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331B1 - 적층형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적층형 열교환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331B1
KR0141331B1 KR1019940036557A KR19940036557A KR0141331B1 KR 0141331 B1 KR0141331 B1 KR 0141331B1 KR 1019940036557 A KR1019940036557 A KR 1019940036557A KR 19940036557 A KR19940036557 A KR 19940036557A KR 0141331 B1 KR0141331 B1 KR 0141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communication pipe
heat exchanger
pip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6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616A (ko
Inventor
구니히꼬 니시시다
Original Assignee
오오따 유다까
가부시기 가이샤 젝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따 유다까, 가부시기 가이샤 젝셀 filed Critical 오오따 유다까
Publication of KR950019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3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 F28D1/030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1/032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1/033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integrated connecting members
    • F28D1/034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integrated connecting members with U-flow or serpentine-flow inside the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28F9/0251Massive connectors, e.g. blocks; Plate-like connectors
    • F28F9/0253Massive connectors, e.g. blocks; Plate-like connectors with multiple channels, e.g. with combined inflow and outflow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5/00Heat exchange
    • Y10S165/051Heat exchange hav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relieving or absorb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한쪽에 설치된 한쌍의 탱크와 이 한쌍의 탱크를 연통하는 U자형 통로를 구비한 관요소를 핀을 개재하여 여러단으로 적층하고, 한쪽에 적층방향이 뻗은 2개의 탱크군이 형성되어 있다. 적층방향의 한쪽단부에는 열교환매체를 유출입하는 한쌍의 출입구부가 설치되었고, 한쪽의 출입구부는 한쪽의 탱크군에 연통파이프를 개재하여 연통하고, 다른편의 출입구부는 다른편의 탱크군에 연통하고 있다.
끝판에 형성된 삽입구멍 또는 그 주연부에 연장 설치된 원통부에 연통파이프의 일단을 열교환기의 줄어짐을 예상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하고, 연통파이프의 타단을 고정수단으로써 일정한 탱크의 조립구멍에 고정한다. 이에 따라, 노속에서 납땜할 때에 열교환기 전체가 적층방향으로 수축하여도, 그 수축량에 대응한 연통파이프를 부착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냉매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층형 열교환기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적층형 열교환기의 전체 구성의 정면을 나타낸 설명도.
도2는 동 적층형 열교환기의 전체 구성의 저면을 나타낸 설명도.
도3은 동 적층형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관요소중, 일반적인 관요소로 사용되는 성형판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4는 동 적층형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관요소중에서 폐쇄탱크를 구비한 관요소에 사용되는 성형판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5는 동 적층형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관요소중에서 연통파이프와 연결하는 탱크를 구비한 관요소에 사용되는 성형판의 한쪽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6은 동 적층형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관요소중에서 연통파이프와 연결하는 탱크를 구비한 관요소에 사용되는 성형판의 다른쪽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7A및 도 7B는 연통파이프와, 끝판의 삽입구멍에서 연장설치한 원통부로 된 접속수단을 나타낸 설명도.
도8은 탱크에 형성한 조립구멍과, 이 조립구멍에 끼울 수 있는 선단부를 구비한 연통파이프 등으로 된 조립수단을 나타낸 설명도.
