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418B1 -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418B1
KR0141418B1 KR1019940026450A KR19940026450A KR0141418B1 KR 0141418 B1 KR0141418 B1 KR 0141418B1 KR 1019940026450 A KR1019940026450 A KR 1019940026450A KR 19940026450 A KR19940026450 A KR 19940026450A KR 0141418 B1 KR0141418 B1 KR 0141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altitude
distance
sea
projection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6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893A (ko
Inventor
이봉훈
Original Assignee
황해웅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해웅,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황해웅
Priority to KR1019940026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1418B1/ko
Publication of KR960014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4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4Interpretation of pictures
    • G01C11/06Interpretation of pictures by comparison of two or more pictures of the same area
    • G01C11/12Interpretation of pictures by comparison of two or more pictures of the same area the pictures being supported in the same relative position as when they were taken
    • G01C11/24Interpretation of pictures by comparison of two or more pictures of the same area the pictures being supported in the same relative position as when they were taken with optical-mechanical pro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와 레이저 인프레드 업서베이션 소자를 이용하여 해상 폭발고도를 정확히 측정하고, 탄의 폭발점과 해면위치를 컴퓨터 그래픽으로 자동 식별할 수 있게 하여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도록한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전자광학 트래킹 시스템에 의한 해상 폭발고도 측정은 기상조건에 취약하고, 탄의 사거리가 짧은 경우에 측정이 곤란하며, 자료처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운용이 복잡해지는 결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기준대의 실제크기, 비디오 카메라와 기준대까지의 실제거리 및 화면상의 기준대 화상크기를 측정하여 그로부터 투영평면 특성인자인 투영면까지의 거리를 구하고, 탄의 폭발시 비디오 카메라와 폭발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초기폭발 디지털 영상신호의 폭발점 및 해면의 위치좌표를 찾아 그로부터 화면상의 폭발고도를 구하고, 상기 투영면까지의 거리, 폭발지점까지의 거리 및 화면상의 폭발고도로부터 해상 폭발고도를 연산하게 함으로써 기상조건 및 사거리에 제약받지 않고 해상 폭발고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 실시간처리가 가능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기능블록도.
제2도는 제1도 투영평면 특성인자 획득장치의 기능상세블록도.
제3도는 제2도 기준대의 구조설명도.
제4도는 제1도 폭발화상 데이터 획득장치의 기능상세블록도.
제5도는 제1도 영상신호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장치의 기능상세블록도.
제6도는 제1도 기준데이터 입력장치의 기능상세블록도.
제7도는 제1도 시험탄 폭발고도 데이터 입력장치의 기능상세블록도.
제8도는 제1도 폭발고도 연산장치의 기능상세블록도.
제9도는 제1도 출력장치의 기능상세블록도.
제10도는 투영평면 특성인자 계산원리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영평면 특성인자 획득장치2 : 폭발화상 데이타 획득장치
3 : 영상신호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장치4 : 기준데이타 입력장치
5 : 시험탄 폭발고도 데이타 입력장치6 : 폭발고도 연산장치
7 : 출력장치
