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929B1 - 슬랫 컨베이어상에서 제품의 전기 특성 자동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슬랫 컨베이어상에서 제품의 전기 특성 자동 검사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929B1
KR0140929B1 KR1019950000392A KR19950000392A KR0140929B1 KR 0140929 B1 KR0140929 B1 KR 0140929B1 KR 1019950000392 A KR1019950000392 A KR 1019950000392A KR 19950000392 A KR19950000392 A KR 19950000392A KR 0140929 B1 KR0140929 B1 KR 0140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product
relay
measuring instrument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0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9799A (ko
Inventor
류득현
류승수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1019950000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929B1/ko
Publication of KR960029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9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9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25Measuring very high resistances, e.g. isolation resistances, i.e. megohm-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3Environmental or reliability te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랫 컨베이어(Slat Conveyor)상에 흐르는 전기, 전자 제품의 내전압, 접지저항, 절연저항의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래 3개 공정에 걸쳐 검사하던 상기 검사 작업을 스톱퍼가 없는 슬랫 컨베이어상에서 1개 공정화하고, 그 검사를 자동적으로 실행하여 양, 불량의 자동 판정과 기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슬랫 컨베이어상에서 제품의 전기 특성 자동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절연저항, 접지저항, 내전압 검사 장치는, 검사를 수작업으로 하는데다가, 각각의 검사 공정이 3개의 공정으로 나뉘어 진행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검사 결과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고, 불량 내용을 별도의 기록 용지에다 일일이 기록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측정 신호의 판정과, 램프와 부저 및 라이 스톱 스위치 출력을 제어하고 또한 검사정보를 상기 모니터(21)에 출력해주는 제어기(23)와, 제품의 절연저항과 내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23)에 공급하는 절연 내압 계측기(24)와, 제품의 접지 저항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23)에 공급하는 접지저항 계측기(25)와, 상기 각 계측기와 제어기 및 각종 센서 및 램프, 부저, 라인 스톱 스위치와의 신호 연결과 제어를 담당하는 릴레이 박스(26)을 구비하여, 절염 및 내압 계측기와 접지저항 계측기의 측정값을 제어기에서 입력받아 그 검사 결과를 자동적으로 판정하게 하고, 릴레이 시이퀀스 회로를 이용해서 검사 시점을 순차적으로 실행되게 함으로써, 제품의 전기적 특성 검사를 자동화, 고능률화할 수 있도록 한 슬랫 컨베이어상에서 제품의 전기 특성 자동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랫 컨베이어상에서 제품의 전기 특성 자동 검사 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절연저항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 2 도는 종래의 접지저항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 3 도는 종래의 내전압 검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전기 특성 자동 검사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 5 도는 본 발명에서 계측기와 컨베이어 및 제어기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회로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서 릴레이박스와 그 주변 회로의 회로도
제 7 도의 (a),(b)는 본 발명의 검사장치에서 릴레이 박스와 주변회로의 상세 회로도
제 8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검사 과정의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모니터 22 : 키보드
23 : 제어기 23a : DIO보드
24 : 절연 내압 계측기 25 : 접지저항 계측기
26 : 릴레이 박스 27 : 센서
28 : 램프 29 : 부저
30 : 라인 스톱 스위치
본 발명은 슬랫 컨베이어(Slat Conveyor)상에 흐르는 전기, 전자 제품의 내전압, 접지저항, 절연저항의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래 3개 공정에 걸쳐 검사하던 상기 검사 작업을 스톱퍼가 없는 슬랫 컨베이어상에서 1개 공정화하고, 그 검사를 자동적으로 실행하여 양, 불량의 자동 판정과 기록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슬랫 컨베이어상에서 제품의 전기 특성 자동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절연저항, 접지저항, 내전압 검사 장치는 수동 작업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절연저항 측정 장치는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품이 탑재되는 파레트(1)의 밑면에 동판(2)을 형성하고, 제품 연결용 전원단자(3)를 설치하며, 컨베이어(4)에는 상기 동판(2)과 접속되는 전원 브러쉬(5)를 절연저항, 계측기(6)를 연결하여 구성하고, 측정 결과를 녹색과 적색의 램프(7)로 표시하게 구성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검사 장치에 의한 절연저항 검사 과정을 제 1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레트(1)에 제품이 탑재되어 컨베이어(4)상을 흘러 전원 브러쉬(5)에 도착되면, 브러쉬(5)와 동판(2) 및 전원단자(3)를 통해 여기에 접속된 제품의 충전부(전원단자)와 비충전부(접지단자) 사이에 500VDC를 공급하여 그때 절연저항 계측기(6)에 측정되는 저항값이 10mΩ 이상이면 녹색 램프를 점등시켜 합격, 그 이하이면 적색 램프를 점등시켜 불합격 처리하는 수작업에 의한 검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 2 도는 종래의 접지저항 측정장치이며, 접지저항 계측기(8) 이용하고 있다.