도9 내지 도11은, 접속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12 내지 도 14는, 조립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3: 탱크군(群)2', 3a: 탱크
4, 4', 8: 관요소(tube element)5: 핀(fin)
6, 7: 끝판(end plate)11, 12: 출입구부
27: 조립구멍(組付孔)30: 연통파이프
31, 32: 노치50: 삽입구멍(嵌揷孔)
53: 원통부(圓筒部)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조화 장치에 사용되는 적층형 열교환기로서 특히 한쪽에 한쌍의 탱크가 형성됨과 동시에, 한편의 끝판에 출입구부의 쌍방이 병설된 적층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본 출원인에 의하여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이런 종류의 적층형 열교환기는 관요소(tube element)를 여러단으로 적층하여 적층형 열교환기의 코어(core) 를 형성하여 관요소군의 한편의 탱크군과 다른편의 탱크군 사이에 파이프통로를 형성하고, 이 파이프통로에 연통파이프로 배설함과 동시에, 이 연통파이프의 한편 단부를 탱크군의 임의의 탱크에 접속하여 다른편 단부를 끝판의 바깥쪽에 형성한 냉매통로에 접속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연통파이프는 임의의 탱크의 개구부 또는 끝판의 개구부 등의 차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층형 열교환기의 코어에의 조립을 하는 경우 또는 노속에서 납땜을 하는 경우에 미리 일단을 탱크의 개구부에 삽입함과 동시에 타단을 끝판의 개구부에 삽입하고, 그런 다음 지그등으로 적층형 열교환기 전체를 고정하며, 노속에서 납땜을 함에 따라 적층형 열교환기에 부착되게 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술한 인용예의 구성에서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녹속에서 납땜을 하는 경우에, 적층형 열교환기의 적층방향이 관요소의 표면의 납이 녹음에 따라, 3mm∼6mm정도 축소되므로, 연통파이프의 한편 단부가 분배탱크내에 크게 들어감과 동시에, 타단이 끝판의 바깥쪽에 형성한 냉매통로내에 크게 들어갈 염려가 있다.
이 때문에, 냉매가 출입구 파이프로부터 냉매통로를 통하여 연통파이프에서 유입하는 경우, 또는 연통파이프에서 임의의 파이프에 유입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서는 연통파이프의 개구면적이 극단히 작아져서 그 결과 냉매저항이 커지게 된다고 예상된다.
그리하여, 본원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예컨대 냉매 통로에서 연통파이프에 유입하는 경우, 또는 연통파이프에서 임의의 탱크에 유입하는 경우에, 냉매가 원활하게 흐르도록 함으로써, 냉매저항을 적게할 수 있는 적층형 열교환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그래서, 본 발명에 관한 적층형 열교환기는, 탱크 및 냉매통로를 구비한 관요소와 핀(fin)을 번갈아 적층하고, 단부에 끝판을 지니며, 탱크와 끝판에 형성한 출입구부를 지닌 냉매통로의 사이를 연통파이프를 사용하여 연통하여 냉매통로를 구성하여서 된 적층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연통파이프의 한편의 접속에는, 연통파이프가 탱크와 고정하여 결합한 고정수단을 채용하며, 다른편의 접속에는, 피삽입측의 끝판의 삽입구멍에 연장설치한 원통부에, 이 연통파이프의 다른편이 삽입되었고 또한 변이를 허용하도록 납땜하도록 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통파이프의 조립의 경우에 연통파이프의 단부를 삽입구멍으로부터 연장설치된 원통부에 삽입되고, 또한 연통파이프의 탱크측의 단부를 파이프 고정수단으로 고정함에 따라, 노속에서 납땜할 경우에 적층형 열교환기가 적층방향으로 축소하여도, 연통파이프는 원통부에 멎게 되므로, 냉매통로내까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탱크와 냉매통로를 구비한 관요소와 핀을 번갈아 적층하여 단부에 끝판을 지니고, 탱크와 끝판에 형성한 출입구부를 지닌 냉매통로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파이프를 사용하여 연통하며, 냉매통로를 구성하여서 된 적층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연통파이프의 한편의 접속에는, 이 연통파이프가 탱크와 고정하여 결합한 고정수단을 채용하여, 다른편의 접속에는 노치 또는 구멍을 형성한 피삽입측의 끝판의 삽입구멍에 삽입한 삽입단부를 삽입구멍에 대하여 변이를 허용하도록 하여 납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연통파이프의 조립의 경우에, 연통파이프의 단부를 파이프 삽입구멍에 끼워넣고, 또한 연통파이프의 탱크측의 단부를 파이프 고정수단으로 고정함에 따라. 노속에서 납땜할 경우에 적층형 열교환기가 적층방향으로 축소함으로써, 연통파이프가 냉매통로에 들어갔어도, 연통파이프의 노치 또는 구멍으로 부터도 냉매가 유통함으로, 연통파이프의 개구면적이 작아지지 않는다.
