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030B1 - 음극선관의 러그 부착방법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러그 부착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030B1
KR0142030B1 KR1019940024647A KR19940024647A KR0142030B1 KR 0142030 B1 KR0142030 B1 KR 0142030B1 KR 1019940024647 A KR1019940024647 A KR 1019940024647A KR 19940024647 A KR19940024647 A KR 19940024647A KR 0142030 B1 KR0142030 B1 KR 0142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
explosion
panel
proof band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4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현
Original Assignee
엄길용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길용,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길용
Priority to KR1019940024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20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030B1/ko

Link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과의 개선된 러그 부착방법을 개시한다.
종래에는 러그의 용접시 방폭밴드에 생성되는 너겟이 패널에 압착되어 크랙을 유발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러그의 용접부에 대응하는 방폭밴드의 내측면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너겟이 패널과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패널의 크랙발생을 방지하였다(제4도)

Description

음극선관의 러그 부착방법
제1도는 음극선관이 화상장치내에 장착된 상태를 보이는 부분 절단 측면도,
제2도는 종래 러그 부착방법의 일례를 보이는 발췌 평면도,
제3도는 종래 러그 부착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발췌 측단면도,
제4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러그 부착방법들을 보이는 발췌 측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B : 방폭밴드(防爆 band) R : (방폭밴드의) 오목부
N : (방폭밴드의) 돌출부 L : 러그(lug)
P : 패널(panel) K : (패널의) 스커어트(skirt)
본 발명은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제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음극선관을 화상장치내에 고정하기 위한 러그(lug)의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서, 음극선관(T)이 완성되고 나면 이는 TV나 모니터(monitor) 등을 구성할 화상장치(S)내에 장착되어 소정의 제품을 구성하게 된다. 이에따라 음극선과(T)의 패널(panel: P)스커어트(skirt: K) 네 모서리에는 이를 화상장치(S)내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러그(L)가 구비된다.
이와같은 러그(L)는 통상 대기압에 의한 음극선과의 폭축(implosion)을 방지하는 방폭밴드(防爆 band: B)에 의해 패널(P)에 부착된다. 방폭밴드(B)가 열수측(shrinkage)방식일 경우에는 이에 용접으로 부착되고, 인장(tension)방식일 경우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러그(L)의 고정부(D)가 이와 패널(P)사이에 개재되어 방폭밴드(B)의 인장력에 의해 부착된다.
그런데 후자의 경우 러그(L)의 두께로 인해 그 양측으로 패널(P) 스커어트(K)의 방폭밴드(B)간에 갭(gap. G)이 발생되어, 인장력 작용의 불균형에 의한 응력집중으로 국부적 충격에 의해 폭축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따라 인장방식 방폭밴드(B)에 있어서도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패널(P) 스커어트(K)에 방폭밴드(B)를 밴딩한 뒤 이에 러그(L)를 스포트(spot)용접하여 부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부착방법은 밴딩된 방폭밴드(B)에 러그(L)를 용접하는 것이므로 방폭밴드(B)의 용접 너겟(nugget)이 패널(P) 스커어트(K)에 압착된다. 이로인해 패널(P)에 크랙(crack)이 유발되고, 이 크랙이 방폭밴드(B)의 인장력에 의해 점차 확산되어 충격에 의해 음극선과(T)이 폭축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러그의 용접에 의해 방폭밴드의 너겟이 압착되어 패널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극선관의 러그 부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러그 부착방법은, 패널의 외주에 밴딩되는 방폭밴드의 내측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오목부에 대응하는 방폭밴드의 외면에 러그를 용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방폭밴드의 소정부위를 외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오목부를 형성하고, 돌출된 부위에 러그를 용접한다.
이에따라 본 발명은 러그의 용접에 의한 너겟이 방폭밴드의 오목부에 의해 패널에 접촉하지 않게 되어 패널의 크랙발생이 방지되므로 음극선관의 신뢰성 향상에 큰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제4도에서, 본 발명에 의한 음극선관의 러그 부착방법은 방폭밴드(B)의 소정부위의 내측면에 오목부(R)를 형성하고 패널(P)의 스커어트(K) 외주에 밴딩한다. 오목부(R)는 방폭밴드(B)의 표면으로부터 소정깊이 인입하여 형성하는데, 그 크기는 후술한 러그(L)와의 용접점들을 포괄할 수 있는 범위로 적절히 설정된다.
다음 오목부(R)에 대응하는 방폭밴드(B)의 외측면에 러그(L)의 고정부(D)를 접촉시킨 뒤, 스포트 용접함으로써 러그(L)를 방폭밴드(B)에 부착한다. 이때 용접부위에 대응하는 방폭밴드(B)에는 용접에 의한 너겟이 형성되는데, 이는 본 발명오목부(R)에 의해 이격되어 패널(P)의 스커어트(K)에 압착되지 않는다. 즉 오목부(R)가 러그(L)와의 너겟과패널(P)의 스커어트(K)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므로 오목부(R)에 생성된 너겟이 패널(P)의 스커어트(K)에 압착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에따라 종래와 같이 패널(P)에 크랙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한편 제5도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전술한 실시예의 오목부(R')가 방폭밴드(B')의 소정부위를 외측방으로 소정높이 돌출시킨 돌출부(N)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러그(L)의 고정부(D)를 돌출부(N)에 용접하게 되는데, 이에따라 러그(L)의 부착위치가 명확히 구분되므로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용접작업이 훨씬 용이해진다. 이 실시예의 다른 작용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러그의 용접시 방폭밴드에 생성되는 너겟에 의한 패널의 크랙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제조불량률 감소와 신뢰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음극선관을 화상장치내에 장착하기 위한 러그를 부착하는 방법에 있어서, 패널의 외주에 밴딩되는 방폭밴드의 내측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상기 방폭밴드의 외면에 상기 러그를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러그 부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상기 방폭밴드의 소정부위를 외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하고, 돌출된 부위에 상기 러그를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러그 부착방법.
KR1019940024647A 1994-09-29 1994-09-29 음극선관의 러그 부착방법 KR0142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4647A KR0142030B1 (ko) 1994-09-29 1994-09-29 음극선관의 러그 부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4647A KR0142030B1 (ko) 1994-09-29 1994-09-29 음극선관의 러그 부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2030B1 true KR0142030B1 (ko) 1998-06-01

