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329B1 - 유도 전동기의 새장모양의 회전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유도 전동기의 새장모양의 회전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329B1
KR0141329B1 KR1019940703195A KR19940073195A KR0141329B1 KR 0141329 B1 KR0141329 B1 KR 0141329B1 KR 1019940703195 A KR1019940703195 A KR 1019940703195A KR 19940073195 A KR19940073195 A KR 19940073195A KR 0141329 B1 KR0141329 B1 KR 0141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core
core member
support member
conductor portion
axial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3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세이 나까무라
유끼오 가쯔자와
미찌 마스야
쥬니찌 나가이
Original Assignee
이나바 세이우에몬
화낙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00940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25505A/ja
Application filed by 이나바 세이우에몬, 화낙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나바 세이우에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329B1/ko

Links

Landscapes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축방향인 길이를 갖는 적층코어부재를 그 축방향의 양단부면을 밀어붙임으로써 사이에 끼워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22)를 이용해서 보다 짧은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소형의 적층코어부재(24)와 그러한 적층코어부재의 축방향의 길이의 차이와 거의 같은 두께를 가져서 적층코어부재(24)의 축방향의 한 쪽의 단부면과 지지부재(22)의 덮개요소(32)의 사이에 배치되는 이간 요소(48)를 사이에 끼워서 지지한다. 이어서, 지지부재(22)에 지지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적층코어부재에 도체부분을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 있는 주형(20)에 지지부재(22)에 지지된 적층코어부재(24) 및 이간요소(48)를 수용한다. 그러한 상태에서 적층코어부재(24)의 슬롯(38) 및 환형 공간(44,46)에 용융물을 주입하고 용융물의 고화에 의해 적층코어부재(24)에 도체부분을 일체적으로 성형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유도전동기의 새장모양의 회전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유도전동기(induction motor)의 새장(cage) 모양의 회전자(rotor)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도체부분을 주조에 의해서적층코어부재에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새장모양의 회전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유도전동기에서 다수의 자성 박판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적층코어부재와 그러한 적층코어부재에 설치된 다수의 슬롯(slot)에 용융된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의 용융물을 주입함으로써 적층코어부재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도체부분을 구비한 주조식의 새장형의 회전자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주조식의 새장형의 회전자는 생산성이 우월한 장점을 갖고, 예를 들어, 공작기계의 구동원으로서의 유도전동기에 흔히 이용되고 있다.
새장형의 회전자의 종래의 구조공정의 일례를 제6a도를 보면서 설명한다. 이러한 주조공정에서는 적층코어부재(1)를 구성하는 다수의 자성 박판은 지지부재(2)에 의해 적층상태로 끼워져 지지되고, 이러한 상태로 지지부재(2)와 함께 주형(3)내에 배치된다. 이때에 적층코어부재(1)의 외주부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슬롯(4)이 형성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적층코어부재(1)의 축방향의 양단부에는 회전자의 평형(balance)을 확보하기 위한 평형환부재(5)가 각각 배치된다. 평형환부재(5)의 외경은 적층코어부재(1)의 외경보다도 작고, 그럼으로써, 주형(3)에 수용된 적층코어부재(1)의 축방향의 양단부에 각각의 슬롯(4)의 공간을 서로 통하게 하는 환형 공간(6)이 각각 형성된다.
주형(3)에 수용된 적층코어부재(1)는 예를들어 그 축선을 수직방향으로 향하게 해서 배치된다. 그리고, 적층코어부재(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용융물의 주입구멍(7)으로부터 용융물통로(8)를 거쳐서 용융물이 소정의 압력하에 주형의 주조공간내에 주입된다. 이러한 경우에 용융물은 중력을 거스르는 방향으로 흐르고 한 쪽의 단부(아래쪽)의 환형공간(6)과 다수의 슬롯(4) 및 다른 쪽의 단부(위쪽)의 환형 공간(6)을 차례로 채우며, 그럼으로써, 각각의 슬롯(4)에는 2차 도체가 적층코어부재(1)에 일체식으로 성형되고 각각의 환형 공간(6)에는 단부이음고리가 적층코어부재(1)에 일체식으로 성형된다. 또한, 주형(3)에는 상기 다른 쪽의 단부(위쪽)의 환형 공간(6)과 주형의 외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통풍구(9; air vent)가 형성된다.