그리고, 파이프 고정수단은, 연통파이프와, 탱크의 조립구멍을 끼워맞추어 결합한 것이 였어도 좋고, 또한, 파이프 고정수단은, 연통파이프가 탱크의 조립구멍에 삽입됨과 동시에, 그 삽입측 부분에 노치 또는 구멍을 형성한 것이 였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연통파이프가 탱크의 조립구멍에 끼워맞추어져서 고정된다거나, 연통파이프가 탱크의 내벽에 맞닿게 되어서 고정되지만 노치 또는 구멍에 의하여 연통상태가 유지되도록 설명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이 적층형 열교환기(1)는 한쪽에 탱크군(2, 3)을 구비하였고, 나머지 부분에 U자 통로군(9)을 구비하고 있어, 관요소(4)와 주름형상의 핀(5)등을 여러단(예컨대 20단)번갈아 적층하고, 적층된 관요소 (4)사이의 예컨대 대략 중앙에 관요소(4')를 개재시키며, 또한 관요소(4')로 부터 중앙에서 도면상 우측에 관요소(8)를 개재시킴과 동시에 그 적층방향 양단에 끝판(6, 7)을 배설하는 것으로 열교환기의 코어를 형성하고 있다. 출입구부(11, 12)는 끝판(6)의 반관요소측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팽창밸브(도면에 없음)가 부착되어서 부착판(1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지만, 끝판(6)으로의 설치의 구성은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이 적층형 열교환기(1)는 맞닿은 탱크군(2, 3)중에서 인접하는 끼리 도 3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통구멍(23, 23)을 개재하여 연통하고, 적층형 열교환기의 적층방향의 대략 중앙에 배설된 연통구멍 구비하고 있지 않은 폐쇄탱크(10)에 의하여, 예컨대 4패스의 냉매의 흐름을 지닌 열교환기(공지되어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를 구성하고 있다.
관요소(4, 4', 8)는, 함께, 대략 장방형이지만, 이 중에서 관요소(4)는, 도 3에 나타낸 2장의 성형판(20, 22)의 납땜재료(21, 21)끼리를 맞닿음에 따라 중앙 맞춤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요소(4)를 구성하는 성형판(2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루미늄을 원료로 하여 표면의 납재를 도포되어 있는 시이트로 형성하여, 그 상부에서, U자 통로군(9)을 형성하는 홈부(9a)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하단부에서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연통구멍(23, 23)이 천설된 한쌍의 탱크형성용 팽창부(2a, 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탱크형성용 팽창부(2a)와 (3a)사이에는 홈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성형판(20) 2장을 중앙맞춤으로 함에 따라 관요소(4)가 구성되고, 그 하단측에서는 상대하는 탱크부 형성용 팽창부(2a, 3a)로 1쌍의 탱크군(2, 3)이 구성되며, 또 탱크군(2)과 탱크군(3)의 사이에는 홈부, (24)에 의하여 홈(13)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관요소(4')는, 적층형 열교환기(1)의 통풍방향의 중앙근방에 위치하도록 개재되어 있는 것으로, 도 3에 나타낸 성형판(20)과, 도 4에 나타낸 한편이 연통구멍(23)이 천설되어 있지 않는 탱크형성용 팽창부(2a')를 구비한 성형판(25)등을 중앙맞춤으로 접합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중앙맞춤으로 접합함으로써, 관요소(4')는 폐쇄탱크(10)를 구비하게 된다.
또, 관요소(8)는 , 도면상 관요소(4')보다 오른쪽으로 개재되어 있는 것으로, 도 5에 나타낸 성형판(26)과 도 6에 나타낸 성형판(28)을 중앙맞춤으로 접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중에서, 성형판(26)은, 기본형태에 있어서, 성형팡(20)과 공통이지만, 탱크형성용 팽창부(2a)와 탱크형성용 팽창부(3a)사이에는 홈부(24)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대신에 이러한 부분에는 나중에 설명하는 연통파이프(30)가 조립되어서, 탱크(3a)와 연통할 수 있는 조립구멍(27)과, 연통구멍(23)이 형성된 탱크 형성용 팽창부(2a'')가 이러한 부분가지 대략 길죽한 원형상으로 뻗어나와 있다. 다른편의 성형판(28)도 기본형태에 있어서 성형판(20)과 공통이지만 홈부(24)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대신으로 연통구멍(23)이 형성된 탱크형성용 팽창부(2a'')가 이러한 부분까지 길죽한 원형상으로 뻗어나와 있다.
