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118B1 - 비디오 프린터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프린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118B1
KR0141118B1 KR1019920023433A KR920023433A KR0141118B1 KR 0141118 B1 KR0141118 B1 KR 0141118B1 KR 1019920023433 A KR1019920023433 A KR 1019920023433A KR 920023433 A KR920023433 A KR 920023433A KR 0141118 B1 KR0141118 B1 KR 0141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ata
memory
line
gray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836A (ko
Inventor
곽희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20023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1118B1/ko
Publication of KR940013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1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35Structure of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providing current or voltage to the thermal head
    • B41J2/355Control circuits for heating-element selection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프린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호입력원으로부터 화상신호를 유입하여 라인단위로 미리 설정된 계조값과 계조비교 후 복수의 발열체로 구성된 열전사헤드(TPH)에 통전인자표현을 행하는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열전사헤드내부에 각 발열체의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저항보정부를 포함함으로써 하드웨어량이 감소하고 열전사헤드를 집적화시켜 원가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프린터장치
제1도는 종래의 비디오 프린터장치의 구성블럭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중간조변환부의 상세회로도이다.
제3도는 전사필름의 감도곡선이다.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열전사헤드(TPH)에 흐르는 전류시간과 인자농도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중간조변환부의 또다른 상세 회로도이다.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중간조변환부에 대한 동작 타이밍도이다.
제7도는 TPH의 발열에 의해 프린트된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프린터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제9a도는 제8도에 도시된 저항보정부의 구성도이다.
제9b도는 제9도에 도시된 저항보정부의 메모리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프린터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비디오신호처리회로 120:선택부
130:색컨버터 140:보정부
150:라인메모리 160:TPH제어부
170:TPH
본 발명은 비디오 프린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화형 열전사 프린터에 있어서 열저사헤드(TPH)내부에서 발열체(저항)의 편차에 따른 저항보정을 행하기 위한 비디오 프린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전사헤드(Thermal Print Head: 이하 TPH라고 함)를 이용해서 프린트하는 승화형 열전사 프린터장치는 인자표현을 행하는 장치로서, TPH에 에너지를 인가하여 TPH가 발열하는 에너지로 염료가 도포되어 있는 필름의 염료를 승화시켜서 기록지에 염료가 전사되는 양에 의해서 원하는 화상이나 그림을 프린팅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비이오 프린터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A/D변환부(10)에서 비디오 카메라, 텔레비젼과 같은 신호 입력원으로부터 전송되는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적(R),녹(G),청(B)신호로 입력하여 디지털 신호형태로 변환한다.
제1선택부(20)에서는 A/D변환부(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또는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디지털신호입력원으로부터 GP-IB, SCSI, CENTRONICS등의 프로토콜(protocol)을 통하여 전송되는 디지털 그래픽 영상데이타를 선택한다.
데이터의 기입 및 독출 타이밍을 제어하는 메모리 콘트롤러(40)의 제어하에 제1선택부(20)의 선택신호를 프레임 또는 필드의 한 화면단위로 메모리(30)에 저장한다.
멀티플랙서로 구성되는 제2선택부(50)에서는 메모리(30)에 저장된 R,G,B 데이터에 대하여 한 신호씩 순차적으로 절환하여 색컨버터(60)에서는 B신호에 대하여 보색관계에 있는 Y(Yellow) 신호로, G신호에 대하여 보색관계에 있는 M(Magenta)신호로, R신호에 대하여 보색관계에 있는 C(Cyan)신호로 변환단다.
또한, 보정부(70)에서는 색컨버터(60)의 출력을 보정, 색보정, 저항보정등의 각종보정을 행하여 라인메모리(80)에 기입한다.
라인메모리(80)로부터 라인단위로 독출된 데이터는 중간조변환부(90)에서 미리 설정된 계조값과 계조비교후 비교된 계조별로 발열시간에 해당하는 스트로브신호를 발생하여 이 발열시간폭동안 TPH(100)를 구동시켜 칼라프린팅을 행한다.
즉, 칼라 프린팅을 행할 때에는 Y,M,C 3색을 면순차시킴으로써 칼라 프린팅을 행할 수 있다.