적층코어부재(1)를 사이에 끼워서 지지하고 지지부재(2)는 적층코어부재(1)의 축방향의 구멍을 관통하는 슬리브요소(10)와 그러한 슬리브요소(10)의 한쪽의 단부에 연결된 덮개요소(11)를 구비한다. 슬리브요소(10) 및 덮개요소(11)는 각각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12,13)를 구비한다. 그럼으로써, 슬리브요소(10)와 덮개요소(11)를 볼트 등의 체결수단(14)에 의해 견고하게 체결하면 각각의 플랜지(12,13)가 평형환부재(5)를 거쳐서 적층코어부재(1)를 적층상태로 끼워서 지지한다.
이러한 종래의 주조공정에서는 적층코어부재를 끼워서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양플랜지간의 거리는 적층코어부재 및 경우에 따라서는 한 쌍의 평형환부재의 축방향의 길이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상이한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새장모양의 회전자를 주조성형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회전자의 축방향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이한 지지부재 및 주형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제6a도의 적층코어부재(1)보다도 축방향의 길이가 짧은 소형의 적층코어부재(1')에 대한 주조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지지부재(2') 및 주형(3')을 제6b도에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유도전동기의 출력은 2차측의 도체의 저항치에 비례하므로 새장모양의 회전자의 축방향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출력사양이 다른 여러 종류의 유도전동기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바라는 바의 모든 출력사양에 대응한 회전자를 성형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지지부재 및 주형을 준비하는 것은 설비비가 높아짐에 따라 제조비용을 상승시켜버리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종래에는 상이한 출력사양의 유도전동기를 제조하기 위해 축방향의 길이가 동일한 회전자를 사용해서 전기적 특성만을 변경함으로써 출력사양을 변화시키는 것이 있다.
전기적 특성의 변경만으로 유도전동기의 출력사양을 변화시키는 경우에는 회전자의 크기에 따라서는 코어의 무게와 출력이 조화를 이루지 않고 가속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근년에는 예를 들어 공작기계의 주축구동용 유도전도기에서는 가속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고가속성이 요구되고, 따라서, 출력사양에 대응한 최적의 크기의 회전자를 사용할 필요성이 생겼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다양한 출력사양의 각각에 대응한 여러 종류의 적층코어부재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설비비가 높아짐에 따른 제조단가의 증가에 관한 문제를 해결해야만 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단가를 증가시키지 않고 상이한 출력사양에 대응한 최적의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회전자를 제조할 수 있는 주조식의 새장모양의 회전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수의 자성 박판의 적층체로 이루어진 적층코어부재와 그러한 적층코어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도체부분을 구비한 유도전동기의 새장모양의 회전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소정의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적층코어부재를 그러한 축방향의 양단부면으로부터 밀어붙임으로써 사이에 끼워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b) 소정의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적층코어부재를 사이에 끼워서 지지한 지지부재를 수용해서 그러한 적층코어부재에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도체부분에 대응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주형을 준비하는 단계와,
c) 소정의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적층코어부재보다 짧은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소형의 적층코어부재를 주형에 수용한 때에는 소정의 도체부분에 대응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지지부재에 부착하는 단계와,
d) 소정의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적층코어부재와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의 축방향의 길이의 차이와 거의 동일한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이간요소(spacer)를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의 한 쪽의 축방향의 단부면과 그러한 한 쪽의 축방향의 단부면에 대향하는 지지부재의 부분과의 사이에 배치하여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와 이간요소를 지지부재에 의해 끼워서 지지하는 단계와,
e) 지지부재에 지지된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와 이간요소를 소정의 도체부분에 대응하는 공간이 형성되게 주형에 수용하며,
f) 주형내에 형성된 소정의 도체부분에 대응하는 공간에 용융물을 주입하는 단계, 및
