(540)에연결된다.
스위치(544)가 분배 네트워크(540)의 제 2 스위칭 스테이지(546)에 있다.
스위치(544)의 제 4 입력포트(542)는 수위치(552)의 제 3 출력포트(548)에 연결된다.
스위치(552)는 스위치(552)의 제 3 출력포트(556)에 연결된다.
스위치(552)의 제 3 출력포트(556)는 수신 스테이션(k)의 수신포트(558)에 연결된다.
방송모듈(530)의 e출력포트는 스위치(562)의 제 1 입력포트(560)에 연결된다.
스위치(562)가 제 1 스위치 스테이지(538)에 있다.
스위치(562)의 제 1 입력포트(560)는 스위치(562)의 제 1 출력포트(564)에 연결된다.
스위치(562)의 제 1 출력포트(564)는 스위치(568)의 제 1 입력포트(566)에 연결된다.
스위치(568)가 제 2 스위칭 스테이지(546)에 있다.
스위치(568)의 제 1 입력포트(566)는 스위치(568)의 제 1 출력포트(570)에 연결된다.
스위치(568)의 제 1 출력포트(570)는 스위치(564)의 제 1 입력포트(562)에 연결된다.
스위치(574)가 제 3 스위칭 스테이지(554)에 있다.
스위치(574)의 제 1 입력포트(572)는 스위치(574)의 제 2 출력포트(576)에 연결된다.
스위치(574)의 제 2 출력포트(576)는 수신 스테이션(B)의 수신포트(578)에 연결된다.
방송모듈(526)의 e출력포트가 스위치(562)의 제 2 입력포트(580)에 연결된다.
방송모듈(562)의 제 2 입력포트(580)는 스위치(562)의 제 2 출력포트(582)에 연결된다.
스위치(562)의 제 2 출력포트(582)는 스위치(586)의 제 1 입력포트(584)에 연결된다.
스위치(586)가 제 2 스위칭 스테이지(546)에 있다.
수위치(586)의 제 1 입력포트(584)는 스위치(586)의 제 2 출력포트(588)에 연결된다.
스위치(586)의 제 2 출력포트(588)가 스위치(592)의 제 2 입력포트(590)에 연결된다.
스위치(592)가 제 3 스위칭 스테이지(554)에 있다.
스위치(592)의 제 2 입력포트(590)가 스위치(592)의 2 출력포트(594)에 연결된다.
스위치(592)의 제 2 출력포트(594)는 수신 스테이션(F)의 수신포트(596)에 연결된다.
거기의 추가 방송지정이 실현화되게끔 하는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500)에 그려져 있는 다른 연결경로들은 묘사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러한 연결경로들은 제 17 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방송 모듈과 스위치 혹은 같은 방송모듈과 스위치의 다른 입출력 포트가 활용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방송지정 (1--→ (b, f, k)) 과 관련있는 연결경로들과 유사하다.
이전에도 언급되었던 것처럼 방송지정을 실현화시키는 PBD 네트워크에 있어 방송링이 제 15 도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두개의 완전변화 네트워크 사이에 직접 놓여질 필요는 없다.
제 18 도는 16-입력 16-출력의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600)의 또 다른 형태를 보여준다.
이 16-입력 16-출력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에는 분배 네트워크(604)를 구성하는 단지 (4×4)-스위치 모듈 두 스테이지가 있다.
분명히 제공 네트워크(602) 혹은 분배 네트워크(604) 어느쪽도 입출력의 모든 순열을 행할 수는 없다.
제 18 도는 또한 이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600)을 가지고 제 16 도와 제 17 도에서 고려된 같은 방송지정의 실현화를 보여준다.
제 18 도에서 보여진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600)에 대한 관찰은 그것이 제 15도에서 보여진 네트워크(300)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 방송지정들이 여전히 실현될 수 있다는 사실은 활용화되는 방송 하이퍼 링의 연결능력을 입증한다.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 (600)는 보기 방송지정의 일 실현을 묘사한다 :
(1--→ (b, f, k)), (3--→ (h)), (4--→ (e, n)), (6--→ (c, i, j, p)), (10--→ (g, l, o)), (15--→ (a, d, m)).
예를 들어 방송지정 (6--→ (c, i, j, p))이 실현되도록 하기 위해서 송신 스테이션(6)의 송신포트(606)는 스위치(610)의 제 2 입력포트(608)로 접속된다.
스위치(610)가 제공 네트워크(602)의 스위칭 스테이지(612)에 있다.
스위치(610)의 제 2 입력포트(608)가 스위치(610)의 제 3 출력포트(612)로 연결된다. 스위치(610)의 제 3 출력포트(612)가 스위치(616)의 제 2 입력포트(614)로 연결된다.
스위치(616)가 제공 네트워크(602)의 스위칭 스테이지(618)에 있다.
스위치(616)의 제 2 입력포트(614)가 스위치(616)의 제 1 출력포트(620)에 연결된다.
스위치(616)의 제 1 출력포트(620)가 방송모듈(622)의 e입력포트로 연결된다.
방송모듈(622)이 방송 하이퍼 링(624)에 있다.
방송모듈(622)이 방송모듈(622)의 e입력포트가 i, i, e, e출력포트로 팬-아웃되는 상태에 있다.
방송모듈(622)의 i출력포트는 방송 링(626)의 i입력포트로 연결된다.
방송모듈(626)의 i출력포트는 스위치(630)의 제 1 입력포트로 연결된다.
스위치(630)가 분배 네트워크(604)의 스위칭 스테이지(632)에 있다.
스위치(630)의 제 1 입력포트(628)는 스위치(630)의 제 3 출력포트(634)로 연결된다.
스위치(630)의 제 3 출력포트(634)는 스위치(638)의 제 4 입력포트(636)로 연결된다.
스위치(638)가 분배 네트워크(604)의 스위칭 스테이지(640)에 있다.
스위치(638)의 제 4 포트(636)가 스위치(638)의 제 2 출력포트(642)로 연결된다.
스위치(638)의 제 2 출력포트(642)는 수신포트(j)의 수신포트(644)로 접속된다.
방송모듈(622)의 e출력포트는 스위치(648)의 제 4 입력포트(646)로 연결된다.
스위치(648)가 스위칭 스테이지(632)에 있다.
스위치(648)의 제 4 입력포트(646)가 스위치(648)의 제 1 출력포트(650)로 연결된다.
스위치(648)의 제 1 출력포트(650)가 스위치(654)의 제 3 입력포트로 연결된다.
스위치(654)가 스위칭 스테이지(640)에 있다
스위치(654)의 제 3 입력포트(652)가 스위치(654)의 제 3 출력포트(656)로 연결된다. 스위치(654)의 제 3 출력포트(656)가 수신포트(658) 스테이션(c)으로 접속된다.
방송모듈(622)의 e출력포트가 스위치(648)의 제 1 입력포트(660)로 연결된다.
스위치(648)의 제 4 출력포트(662)가 스위치(666)의 제 3 입력포트(664)로 연결된다.
스위치(666)가 스위칭 스테이지(640)에 있다.
스위치(666)의 제 3 입력포트(664)가 스위치(666)의 제 4 출력포트(668)로 연결된다.
스위치(666)의 제 4 출력포트(668)는 수신 스테이션(p)의 수신포트(670)로 접속된다.
방송모듈(622)의 i출력포트가 스위치(672)의 i입력포트로 연결된다.
방송모듈(672)의 방송 하이퍼 링(624)에 있다.
방송모듈(672)이 i입력포트가 방송모듈(672)의 e출력포트로 연결되는 상태에 있다.
방송모듈(672)의 e출력포트가 스위치(676)의 제 4 입력포트(674)로 연결된다.
스위치(676)가 스위칭 스테이지(632)에 있다.
스위치(676)의 제 4 입력포트(674)가 스위치(676)의 제 3 출력포트(678)로 연결된다.
스위치(676)의 제 3 출력포트(678)가 스위치(638)의 제 2 입력포트(680)로 연결된다.
스위치(638)의 제 2 입력포트(680)가 스위치(638)의 제 1 출력포트(682)로 연결된다.
스위치(638)의 제 1 출력포트(682)가 수신 스테이션(i)의 수신포트(684)로 접속된다.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600)에서 그려지는 또 다른 연결경로들은 거기의 추가 방송지정이 실현되도록 하지만, 묘사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그러한 연결경로들은 제 18 도에서 볼 수 있다시피 같은 방송모듈과 스위치의 다른 입출력 포트 혹은 다른 방송모듈과 스위치가 활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방송지정(6--→ (c, i, j, p))에서 말했던 연결경로들과 유사하다.
19도에서 10-입력 12-출력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700)가 10-입력의 5를 포함하는 방송지정을 실현시키며 보여진다.