이를 설명하면, 메모리(30)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할 때에는 제 2선택부(50)에 의해 처음 B신호에 대하여 한 수직라인의 데이터가 독출되어 색컨버너(60)를 통해 Y신호로 라인메모리(80)에 기입되고,이 라인메모리(80)에 기입된 데이터는 중간조변환부(90)를 거쳐 중간조변환을 행한 후 TPH(100)에 전달되어 1라인 프린팅을 행한다. 이렇게 하여 한 화면에 대하여 약 500-600라인정도를 프린팅하면 B의 보색관계에 있는 Y의 1색 프린팅을 완료한다.
다음 제2선택부(50)에 의해 메모리(30)로부터 G신호에 대한 한 화면분으 데이터가 한 수직라인씩 라인메모리(80)에 인가된 후 상술한 과정을 거쳐 G의 보색관계에 있는 M의 1색 프린팅을 완료하고 다음 선택부(50)에 의해 한 화면에 대한 R 신호를 스위칭하고 한 수직라인씩 독출하여 상술한 과정을 거쳐 R의 보색관계에 있는 C의 1색 프린팅을 완료한다.
여기서, A/D 변환부(10) 내지 메모리 콘트롤러(40)는 화상신호처리회로(1)에 해당하고, 제2선택부(50) 내지 TPH(100)는 프린터제어회로(2)에 해당하며, 화상신호처리회로(1)의 출력을 모니터와 같은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화상표시회로는 제시되고 있지 않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중간조변환부의 상세회로도이다.
제2도에 의하면, 라인메모리(80)에 한 수직라인의 데이터가 기입되면, 어드레스발생기(91)가 계조레벨발생기(92)를 인에이블 시키고 라인메모리(80)가 독출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독출 어드레스를 출력한다.
계조레벨발생기(92)에서는 1계조에 대한 데이터 0000 0001를 EPROM(Erasable Programmed ROM)(93) 및 계조비교기(96)에 출력한다.
여기서, 1계조 레벨 즉, 0000 0001의 인자농도(Optical Density)는 0.2라고 가정하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E1를 통해 전사필름에 인가시키기 위해서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E1에 대응하는 통전시간 t1에 해당하는 시간의 스트로브신호가 시간폭발생기(95)에서 발생되어 레치레지스터 (102)에 인가되면 에너지 E1에 대한 발열시간 t1 만큼 발열체(103)가 발열하여 1계조를 표현한다.
다음 2계조의 발열에 있어서 계조레벨발생기(92)는 0000 0010를 출력하고,계조비교기(96)에서는 라인메모리(80)의 데이터와 계조비교를 하게 된다. 만약 라인메모리(80)의 데이터가 계조레벨발생기(92)의 계조데이타보다 높으면 하이신호, 낮으면 로우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이 1계조에 대하여 256번 반복하여 행해지고 또한 이 데이터들이 스프트 레지스터(91)에 차례로 전달되고 예를 들어 A6 크기의 비디오 프린터에 있어서는 약 512개가 시프트되어 저장된다.
여기서, EPRON(93)에서는 계조레벨발생기(92)에서 발생되는 계조데이타에 대응하여 미리 발열시간이 프로그램되어지고, 전자스위치(94)를 구동시켜 시간폭발생기(95)에서는 계조별로 다른 발열시간을 나타내는 스트로브신호(STROEE)를 발생하여 레치레지스터(102)에 출력한다.
시프트레지스터(101)의 출력은 래치레지스터(102)에 전달되어 시간폭발생기(95)에서 발생한 t2의 시간폭동안 발열을 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256계조가 상ㅅㄹ한 과정과 동일하게 발열을 끝마치면 1라인의 프린팅을 마치게 되고 A6크기 비디오 프린터에서는 한 화면에 대한 500-600개 라인의 발열을 마치고 Y,M,C 3색의 발열도 위의 과정과 동일하게 행하여 칼라 프린팅을 행할 수 있다.
이때, 계조별 인자농도에 대하여 발열하는 발열에너지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S곡선 형태로 비례하고,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시간이 길수록 인자농도가 커진다.