g) 주형내에서 용융물을 고화(solidificaiton)시켜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에 소정의 바라는 바의 도체부분을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갖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와 함께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이간요소는 지지부재의 지지력을 소형의 적층코어부재로 확실하게 전달해서 적층상태로 유지함과 아울러 주조공정에서의 용융물의 주입압력을 지지부재로 확실하게 전달해서 정확하고 고정밀도를 갖는 주조가 가능하게 한다. 그럼으로써, 소정의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적층코어부재를 주조하기 위한 주형 및 지지부재를 이용해서 보다 짧은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적층코어부재에 소정의 도체부분을 정확하고 고정밀도를 갖게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단계 c는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의 축방향의 양단부면에 평형환부재를 각각 접촉하여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 d는 상이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다수의 이간요소를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의 한 쪽의 축방향의 단부면과 그러한 한 쪽의 축방향의 단부면에 대향하는 지지부재의 부분과의 사이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해도 좋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의하면 다수의 자성 박판의 적층체로 된 적층코어부재와 그러한 적층코어부재에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도체부분을 구비한 유도전동기의 새장모양의 회전자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축방향의 길이의 적층코어부재를 그 축방향의 양단부면으로부터 밀어붙임으로써 사이에 끼워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와, 소정의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적층코어부재를 끼워서 지지한 지지부재를 수용해서 그러한 적층코어부재에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도체부분에 대응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주형 및, 소정의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적층코어부재와 그러한 적층코어부재보다 짧은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와의 축방향의 길이의 차이와 거의 동일한 축방향의 길이를 갖고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의 한쪽의 축방향의 단부면과 그러한 한 쪽의 축방향의 단부면에 대향하는 지지부재의 부분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와 함께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이간요소를 구비하고, 그러한 지지부재에 지지된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와 이간요소를 소정의 도체부분에 대응하는 공간이 형성되게 주형에 수용하고 그러한 공간에 용융물을 주입해서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에 소정의 도체부분을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상이한 형태 및 크기를 갖고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의 한 쪽의 축방향의 단부면과 그러한 한 쪽의 축방향의 단부면에 대향하는 지지부재의 부분과의 사이에 서로에 인접해서 배치되는 다수의 이간요소를 구비해도 좋다. 또한,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에 대향하는 이간요소의 축방향의 단부면에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간요소의 외표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한 홈은 주조공정에서 주형내의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해 유효하게 이용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에서,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적층코어부재를 주형과 지지부재 및 이간요소와 함께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이간요소의 사시도이며,
제3도는 제1도의 II-II선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제4a도는 이간요소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며,
제4b도는 이간요소의 또다른 변형예의 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적층코어부재를 주형과 지지부재 및 이간요소와 함께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제6a도는 제1도 및 제5도와 동일한 주형 및 지지부재를 이용해서 종래의 방법에 의해 주조되는 적층코어부재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제6b도는 제6a도와 상이한 주형 및 지지부재를 이용해서 종래의 방법에 의해 주조되는 다른 적층코어부재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도면을 보면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을 실시하는 주형(20)과, 지지부재(22)에 지지되어 주형(20)내에 배치되는 적층코어부재(24)를 도시한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주형(20) 및 지지부재(22)는 제6a도의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주형(3) 및 지지부재(22)와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것이다. 또한, 적층코어부재(24)는 제6b도의 종래기술에 의해 형성되는 소형의 적층코어부재(1')와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것이다.
지지부재(22)는 적층코어부재(24)의 축방향의 구멍(26)에 삽입되는 거의 원통형인 슬리브요소(28)와, 볼트 등의 체결수단(30)에 의해서 슬리브요소(28)의 한족의 단부에 연결되는 덮개 요소(32)를 구비한다. 슬리브요소(28)의 다른 쪽의 단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34)가 설치되고, 덮개요소(32)에도 마찬가지로 플랜지(36)가 설치된다. 그럼으로써 지지부재(22)는 슬리브요소(28)의 플랜지(34)와 덮개요소(32)의 플랜지(36)의 협동에 의해 다수의 자성 박판의 적층체로 이루어진 적층코어부재(24)를 사이에 끼워서 지지한다.