이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700)에 제공 네트워크는 없다.
다시 말하면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700)는 그 자체 방송으로의 충분한 연결성을 가지고 이 요청을 만족시키기 위해 그 입력을 얼라인한다.
정말 제 6 도의 방송 네트워크에 있어 모든 12 방송지정은 실현가능하다.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700)는 방송지정(1--→ (e, k)), (2--→ (a, f, l)), (5--→ (d)), (8--→ (b, g, i)), (10--→ (c, h, j))를 그린다.
예를들어 방송지정(2--→ (a, f, l))이 실현되기 위해서, 송신 스테이션(2)의 송신포트(702)가 방송모듈(704)의 e입력포트로 접속된다.
방송모듈(704)의 e입력포트는 방송모듈(704)의 e, e, e출력포트로 팬-아웃된다.
방송모듈(704)이 방송 링(706)에 있다.
스위치(710)의 제 1 입력포트(708)로 연결되는 e출력포트는 스위치(710)의 제 1 출력포트(716)로 연결된다.
스위치(710)의 제 1 출력포트(716)는 스위치(720)의 제 1 입력포트(718)로 연결된다.
스위치(720)는 분배 네트워크(714)의 스위칭 스테이지(722)에 있다.
스위치(720)는 제 1 입력포트(718)는 스위치(720)의 제 1 출력포트(724)로 연결된다.
스위치(720)의 제 1 출력포트(724)는 수신 스테이션(A)의 수신포트(726)로 접속된다.
방송모듈(704)의 e출력포트는 스위치(710)의 제 2 입력포트(728)로 연결된다.
스위치(710)의 제 2 입력포트(728)는 스위치(710)의 제 2 출력포트(730)로 연결된다.
스위치(710)의 제 2 출력포트(730)는 스위치(734)의 제 1 입력포트(732)로 연결된다.
스위치(734)는 스위칭 스테이지(722)에 있다.
스위치(734)의 제 1 입력포트(732)는 스위치(734)의 제 2 출력포트(730)로 연결된다.
스위치(734)의 제 2 출력포트(736)는 수신포트(F)의 수신포트(730)로 접속된다.
방송모듈(704)의 e출력포트가 스위치(710)의 제 3 입력포트(740)로 연결된다.
스위치의 제 3 입력포트(740)는 스위치(710)의 제 3 출력포트(742)로 연결된다.
스위치(710)의 제 3 출력포트(742)가 스위치(746)의 제 1 입력포트(744)로 연결된다.
스위치(746)가 스위칭 스테이지(722)에 있다.
스위치(746)의 제 1 입력포트(744)는 스위치(746)의 제 4 출력포트(748)로 연결된다.
스위치(746)의 제 4 출력포트(748)가 수신 스테이션(1)의 수신포트(750)로 접속된다.
방송 스위치 네트워크(700)에 그려져 있는 그리고 거기의 추가방송지정이 실현되도록 하는 다른 연결경로들은 묘사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러한 연결경로들은 제 19 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방송모듈과 스위치 혹은 같은 방송모듈과 스위치의 다른 입출력 포트들이 활용화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방송지정(2--→ (a, f, l))에 대해 거론되었던 연결경로들과 유사하다.
상기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 디자인의 많은 변형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분명해야 한다.
예를 들어 PB 네트워크는 BD 네트워크에 대해 거론되었던 것과 유사한 식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PBD 네트워크에 주어진 보기들에서 제공 네트워크로부터 방송 허브로, 그리고 방송허브로부터 분배 네트워크로의 연결패턴은 제공 네트워크의 마지막 스테이지에 있는 각 스위치 모듈의 출력포트들이 방송허브에 있는 대응 방송모듈의 입력포트들로 직접 연결되며, 유사하게 방송허브에 있는 각 방송모듈의 출력포트들이 분배 네트워크의 제 1 스테이지에 있는 대응 스위치 모듈의 입력포트들로 직접 연결된다는 의미에서 다이렉트(direct) 하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선택이 이 연결 패턴을 섞을 것이다.
그러한 섞어진 연결패턴의 한 가능성은 제공과 분배 네트워크의 각 스테이지 사이에 보여지는 그 같은 패턴을 사용하는 것이다.
고려되는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 디자인의 변형의 또 다른 보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입력포트의 수 혹은 출력포트의 수가 왜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에서 똑같아야 하는지 그 이유는 없을 뿐 아니라, 또한 방송허브로의 입출력의 수는 서로 그리고/혹은 네트워크 입출력의 수와 다를 수 있다.
정말, 네트워크 입/출력과 비교해서 더 많은 방송 허브 입출력을 가지는 것은 방송 가능성을 크게 촉진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방송허브의 이전 논의는 벡터, 링, 하이퍼 링으로 규정된 구조들을 명쾌하게 고려했으며, 하이퍼-큐브(hyper-cubes)와 같은 다른 구조들 또한 방송 허브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많은 다른 디자인들이 가능하다.
제 20 도는 방송 허브를 스위칭 구조에 끼워넣는 일반적 개념을 보여준다.
그러한 일반적 형태에서 제공과 분배의 개념이 분명하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일반적 네트워크 디자인을 지지하는 숨은 생각들은 기본 PBD 네트워크 디자인이 기초로 하는 것과 동일하다.
방송 스위칭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경로 확립의 이슈가 이제 논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방송 스위칭 구조의 경로 셋-업(set-up) 제어는 타이트하게 조정될 필요가 있는 두가지 요소들을 가진다.
1. 스위칭 모듈을 통한 연결경로 셋-업
2. 방송 허브내에 있는 이 경로들의 팬-아웃
따라서 명시된 방송 네트워크 입력으로부터 어떤 명시된 방송 네트워크 출력 집합으로의 방송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방송 허브의 내/외 입출력과 스위칭 모듈의 입출력의 유용성(availability)과 도달성(reachability)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것을 하는 제어 알고리즘(control algorithm) 에 대한 논의를 촉진하기위하여 제 15도의 기본 PBD 네트워크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그 알고리즘은 기본 PBD 네트워크 디자인의 일반적 변형을 다루기 위해 쉽게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분명히 제 15 도의 제공 그리고 분배 네트워크의 연결성은 어느 방송 네트워크 제어 알고리즘의 세부적인 것들의 중심이다.
일반적으로 PBD 네트워크에서 제공, 분배 네트워크 둘다 제공 혹은 분배 네트워크내의 아이들(idle) 입력, 아이들 출력의 어떤 연결이 기존 어떤 연결을 혼란시키지 않고 설정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논-블로킹(non-blocking)이고, 전반적 방송 네트워크 제어 알고리즘이 방송허브내 연결경로의 팬-아웃과 관련한 이 논-블로킹 능력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제공, 분배 네트워크의 기존 경로들이 때때로 방송연결에 추가하거나 또는 새로운 방송 연결을 설정하기위해 재정렬되어야 한다면, 이때 전반적 방송 네트워크 제어 알고리즘은 방송 허브 내의 연결경로들의 팬-아웃과 관련한 이러한 잠재적 재정렬 요건들을 고려해야한다.
마침내 그 제공 그리고/혹은 분배 네트워크가 그들의 입출력 사이의 완전한 연결성을 제공할 수 없다면, 그 방송 네트워크 제어 알고리즘은 방송 허브내의 연결경로의 팬-아웃을 이용해 이러한 제한들을 상쇄하도록 시도해야 한다.
따라서 방송 네트워크 제어 알고리즘의 명시적 세부사항들을 위해서는 제공, 분배 네트워크 제어 요소들이 명쾌히 묘사되어야 한다.
다음에서 방송 네트워크 제어 알고리즘의 보기가 제공, 분배 네트워크 제어의 이슈가 방송 허브 제어의 이슈로부터 디커플(decouple)되는 것에서 주어질 것이다.
이것은 그 제공 혹은 분배 네트워크가 논-블로킹 혹은 재정렬하든 아니든 그러한 제공 분배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을 설정하는 알고리즘이 잘 알려져 있다는 사실에 의해 정당화된다.
(C. 클로스의 논 블로킹 스위칭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 (BSTJ. Vol. 32, No. 2 March, 1953, 406-424) ; V. 베네스의 연결 네트워크와 전화통화의 수학 이론 ( 아카데믹 프레스, 뉴욕, 1965)를 보시오.)
따라서 전반적 방송 네트워크 제어 알고리즘의 제공, 분배 네트워크 제어요소들이 이러한 알고리즘을 활용화시킬 수 있음이 추측될 것이다.