제5도는 제1도에 도시된 중간조변환부의 다른 구성회로도이다.
제5도에 의하면, 라인메모리(80)에 저장된 신호를 NTSC신호로 가정하고, 한화면의 각 수직라인은 512화소로 구성되고 각 화소는 8비트로 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우선 첫 번째 수직라인을 독출한닥 가정한다.
라인메모리(80)의 제1출력단자(a)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해서 선택스위치(97)의 고정접점(x)이 a-x로 연결되면 라인메모리(80)에 저장된 한 라인의 512화소의 최하위비트(LSB)가 시프트 레지스터(101)에 입력되어 병렬로 시프트된다.
제6a도는 라인메모리(80)에 저장된 한 라인분의 데이터를 TPH(100)로 출력하기 위한 선택스위치(97)의 연결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 레지스터(101)에 한 라인의 최하위비트의 데이터가 시프트되면 TPH제어부(98)로부터 출력되는 제6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래치신호(LATCH)에 의해 시프트 레지스터(101)의 출력은 래치(102)로 입력되고, TPH제어부(98)로부터 출력되는 제6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트로브신호(STROBE)에 의하여 발열체(103)의 통전시간이 결정되고, 이 시간동안 발열체(103)는 발열을 한다.
여기서 제6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K는 최하위비트에 대한 스트로브 필스폭을 나타낸 것으로 1계조를 나타낼 수 있는 시간폭이다.
다시 첫 번째라인의 두 번째 하위비트의 데이터가 라인메모리 (80)로부터 독출되기 위해서는 선택스위치(97)는 b-x로 연결된다. 그러면 라인메모리(80)로부터 두 번째 하위비트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독출한다. 독출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시프트 레지스터(101)에는 두 번째 하위비트가 시프트 레지스터(101)에 병렬로배치되고 또한 이것은 레치 필스(제6C도)에 의해서 래치(102)에 입력된다. 다음동작은 발열을 해야 하는데 하이 두 번째의 비트이므로 가중치(weight)를 주어서 발열한다. 제6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의 필스 폭은 k의 필스폭보다 약 2배의 발열시간을 갖게 된다.
즉, 각 비트순위별로 스트로브신호의 폭은
k, 1 = 2k, m = 4k, n = 8k, o = 16k, p = 32k, q = 64k, r = 128k 로 가중치를 두어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제5도에 도시된 중간좁ㄴ환부는 데이터를 전송함에 의해서 8번만 스트로브신호를 전송하면 되므로 제2도에 도시된 중간조변환부에서 256계조 X 512(화소) = 약 13만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비하면 데이터 전송 알고리즘이 간단해지고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보정부(70)에서 행해지는 Y,M,C에 대한 색보정, 계조별 발열체의 온도, 저항으로 구성된 발열체의 편차에 따른 저항 보정을 행하며, 이 중 저항보정에 있어서 이상적인 경우에는 각 발열체의 저항의 크기가 같아야 하지만 통상의 경우 제조상의 문제로 각 저항은 편차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1라인을 프린팅하기 위해서 필요한 발열소자가 525개이고, 그 중심저항이 3K라고 가정하면 각각의 저항값의 편차로인하여 저항값이 3K보다 큰 경우에는 E = V2 / R) X t이므로 발열시간(t), 인가전압(V)값은 고정되어 있고 저항(R)값이 커지면 에너지가 적어지므로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희미하게 자극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각 저항이 발열하는 에너지도 각각 다르기 되므로 같은 농도의 화상을 얻고자 같은 시간을 통전하여도 같은 농도가 되지 않아 화상의 색표현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TPH 제작업자측에서 TPH각각의 저항을 측정하여 하드웨어 제작업자에게 제공하게 되고, 하드웨어 제작업자는 측정 데이터를 변환하여 보정부(70)에서 각각의 저항에 대하여 보정을 해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TPH제조업자측에서 저항편차에 대한 데이터를 별도로 하드웨어 제조업자에게 제공해야 하므로 번거럽고, 하드웨어 제작업자는 저항보정에 필요한 EPROM에 데이터를 변경하여 기입하여야 하며 EPROM과 같은 ㅈ항보정을 위한 하드웨어가 구성되어야 하므로 하드웨어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열전사헤드(TPH)내부에서 