본 발명은 해상에서 작동되는 신관의 폭발고도(Height of Burst)를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 카메라와 레이저 인프레드 업서베이션 소자(Laser Infrared Observation Device)를 이용하여 해상 폭발고도를 정확히 측정하고, 탄의 폭발점과 해면위치를 컴퓨터 그래픽으로 자동 식별할 수 있게 하여 실시간 처리를 가능하도록 한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상 폭발고도란 해상의 임의 높이에서 신관이 작동되었을 때에 폭발점과 해면과의 최소거리로 신관의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인자이다.따라서 신관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폭발고도를 정확히 측정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해상 폭발고도는 전자광학 트래킹 시스템(Electronic Optical Tracking System)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지만, 그 전자광학 트레킹 시스템에 의한 해상 폭발고도 측정은 해무나 우천같은 기상조건에 취악하고, 탄의 사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측정 곤란하며, 자료처리에 장시간이 소요되고, 운용인력 및 필름현상등에 과다하게 예산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물체의 각점을 2차원 평면상에 투영시켜 나타내는 투시도법을 이용하고, 비디오 카메라와 레이저 인프레드 업서베이션 소자로서 기상조건 및 사거리에 제약받지 않고 해상 폭발고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 폭발점과 해면위치를 컴퓨터 그래픽으로 자동 식별하여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도록 창안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기능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Reference)대의 설치에 의해 투영평면의 스케일(Scale)특성을 나타내는 투영평면 특성인자(Camera Effective Focal Length)를 획득하기 위한 투영평면 특성인자 획득장치(1)와, 탄의 폭발시 폭발화상을 한 화면상으로 획득하는 폭발화상 데이타 획득장치(2)와, 상기 폭발화상 데이타 획득장치(2)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 처리하는 영상신호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장치(3)와, 상기 투영평면 특성인자 획득장치(1)에 의한 기준대의 실제크기, 기준대-비디오 카메라 사이의 실제거리 및 기준대의 화상크기등의 투영평면 특성인자를 컴퓨터에 입력시키는 기준데이타 입력장치(4)와, 상기 폭발화상 데이타 획득장치(2)에 의한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폭발점까지의 측정거리를 컴퓨터에 입력시킴과 아울러 상기 영상신호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장치(3)의 출력데이타로부터 폭발점의 위치좌표 및 해면의 위치좌표를 입력시키는 시험탄 폭발고도 데이타 입력장치(5)와, 상기 기준데이타 입력장치(4)로부터 입력되는 투영평면 특성인자 데이타와 상기 시험탄 폭발고도 데이타 입력장치(5)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카메라-폭발지점의 사거리, 폭발점 및 해면의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해상 폭발고도를 연산하는 폭발고도 연산장치(6)와, 상기 폭발고도 연산장치(6)로부터 연산된 폭발고도를 컴퓨터 화면에 표시함과 아울러 프린터등에 출력하는 출력장치(7)로 구성한다.
제2도는 제1도 투영평면 특성인자 획득장치(1)의 기능상세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영평면 특성인자를 구하기 위하여 별도의 기준대를 설계하여 설치하고, 상기 기준대의 실제높이를 측정함과 아울러 기준대와 비디오 카메라 사이의 실제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기준대의 영상을 획득하게 구성한다.
상기에서 기준대는 제3도와 같이 시스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그의 크기를 예상 폭발고도(He) ±½He이 되도록 하고, 상기 기준대의 상부 및 하부에 있는 삼각형 부분은 흰색으로 도색하여, 그 기준대의 촬영영상이 디지탈 화상으로 나타날 때 그의 윤곽이 뚜렷이 나타나도록 하며, 상기 기준대는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3개의 지선을 사용하여 설치한다.
또한, 기준대와 이를 촬영할 비디오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실제 폭발장면을 촬영하게 되는 거리와 유사하도록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기준대의 실제크기, 기준대와 비디오 카메라 사이의 실제거리를 측정하고, 시험전에 촬영한 기준대가 디지탈 화상(투영평면)에 나타났을 때의 기준대 화상크기를 측정한 후 그를 이용하여 투영평면의 스케일 특성을 나타내는 투영평면 특성인자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제4도는 제1도 폭발화상 데이타 획득장치(2)의 기능상세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험탄을 분류하고, 폭발영상을 촬영하고 녹화하여 폭발화상을 획득함과 아울러 폭발지점과 비디오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게 구성한다.
먼저, 각 시험탄을 구분, 분류하기 위해서 폭발화상을 획득하기 전에 음성에 의하여 시험탄 고유번호를 입력하고, 이후 비디오 카메라 촬영범위에 폭발화상이 포착되도록 방향과 배율을 조정하여 놓은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여 폭발시간의 소정시간(일예로 15초)전부터 촬영/녹화를 시작한다. 또한 폭발화상 획득과 동시에 폭발지점과 비디오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레이저 업서베이션 소자에 의해 측정하는데, 이 장비는 탄의 폭발시 파편비산으로 형성되는 물기둥을 감지하여 거리를 구하게 된다.