더우기 방송 네트워크 디자인에 관련된 분배 혹은 제공 네트워크 어느쪽도 그들 각각의 입출력 사이에서 완전한 액세스를 할 수 없다면 (예를 들어 제 18 과 제 19 도를 보라), 이러한 제한된 액세스성은 어떤 식으로 특징지워질 수 있는가가 추측될 것이고 이러한 정보는 어떤 정보지정을 만족시키기 위해 방송 네트워크내의 연결경로들을 결정함에 있어 그 사용을 위해 방송 네트워크 제어 알고리즘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방송 네트워크 제어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해 제 21 도의 방송 네트워크가 고려될 것이다.
실현될 방송 연결이 (7--→ (k, p)) 라고 가정해 보자.
다시 말하자면, 제공 입력 스테이지 스위치(2)의 입력(7)은 분배 출력 스테이지 스위치(3)(D03)의 어떤 방송 네트워크 출력(k)과 분배 출력 스테이지 스위치(4)(DO4)의 출력(P)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방송 연결 요청시에 입력(7)이 어떤 네트워크 출력에도 연결되지 않는다고 가정해 보자.
이것은 현재 입력(7)에서 제공 네트워크를 통한 방송 하이퍼 링으로의 어떤 연결경로도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방송 연결(7--→ (k, p))을 설정하기 위해 연결경로가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7)에서 어떤 아이들(idle) 제공 네트워크 출력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요청시에 제공 네트워크의 상태가 아이들 제공 네트워크 출력의 다음과 같은 그러한 상태라고 가정해 보자.
제공 출력 스테이지 스위치(1)의 출력(a, b) (Po1(a)와 Po1(b)로서 표시) ;
제공 출력 스테이지 스위치(2)의 출력(a, c) (Po2(a)와 Po2(c)로서 표시) ;
제공 출력 스테이지 스위치(3)의 출력(a, b) (Po3(a)와 Po3(d)로서 표시) ;
제공 출력 스테이지 스위치(4)의 출력(a, b) (Po4(a)와 Po4(b)로서 표시) ;
이것이 제 21 도의 제공 네트워크의 출력 스테이지,
방송 하이퍼 링, 분배 네트워크의 입력 스테이지의 확대인 제 22 도에서 보여진다.
제 22 도의 B 와 I 는 각각 비지(busy)와 아이들(idle) 을 표시한다.
유사하게 이 요청시에 분배 네트워크의 상태가 아이들 분배 네트워크 입력의 다음과 같은 그러한 상태라고 가정해보자.
분배 입력 스테이지 스위치(2)의 입력(2) (DI2 (2) 로 표시) ; 분배 입력 스테이지 스위치(3)의 입력(1) ((DI3(1)로 표시)) ; 분배 출력스테이지 스위치(4)의 입력(4) (DO4(4)로 표시).
이것 또한 제 22 도에 그려져 있다.
분명히 그 방송 하이퍼 링을 통한 새로운 연결경로를 팬-아웃하는 능력은 현재 실행되는 팬-아웃의 본질에 부분적으로 달려있다.
제 22 도에서 PO1(c)에 의한 방송 하이퍼 링으로 제공된 연결경로가 4개의 방송 하이퍼 링 외부 출력 ; B1(e), B1(e), B3(e), B4(e)으로 팬-아웃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팬-아웃이 다른 방송모듈을 활용하기 때문에 팬-아웃과 대응 방송연결 둘다가 분배된다고 한다.
이 팬-아웃이 분배 네트워크의 시퀀셜입력을 활용하지 않기 때문에 팬 아웃과 방송연결 둘다는 논-시퀀셜(non-sepuential)하다고 말한다.
이상적으로는 그 방송 연결에 있는 모든 팬-아웃은 논-디스트리뷰티드(non-distributed) 하고 시퀀셜(sepuential)할 것이다.
그러나 다른 방송 연결의 성장과 종결이 이것이 이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하이퍼 링의 논-디스트리뷰티드(non-distributed) 시퀀셜(sepuential) 방송연결은 제공 그리고/혹은 분배 네트워크에서 확장 혹은 금지의 재정비를 요구할지도 모른다.
혹은 또 다른 보기로서 방송 하이퍼 링의 논-디스트리뷰티드 시퀀셜 방송연결은 제공, 그리고/혹은 분배 네트워크의 제한된 연결성 때문에 불가능할지도 모른다.
입력(7)의 모든 제공 네트워크 출력 스테이지 스위치 로의 완전한 도달성을 가정할지라도 제 22 도를 관찰함으로서 논-디스트리뷰티드 혹은 시퀀셜 팬-아웃 어느하나를 이용함으로서 PI4의 입력(7)으로부터 DO3의 출력(k), DO4 의 출력(P)으로의 방송연결을 제공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 분명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들을 혼란시킴없이 실현화되는 방송연경로 (7--→ (k, p))를 추가하기 위해 방송 네트워크 제어 알고리즘은 방송 하이퍼 링에 있는 복수의 방송모듈의 연결경로들을 팬-아웃해야 한다.
이것을 성취하기 위하여 각 방송 모듈의 내외 입출력의 유용성과 도달성이 입력(7)과 출력(k)(p)에 관련하여 알려져야 한다.
제공 네트워크 출력 스위치 도달성 리스트가 어떤 요청된 방송 연결에 따라 방송 네트워크 출력으로 연결되어지는 방송 네트워크 입력과 관련하여 규정될 것이다.
우리의 방송 연결보기(7--→ (k, p))에 대해 이 리스트는 POR로 표시될 것이다.
제공 네트워크 출력스위치 유용성 리스트는 현재 방송모듈의 아이들 링크를 가지는 제공 네트워크의 출력스위치의 리스트로 규정될 것이다. 이 리스트는 POAV 로서 표시될 것이다.
제 22 도에 있어
POAV = (PO1, PO2, PO3, PO4)
제공 네트워크 출력 스위치 도달성 리스트는 제공 네트워크의 출력스위치 집합과 일치하고 입력(방송연결보기 (7--→ (k, p))에서 입력(7)은 그 제공 네트워크의 현상태에 주어진 액세스를 가지며 그리고/혹은 연결경로가 그것을 통해 확립되어야 한다는 작동 제한을 가진다.
이상적으로는 PORPOAV 이다.
이것은 입력(7)이 방송모듈로의 아이들 링크를 가지고 각 제공 네트워크 출력스위치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물론 제공 네트워크가 논-블로킹이라면, 혹은 제공 네트워크가 재정렬되고 재정렬이 발생할 수 있는 정도에 어떠한 제한도 없다면, 과 같은 경우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PORPOAV 와 같은 방송 네트워크 제어 알고리즘은 PORPOAV 를 활용해야 한다.
유사하게 분배 네트워크 입력스위치 유용성 리스트는 방송모듈로부터 아이들 링크를 가지는 분배 네트워크의 입력스위치의 리스트로 규정될 것이다.
이 리스트는 DIAV로 표시될 것이다.
제 22 도에서
DIAV = (DI2, DI3, DI4)
분배 네트워크 출력스위치 도달성 리스트는 어떤 요청된 방송 연결에 따라 방송입력으로 연결되는 방송 네트워크 출력 각각과 관련하여 규정될 것이다.
우리의 방송연결보기 (7--→ (k, p))에 있어 이 리스트들은 DIRDIR로 표시될 것이다.
분배 네트워크 출력스위치 도달성 리스트는 출력 각각 (방송연결보기 ((7--→ (k, p))에서 k 와 p ) 이 연결경로가 그것을 통해 설정될 수 있는 작동제한 그리고/혹은 분배 네트워크의 현상태에 주어진 액세스를 가지는 분배 네트워크의 입력 스위치와 일치한다.
일반적으로 DIRDIAV, DIRDIAV, 그리고 방송 네트워크 제어 알고리즘은 DIRDIAV 그리고 DIRDIAV 를 활용해야 한다.
방송연결(7--→ (k, p))을 실현하기 위해 방송 네트워크 제어 알고리즘은 PORPOAV 의 출력스위치중 하나로부터 방송링내의 두개의 연결경로로의 방송 하이퍼링에 이용되는 제공 네트워크 연결경로중의 하나를 팬-아웃 해야하며, 그리고나서 이러한 팬-아웃된 경로들중 하나를 DIRDIAV 에 있는 분배 네트워크 입력스위치로 연결하고, 또 다른 팬-아웃된 경로를 DIRDIAV 에 있는 분배 네트워크 입력스위치로 연결해야 한다.
이것을 하기 위해 방송 하이퍼 링에 있는 방송모듈 각자의 제공 네트워크의 출력 스위치, 분배 네트워크의 입력스위치, 그리고 다른 방송모듈로의 유용한 연결이 고려되어야 한다.
각 방송모듈에 대해 방송모듈 연결성 리스트는 제공 네트워크의 출력스위치, 분배 네트워크의 입력 스위치, 그리고 그 방송모듈이 곧 바로 연결될 수 있는 다른 방송모듈의 집합을 표시한 것이다.