발열체의 편차에 따른 저항보정을 행하는 비디오 프린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프린터장치는 신호입력원으로부터 화상신호를 유입하여 라인단위로 미리 설정된 계조값과 계조비교 후 발열체로 구성된 열전사헤드(TPH)에 통전인자표현을 행하는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전사헤드는 발열체의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저항보상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프린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프린터장치의 이 ㄹ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제8도에 의하면, 신호입력원으로부터 유입되는 화상신호가 디지털 신호형태로서 프레임분으로 저장하는 비디오신호 처리회로(110)와,
비디오신호처리회로(110)로부터 독출되는 적, 녹, 청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120)와,
선택부(120)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는 보색관계에 있는 C,M,Y색신호로 변환하는 색컨버터(130)와,
색컨버터(130)의출력을 보정, 온도보정, 색보정을 행하는 보정부(140)와,
보정부(140)의 출력을 라인단위로 저장하는 라인메모리(150)와,
라인메모리(150)의 데이터 기입 및 독출을 제어하고, 계조별로 발열시간에 해당하는 스트로브신호를 출력하는 TPH제어부(160)와,
발열체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EPROM으로 구성된 저항보정부(171), TPH제어부(160)의 제어하에 저항보정부(171)의 저항위치에 따른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발생기(172), 미리 설정된 각 계조데이타를 발생하는 계조레벨발생기(173), 저항보정부(171)의출력을 계조레벨비교기(173)의출력과 계조비교하는 계조비교기(174), 계조비교기(174)의 출력을 저장하는 시프트 레지스터(175), 시프트레지스터(175)의출력을 래치하는 래치(176), 래치(176)의 출력을 발열하는 발열체(177)로 되어 있는 TPH(17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메모리(150)의 데이터기입 및 독출을 제어하며, 비트순위로 가중치를 두어 발열시간에 해당하는 스트로브신호를 출력하는 TPH제어부(160),
발열체의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EPROM으로 구성된 저항보정부(11), TPH제어부(160)의 제어하에 저항보정부(11)의 저항위치에 따른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발생기(12), 저항보정부(11)의 출력을 비트순위로 한 라인분씩 출력하기 위한 선택스위치(13), 선택스위치(13)의 출력을 저장하는 시프트레지스터(14), 시프트레지스터(14)의 출력을 래치하는 래치(15), 래치(15)의 출력을 발열하는 발열소자(16)로 구성된 TPH(17)를 제외한 구성은 제8도와 동일하다.
이어서, 제8도 및 제10도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8도에 의하면, 비디오신호처리회로(110)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A/D변환부(10), 제1선택부(20), 메모리(30), 메모리 콘트롤러(40)와 같은 구성을 가지며, 신호입력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영상신호가 디지털 신호형태로서 한 화면분으로 저장된다.
선택부(120)에서는 저장된 R,G,B 데이터에 대하여 한 신호씩 순차적으로 절환하여 샌컨버터(60)에서는 B신호에 때하여 보색관계에 있는 Y신호로, G신호에 대하여 보색관계에 있는 M신호로, R신호에 대하여 보색관계에 있는 C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보정부(140)에서는 색컨버터(130)의 출력으로부터 저항 보정을 제외한 보정, 색보정 각종보정등을 행하여 라인메모리 (150)에 기입한다.
TPH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CON1)에 따라 라인메모리(150)로부터 데이터가 독출되어 저항보정부(171)에 입력된다. 독출되는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독출되므로 어드레스 발생기(172)에서는 입력되는 데이터의 저항위치를 인식한 TPH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저항위치에 따른 어드레스신호(ADDRESS)를 발생하고, 저항보정부(171)에서는 이 어드레스신호(ADDRESS)에 해당하는 위치의 저항보정된 데이터가 출력된다.