이 성형판(26)과 성형판(28)을 중앙맞춤으로 함으로써 관요소(8)가 구성되어, 그 하단측에서는 상대하는 탱크부 형성용 팽창부(3a)에서 탱크군(3)이 형성됨과 동시에, 성형판(26)의 탱크성형용 팽창부(2a'')와 성형판(28)의 탱크형성용 팽창부(2a'')로 탱크(2')가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이 탱크(2')의 조립구멍(27)은, 나중에 설명하는 통로(35)측에 개구하고 있다.
다른편에서, 끝판(6)은, 평판(6a)과 통로 형성판(6b)으로 구성되었고, 평판(6a)은, 단부에 위치하는 성형판(20)을 폐쇄함과 동시에, 연통파이프(30)가 끼워지는 파이프 삽입구멍(50)과, 성형판(20)의 탱크 성형용 팽창부(3a)에 개구하는 냉매유통구멍(도면에 없음)과 출입구부(12)가 장착되는 출입구구멍(도면에 없음)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 통로 형성판(6b)은, 출입구부(11)가 장착되는 출입구구멍(도면에 없음)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평판(6a)통로 형성판(6b)을 접합함으로써, 냉매유통로(49)와 냉매통로(51)가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관요소(4'), 관요소(4) 및 관요소(8)등을 핀(5)을 개재시켜서 번갈아 여러개 적층하여, 양단에 끝판(6,7)을 배설하여 열교환기의 코어를 구성하였을 경우에는 탱크군(2)과 탱크군(3)사이에 적층방향으로 뻗은 통로(35)가 형성하게 된다.
다음에, 도 7A, 7B 및 도 8을 사용하여 끝판(6)으로의 연통파이프(30)의 접속수단(A)과, 탱크(2')의 조립구멍(27)에의 연통파이프(30)의 고정수단(B)에 대하여 설명한다.
접속수단(A)은 끝판(6a)의 파이프 삽입구멍(50)의 주연부로부터 연통파이프(30)를 삽입할 수 있는 안지름을 구비한 원통부(53)를 통로(35)측으로 연장설치시킴으로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고정수단(B)은, 연통파이프(30)의 탱크(2')측단부를 탱크(2')의 조립구멍(27)에 끼움으로서 고정할 수 있도록 그 바깥지름을 작게하는 이른바 단붙이 가공을 실시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적층형 열교환기(1)를 조립하는 경우에, 연통파이프(30)의 끝판(6)측단을, 조립하는 경우에는 도 7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부(53)의 개구에 약간 삽입시키는 것만으로 하고, 또한 연통파이프(30)의 탱크(2')측단을 탱크(2')의 조립구멍(27)에 고정한다.