만약 거기에 m 방송모듈이 있다면, 방송모듈 연결성 리스트는 BM1, BM2, ...... BMm 으로 표시될 것이고, 여기에서 BMi 는 방송모듈 i 에 해당한다.
제 9 도에서
BM1 = (PO1, Po1, B2)
BM2 = (PO2, PO2, DI2, B1, B4)
BM3 = (PO3, DI3, B1, B2)
BM4 = (PO4, PO4, DI4, B2, B3)
PO1은 BM1에 두번 연결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것은 PO1으로부터 BM1에 두개의 아이들 링크가 있기 때문이다.
그와같은 이유로 BM2 에는 PO2, BM3 에는 PO3, BM4 에는 PO4 의 복수의 리스팅이 존재한다.
유사하게 BMi 가 DIi 로의 t 개의 아이들 링크를 가지면 DIi 는 BMi 에서 t번 연결될 것이다.
결국 이 보기에서 BMi 가 단지 POi 와 DIi (Bj 에 덧붙여) 만을 리스트한다는 사실은 방송 하이퍼 링과 제공 네트워크의 출력스위치 스테이지와 분배 네트워크의 입력스위치 스테이지 사이의 직접적인 연결 패턴의 결과일 뿐이다.
다음 알고리즘이 일반 문맥으로 상기 논의를 특징짓는다.
(일반 제어 알고리즘)
1. 요청되는 방송연결 (x--→ (a,b,......, c)) 이 주어졌을 때 다음 집합을 결정하라.
X= PORXPOAV
θa= DIR3DIAV, θb= DIRbDIAV, ......, θc= DIRcDIAV
만약 △X= PORXPOAV = ø, 혹은 i ε (a,b,...c) 에 있어 θi= ø 이면, 스템 13 으로 가라, 그렇지 않으면 스템 2 로 가라.
코멘트 ; 기존 연결들과 관련하여 양립되는 연결 경로들에 의해 입력 x 로부터 뻗을 수 있고 방송 모듈로의 아이들 링크를 가지는 제공 네트워크 출력 스위치가 이 스텝에서 결정되어지고 집합 △X로 표시된다.
만약 △X가 엠프티(empty) 이면, 연결경로가 확립될 수 있는 작동제한들과 제공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경로의 집합이 주어졌을 때 입력 x 는 방송 허브에 도달할 수가 없다.
연결경로들이 확립될 수 있는 작동제한들과 기존연결들과 관련하여 호환되는 연결경로들에 의해 출력 a,b,.....,c 각각으로부터 도달할 수 있고 방송모듈로부터 아이들 링크를 가지는 분배 네트워크 입력스위치가 또한 이 스텝에서 만들어질 수 있고, 각각 θa, θb, ...... , θc로 표시된다.
θi 가 엠프티이면, 연결경로가 만들어질 수 있는 작동제한과 분배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경로의 집합이 주어졌을 때 출력(i)은 방송허브로부터 도달될 수 없다.
결국 논-엠프티(non-empty) θi는 기존 경로와 호환할 수 있는 분배 네트워크의 입력 스테이지로부터 출력 i 로의 연결경로들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θi에 해당하는 경로들과 θj에 해당하는 경로들은 서로 호환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이 알고리즘은 스텝 9 에서 이러한 이슈를 다룰 것이다.
2. BM1, BM2, ...... , BMm 을 정하라.
코멘트 : 제공 네트워크의 출력스위치, 분배 네트워크의 입력스위치, 그리고 각 방송모듈이 직접연결될 수 있는 다른 방송모듈들의 집합을 표시하는 방송모듈 연결 리스트가 이 스텝에서 만들어진다.
3. 에레먼트(element)를 선택하라, 다시말해
POi, ε △X만약 △X= ø 이면, 스텝 13으로 가라.
코멘트 : 방송허브로의 아이들 링크를 가지는, 그리고 호환하는 연결경로로 입력 x 로부터 도달할 수 있는 제공 네트워크 출력스위치 POi 가 셀렉트된다.
4. POi, ε BMk 에 있어 Σ 가 모든 Bk 의 집합이 되도록 하자.
코멘트 : 이 스텝에서 POi 로부터 도달할 수 있는 모든 방송모듈들은 집합 Σ 로서 결정된다.
5. Σ = θ 이면, 집합 △X= △X- POi , 그리고 스텝 3으로 가라.
만약 Σ = θ 이면, 엘레먼트를 선택하라. 말하자면, Bk ε Σ 그리고 Γ = { BMK } 가 되도록 하자.
코멘트 : 만약 어떤 방송모듈도 셀렉트된 POi (즉, Σ = ø )로부터 도달될 수 없다면, 다른 제공 네트워크 출력스위치 POj = POi, POj ε △X가 스텝 3에서 셀렉트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어떤 Bk ε Σ 가 POi 가 연결될 방송모듈로서 선택된다.
Γ 가 처음으로 Bk 에 대한 방송모듈 연결 리스트로 규정된다.
집합 Γ 는 그것의 엘레먼트들 사이에 Bk 로부터 직접 도달할 수 있는 분배 네트워크의 입력스위치와 Bk로부터 직접 도달할 수 있는 다른 방송모듈들을 포함한다.
6. Bj ε Γ 가 BMj Σ 에 있어 Λ 가 모든 BMj 의 연합이 되도록 하자.
Λ = { BMj | Bj ε Γ 그리고 BMj Γ }
코멘트 : Bk 가 아이들 링크를 가지는 방송모듈을 통한 입력 x 에 의해 도달될 수 있는 추가 방송모듈 그리고/혹은 분배 네트워크 입력스위치가 이 스템의 최초 실행에서 정해진다.
이 스텝의 연속적 반복이 다른 방송모듈을 통해 간접적으로 입력 x 에 의해 도달될 수 있는 방송모듈 그리고/ 혹은 분배 네트워크 입력스위치를 결정할 것이다.
7. Γ = Γ Λ 이도록 하자. 만약 Λ = ø 이면, 스텝 7로 가라 ; 만약 Λ = ø이면, 스텝 6으로 가라.
코멘트 ; Γ 는 스텝 6 에서 결정된 Λ 의 모든 요소들을 그 안에 포함함으로써 이 스텝에서 새롭게 된다.
만약 스텝 6 의 가장 최근의 반복에서 결정된 Λ 가 공집합이면 Γ 는 그것의 엘레먼트들 사이에 그 셀렉트된 POi 를 통해 입력 x 에 의해 도달될 수 있는 모든 방송모듈 그리고/ 혹은 분배 네트워크 입력스위치들을 포함하고, 이제 스텝 7 이 이행되어야 한다.
스텝 6 의 가장 최근의 반복에서 결정된 Λ 가 공집합이 아니면, 스텝 6 은 다시 실행되어야 하는데 Γ 에 포함된 것들에 덧붙여 분배 네트워크 입력 스위치 그리고/ 혹은 방송모듈이 POi 를 통해 입력 x 에 의해 도달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8. ΩX= (a,b,...., c) 가 방송연결 (x--→ (a, b,......c)) 의 출력집합을 표시하도록 하자.
9. 출력 s ε ΩX를 선택하라. DIq ε Γ 를 셀렉트하라. DIq ε θS= DIRSDIAV 이고, (x--→ (a, b,......c)) 의 부분적 실현을 위해 이 스텝의 반복에서 미리 선택되었던 모든 다른 연결경로들과 관련하여 Diq 로부터 출력 s 로의 분배 네트워크를 통한 호환할 수 있는 연결경로가 있으므로,
그러한 DIq 가 발견될 수 있다면, 집합 Γ = Γ - Diq 그리고 스텝 10 으로 가라 ; 만약 그러한 DIq 가 발견될 수 없다면 스텝 11로 가라.
코멘트 ; 이 스텝에서 (x--→ (a, b,......c)) 의 부분적 실현을 위해 DIq 를 통해 입력 x 로부터 출력 s 로의 연결경로를 결정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로는 (x--→ POi --→ DIq --→ s )로 표시될 수 있다.
Γ 의 구조에 의해 입력 x 가 방송허브를 통해 DIq ε Γ 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x--→ (a, b,......c))를 부분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그 알고리즘의 이 스탭의 이전 실행에서 결정된 분배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연결경로와 관련하여 DIq 로부터 출력 s 로의 호환 경로가 존재하는지 아닌지가 결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이 스텝의 이전 반복에서 분배 내트워크를 통한 호환 경로가 (s1, s2, ..... , sk)(a, b, .....c) 에 대해 결정되었다고 가정해보자.