이 보정된 데이터가 계조레벨발생기(174)의 출력가 비교하여 0 또는 1이 출력되고, 이 계조레벨발생기(174)의 출력데이타가 시프트레지스터(175)에 1라인분이 시프트되면, TPH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되는 래치신호(LATCH)에 의해 레치(176)에 전달되고 TPH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로브신호에 따라 발열한다.
이때, 계조레벨 발생기(174)에서는 TPH 제어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CON3)에 따라 한 계조씩 높은 계조데이타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256계조 레벨까지 발생하면 계조발생이 끝났음을 제어신호로(CON4)로 TPH 제어부(150)에 알려준다.
여기서, 저항보정부(171)에 대해 제9A 및 제9B도에를 결부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라인메모리(15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8비트라고 가정하면 이것이 EPROM의 0-256계조를 나타내는 어드레스로 입력된다. 어드레스발생기(172)로부터 출력되는 어드레스는 1-525개의 저항위치에 따른어드레스로 입력된다.
예를 들어 라인메모리(150)의 출력데이타가 제1수직라인의 제1화소라고 하고 이 화소값이 0000 1010이라는 데이터라고 하면 행어드레스(ROW ADDRES)가 10, 열 어드레스(COLUMN ADDRESS)가 1에 데이터가 존재하고 있다.
가령 저항값이 적어서(중심저항보다)데이타를 2계조 상승시킨다고 하면 이곳에 0000 1100이라는 데이터가 들어가도록 EPROM 맵에 디자인된다. 이렇게 하여 각 저항값에 대한 편차로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증가, 감소시킴에 의해서 저항보정을 행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TPH 제조업자가 저항보정부(171)의 EPROM에 하드웨어 제조업자로부터 주문에 따른 발열체의 저항갯수와 계조에 따라 제9B도와 같은 EPROM맵을 만들고 이 EPROM에 저항값 데이터를 계조데이타로 변경한 후에 하드웨어 제조업자에게 납품하면 종래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프린터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제10도에 의하면, 라인메모리(150)로부터 데이터가 독출되면 저항보정부(11)의 EPROM의 어드레스로 입력되고 어드레스발생기(12)에서 발생되는 정항위치에 따른 어드레스(ADDRESS)에 미리 저장된 보정된 데이터가 선택스위치(13)에서 비트순위별로 시프트 레지스터(174)에 전송되고 스트로브신호는 비트순위별로 가중치를 주어서 발열시킨다.
여기서, 선택스위치(13)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출된다.
선택스위치13)에서 LSB에서 MSB까지 시프트레지스터(174)로 연결되고 난 후에 라인메모리(150)에 다음 수직라인의 데이터가 제어신호(CON1)에 의해 기입되도록 한다.
이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프린터장치는 열전사헤드(TPH)내부에서 발열체의 편차에 따른 저항보정을 행함으로써 하드웨어량이 감소하고 열전사헤드를 집적회로(IC)화시켜 원가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유통에 있어서도 간편함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신호입력원으로부터 화상신호를 유입하여 라인단이로 미리 설정된 계조값과 계조비교한 후 복수의 발열체를 구비하는 열전사헤드(TPH)를 사용하여 통전인자표현을 행하는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전사헤드는 상기 복수의 발열체의 편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각 발열체의 위치에 따라 계조별로 보상된 계조데이타를 저장하고 있으며 입력 화상신호에 대하여 보상된 계조데이타를 출력하는 저항보정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프린터장치.
  2. 신호입력원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유입하여 라인단위로 미리 설정된 계조값과 계조비교한 후 복수의 발열체를 구비하는 열전사헤드(TPH)를 사용하여 통전인자표현을 행하는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를 라인단이로 저장하는 라인메모리; 상기 복수의 발열체의 편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각 발열체의 위치에 따라 계조별로 보상된 계조데이타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라인메모리의 출력에 대하여 보상된 계조데이타를 출력하는 저항보정 메모리, 각 계조데이타를 발생하는 계조레벨발생기, 상기 저항보정 메모리의 출력을 계조레벨발생기의 출력과 계조비교하는 계조비교기, 상기 계조비교기의 출력을 라인분으로 저장하는 시프트레지스터, 상기 시프트레지스터의 출력을 일시 래치하는 래치, 상기 래치의 출력을 발열하는 발열체로 되어 있는 열전사헤드: 및 상기 라인메모리의 데이터 기입 및 독출을 제어하고, 상기 라인메모리의 출력에 대응한 계조가 보정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상기 저항보정 메모리를 제어하며, 계조별로 발열시간에 해당하는 스트로브신호를 상기 발열체에 출력하는 열전사헤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프린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사헤드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발열체의 위치에 해당하는 어드레스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출력하는 어드레스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프린터장치.