이에 따라, 노속의 납땜으로 적층형 열교환기(1)가 적층방향으로 수축하여도 연통 파이프(30)의 탱크(2')측단이 또한 탱크(2')내에 연통 파이프(30)가 이동하는 일이 없으며, 또한 파이프(30)의 끝판(6)측단은 냉매통로(51)측으로 이동하지만, 제7도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부(53)의 기부 보다도 냉매통로(51)안까지 돌출하지 않으므로, 출입구부(11)로부터 냉매통로(51), 연통 파이프(30)를 개재하여 탱크(2')에 흐르는 냉매는, 연통 파이프(30)의 측면에서 방해되지 않고, 원활하게 흐를 수 있어, 냉매저항층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접속수단(A)은, 도 7A, 도7B에 나타낸 것이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끝판(6a)에 형성한 파이프의 끼워 맞춤구멍(50)으로부터 통로(35)측으로 원통부(53)를 연장설치시키지 않고, 대신에 연통 파이프(30)의 단부에 직선형의 노치(31)를 형성하는 것이었어도 좋고, 또 노치(31)대신에,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통 파이프(30)에 비스듬히 노치(32)를 형성하는 것이 있어도 좋다. 또한, 노치(31,32)대신에 구멍을 연통 파이프(30)의 측면에 설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적층형 열교환기(1)를 조립하는 경우에, 연통 파이프(30)의 비노치 부분의 단부를, 노치(31, 32)가 출입구부(11)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끼워맞춤구멍(50)에 맞닿음으로써, 적층형 열교환기(1)가 적층방향으로 수축하여 연통 파이프(30)가 냉매통로(51)내에 돌출하여도, 연통 파이프(30)의 단부 개구 및 노치(31)또는 (32)로부터 냉매가 유입함으로, 냉매저항층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접속수단(A)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통 파이프(30)에 2개의 노치(33,33)를 대향하여 형성하는 것이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노치(33,33)의 위치를 고려함에 없이 연통 파이프(30)를 끼워맞춤구멍(50)에 끼워맞춤이 기능하게 된다.
다른편에서, 고정수단(B)도, 제8도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통 파이프(30)의 탱크(2')측단의 안지름이 탱크(2')의 조립구멍(27)의 바깥지름에 바깥에서 안으로 끼울 수 있는 치수를 구비하여 된 것이였어도 좋으며, 이 구성에 있어서도 연통 파이프(30)는 조립구멍(27)에 고정하게 된다.
또, 고정수단(B)는, 연통 파이프(30) 탱크(2')의 조립구멍(27)으로 끼우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형 열교환기(1)의 조립의 경우 연통 파이프(30)를 탱크무리(2')의 내벽에 맞닿게 하는 길이로 함과 동시에, 연통 파이프(30)의 선단에 노치(34)를비스듬히 형성하여도 좋다. 단, 연통 파이프(30)의 조립의 경우에 이 노치(34)를 관요소(8)의 상단측으로 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연통 파이프(30)는, 탱크(2')의 내벽에 맞닿고 있으므로, 적층형 열교환기(1)가 노속의 납땜으로 적층방향으로 수축하여도 연통 파이프(30)의 탱크(2')측단이 이동하는 경우가 없고, 더욱이 노치(34)에 의하여 냉매가 연통 파이프(30)의 단부 개구와 노치(34)에 의하여 원활하게 흐르므로 냉매저항층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B)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형 열교환기(1)의 조립시에 연통 파이프(30)를 탱크(2')내벽에 맞닿게 길이로 함과 동시에, 연통 파이프(30)의 선단에 노치(34)를 직선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연통 파이프(30)의 탱크(2')내벽에의 맞닿는 면이 커지므로 연통 파이프(30)의 고정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최후에, 도 7A, 도 2B, 도9∼도11에서 나타낸 접속수단(A)과, 도8, 도12∼도14에서 나타낸 고정수단(B)의 조합도 한정되지 않고, 자유로히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도 