더우기 그 알고리즘의 이 스텝의 현 반복에서 어떤 DIq ε Γ 도 발견될 수 없는데 왜냐하면 (DIr --→ s) 에 해당하는 (s1, s2, ..... , sk)(a, b,......c) 에 대해 결정된 분배 네트워크를 통해 모든 통로와 호환할 수 있는 DIq --→ s 에 해당하는 경로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경우에 (s1, s2, ..... , sk)(a, b, .....c)의 어떤 서브세트에 대해 분배 네트워크를 통한 선택경로가 스텝 11에서 모색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달리 그 알고리즘은 Γ 로부터 DIq 의 리스팅을 빼고 스텝 10으로 진행하는데 거기에서 출력 s 는 ΩX로부터 삭제되고, 전 방송연결 (x--→ (a, b,......c)) 이 이제 실현될 수 있는지 혹은 이 연결의 단지 부분만이 어드레스되고 스텝 9의 더 이상의 반복이 요구되는지 아닌지가 결정된다.
결국, 이 스텝의 최초 실행에서 DIq ε θS= DIRSDIAV 이므로 분배 네트워크를 통한 기존 연결 경로와의 어떤 갈등도 생길 수 없다는 것이 분명해야 한다.
10. 집합 ΩX= ΩX-s . 만약 Ω = ø이면, 스텝12로 가라 ; 그렇지 않으면 스텝 9로 가라.
코멘트 : s 가 ΩX로부터 제거된 후에 그 결과 ΩX가 공집합이면, 그 방송허브와 분배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경로들이 (x--→ (a, b,......c)) 의 완전한 실현을 위해 결정되어지게 되고, 그 알고리즘은 멈춘다.
s 가 ΩX로부터 제거된 후에 그 결과가 ΩX가 공집합이 아니다라는 것이면, (x--→ (a, b,......c))의 실현은 단지 부분적으로 결정되게되며, 그 알고리즘은 남아있는 (x--→ (a, b,......c))의 부분을 고려하기 위해 스텝9로 돌아간다.
11. (s1, s2, ..... , sk)(a, b, .....c)가 분배 네트워크를 통한 호환경로가 결정된 출력의 서브세트를 표시하도록 하자.
집합 (P1 Si,......Pri Si)의 엘레먼트들이 분배 네트워크를 통한 기존 경로들((s1, s2, ..... , sk)에서 다른 출력들로 이전에 결정된 경로들은 고려하지 말고)과 호환하는 출력 si ε (s1, s2, ..... , sk)으로 분배 네트워크를 통하는 모든 경로들을 표시하도록 하자.
유사하게 집합 (Pls, ...... , Prs)의 엘레먼트들이 분배 네트워크를 통해 기존경로들( (s1, s2, ..... , sk)(a, b, .....c)에서 출력으로의 미리 결정된 경로들은 고려하지 않고)과 호환하는 출력 s 로의 분배 네트워크를 통한 모든 경로들을 표시하도록 하자. 그 결과로 나타나는 경로들의 집합이 상호호환할 수 있도록 경로의 집합 (Pl sl, ..... , Prl sl), (Pl s2, ..... , Pr2 s2), .... , (Pl sk, ..... , Prk sk)(Pl s, ..... , Pr s)각각으로부터 한 경로의 선택을 시도하라. 그러한 통로의 선택이 발견될 수 있다면 그것은 분배 네트워크 연결 입력 x 를 통한 출력 (s1, s2, ..... , sk)(a, b, .....c)로의 연결경로의 새로운 집합을 나타낸다.
출력 si로 분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경로로서 이전에 결정되었던 Psi에서 사용된 각 DIq , 각 si ε (s1, s2, ..... , sk)(a, b, .....c) 에 대해 먼저 첨가하고, 그리고나서 그 분배 네트워크를 통한 출력 si새롭게 선택된 연결경로에서 사용된 DIr 을 삭제함으로서 Γ 를 새롭게한 후에 스텝 10 으로 가라.
그러한 경우의 셀렉션이 발견될 수 없으면, Σ = Σ - Bk 가 되게 하자. 그리고 스텝 5로 가라.
코멘트 ; POi 를 통해 입력 x 로부터 방송허브로의 그리고 Bk 를 통해 제공 네트워크에 있는 경로를 사용할 때 (x--→ (a, b,......c))의 부분적 실현을 위해 알고리즘의 반복에서 미리 결정된 모든 다른 연결경로와 관련하여 출력 s 로 분배 네트워크를 통한 호환하는 연결경로가 있기 때문에 DIq ε Γ은 발견될 수 없다.
(s1, s2, ..... , sk)(a, b, .....c) 는 분배 네트워크를 통한 호환경로가 정해진 출력의 서브세트를 표시한다.
각 si ε (s1, s2, ..... , sk)로의 경로들은 만약 출력 s 로의 경로와 호환하는 선택경로가 발견될 수 있다면 정하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한 상호호환하는 경로집합이 발견될 수 없다면 새로운 Bi = Bk, Bi ε Σ 가 POi 가 연결되는 방송모듈로서 셀렉트되거나, 혹은 새로운 POj = POi, POj ε ΔX가 입력 x 로 부터 방송허브로의 경로로 고려되어져야 한다.
그러한 Bi 혹은 POj 가 이용되지 않으면, 제공 그리고/혹은 분배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경로의 집합과 연결경로가 확립될 수 있는 작동제한이 주어질지라도 (x--→ (a, b,......c))의 완전한 실현이 가능하지 않다.
12. 멈춤. (x--→ (a, b,......c)) 의 완전한 실현이 결정된다.
13. 멈춤. 제공 분배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경로 집합과 연결경로가 확립될 수 있는 작동제한이 주어진 (x--→ (a, b,......c))이 가능하지 않다.
(7--→ (k, p))의 보기에서 단순함을 위해 POR7POAV = POAV, DIRKDIAV = DIAV, DIRPDIAV = DIAV 를 추측해보자.
그러면 그 제어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이 이행할 것이다.
1. 요청된 방송연결 (7--→ (k, p))이 주어졌을 때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그리고,
Figure kpo00004
2.
Figure kpo00005
3.
Figure kpo00006
를 선택하시오.
4.
Figure kpo00007
5.
Figure kpo00008
을 선택하시오.
Figure kpo00009
6.
Figure kpo00010
7.
Figure kpo00011
6.
Figure kpo00012
7.
Figure kpo00013
6.
Figure kpo00014
7.
Figure kpo00015
6.
Figure kpo00016
8.
Figure kpo00017
9. 출력
Figure kpo00018
를 선택하라.
Figure kpo00019
를 셀렉트하라. 여기에서
Figure kpo00020
이다.
DI2 부터 출력 k 로 분배 네트워크를 통한 호환 연결통로가 있다.
Figure kpo00021
10.
Figure kpo00022
9. 출력
Figure kpo00023
를 선택하시오.
Figure kpo00024
를 셀렉트하시오, 여기에서
DI4 ε θP= DI2, DI3, DI4) 이다. DI4 로부터 분배 네트워크를 통해 호환 연결 경로가 있다.
Figure kpo00025
10.
Figure kpo00026
12. 멈춤.
Figure kpo00027
의 완전한 실현이 결정된다. 그것은 연결경로들
Figure kpo00028
Figure kpo00029
Figure kpo00030
Figure kpo00031
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제공, 분배 네트워크의 연결성, 방송허브에 있는 방송모듈의 구조와 링크 드레딩(threading)에 의존한다면 모든 방송지정은 주어진 네트워크에서 실현할 수 있을 없을 것이다.
그러나, 모든 방송지정이 주어진 방송 네트워크에서 실현할 수 있으면, 어떤 요청된 방송연결에 대해 상기 명시된 네트워크 제어 알고리즘은 늘 완전한 실현이라고 하는 결과로 끝날 것이다.
제 23 도는 모든 방송지정이 실현 수 있고, 제어 알고리즘이 늘 어떤 요청된 방송 지정에 대해 완전한 실현을 할 수 있는 방송 링을 활용한 방송 네트워크(1000)를 보여준다.
제공 네트워크(1002)와 분배 네트워크(1004)에서 이행된 연결경로의 어떤 집합이 주어지면, 그 제어 알고리즘은 새로운 방송지정을 실현하거나 그 현재 이행되는 경고의 어떤 혼란도 주지 않고 기존 방송 지정에 추가해야 한다.
이것은 네트워크 제어 알고리즘이 방송 네트워크 구조의 연결가능성을 완전히 활용한다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알고리즘은 그 네트워크의 완전히 새로운 방송지정의 실현에 대해 원근화법으로 설명되었다.
즉, 요청된 방송연결 (x--→ (a, b,......c))이라고 하는 것은 이 방송연결이 요청되기 전에 입력 x 가 어떤 출력으로도 연결되지 않는다고 가정되는 것이다.