적층코어부재(24)는 지지부재(22)에 지지된 상태로 외주부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슬롯(38)을 구비한다. 또한, 적층코어부재(24)의 축방향의 양단부에는 원하는 바에 따라 각각 평형환부재(40,42; 제6a도 및 제6b도의 평형환부재(5)와 마찬가지의 형태 및 크기를 가짐)가 배치된다. 평형환부재(40,42)는 철 등과 같이 가공이 용이한 금속재료로 되고, 후공정에서 작은 구멍을 설치하는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새장모양의 회전자의 작동시의 평형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된다. 평형환부재(40,42)의 내경은 적층코어부재(40,42)의 축방향의 구멍(26)의 내경과 거의 같고, 또한, 평형환부재(40,42)의 외경은 적층코어부재(24)의 외경보다도 작다. 주조공정에서는 그러한 외경의 차이에 따라 평형환부재(40,42)의 주위에 형성되는 환형 공간(44,46) 및 적층코어부재(24)의 외주부를 따르는 각각의 슬롯(38)의 공간에 도체부분으로서의 단부이음고리 및 2차 도체가 각각 성형된다.
적층코어부재(24)와 2개의 평형환부재(40,42)와의 합계의 축방향의 길이는 지지부재(22)의 양플랜지(34,36)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짧다. 그러므로, 종래의 방법에서는 지지부재(22)에 의해 적층코어부재(24) 및 2개의 평형환부재(40,42)를 적층상태로 지지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이간요소의 사용에 의해 지지부재(22)가 적층코어부재(24)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제11도에 보이듯이, 적층코어부재(24)의 축방향의 상단의 평형환부재(42)와 덮개요소(32)의 플랜지(36)의 사이에는 이간요소(48)가 배치된다. 이간요소(48)는 제2도에 보이듯이 양호하게는 거의 원추형태의 외형을 갖고, 적층코어부재(24)의 축방향의 구멍(26)과 거의 같은 직경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관통공(50)을 구비한다. 이간요소(48)의 두께(축방향의 길이)는 적층코어부재(24) 및 2개의 평형환부재(40,42)의 합계의 축방향의 길이와 지지부재(22)의 양플랜지(34,36)의 사이의 축방향의 거리와의 차이와 양호하게는 동등해야 하지만, 그러한 차이보다 약간 커도 좋다. 또한, 거의 원추형인 이간요소(48)는 적층코어부재(24)의 외경과 거의 같은 외경을 갖는 대경부분(52)과 덮개요소(32)의 플랜지(36)의 외경과 거의 같은 외경을 갖는 소경부분(54)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서는 먼저 평형환부재(40)의 중심구멍에 지지부재(22)의 슬리브요소(28)를 통과시켜서 평형환부재(40)를 플랜지(34)에 인접하게 배치하고, 적층코어부재(24)를 형성하는 다수의 자성 박판을 슬리브요소(28)에 부착해서 평형환부재(40)에 인접하게 겹쳐 쌓는다. 또한, 적층코어부재(24)의 비어있는 축방향의 단부면에도 또하나의 평형환부재(42)를 인접하게 배치하며, 최후에, 이간요소(48)의 중심관통공(50)에 슬리브요소(28)를 통과시켜 평형환부재(42)에 인접하게 배치한다. 이러한 상태로 슬리브요소(28)의 선단에 덮개요소(32)를 연결하고 체결수단(30)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적층코어부재(24)와 평형환부재(40,42) 및 이간요소(48)가 지지부재(22)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 때에 이간요소(48)의 대경부분(52)의 환형 단부면(56)이 평형환부재(42)에 맞닿아서 적층코어부재(24)의 축방향의 단부면과의 사이에 환형 공간(46)을 형성하고 소경부분(54)의 환형 단부면(58)이 덮개요소(32)의 플랜지(36)에 밀접한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부재를 지지한 지지부재(22)를 예를 들어 축선을 수직방향으로 향하게 해서 주형(20)의 소정위치에 수용한다(제1도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적층코어부재(24)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주입구멍(60)으로부터 용융물통로(62)를 거쳐 용융물이 소정의 압력하에 환형 공간(44)에 주입된다. 용융물은 중력에 거슬러서 흐르고 아래쪽의 환형 공간(44)과 다수의 슬롯(38) 및 위쪽의 환형 공간(46)을 차례로 채운다. 그러한 상태에서 용융물이 고화함으로써 각각의 슬롯(38)에는 2차 도체가 적층코어부재(24)에 일체적으로 성형되고 각각의 환형 공간(44,46)에는 단부이음고리가 적층코어부재(24)에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제3도에 보이듯이 주형(20)은 고정측의 주형(20a)과 이동측의 주형(20b)으로 이루어진다. 성형종료후에 작동수단(도시 안됨)에 의해서 이동측의 주형(20b)을 이동시킴으로써 주형(20)을 분리면(64)을 따라 분리한다. 또한, 이동측의 주형(20b)에 설치한 방출핀(66:eject pin)을 작동시켜 주조공정에 의해 도체부분을 일체적으로 성형시킨 적층코어부재(24)를 지지부재(22)와 함께 주형(20)으로부터 꺼낸다.