Family

ID=1939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4647A KR0142030B1 (ko) 1994-09-29 1994-09-29 음극선관의 러그 부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203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2030B1 (ko) 음극선관의 러그 부착방법
US4990825A (en) Cathode ray tube having stress resistant frame
US3777057A (en) Cathode ray tubes
KR950007951B1 (ko) 음극선관용 전방조립체
JPS6035953Y2 (ja) 防爆形陰極線管
EP0881659B1 (en) Color cathode-ray tube
JPH0719549B2 (ja) 陰極線管
KR0133813Y1 (ko) 음극선관의 방폭밴드
US5568010A (en) Cathode ray tube with improved yoke clamp
JP3064933B2 (ja) 陰極線管
KR960004346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어셈블리
KR200147979Y1 (ko) 브라운관의 러그
KR0151062B1 (ko) 음극선관 보강용 밴드
KR100318556B1 (ko) 편평형음극선관
KR0177114B1 (ko) 음극선관 지지방법 및 방폭밴드
JPH0680578B2 (ja) 陰極線管の偏向ヨ−ク取り付け方法
JPH0850860A (ja) カラー陰極線管
JPH0828195B2 (ja) 陰極線管
KR200200877Y1 (ko) 새도우마스크의프레임결합구조
KR950000929Y1 (ko) 전자총의 조립위치 고정부가 마련된 음극선관
KR100347224B1 (ko) 컬러 수상관의 색선별전극 지지 구조
JPS58126647A (ja) 防爆型陰極線管
JPH07240160A (ja) 防爆型陰極線管
KR100369975B1 (ko) 평면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및 이의 고정 방법
KR100192372B1 (ko) 음극선관용 베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