즉, 제품을 적재한 파레트(1)가 컨베이어(4)상의 작업자 앞에 도착하면 작업자는 제품의 전원 코드 접지단자(9)와 제품의 샤시 부분을 핸드 타입의 접지 저항 계측기(8) 단자를 연결해서, 그때 측정된 저항값을 보고 0.75Ω을 기준으로 합격과 불합격을 판단하는 것이다.
제 3 도는 종래의 내전압 검사 장치이며, 제품이 탑재되는 파레트(1)의 밑면에 동판(2)을 형성하고, 제품 연결용 전원단자(3)를 설치하며, 컨베이어(4)에는 상기 동판(2)과 접속되는 전원 브러쉬(5)를 형성하고 내전압 계측기(10)를 연결하며, 내전압 계측기(10)에는 그 결과를 표시하는 램프(11)를 연결하고, 검사 시작을 위한 누름 스위치(14)와 컨베이어(4)상의 파레트(1)와 제품을 정지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 구동 스톱퍼(12) 및 페달 스위치(13)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내전압 검사 장치에 의한 내전압 검사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파레트(1)에 제품이 실린채로 컨베이어(4)상을 흘러 검사 위치에 오면, 검사 작업자가 페달 스위치(13)를 밟아 솔레노이드 구동 스톱퍼(12)로 파레트를 정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전원 브러쉬(5)가 동판(2)과 접속되어지며, 이어서 검사 시작 누름 스위치(14)를 누르면 내전압 계측기(10)가 고압 출력단자에서 고압을 출력하여 브러쉬와 동판, 전원단자를 통해 제품에 순간적인 고압을 인가한다.
이때 계측 결과로 나타나는 물리량은 전류로서, 예를 들어 10mA 이하이면 합격, 10mA이상이면 불량으로 판정하며, 합격과 불합격 판정은 계측기(10)에서 출력단자를 통해 적색 또는 녹색 램프(11)를 온시켜 표시하고, 합격시 페달 스위치(13)를 오프시켜 스톱퍼(12)를 하강시키면 파레트(1)는 이송되어 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절연저항, 접지저항, 내전압 검사 장치는, 검사를 수작업으로 하는데다가, 각각의 검사 공정이 3개의 공정으로 나뉘어 진행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검사 결과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고, 불량 냉용을 별도의 기록 용지에다 일일이 기록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절연 및 내압 계측기와 접지저항 계측기의 측정값을 제어기에서 입력받아 그 검사 결과를 자동적으로 판정하게 하고, 릴레이 시이퀀스 회로를 이용해서 검사 시점을 순차적으로 실행되게 함으로써, 제품의 전기적 특성 검사를 자동화, 고능률화할 수 있도록 한 슬랫 컨베이어상에서 제품의 전기 특성 자동 검사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면 제 4 도에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하였다.
제 4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슬랫 컨베이어상에서 제품의 전기 특성 자동 검사 장치는 생산 모델, 합격 및 불합격 판정 결과, 생산량, 불량 건수, 불량을 등의 제반 정보를 영상으로 표현해주는 모니터(21)와, 검사 작업자의 명령과 제반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22)와, 외부와의 입출력 및 계측기의 측정값을 읽어오기 위한 DIO보드가 내장되며, 측정 신호의 판정과, 램프와 부저 및 라인 스톱 스위치 출력을 제어하고 또한 검사정보를 상기 모니터(21)에 출력해주는 제어기(23)와, 제품의 절연저항과 내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23)에 공급하는 절연 내압 계측기(24)와, 제품에 접지 저항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23)에 공급하는 접지저항 계측기(25)와, 상기 각 계측기와 제어기 및 각종 센서 및 램프, 부저, 라이 스톱 스위치와의 신호 연결과 제어를 담당하는 릴레이 박스(26)와, 슬랫 컨베이어 상에 흐르는 파레트와 제품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릴레이 박스(26)에 공급하는 센서(27)와, 상기 릴레이 박스(26)와 연결되어 검사 결과를 표시하는 램프(28)와, 상기 릴레이 박스(18)와 연결되어 검사 결과를 경보음 신호로 출력하는 부저(29)와, 상기 릴레이 박스(26)와 연결되어 컨베이어 구동 모터를 구동 또는 정지 시키기 위한 라인 스톱 스위치(30)로 구성하였다.