대신 그 요청이 그 네트워크에 있는 기존 연결에 하나의 출력을 추가하는 것이었다면 그 알고리즘은 여전히 사용될 수 있고 유사하게 작동할 것이다.
예를 들어 (x--→ (a, b,......c))와 이 방송연결이 합치도록 요청된 출력 d, d ε (a, b, ......, c) 를 가정해보자.
입력 x 로부터 방송 허브로의 연결경로는 벌써 POi 를 통해 확립되었으므로 Γ는 이 POi 에 대해 결정될 것이다.
유사하게 0a, 0b. ......0c, 0d 가 결정될 것이다. 이때 그 알고리즘은 출력 a, b, ...... c 에 대한 현존 연결경로들이 (x--→ (a, b,......c, d))의 부분적 실현을 나타내는 것같이 진행할 것이다. 방송모듈은 log2N 제어라인에 의해 조절되는 N 입력의 어떤 하나로 단 하나의 출력이 연결되도록 허용하는 N:1 멀티플렉서를 사용함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 연결의 셋팅은 직접 멀티플렉서로 연결하는 버퍼(buffer)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버퍼들은 log2N 제어라인에 의해 제어되는 N 출력의 어떤 하나의 단 하나의 입력라인이 연결되도록 허용하는 1:N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를 통해 시리얼 제어라인으로부터 로우드된다.
제 24 도는 4 입력(1, 2, 3, 4로 표시되는) 4 출력(a, b, c, d 로 표시되는)을 가지는 그러한 방송모듈을 그린다.
각 멀티플렉서는 4-입력 1-출력 2-제어라인(1과 0으로 표시되는)을 가진다.
각 멀티플렉서(1010)를 위한 제어정보는 2 비트 버퍼(1011)에 저장된다.
그 버퍼(1011)는 1:4 디-멀티플렉서(1014)를 통해 라인 K 로부터 로우드된다. 그 디-멀티플렉서는 1-입력 4-출력 2-제어라인(1과 0으로 표시되는)을 가진다.
클럭(clock) 라인은 제 24 도에서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제어신호 k 가 클럭신호와 동시에 일어나는 적정 버퍼(1011)로 로우드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로우드되는 버퍼(1011)는 X 와 Y 상의 신호에 의해 결정된다.
그 비트버퍼(1011)가 로우드될 때 (1, 2, 3, 4)로부터 (a, b, c, d)로의 연결이 확립된다.
분명히 1 입력을 1 출력이상으로 방송하는 것은 그 출력들과 관련된 멀티플렉서(1010)를 제어하는 2 비트버퍼(1011)를 단순히 로딩하는 것에 의해 그 입력을 방송하는 것과 관련된 2 비트 2 진수가 덧붙여질 수 있다.
비록 이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을지라도, 그러한 세부사항들은 단순히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변형들이 거기에서 그 기술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이탈함 없이 다음 청구범위에 의해 설명되는 것을 제외하고,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할 것이다.

Claims (35)

  1. N 송신 스테이션을 포함하며 각 송신 스테이션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N 은 정수 ≥ 1 이고 ; M 수신 스테이션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M 은 정수 ≥ 2 이고 ; I 스위칭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I 는 정수 ≥ 0 이고 ; 방송 허브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허브와 I 스위칭 스테이지는 연결되어 N 송신 스테이션을 M 수신 스테이션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N 송신 스테이션의 어느 하나는 신호를 수신 스테이션의 L 로 송신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L 은 정수이고 2≤ L ≤ M 이고, 그러나 각 수신 스테이션은 어떤 수어진 시간에 N 송신 스테이션의 단 하나로부터만 신호를 받을 수 있고, 상기 방송 허브와 스위칭 스테이지가 N 송신 스테이션의 하나 이상을 어떤 주어진 시간에 바람직한 수신 스테이션으로 연결하는 방송 네트워크.
  2. 제 1 항에 있어서, 방송 허브가 방송 벡터인 방송 네트워크.
  3. 제 1 항에 있어서, 방송 허브가 방송 링인 방송 네트워크.
  4. 제 1 항에 있어서, 방송 허브가 방송 하이퍼 링인 방송 네트워크.
  5. P 방송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P≥2이고 정수이며, 각 방송 모듈은 eiq외부입력과, eor외부출력, iis내부출력과, iot내부입력을 가지며, 여기에서 eiq, eor, iis, iot≥1 이고 정수이며, 다른 방송 모듈의 내부입력에 연결되는 N 방송 모듈의 하나의 내부출력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고, 각 방송 모듈은 eiq, iis입력포트의 입력포트를 eor, iot출력포트의 Q로 연결시키는 수단을 가지는데, 여기에서 Q 는 정수이고 1 ≤ Q ≤ eor+ iot이고, 각 출력포트는 하나의 입력포트로만 연결되지만, 그러나 하나이상의 출력포트가 입력포트에 연결될 수 있고, 각 방송 모듈은 eiq, iis, 입력포트들의 입력포트를 eor, iot출력포트의 Q에 연결하는 수단을 가지며, 여기에서 Q 는 정수이고 1 ≤ Q ≤ eor+ iot이고, 각 출력포트는 하나의 입력포트에만 연결되지만, 그러나 하나이상의 출력포트는 입력포트에 연결될 수 있는 방송 벡터.
  6. P 방송 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P ≥ 2 이고 정수이며, 각 방송 모듈은 eiq외부입력, eor외부출력, iis내부입력, iot내부출력을 가지는데, 여기에서 eiq, eor, iis, iot≥ 1 이고 정수이며, 상기 외부입출력은 신호를 방송 링 안팎으로 각각 제공하며, 그러나 그 방송 링에 있는 다른 방송모듈로는 아니고, 상기 내부 입출력은 신호흐름을 그 방송링에 있는 방송 모듈사이로 제공하며, 그 방송 모듈의 iot내부출력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방송 모듈의 iis내부입력의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그 방송 링에 있는 모든 방송 모듈은 iis내부입력중 하나에 연결된 다른 방송 모듈의 내부출력을 가지는 방송 링.
  7. P 방송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P ≥ 3 이고, 정수이고, 각 방송 모듈은 eik외부입력, eok외부출력, iik내부입력, iok내부출력을 가지며, 여기에서 eik, eok, iik, iok≥ 1 이고 정수이며, P 방송 모듈의 하나의 출력중 적어도 하나가 P-1 다른 방송모듈중 적어도 둘의 입력들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고, 그 방송 하이퍼 링에 있는 모든 방송모듈은 그것의 입력의 하나로 연결된 다른 방송모듈의 출력을 가지고 ; 각 방송 모듈은 eiq, iis입력포트의 입력포트를 eor, iot출력포트의 Q 에 연결시키는 수단을 가지며, 여기에서 Q 는 정수이고 1 ≤ Q ≤ eor+ iot이고, 각 출력은 단지 하나의 입력포트로만 연결되고 하나이상의 출력포트가 입력포트에 연결될 수 있으며 ; 그리고 J 스위치를 가지며, 여기에서 J ≥ 0 이고, 상기 방송모듈과 스위치들이 연결되어 eiq입력포트 중 하나에 있는 방송 하이퍼 링으로 입력되는 신호가 eor출력포트의 L 이 있는 방송 하이퍼 링 밖으로 출력될 수 있고, 여기에서 L 은 정수이고 2 ≤ L ≤eor이고, 그러나 각 출력포트가 어떤 주어진 시간에 하나의 외부입력 포트로부터 방송 하이퍼 링으로 입력된 신호를 단지 출력할 수 있고, 상기 방송모듈과 스위칭 스테이지들이 어떤 주어진 시간에 eiq입력포트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바람직한 출력포트로 신호를 보낼 수 있는 방송 하이퍼 링.
  8. 제 7 항에 있어서, 적어도 P 방송모듈중 하나의 iok내부출력중 하나가 P-1 다른 방송모듈의 적어도 둘의 iis내부입력들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고, 그리고 그 방송 하이퍼 링에 있는 모든 방송모듈이 그것의 iis내부입력의 하나에 연결된 다른 방송모듈의 내부출력을 가지는 방송 하이퍼 링.
  9. 제 2 항에 있어서, N 통신 스테이션을 방송 벡터에 연결하는 제공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스테이지가 있는 방송 네트워크.
  10. 제 9 항에 있어서, 그 방송 벡터를 N 수신 스테이션에 연결하는 분배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스위칭 스테이지가 있는 방송 네트워크.
  11. 제 3 항에 있어서, N 송신 스테이션을 방송 링에 연결하는 제공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스테이지가 있는 방송 네트워크.