7A, 도7B의 구성을 지닌 열교환기에 의하면, 연통파이프의 조립의 경우에 연통파이프의 삽입구멍측의 단부를 삽입구멍으로 부터 연장 설치한 원통부에 끼우며, 또한 연통파이프의 탱크측의 단부를 파이프 고정수단으로 고정함에 따라, 노속에서 납땜할때에 적층형 열교환기가 적층방향으로 축소하여도, 연통파이프의 단부는 원통부에 멎게 되어, 냉매통로내까지 들어갈 수 없으므로, 연통파이프의 개구면적이 작아지는 일이 없어, 냉매저항층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9 ∼ 도11의 구성을 지닌 열교환기에 의함녀, 연통파이프의 조립의 경우에 연통파이프의 삽입구멍측의 단부를 삽입구멍에 끼워넣고, 또한 연통파이프의 탱크측의 단부를 파이프 고정수단으로 고정함에 따라, 적층형 열교환기가 적층방향으로 축소함으로, 연통파이프가 냉매통로내에 들어와도, 연통파이프의 노치 또는 구멍으로 부터도 냉매가 유통함으로, 연통파이프의 개구면적이 작아지는 일이 없어서, 냉매저항층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8이나 도 12와 같은 끼워맞춤 구조를 구비한다면, 연통파이프가 탱크의 조립구멍에 끼워맞추어 고정되고, 고정작업이 간이하게 되며, 도13이나 도14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다면, 연통파이프의 탱크측단이 탱크의 내벽에 맞닿아서 고정되며, 또한 냉매의 흐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연통파이프의 개구면적이 작아지는 일이 없어, 냉매저항층을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7)

  1. 탱크와 냉매통로를 구비한 관요소와 핀을 번갈아 적층하고, 단부에 끝판을 지니고, 탱크와 끝판에 형성한 출입구부를 지닌 냉매통로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파이프를 사용하여 연통하며, 냉매통로를 구성하여 되는 적층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연통 파이프의 한편의 접속에는, 이 연통파이프가 탱크와 고정하여 결합하는 고정수단을 채용하고, 다른편의 접속은, 피삽입측의 끝판의 삽입구멍 주연에 연장 설치된 원통부에, 이 연통파이프의 다른 편이 삽입되고 또한 변이를 허용하여 납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2. 탱크와 냉매통로를 구비한 관요소와 핀을 번갈아 적층하고, 단부에 끝판을 지니고 탱크와 끝판에 형성한 출입구부를 지닌 냉매통로의 사이를 접속하는 연통파이프를 사용하여 연통하여, 냉매통로를 구성하여서 된 적층형 열교환기에 있어서, 연통파이프의 한편의 접속에는, 연통파이프가 탱크와 고정하여 결합한 고정수단을 채용하며, 다른편의 접속은, 노치 또는 구멍을 형성한 피삽입측의 끝판의 삽입구멍에 대하여, 연통파이프의 삽입단부의 변이를 허용 하도록 하여 삽입하여 납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안쪽에 설치된 한쌍의 탱크와 이 한쌍의 탱크를 연통하는 U자 형상통로등을 구비한 관요소를 핀을 개재하여 여러단으로 적층하여 인접하는 관요소의 탱크를 접속하여 적층방향으로 뻗은 2개의 탱크군을 형성하고, 탱크군의 한편은 중간정도에서 분할되어서 2개로 구획되었고,. 다른편의 탱크군은 분할되지 않고 연통하고 있으며, 적측방향의 한쪽 단부에 열교환매체를 유출입하는 한쌍의 출입부가 설치되었고, 한편의 출입구부는 한편의 탱크군에 연통파이프를 개재하여 연통하였으며, 다른편의 출입구부는 다른쪽 탱크군에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연통파이프와 탱크의 조립구멍에 끼워맞추어서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5. 제4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은, 연통파이프의 단부의 지름을 작게하고, 그 지름을 작게 한 부분을 탱크의 조립구멍에 안에서 밖으로 끼워서 연통파이프와 탱크가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6. 제4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은, 탱크의 조립구멍 주연을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하여, 이 조립구멍에 연통파이프를 밖에서 안으로 끼워서 연통파이프와 탱크가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용 열교환기.