또한, 용융물을 주형의 주조공간에 주입할 대의 공기의 배출로는 이간요소(48)의 대경부분(52)의 외경을 적층코어부재(24)의 외경보다도 수십 μm의 범위내에서 약간 작게하여 주형(20)의 벽면과 이간요소(48)와의 사이에 미세한 틈을 형성함으로써 확보된다. 또는, 이간요소(48)의 대경부분(52)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홈(68:제4b도 참조)을 설치함으로써도 공기의 배출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배출로는 주형(20)의 벽면과 이간요소(48)의 소경부분(54)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거쳐서 통풍구(70:air vent)로 연결된다. 이러한 공간은 배출공기의 체류를 가능하게 하므로 주조시에 주형의 주조공간으로부터의 공기가 더욱 원활하게 배출된다.
이간요소(48)는 제4a도에 도시한 원통형태나 제4b도에 도시한 계단식 원통형태로도 될 수 있다. 어떤 경우이든지간에 이간요소(48)의 축방향의 한 쪽의 단부면의 외경은 주조하려는 적층코어부재(24)의 외경과 거의 같다. 또한, 이간요소(48)의 축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면의 외경은 제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처럼 지지부재(22)에 의한 견고한 지지력을 얻음과 아울러 주조시의 용융물의 압력을 지지부재(22)만으로 받기 위해서 덮개요소(32)의 플랜지(36)의 외경과 거의 같으면 좋다. 또한, 이간요소(48)는 철 등과 같은 금속재료로 이루어지지만, 특히, 환형 단부면(56)에는 주조시에 고온의 용융물이 접촉하므로 담금질(quenching)등의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이간요소(48)를 이용하면 지지부재(22)에 의한 지지력을 적층코어부재(24) 및 평형환부재(40,42)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조시의 공급압력을 지지부재(22)에서 확실하게 받쳐줄 수 있고, 또한, 최적의 공기배출로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방법과 동등한 정확하고 고품질을 갖는 주조가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이간요소(48)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의 주형(20) 및 지지부재(22)의 대응적 적층코어부재)즉, 적층코어부재 1)의 축방향의 길이를 필요한 바의 최대출력사양을 갖는 유도전동기에 대응한 것으로 하면 다양한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여러 종류의 이간요소를 준비함으로써 소출력의 전동기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새장모양의 회전자를 공통의 주형(20) 및 지지부재(22)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는, 제5도에 보이듯이 형태가 상이한 2개의 이간요소를 사용하여 제1도의 적층코어부재(24)보다도 더욱 축방향의 길이가 짧은 적층코어부재(72)에 도체부분을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제5도에서 제1도에 도시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인용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2개의 이간요소 중의 하나는 제1도의 방법에서 사용한 이간요소(48)이고 적층코어부재(72)의 축방향의 상단부면에 인접하는 평형환부재(4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다른 하나의 이간요소(74)는 앞서 설명한 이간요소(48)의 중심관통공(50)과 같은 내경 및 소경부분(54)과 같은 외경을 갖고, 적층코어부재(24)와 도 다른 적층코어부재(72)간의 축방향의 길이의 차이와 같은 두께(축방향의 길이)를 갖는다. 이간요소(74)는 지지부재(22)의 슬리브요소(28)에 부착됨으로써 축방향의 각각의 단부면에서 또다른 이간요소(48)의 환형 단부면(58) 및 덮개요소(32)의 플랜지(36)에 밀접한다. 이러한 2개의 이간요소(48,74)를 이용함으로써도 제1도의 실시예와 동등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명백하다. 