  12. 제 11 항에 있어서, 방송 링을 N 수신 스테이션에 연결하는 분배 내트워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스위칭 스테이지가 있는 방송 네트워크.
  13. 제 4 항에 있어서, N 송신 스테이션을 방송 하이퍼 링에 연결시키는 제공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스테이지가 있는 방송 네트워크.
  14. 제 12 항에 있어서, 방송 하이퍼 링을 N 수신 스테이션에 연결하는 분배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 스위칭 스테이지가 있는 방송 네트워크,
  15. 제 2 항에 있어서, 방송 벡터는 P 방송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P≥2 이고 정수이며, 각 방송 모듈은 eiq외부입력, eor외부출력, iis내부출력, iot내부입력을 가지며, 여기에서 eiq, eor, iis, iot≥ 1 이고 정수이고, N 방송모듈의 하나의 내부출력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방송 모듈의 내부입력에 연결되고, eiq, iis입력포트의 입력포트를 eor, iot출력포트의 Q 에 연결하는 수단을 가지며, 여기서는 Q 는 정수이고, 1 ≤ Q ≤ eor+ iot이고, 각 출력포트는 단지 하나의 입력포트에만 연결되고 그러나 하나이상의 출력포트가 일 입력포트에 연결될 수 있는 방송 네트워크.
  16. 제 3 항에 있어서, 방송 링은 P 방송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P ≥ 2 이고 정수이고, 각 방송모듈은 eiq외부입력, eor외부출력, iis내부입력, iot내부출력을 가지며, 여기에서 eiq, eor, iis, iot≥ 1 이고 정수이고, 상기 외부입출력은 방송 링 안팎으로 신호를 각각 제공하고, 그러나 방송링에 있는 따른 방송모듈로는 하지 않고, 상기 내부입출력은 그 방송링에 있는 방송 모듈 사이에 신호흐름을 제공하고, 그 방송모듈의 iot내부출력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방송모듈의 iis내부입력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고, 그 방송 링에 있는 모든 방송모듈은 그것의 iis내부 입력중 하나에 연결된 다른 방송모듈의 일 내부출력을 가지며, 각 방송 모듈은 eiq, iis입력포트들의 입력포트를 eor, iot출력포트들의 Q 에 연결하는 수단들을 가지며, 여기에서 Q는 정수이고, 1 ≤ Q ≤ eor+ iot이고, 각 출력포트는 단지 하나의 입력포트에만 연결될 뿐이고 그러나 하나이상의 출력포트는 입력포트에 연결될 수 있는 방송 네트워크.
  17. 제 4 항에 있어서, 방송 하이퍼 링은 P 방송모듈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P≥3 이고 정수이고, 각 방송모듈은 eik외부입력, eok외부출력, iik내부입력, iok내부출력을 가지며, 여기에서 eik, eok, iik, iok≥ 1 이고 정수이고, P 방송모듈의 하나의 출력들중 적어도 하나가 P -1 다른 방송 모듈중 적어도 둘의 입력들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그리고 그 방송 하이퍼 링에 있는 모든 방송모듈은 그의 입력들 중 하나에 연결된 다른 방송모듈의 출력을 가지고 : 각 방송 모듈은 eiq, iis입력포트들의 입력포트를 eor, iot출력포트들의 Q 에 연결하는 수단들을 가지고 여기에서 Q 는 정수이고 1 ≤ Q ≤ eor+ iot이고, 각 출력은 단지 하나의 입력포트에만 연결되고 그러나 하나 이상의 출력포트가 입력포트에 연결될 수 있으며 ; J 스위치들은 J ≥ 0 이고, 상기 방송모듈과 스위치들은 연결되어 eiq입력포트들 중 하나에 있는 방송 하이퍼 링으로 입력된 신호는 eor출력포트의 L 에 있는 방송 하이퍼 링의 밖으로 출력될 수 있고, 여기에서 L 은 정수이고 2 ≤ L ≤ eor이고, 그러나 각 출력포트는 어떤 주어진 시간에 하나의 외부입력 포트로부터 방송 하이퍼 링으로 입력된 신호를 단지 출력할 수 있을 뿐이고, 상기 방송 모듈과 스위칭 스테이지 들은 어떤 주어진 시간에 하나 이상의 eiq입력포트들로부터 바람직한 출력포트로 신호를 보낼수 있는 방송 네트워크.
  18. 제 17 항에 있어서, P 방송모듈중 하나의 iok내부출력들중 적어도 하나가 P-1 다른 방송모듈들의 적어도 둘의 iis내부입력들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고, 그리고 그 방송 하이퍼 링에 있는 모든 방송모듈이 그의 iis내부출력들중 하나에 연결된 다른 방송모듈의 내부출력을 가지는 방송 하이퍼 링.
  19. 제 15 항에 있어서, N 송신 스테이션을 방송 벡터에 연결하는 제공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스테이지가 있는 방송 네트워크.
  20. 제 19 항에 있어서, 방송 벡터를 N 수신 스테이션에 연결하는 분배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스위칭 스테이지가 있는 방송 네트워크.
  21. 제 16 항에 있어서, N 송신 스테이션을 방송 링에 연결하는 제공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스테이지가 있는 방송 네트워크.
  22. 제 21 항에 있어서, 방송 링을 N 수신 스테이션에 연결하는 분배 내트워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스위칭 스테이지가 있는 방송 네트워크.
  23. 제 18 항에 있어서, N 송신 스테이션을 방송 링에 연결하는 제공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스테이지가 있는 방송 네트워크.
  24. 제 23 항에 있어서, 방송 링을 N 수신 스테이션에 연결하는 분배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 스위칭 스테이지가 있는 방송 네트워크.
  25. 제 5 항에 있어서, 그곳으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P 방송모듈에 연결된 제공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방송 벡터.
  26. 제 25 항에 있어서, 그곳으로부터 신호를 옮기기 위해 P 방송모듈에 연결된 분배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방송 벡터.
  27. 제 6 항에 있어서, 그곳으로부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P 방송모듈에 연결된 제공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방송 링.
  28. 제 27 항에 있어서, 그곳으로부터 신호를 옮기기위해 P 방송모듈에 연결된 분배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방송 링.
  29. 제 7 항에 있어서, 그곳으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P 방송모듈에 연결된 제공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방송 하이퍼 링.
  30. 제 29 항에 있어서, 그곳으로부터 신호를 옮기기위해 P 방송모듈에 연결된 분배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방송 하이퍼 링.
  31. 제 1 방송모듈이 제 1 그리고 적어도 제 2 입력포트 그리고 제 1 그리고 적어도 제 2 출력포트를 가지고 ; 적어도 제 2 방송모듈이 제 1 그리고 적어도 제 2 입력포트와 제 1 그리고 적어도 제 2 출력포프를 가지며, 상기 제 2 방송모듈의 상기 제 2 입력포트는 상기 제 1 방송모듈의 상기 제 2 출력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방송모듈의 상기 제 2 입력 포트는 상기 제 2 방송모듈의 상기 제 2 출력포트에 연결되며, 각 방송모듈은 그위 입력포트중 하나를 그의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출력포트에 연결하는 수단을 가지며, 그러나 각 방송모듈의 출력포트는 그의 단지 하나의 입력포트에만 연결되며 ; 적어도 제 1 제공스위치가 제 1 그리고 적어도 제 2 입력포트와 제 1 그리고 적어도 제 2 출력포트를 가지고, 상기 제공스위치의 상기 제 1 출력포트는 상기 제 1 방송모듈의 상기 제 1 입력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공스위치 상기 제 2 출력포트는 상기 제 2 방송 모듈의 상기 제 1 입력포트에 연결되고 ; 그리고 적어도 제 1 분배스위치는 제 1 그리고 적어도 제 2 입력포트와 제 1 그리고 적어도 제 2 출력포트를 가지고, 상기 제 1 방송모듈의 상기 제 1 출력포트는 상기 분배스위치의 상기 제 1 입력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방송모듈의 상기 제 1 출력포트는 상기 분배스위치의 상기 제 2 입력포트에 연결되는 방송네트워크,
  32. 제 31 항에 있어서, 제 1 입력포트 그리고 적어도 제 2 입력포트와 제 1 출력포트 그리고 적어도 제 2 출력포트를 가지는 제 3 방송모듈을 포함하고 ; 여기에서 제 1 방송 모듈이 제 3 방송모듈의 제 2 출력포트에 연결된 적어도 제 3 입력포트를 가지고, 여기에서 제 2 방송모듈이 제 3 방송모듈의 제 2 입력 포트에 연겨로딘 적어도 제 3 출력포트를 가지고, 여기에서 제 1 제공스위치는 적어도 제 3 입력포트와 적어도 하나의 제 3 출력포트를 가지고, 그 제 3 출력포트는 제 3 방송모듈의 제 1 입력 포트에 연결되고 ; 그리고 여기에서 제 1 분배 스위치는 적어도 제 3 입력포트 그리고 적어도 제 3 출력포트를 가지고 그 제 3 입력포트는 제 3 방송 모듈의 제 1 출력포트에 연결되는 방송 네트워크.