제5도는 제1도 영상신호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장치(3)의 기능상세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화 비디오 테이프를 재생하여, 그 재생신호에서 시험탄 분류번호 신호를 분류하여 폭발고도 측정이 필요한 시험탄을 분류하고, 이후 필드(Field) 관측용 브이씨알(VCR)의 조그/셔틀을 사용하여 상기 재생영상신호로부터 초기 폭발장면을 1필드 단위의 화상으로 검색하게 되며, 이러한 검색을 통하여 획득된 초기 아날로그 폭발영상신호를 컴퓨터에 내장된 이미지 프로세싱 보드(Image Processing Board)에 인가하여 컴퓨터에서 화상을 분석처리할 수 있는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하며, 이 변환된 디지탈 화상을 컬러 모니터에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제6도는 제1도 기준데이타 입력장치(4)의 기능상세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영평면 특성인자 획득장치(1)에 의해 측정된 기준대 실제크기 및 기준대-비디오 카메라 사이의 실제거리를 컴퓨터에 입력하고, 기준대의 비디오 카메라 녹화 테이프를 브이씨알에 의해 재생하면서 얻은 기준대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이미지 프로세싱 보드에 입력하여 디지탈 화상으로 변환시키며, 이 디지탈로 변환된 화상에서 커서를 이동시켜 기준대의 화상크기를 컴퓨터에 입력시키며, 상기 기준대의 실제크기, 기준대-비디오 카메라 사이의 실제거리, 기준대의 화상크기를 이용하여 투영평면 특성인자를 구하게 구성한다.
제7도는 제1도 시험탄 폭발고도 데이타 입력장치(5)의 기능상세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발화상 데이타 획득장치(2)에 의해 측정된 비디오 카메라에서 폭발지점까지의 거리를 컴퓨터에 입력하고, 영상신호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장치(3)에 의해 컴퓨터 화면에 나타난 폭발초기 디지탈 화상으로부터 마우스를 이용하여 폭발화염부근에 사각게이트를 설정한 후 폭발점을 결정하고, 또한 폭발초기 디지탈 화상으로부터 마우스를 이용하여 파편 비산으로 형성된 물기둥 부근에 사각게이트를 설정한 후 해면위치를 결정하게 구성한다.
제8도는 제1도 폭발고도 연상장치(6)의 기능상세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험탄 분류번호신호에 의해 구분된 시험탄에 대하여, 기준데이타 입력장치(4)로부터 입력되는 투영평면 특성인자 데이타와, 시험탄 폭발고도 데이타 입력장치(5)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카메라-폭발지점 사이의 거리, 폭발점 및 해면의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컴퓨터에서 해상폭발고도를 연산하게 구성한다.
제9도는 제1도 출력장치(7)의 기능상세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발고도 연산장치(6)로부터 해상 폭발고도값을 입력받아 폭발고도 개별값, 폭발고도 평균값 및 폭발고도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컴퓨터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각 값의 자료를 프린터에 출력하여 인쇄하고, 아울러 디스켓에 저장하여 이후 검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0도는 투영평면 특성인자 계산원리 설명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영평면 특성인자 획득장치(1)로부터 측정되는 비디오 카메라와 기준대까지의 실제거리를 S라 하고, 기준대의 실제높이를 R이라 하며, 비디오 카메라의 촬영에 의해 투영평면인 화면상에 나타난 기준대의 화상크기를 r이라 하면, 투영평면 특성인자인 비디오 카메라에서 투영면까지의 거리를 d라 할 때, 그 비디오 카메라에서 투영면까지의 거리(d)는 하기의 식(1)과 같이 구해진다.
------(1)
결국, 기준데이타 입력장치(4)에 의해 비디오 카메라와 기준대까지의 실제거리(S)값 및 기준대의 실제높이(R)값을 컴퓨터에 입력시키고, 또한 비디오 카메라의 촬영에 의한 기준대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이미지 프로세싱 입력보드에 입력하여 디지탈 화상으로 변환시키고, 그 디지탈 화상에서 커서의 이동에 의해 기준대의 화상크기(R)를 컴퓨터에 입력시키게 되면, 상기의 식 (1)과 같이 투영평면 특성인자인 투영면까지의 거리(d)를 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폭발화상 데이타 획득장치(2)에서는 비디오 카메라의 촬영범위에 폭발화상이 포착되도록 그의 방향과 배율을 조정하여 놓은 상태에서 시험탄의 폭발 소정시간 전부터 촬영하여 녹화함으로써 폭발화상을 얻게 되고, 또한 이때 시험탄의 폭발시 파현비산으로 형성되는 물기둥을 레이저 업서베이션소자로 감지함으로써 폭발지점과 비디오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폭발지점과 비디오 카메라 사이의 거리측정시 발생되는 오차에 의해 해상 폭발고도 측정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은 약 2∼3㎝로서, 탄의 시험에서 요구되는 해상 폭발고도 측정의 오차범위(일예로±60㎝)에 비하여 무시할 정도로 작게 된다.