또한, 이간요소(74)는 주조시에 용융물에 직접적으로 닿지는 않으므로 열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는 주형은 적층코어부재를 그 축선을 수직방향으로 향하게 해서 지지하고 수평방향으로부터 공급되는 용융물을 중력에 거슬러서 수직방향으로 흘리는 형식의 것을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적층코어부재를 그 축선을 수평방향으로 향하게 해서 지지하고 수평방향으로부터 공급되는 용융물을 그대로 수평으로 흘리는 형식의 주형에 대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구조의 이간요소를 이용함으로써 공통의 주형 및 지지부재를 사용해서 상이한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적층코어부재에 도체부분을 정확하게 주조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러 종류의 이간요소를 준비함에 필요한 비용은 그것이 여러 종류의 지지부재 및 주형에 필요한 비용에 비례하므로 명백히 낮아진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출력사양에 대응한 최적의 크기의 회전자를 갖는 유도전동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유도전동기의 가속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다수의 자성 박판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적층코어부재와 그러한 적층코어부재에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도체부분을 구비한, 유도전동기의 새장모양의 회전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적층코어부재를 그 축방향의 양단부면으로부터 밀어붙임으로써 사이에 끼워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준비하는 지지부재준비단계와, 상기 소정의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적층코어부재를 지지한 상기 지지부재를 수용해서 그러한 적층코어부재에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도체부분에 대응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주형을 준비하는 주형준비단계와, 상기 소정의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적층코어부재보다 짧은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소형의 적층코어부재를 상기 주형에 수용한 때에 바라는 바의 도체부분에 대응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하는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의 부착단계와, 상기 소정의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적층코어부재와 상기 소형의 적층코어부재간의 축방향의 길이의 차이와 거의 같은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이간요소를 그러한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의 한 쪽의 축방향의 단부면과 그러한 한 쪽의 축방향의 단부면에 대향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부분과의 사이에 배치해서 그러한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와 그러한 이간요소를 그러한 지지부재에 의해 사이에 기워서 지지하는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와 이간요소의 지지단계와,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된 상기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와 상기 이간요소를 상기 바라는 바의 도체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주형에 수용하는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와 이간요소의 수용단계와, 상기 주형내에 형성된 상기 바라는 바의 도체부분에 대응하는 상기 공간에 용융물을 주입하는 용융물주입단계 및, 상기 주형내에서 상기 용융물을 고화시켜 상기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에 상기 바라는 바의 도체부분을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도체부분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동기의 새장모양의 회전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의 부착단계는 상기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의 축방향의 양단부면에 평형환부재를 각각 접촉해서 배치하는 평형환부재배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동기의 새장모양의 회전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와 이간요소의 지지단계는 상이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다수의 상기 이간요소를 상기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의 한 쪽의 축방향의 단부면과 그러한 한쪽의 축방향의 단부면에 대향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부분과의 사이에 배치하는 이간요소배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동기의 새장모양의 회전자의 제조방법.