  7. 제1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은, 연통파이프의 삽입단부를 비스듬히 절단하고, 절단된 선단부부분을 탱크의 조립구멍에 삽입하여 그 선단을 탱크의 속벽에 맞닿게 하고, 파이프가 탱크에 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8. 제1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은, 연통파이프의 삽입단부가 축방향으로 일정길이의 절단면이 형성되도록 절단하고, 이 절단된 선단부분을 탱크의 조립구멍에 삽입하여 그 선단을 탱크의 속벽에 맞닿게 하여, 연통파이프가 탱크에 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9. 제1항에 있어서, 연통파이프는, 원통부는 삽입되는 부분이 축방향과 직각으로 절단되었고, 원통부의 안쪽으로 연통파이프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10. 제2항에 있어서, 연통파이프는,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단부가 축방향으로 일정길이의 절단면이 형성되도록 절단되었고, 이 절단부분을 삽입구멍에 삽입하여 연통파이프의 삽입단부의 변이를 허용하도록 납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11. 제2항에 있어서, 연통파이프는,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단부가 비스듬히 절단되어, 이 절단부분을 삽입구멍에 삽입하여 연통파이프의 삽입단부의 변이를 허용하도록 납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12. 제2항에 있어서, 안쪽에 설치된 한쌍의 탱크와 이 한쌍의 탱크를 연통하는 U자 형상통로등을 구비한 관요소를 핀을 개재하여 여려단으로 적층하여 인접하는 관요소의 탱크를 접속하여 적층방향으로 뻗은 2개의 탱크군을 형성하고, 탱크군의 한편은 중간 정도에서 분할되어서 2개로 구획되었고, 다른편의 탱크군은 분할되지 않고 연통하고 있으며, 적층방향의 한쪽 단부에 열교환매체를 유출입하는 한쌍의 출입부가 설치되었고, 한편의 출입구부는 한편의 탱크군에 연통파이프를 개재하여 연통하였으며, 다른편의 출입구부는 다른쪽 탱크군에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13. 제2항에 있어서, 연통파이프와 탱크의 조립구멍에 끼워맞추어서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14. 제13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은, 연통파이프의 단부의 지름을 작게 하고, 그 지름을 작게 한 부분을 탱크의 조립구멍에 안에서 밖으로 끼워서 연통파이프와 탱크가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15. 제13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은, 탱크의 조립구멍 주연을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하여, 이 조립구멍에 연통파이프를 밖에서 안으로 끼워서 연통파이프와 탱크가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16. 제2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은, 연통파이프의 삽입단부가 비스듬히 절단하고, 이 절단된 선단부분을 탱크의 조립구멍에 삽입하여 그 선단을 탱크의 속벽에 맞닿게 하고, 파이프가 탱크에 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17. 제2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은, 연통파이프의 삽입단부가 축방향으로 일정길이의 절단면이 형성되도록 절단하고, 이 절단된 선단부분을 탱크의 조립구멍에 삽입하여 그 선단을 탱크의 속벽에 맞닿게 하여, 연통파이프가 탱크에 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KR1019940036557A 1993-12-24 1994-12-24 적층형 열교환기 KR0141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347796A JPH07190559A (ja) 1993-12-24 1993-12-24 積層型熱交換器
JP93-347796 1993-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616A KR950019616A (ko) 1995-07-24
KR0141331B1 true KR0141331B1 (ko) 1998-07-01

Family

ID=18392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6557A KR0141331B1 (ko) 1993-12-24 1994-12-24 적층형 열교환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51506A (ko)
EP (1) EP0660053B1 (ko)
JP (1) JPH07190559A (ko)
KR (1) KR0141331B1 (ko)
DE (1) DE6941319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3149C2 (de) * 1995-11-18 2000-09-14 Behr Gmbh & Co Wärmetauscher, insbesondere Kältemittelverdampfer
JP3576329B2 (ja) * 1996-09-09 2004-10-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積層型熱交換器
JPH10281691A (ja) * 1997-03-31 1998-10-23 Zexel Corp 積層型熱交換器
DE60124899T2 (de) 2000-05-10 2007-08-16 Sanofi Pasteur Ltd., Toronto Durch mage minigene kodierte immunogene polypeptide und ihre verwendungen
US7017656B2 (en) * 2001-05-24 2006-03-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with manifold tubes for stiffening and load bearing
US7854256B2 (en) * 2001-07-26 2010-12-21 Dana Canada Corporation Plug bypass valves and heat exchangers
US20030019620A1 (en) * 2001-07-30 2003-01-30 Pineo Gregory Merle Plug bypass valves and heat exchangers