이와 같이 폭발화상 데이타 획득장치(2)에서 얻어진 녹화 비디오 테이프를 영상신호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장치(9)에서 재생하고, 그 재생 영상신호를 1필드 단위의 화상으로 검색하여 초기 아날로그 폭발영상신호를 얻고, 이 초기의 아날로그 폭발영상신호를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폭발초기 디지탈 화상을 얻을 수 있게 되고 그 폭발초기 디지탈 화상을 컬러 모니터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폭발화상 데이타 획득장치(2)로부터 얻어진 폭발지점과 비디오 카메라 사이의 측정거리는 시험탄 폭발고도 데이타 입력장치(5)에 의해 컴퓨터에 입력되고, 상기 영상신호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장치(3)로부터 얻어진 폭발초기 디지탈 화상의 폭발점신호 및 해면신호도 시험탄 폭발고도 데이타 입력장치(5)에 의해 컴퓨터에 입력된다.
즉, 컴퓨터 화면에 나타난 폭발초기 디지탈 화상으로부터 마우스를 이용하여 폭발화염 부근에 사각게이트를 설정하면, 컴퓨터는 그 사각게이트 내부의 화소점의 밝기 값을 각각 계산하여, 이중에서 가장 밝은 화소점의 90% 이상되는 점의 중심값을 구하게 되며, 이때90% 이상의 의미는 컴퓨터 계산위치와 실제위치가 가장 일치하게 되는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화소점에 대한 중심좌표값이 폭발고도의 폭발점이 된다. 이와 같이 컴퓨터에서 계산된 폭발점의 좌표값은 그 위치를 컴퓨터 화면상에 +로 표시함으로써 그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폭발초기 디지탈 화상으로부터 마우스를 이용하여 파편비산으로 형성된 물기둥 부근에 사각게이트를 설정하면, 컴퓨터는 그 사각게이트 내부의 화소점 밝기 값을 각각 계산하여 Y측 세로방향으로 밝기 값의 변화가 가장 큰 화소점을 구하고, 이들 점의 평균값을 얻게 된다. 이때 밝기 값의 변화가 가장 큰 점을 구하는 것은 해면의 파란물 색깔에 비하여 물기둥의 색깔은 흰색으로 그 경계선에서 밝기의 변화가 가장 크게 발생되기 때문이며, 이 평균값이 폭발고도의 해면위치에 해당된다.
상기 폭발점과 마찬가지로 계산된 해면위치도 컴퓨터 화면상에 -로 표시함으로써 그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폭발고도 연산장치(6)는 상기 기준데이타 입력장치(4)로부터 투영평면 특성인자인 투영면까지의 거리(d)값을 입력받고, 시험탄 폭발고도 데이타 입력장치(5)를 통해 폭발지점과 비디오 카메라 사이의 거리값을 입력받음과 아울러 폭발점 및 해면의 좌표값을 입력받아 해상 폭발고도를 연산하게 된다.
즉, 해면의 좌표값으로부터 폭발점의 좌표값까지의 픽셀수에 의해 디지탈 화상에 나타난 폭발고도를 계산할 수 있는데, 이 디지탈 화상에 나타난 폭발고도를 h1이라 하고, 비디오 카메라에서 폭발지점까지의 거리를 D라 하면, 해상 폭발고도(HOB)는 하기의 식(2)와 같이 구할 수 있게 된다.