  4. 신호입력원으로부터 화상신호를 유입하여 라인단위로 미리 설정된 계조값과 계조비교한 후 복수의 발열체를 구비하는 열전사헤드(TPH)를 사용하여 통전인자표현을 행하는 프린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신호를 라인단위로 저장하는 라인메모리; 상기 복수의 발열체의 편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각 발열체의 위치에 따라 계조별로 보상된 계조데이타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라인메모리의 출력에 대하여 보상된 계조데이타를 출력하는 저항보정 메모리, 상기 저항보정 메모리의 출력을 라인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비트순위로 출력하기 위한 선택스위치, 선택스위치의 출력을 저장하는 시프트레지스터,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을 일시 래치하는 래치, 상기 래치의 출력을 발열하는 발열체로 되어 있는 열전사헤드: 및 상기 라인메모리의 데이터기입 및 독출을 제어하고, 상기 라인메모리의출력에 대응한 계조가 보정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상기 저항보정 메모리를 제어하며, 비트순위로 가중치를 두어 발열시간에 해당하는 스트로브신호를 출력하는 열전사헤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프린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사헤드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발열체의 위치에 해당하는 어드레스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출력하는 어드레스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프린터장치.
KR1019920023433A 1992-12-05 1992-12-05 비디오 프린터장치 KR0141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3433A KR0141118B1 (ko) 1992-12-05 1992-12-05 비디오 프린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3433A KR0141118B1 (ko) 1992-12-05 1992-12-05 비디오 프린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836A KR940013836A (ko) 1994-07-16
KR0141118B1 true KR0141118B1 (ko) 1998-07-01

Family

ID=1934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3433A KR0141118B1 (ko) 1992-12-05 1992-12-05 비디오 프린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11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836A (ko) 199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25425B1 (en) Thermal printer and printing method thereof
KR0134341B1 (ko) 프린터의 용지/필름감지방법 및 그 장치
JP2581509B2 (ja) 感熱プリンタ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方法
JPS62256576A (ja) 感熱記録装置
JPS62256575A (ja) 感熱記録装置
US4954889A (en) Color masking circuit and color video printer using the same
KR0141118B1 (ko) 비디오 프린터장치
CA2040894C (en) Multi-gradation image recording apparatus
KR940003639B1 (ko) 열전사 감열기록기기의 면적계조 제어장치와 방법
US4849775A (en) Color thermal printer printing system
KR0138136B1 (ko) 열전사헤드와 이 열전사헤드를 내장한 열전사프린터장치 및 그 방법
KR940007012B1 (ko) 칼라비디오프린터의고속프린팅방법및장치
KR20010030303A (ko) 감열식 프린터의 헤드 콘트롤러 및 프린팅 방법
KR0132879B1 (ko) 열전사 프린터장치
JP2000022954A (ja) 階調プリンタのメディア濃度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KR0132883B1 (ko) 비디오 프린터장치
KR0141239B1 (ko) 열전사 프린터장치 및 그 방법
JP3671529B2 (ja) 熱転写形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KR0159433B1 (ko) 칼라 화상형성장치의 화상 보정회로
KR0138139B1 (ko) 프린터장치
JPH08244265A (ja) 中間調記録方法及び装置
KR920006101B1 (ko) 비디오 프린터의 감열 기록장치
KR0132893B1 (ko) 비디오 프린터장치
GB2217948A (en)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video printer
JPH06238936A (ja) 熱転写プリント装置及び熱転写プリント装置用の補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