US8960269B2 (en) 2001-07-30 2015-02-24 Dana Canada Corporation Plug bypass valve and heat exchanger
US9557749B2 (en) 2001-07-30 2017-01-31 Dana Canada Corporation Valves for bypass circuits in heat exchangers
DE10156498A1 (de) 2001-11-16 2003-05-28 Behr Gmbh & Co Wärmeübertrager, insbesondere Verdampfer
CA2454283A1 (en) * 2003-12-29 2005-06-29 Anis Muhammad Insert molded structure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7540431B2 (en) * 2004-11-24 2009-06-02 Dana Canada Corporation By-pass valve for heat exchanger
US7658224B2 (en) * 2005-09-19 2010-02-09 Dana Canada Corporation Flanged connection for heat exchanger
FR2988169B1 (fr) * 2012-03-19 2014-04-18 Dana Canada Corp Ensemble raccord brase
DE112013002728T5 (de) 2012-05-31 2015-03-19 Dana Canada Corporation Wärmetauscheranordnungen mit integriertem Ventil
US9829256B2 (en) 2013-02-08 2017-11-28 Dana Canada Corporation Heat exchanger with annular inlet/outlet fitting
US10900557B2 (en) 2018-11-13 2021-01-26 Dana Canada Corporation Heat exchanger assembly with integrated valve with pressure relief feature for hot and cold fluid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4701A (en) * 1956-01-18 1963-09-24 Olin Mathieson Heat exchanger
US4274482A (en) * 1978-08-21 1981-06-23 Nihon Radiator Co., Ltd. Laminated evaporator
JPS6380169A (ja) * 1986-09-24 1988-04-11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膨張弁付積層型エバポレ−タ
JP2737987B2 (ja) * 1989-03-09 1998-04-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積層型蒸発器
JP2689003B2 (ja) * 1989-11-30 1997-12-10 株式会社ゼクセル 積層型熱交換器
US5024269A (en) * 1989-08-24 1991-06-18 Zexel Corporation Laminated heat exchanger
DE4009780A1 (de) * 1990-03-27 1991-10-02 Behr Gmbh & Co Waermetauscher
US5370176A (en) * 1993-02-10 1994-12-06 Zexel Corporation Heat exchanger apparatus
DE9303869U1 (ko) * 1993-03-16 1993-06-03 Hkf Heizkoerperfertigung Meiningen Gmbh, O-6100 Meiningen, De
JP3158232B2 (ja) * 1993-05-20 2001-04-23 株式会社ゼクセルヴァレオクライメートコントロール 積層型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60053A1 (en) 1995-06-28
EP0660053B1 (en) 1998-09-09
DE69413190T2 (de) 1999-05-27
DE69413190D1 (de) 1998-10-15
JPH07190559A (ja) 1995-07-28
KR950019616A (ko) 1995-07-24
US5551506A (en) 1996-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1331B1 (ko) 적층형 열교환기
EP1046876B1 (en) Aluminum-alloy heat exchanger
EP1012519B1 (en) Baffle insert for heat exchangers
EP1012523B1 (en) Stepped dimpled mounting brackets for heat exchangers
US6176303B1 (en)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eader tank
US20020129926A1 (en) Heat exchanger for cooling oil with water
WO2005114066A1 (en) Header pipe of evaporator for automobile
US5048602A (en) Heat exchangers
US6173765B1 (en) Heat exchange having header tank
KR0146487B1 (ko) 열교환기
JPH0894285A (ja) 熱交換器
US20050263271A1 (en) Stacking-type, multi-flow, heat exchanger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uch heat exchangers
US7174953B2 (en) Stacking-type, multi-flow, heat exchanger
JPWO2004081481A1 (ja) 熱交換器用タンク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EP0805330A2 (en) Heat exchanger enabling leak test of chambers in tank separated by single partition
JPH11223486A (ja) 並設一体型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40395A (ja) 熱交換器
JPH0435742Y2 (ko)
KR200276469Y1 (ko) 열교환기
JP2709860B2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603148Y2 (ja) 熱交換器
EP1744116A2 (en) Heat exchanger
WO2023181726A1 (ja) 熱交換器
JP2634956B2 (ja) 熱交換器における熱交換媒体出入口用接続管の一括ろう付け接合方法
JPH03191296A (ja) 積層型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