------(2)
이와 같이 구해진 해상 폭발고도(HOB)를 출력장치(7)에서 입력받아 폭발고도 개별값, 폭발고도 평균값 및 폭발고도 표준편차를 계산한 후 컴퓨터 화면에 표시하고, 그 표시되는 각 값의 자료를 프린터에 출력하여 인쇄하고, 또한 디스켓에 저장하여 작업 후에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해상 폭발고도 연산과정은 컴퓨터의 프로그램 내용에 의해 수행되는데, 투영면까지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 기준대의 실제크기, 비디오 카메라에서 기준대까지의 거리를 컴퓨터와 대화방식으로 입력시키고, 디지탈 화상에 나타난 기준대의 화상크기를 컴퓨터에 입력시키고, 이후 폭발고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정지된 영상자료로부터 폭발화염과 물기둥에 사각게이트를 설정하면 컴퓨터에서 폭발점과 해면위치를 자동인식하고, 그 폭발점과 해면 위치좌표로부터 화면상의 폭발고도를 구한 후 이 폭발고도, 비디오 카메라와 폭발지점까지의 거리, 상기 투영면까지의 거리에 의해 해상 폭발고도를 자동 연산하여 컴퓨터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준대의 실제크기, 비디오 카메라와 기준대까지의 실제거리 및 디지탈 화면상의 기준대 화상크기로부터 투영면까지의 거리를 구하고, 폭발고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영상자료로부터 폭발점과 해면 위치좌표를 구하여 그로부터 화면상의 폭발고도를 구하고, 레이저 업서베이션 소자에 의해 비디오 카메라에서 폭발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투영면까지의 거리, 비디오 카메라에서 폭발지점까지의 거리 및 상기 화면상의 폭발고도로부터 해상 폭발고도를 자동으로 구할 수 있게 되므로, 기상조건 및 사거리에 제약받지 않고 해상 폭발고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고, 폭발점과 해면위치를 컴퓨터 그래픽으로 자동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5)

  1. 기준대의 설치에 의해 투영평면의 스케일특성을 나타내는 투영평면 특성인자를 획득하는 투영평면 특성인자 획득수단과, 탄의 폭발시 폭발화상을 한 화면상으로 획득하는 폭발화상 데이타 획득수단과, 상기 폭발화상 데이타 획득수단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처리하는 영상신호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과, 상기 투영평면 특성인자 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된 투영평면 특성인자를 컴퓨터에 입력시키는 기준데이타 입력수단과, 상기 폭발화상 데이타 획득수단에 의해 획득된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폭발지점까지의 측정거리를 컴퓨터에 입력시킴과 아울러 상기 영상신호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에 의한 디지탈 화상으로부터 폭발점 및 해면의 위치좌표를 입력시키는 시험탄 폭발고도 데이타 입력수단과, 상기 기준데이타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투영평면 특성인자, 상기 시험탄 폭발고도 데이타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카메라와 폭발지점 사이의 측정거리, 폭발점 및 해면의 위치좌표로부터 해상 폭발고도를 연산하는 폭발고도 연산수단과, 상기 폭발고도 연산수단에서 연산된 해상 폭발고도를 컴퓨터 화면에 표시하게 하는 출력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투영평면 특성인자 획득수단은 기준대와 이를 촬영할 비디오 카메라 사이의 거리가 실제 폭발장면을 촬영하게 되는 거리와 유사하게 기준대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기준대는 그의 크기를 예상 폭발고도(He) ±½He가 되도록 하고, 그의 상부 및 하부를 흰색으로 도색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투영평면 특성인자 획득수단의 투영평면 특성인자는 기준대의 실제크기, 비디오 카메라와 기준대까지의 실제거리 및 화면상의 기준대 화상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폭발화상 데이타 획득수단은 탄의 폭발장면을 촬영하여 녹화하는 비디오 카메라, 탄의 폭발시 비디오 카메라와 폭발지점의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 업서베이션 소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레이저 업서베이션 소자는 파편비산으로부터 형성되는 물기둥을 감지하여 폭발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영상신호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수단은 재생영상신호를 1필드 단위의 화상으로 검색하여 초기폭발 영상신호를 찾고, 그 아날로그의 초기폭발 영상신호를 디지탈 영상신호로 변환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기준데이타 입력수단은 기준대의 실제크기, 기준대와 비디오 카메라 사이의 실제거리 및 화면상의 기준대 화상크기를 컴퓨터에 입력시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폭발고도 데이타 입력수단은 디지탈 화상의 폭발화염 부근에 사각게이트를 설정하여 폭발점의 위치좌표를 입력시키고, 디지탈 화상의 파편비산으로 형성된 물기둥 부근에 사각게이트를 설정하여 해면의 위치좌표를 입력시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폭발고도 연산수단은 폭발점 및 해면의 위치좌표로부터 화면상의 폭발고도를 구하고, 이 화면상의 폭발고도를 비디오 카메라와 폭발지점 사이의 측정거리 및 투영평면 특성인자인 투영면까지의 거리비에 곱하여 해상 폭발고도를 구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출력수단은 해상 폭발고도를 입력받아 폭발고도 개별값, 폭발고도 평균값 및 폭발고도 표준편차를 구하여 컴퓨터 화면에 표시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출력수단은 컴퓨터 화면에 표시되는 자료값을 프린터에 출력하여 인쇄하고, 디스켓에 저장하여 검색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13. 