  4. 다수의 자성 박판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적층코어부재와 그러한 적층코어부재에 일 성형되는 도체부분을 구비한 유도전동기의 새장모양의 회전자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적층코어부재를 그 축방향의 양단부면으로부터 밀어붙임으로써 사이에 끼워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와, 상기 소정의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적층코어부재를 지지한 상기 지지부재를 수용해서 그러한 적층코어부재에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도체부분에 대응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주형과, 상기 소정의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적층코어부재와 그러한 적층코어부재보다 짧은 축방향의 길이를 갖는 소형의 적층코어부재간의 축방향의 길이의 차이와 거의 같은 축방향의 길이를 갖고 그러한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의 한 쪽의 축방향의 단부면과 그러한 한 쪽의 축방향의 단부면에 대향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부분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그러한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와 함께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이간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된 상기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와 상기 이간요소를 바라는 바의 도체부분에 대응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주형에 수용하고 그러한 공간에 용융물을 주입해서 그러한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에 바라는 바의 도체부분을 일체적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동기의 새장모양의 회전자의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이한 형태 및 크기를 갖고 상기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의 한 쪽의 축방향의 단부면과 그러한 한 쪽의 축방향의 단부면에 대향하는 상기 지지부재의 부분과의 사이에 서로 인접해서 배치되는 다수의 상기 이간요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동기의 새장모양의 회전자의 제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의 적층코어부재에 대향하는 상기 이간요소의 축방향의 단부면에 열처리를 실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동기의 새장모양의 회전자의 제조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간요소의 외표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전동기의 새장모양의 회전자의 제조장치.
KR1019940703195A 1993-01-22 1994-01-21 유도 전동기의 새장모양의 회전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01413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009406A JPH06225505A (ja) 1993-01-22 1993-01-22 誘導電動機のダイカスト製籠形ロータの製造方法
JP93-9406 1993-01-22
PCT/JP1994/000082 WO1994017581A1 (en) 1993-01-22 1994-01-21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ge rotor of induction mo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1329B1 true KR0141329B1 (ko) 1998-08-17

Family

ID=26344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3195A KR0141329B1 (ko) 1993-01-22 1994-01-21 유도 전동기의 새장모양의 회전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132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6674B2 (en) Method of rotor assembly without the hub
WO1994017581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ge rotor of induction motor
US6040647A (en) Electromagnetic device having encapsulated construction and precise positioning of bearing and shaft axes
JP4850528B2 (ja) ロータの製造方法
US4970424A (en) Rotor construction for high speed induction motor
KR100574079B1 (ko) 자기베어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진공펌프
US8276646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otor for rotating electric machine
EP0560493A1 (en) Stator frame for dynamoelectric machine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0177190B1 (ko) 유도 전동기의 농형 회전자의 제조방법
CN106340984A (zh) 旋转电机转子的制造方法
US5937930A (en) Method for casting conductor of a cage rotor of an induction motor and apparatus for casting the same
US7127795B2 (en) Rotor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the rotor assembly
KR0141329B1 (ko) 유도 전동기의 새장모양의 회전자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US7569953B2 (en) Rotor for hybrid type stepping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4590668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dynamoelectric machine
SE522370C2 (sv)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en rotor till en elektrisk växelströmsmaskin samt rotor framställd enligt förfarandet
JP3479932B2 (ja) かご型ロータの製造方法
JPS5851759A (ja) 回転電機の回転子
US11063499B2 (en) Hybrid motor rotor casting apparatus and method
US202202392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 molding of electric motor cores and magnetizable inserts
KR101104670B1 (ko) 농형 회전자 제작용 원심 주조 장치 및 그 원심 주조 방법
JP3479929B2 (ja) モータ用ステ−タコアの固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40063169A (ko) 원심 사출 성형 금형용 베어링 장치
JPH05293622A (ja) 回転子鉄心の鋳造装置
CN117318349A (zh) 具有冷却装置的电动机的转子和用于制造具有冷却装置的电动机的转子的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