  33. 제 32 항에 있어서, 제 3 방송모듈이 적어도 제 3 입력 그리고 적어도 제 3 출력을 가지고 ; 여기에서 제 1 방송모듈이 제 3 방송모듈의 제 3 입력포트에 연결된 제 3 출력포트를 가지고 ; 그리고 여기에서 제 2 방송모듈이 제 3 방송모듈의 제 3 출력포트에 연결된 적어도 제 3 입력포트를 가지는 방송 네트워크.
  34. 제 31 항에 있어서, 제 2 방송 모듈이 적어도 제 3 출력포트 그리고 제 3, 4 입력포트를 가지고 ; 제 1 방송 모듈이 적어도 제 3 입력포트와 적어도 제 3 출력포트를 가지고 ; 제 1 제공 스위치가 제 3 그리고 적어도 제 4 입력포트와 제 3 그리고 적어도 제 4 출력포트를 가지며 ; 제 1 분배스위치는 제 3 그리고 적어도 제 4 출력포트와 제 3 그리고 적어도 제 4 입력포트를 가지고 ; 그리고 제 3 방송 모듈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제 1 제공 스위치의 제 3 출력 포트에 연결된 제 1 입력포트, 제 1 방송모듈의 제 3 출력포트에 연결된 제 2 입력포트, 그리고 적어도 제 3 입력포트를 가지며 ; 그리고 제 1 출력포트는 제 1 방송모듈의 제 3 입력포트에 연결되고, 제 2 출력포트는 제 1 분배 스위치의 제 3 입력포트에 연결되고, 제 3 출력포트는 제 2 방송모듈의 제 4 입력포트에 연결되고 제 4 출력포트가 있으며 ; 그리고 제 4 방송모듈을 포함하고, 제 4 방송 모듈은 제 1, 제 2, 그리고 적어도 제 3 입력포트를 가지며, 이것들은 제공스위치의 제 4 출력포트, 제 2 방송모듈의 제 3 출력포트 그리고 제 3 방송모듈의 제 4 출력포트에 각각 연결되고, 제 1, 제 2,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 3 출력포트는 제 1 분배 스위치의 제 4 입력포트, 제 2 방송모듈의 제 3 입력포트 그리고 제 3 방송모듈의 제 3 입력 포트에 각각 연결되는 방송 네트워크.
  35. 제 34 항에 있어서, 제 2 방송모듈은 적어도 제 4 출력포트를 가지고, 제 3 방송모듈은 적어도 제 4 입력포트를 가지고 그 제 4 입력포트는 제 2 방송모듈의 제 4 출력포트에 연결되고 ; 여기에서 제 1 방송모듈은 적어도 제 4 입력포트와 적어도 제 4 출력포트를 가지고 ; 여기에서 제 4 방송모듈은 제 4 입력 포트와 제 4 출력포트를 가지는데 이것들은 각각 제 1 방송모듈의 제 4 출력포트와 제 4 입력포트로 연결되는 방송 네트워크.
KR1019890014772A 1988-10-14 1989-10-14 방송네트워크 KR0142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258,217 US4975909A (en) 1988-10-14 1988-10-14 Broadcast network
US258,217 1988-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198A KR900007198A (ko) 1990-05-09
KR0142190B1 true KR0142190B1 (ko) 1998-08-17

Family

ID=2297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4772A KR0142190B1 (ko) 1988-10-14 1989-10-14 방송네트워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75909A (ko)
EP (1) EP0363822B1 (ko)
JP (1) JP3088430B2 (ko)
KR (1) KR0142190B1 (ko)
CA (1) CA1318383C (ko)
DE (1) DE68927844T2 (ko)
ES (1) ES210084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10198A1 (en) * 1990-01-05 1991-07-11 Maspar Computer Corporation Router chip with quad-crossbar and hyperbar personalities
US5321813A (en) * 1991-05-01 1994-06-14 Teradata Corporation Reconfigurable, fault tolerant, multistage interconnect network and protocol
US5451936A (en) * 1991-06-20 1995-09-19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Non-blocking broadcast network
US5276425A (en) * 1991-11-19 1994-01-04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for broadcasting in Clos switching networks by limiting the number of point-to-multipoint connections
US20040264448A1 (en) * 2003-06-30 2004-12-30 Wise Jeffrey L Cross-coupled bi-delta network
WO2005048500A2 (en) * 2003-10-30 2005-05-26 Teak Technologies Inc., Nonblocking and deterministic multicast packet scheduling
US9386327B2 (en) * 2006-05-24 2016-07-05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Secondary content insertion apparatus and methods
US8280982B2 (en) 2006-05-24 2012-10-02 Time Warner Cable Inc. Personal content server apparatus and methods
US8024762B2 (en) 2006-06-13 2011-09-20 Time Warner Cab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content over a network
US8181206B2 (en) 2007-02-28 2012-05-15 Time Warner Cable Inc. Personal content server apparatus and methods
US9503691B2 (en) 2008-02-19 2016-11-22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ed advertising and promotional delivery in a network
US20110264530A1 (en) 2010-04-23 2011-10-27 Bryan Santangelo Apparatus and methods for dynamic secondary content and data insertion and delivery
US20140282786A1 (en) 2013-03-12 2014-09-18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uploading content to personalized network storage
JP6859672B2 (ja) * 2016-11-16 2021-04-14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障害検出方法
US11403849B2 (en) 2019-09-25 2022-08-02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characterization of digital content
US11874793B2 (en) 2022-03-30 2024-01-16 Arm Limited Broadcast hub for multi-processor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7112B2 (ja) * 1983-12-23 1995-07-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ネツトワ−クシステム
US4742511A (en) * 1985-06-13 1988-05-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packets in a multinode computer interconnect network
CA1252168A (en) * 1985-07-24 1989-04-04 Kenneth A. Bobey Communications network
JPS6276840A (ja) * 1985-09-30 1987-04-08 Hitachi Ltd ノ−ド装置
US4797882A (en) * 1985-10-02 1989-01-10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Mesh-based switching network
US4719625A (en) * 1986-03-24 1988-01-12 Unisys Corporation Method of recovering from transmission errors in a local area network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lence on all network po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27844T2 (de) 1997-06-19
EP0363822A2 (en) 1990-04-18
US4975909A (en) 1990-12-04
EP0363822A3 (en) 1991-02-06
ES2100842T3 (es) 1997-07-01
JPH02154547A (ja) 1990-06-13
JP3088430B2 (ja) 2000-09-18
KR900007198A (ko) 1990-05-09
DE68927844D1 (de) 1997-04-17
EP0363822B1 (en) 1997-03-12
CA1318383C (en) 199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2190B1 (ko) 방송네트워크
US5200746A (en) Switching module for digital cross-connect systems
CA1236553A (en) Rearrangeable full availability multistage switching network with redundant conductors
US4038638A (en) Efficient rearrangeable multistage switching networks
KR970702678A (ko) 광통신 네트워크 및 그 작동방법(optical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5898676A (e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conference unit for carrying out conferences
KR20000018285A (ko) 광회선 분배기
JPH01151395A (ja) 電気通信ディジタル交換方法及びその変換機
US5469001A (en) Switch network
EP0898440A2 (en) Optical switch module
CN100539736C (zh) 包含其中单级矩阵具有一级克洛斯网络的多级克洛斯网络的光交叉连接
US6728807B1 (en) Using switch fabric blades in a modular network to connect port plates
US3870955A (en) Emergency switching equipment for broadband transmission
JP3683499B2 (ja) ネットワークに使用する狭義に無閉塞な波長分割多重(wdm)交差接続装置
US6064127A (en) Switch network
JPH05219089A (ja) 効率的なシングル・ホップ指向性多重チャネル・システム
US3746796A (en) Telecommunication exchange switching network for four wire switching
US3549815A (en) Matrix control selection system
US3657486A (en) Time division multiplex pax of the four wire type
US3542970A (en) Crossbar switching system with relatively uniform growth characteristics
KR960002847B1 (ko) 시분할과 공간분할을 혼합한 자기루팅 방식의 혼성상호접속망
Kim et al. Multirate broadcast switching networks nonblocking in a wide sense.
US4833669A (en) Circuitry for connecting multistage coupling fields and intermediate lines
US6999412B2 (en) Method of operating a data transmission network
KR960000161B1 (ko) 시분할과 공간분할을 혼합한 혼성상호접속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