실제 폭발장면을 촬영하게 되는 거리와 유사하게 설치된 기준대의 실제크기를 측정함과 아울러 비디오 카메라와 상기 기준대 사이의 실제거리를 측정하고, 디지탈 화면상의 기준대 화상크기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값으로부터 투영면까지의 거리를 구하는 과정과, 탄의 폭발시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폭발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과정과, 초기폭발 디지탈 영상신호로부터 폭발점 및 해면의 위치좌표를 찾아 화면상의 폭발고도를 구하는 과정과, 상기 폭발지점까지의 거리와 상기 투영면까지의 실제거리로부터 거리비를 구하고, 그 거리비에 상기 화면상의 폭발고도를 곱하여 해상 폭발고도를 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폭발고도 측정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투영면까지의 거리는 디지탈 화면상의 기준대 화상크기와 기준대의 실제크기로부터 크기비를 구하고, 그 크기비에 비디오 카메라와 기준대 사이의 실제거리를 곱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폭발고도 측정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화면상의 폭발고도는 해면의 위치좌표로부터 폭발점의 위치좌표까지의 픽셀수에 의해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폭발고도 측정방법.
KR1019940026450A 1994-10-15 1994-10-15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및 방법 KR0141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6450A KR0141418B1 (ko) 1994-10-15 1994-10-15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6450A KR0141418B1 (ko) 1994-10-15 1994-10-15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893A KR960014893A (ko) 1996-05-22
KR0141418B1 true KR0141418B1 (ko) 1998-07-01

Family

ID=19395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6450A KR0141418B1 (ko) 1994-10-15 1994-10-15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14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417B1 (ko) * 2018-07-06 2019-06-24 국방과학연구소 무기체계의 폭발고도 측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826B1 (ko) * 2000-03-09 2002-06-26 최동환 해상 폭발고도 측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417B1 (ko) * 2018-07-06 2019-06-24 국방과학연구소 무기체계의 폭발고도 측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893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831181T2 (de) Positionsbestimmung
US8538075B2 (en) Classifying pixels for target tracking, apparatus and method
JPH06103165B2 (ja) 基板上の回路素子の高さ測定方法
EP0523166A1 (en) Computer assisted video surveying and method therefor
CN111225145A (zh) 一种实时图像探测分析与跟踪方法
CN105953741A (zh) 一种钢结构局部几何变形的测量系统和方法
CN110519585A (zh) 一种应用于图像采集设备的成像校准方法及装置
CN112598655A (zh) 一种能见度检测方法及设备
JPH05322778A (ja) 建造物のリモートセンシング方法
JPH09116809A (ja) テレビフィルム走査における画像ステディネスエラーの補正方法及びテレビ画像内の所定の画像対象物のモーションシーケンスの変化方法並びに前記補正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KR0141418B1 (ko) 해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및 방법
CA2830344A1 (en) Corrosion assessment apparatus and method
JPH11337322A (ja) 2次元画像比較による外観の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2002027449A (ja) 移動物体識別方法および移動物体識別装置
JP2003240622A (ja) 液面認識処理装置及び液面監視システム
RU2797508C2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определения разрешающей способности цифровых оптико-электронных систем и тест-объект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ключающий штриховые миры с дугообразной структурой элементов
JPS6322241B2 (ko)
KR100341826B1 (ko) 해상 폭발고도 측정 장치
RU274949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слеживания с ледокола ледовой обстановки
KR960014882A (ko) 지상 폭발고도 측정장치 및 방법
JPH08325614A (ja) 高炉炉内ガス流速測定方法
JP3409455B2 (ja) 赤外線撮像装置
JP7383531B2 (ja) 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方法
KR102144249B1 (ko) 기준 측정물을 이용한 차량 속도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장치
JP4896739B2 (ja) 画像の向き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