제 5 도는 상기한 본 발명의 슬랫 컨베이어상에서 제품의 특성 자동 검사 장치에서, 각 계측기와 제어기, 컨베이어상의 브러쉬와의 연결 관계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절연 내압 계측기(24)와 접지저항 계측기(25)는 제어기(23)에 내장된 DIO보드(13a)와 연결되어 측정값을 입력하게 되고, 또한 이 DIO보드(23a)를 통해 제어기(23)가 센서, 램프, 부저, 라인 스톱 스위치 등과 연결되며, 컨베이어(4)상에는 파레트를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LS1)(LS2)와 제품 감지용 빔 센서(BS1)가 구비된다.
제 6 도는 상기 릴레이 박스(26)와 주변 회로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릴레이 박스(26)의 제어를 받는 절연 내압 계측기(24) 및 접지 저항 계측기(25)가 연결되어 있고, 또한 DIO보드(23a)에 연결되어 센서(27)의 신호를 입력받고, 램프(28), 부저(29), 라인 스톱 스위치(20)를 제어하게 하였다.
제 7 도는 상기 릴레이 박스를 중심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전기 회로 구성을 도시한 도면 으로서,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제어과정을 이 릴레이 시이퀀스 회로에 의해 실행하여 제품의 전기적 특성-절연저항, 접지저항, 내압에 대한 자동검사와 데이타 베이스의 구축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슬랫 컨베이어상에서 제품의 전기 특성 자동 검사 장치에 의한 절연저항, 내압, 접지저항 특성의 자동 검사 과정을 제 4 도 내지 제 8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4 도 및 제 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랫 컨베이어(4)상에 제품을 적재한 파레트가 도달하여 리미트 스위치(LS1)(LS2)가 온되고 제품을 감지하여 빔센서(BS1)가 온된다.
그러므로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리미트 스위치(LS1)가 온되면 릴레이(R1)가 온되고, 리미트 스위치(LS2)가 온되면 릴레이(R2)가 온도며, 빔 센서(BS1)가 온되면 릴레이(R3)가 그 a점점들과 함께 모두 온되고, b점점들은 오프된다.
그러므로 릴레이(R21)(R22)가 오프되고 릴레이(R22)의 b점점과 릴레이(R21)의 a점점이 온되어 릴레이(R23)는 오프되며, 릴레이(R2)의 a점점과 릴레이(R23)의 b점점 및 릴레이(R3)의 a점점이 온되기 때문에 릴레이(R24)와 그 a점점이 온되고 b점점은 오프된다
릴레이(R24)의 a점점이 온되면 마그네트 스위치(MC)가 온되고 b점점이 오프되면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마그네트 스위치(MC)에 의해서 절연저항과 내전압을 측정하는 절연 내압 계측기(24)가 상기 브러쉬(5)에 연결되고, 또한 이때 릴레이(R6)도 온되기 때문에 이미 온되어 있는 릴레이(R1)(R2)의 a점점과 상기 릴레이(R6)의 a점점에 의해 절연 내압 계측기(24)의 검사단자(Test)와 공통단자(COM)가 단락되어 계측기(24)가 브러쉬(5)를 통해 제품의 절연 저항과 내압을 측정하게 된다.
절연 내압 계측기(24)는, 제품에 일정한 시간 고압을 출력하는 단자와, 검사 시점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단자(Test, Reset, COM), 그리고 검사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단자(GOOD, NG, COM)를 갖고 절연저항과 내전압을 측정하여 합격, 불합격 판정을 수행한다.
측정 결과 합격이면 출력단자(GOOD)로 +24VDC를 출력하므로 제 7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릴레이(R14)와 그 a점점이 온되어 상기 전압이 제어기(23)에 내장된 DIO보드(13a)의 입력단자(DIO)에 인가되고, 이를 제어기에서 감지하며, 합격이면 제 7 도에서, DIO보드(23a) 출력단자(COMO)로부터 +24VDC 전압을 출력하고, 이 전압에 의해 릴레이(R10)가 온되므로 그 a접점 또한 온되어 합격을 알리는 녹색 램프(G-L)를 점등시키고, 합격을 표시하는 'OK'표시를 모니터(21) 화면에 측정값과 함께 출력해 준다.
그러나, 불합격의 경우에는 출력단자(I/NG, W/NG)에서 +24VDC를 출력함에 따라 릴레이(R15)(R16)와 그 a점점들이 온되고, 이에 따라 DIO보드(23a)의 입력단자(DI1)(DI2)를 통해 상기 전압이 제어기(23)에 인가되며, 제어기(23)가 이를 인식하고 DIO보드(23a)의 출력단자(COM1)에서 +24VDC 전압을 출력하여 릴레이(R11)와 그 a접점을 온시켜 불합격을 알리는 적색 램프(R-L)를 점등시키고 부저(29)(BZ)를 올리는 한편, 모니터(21) 화면에 'NG'표시를 해주고, 또한 컨베이어 구동 모터를 정지시켜 제품 수리가 아루어질 수 있게해 준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합격의 경우 릴레이(R14)의 a점점이 온되면 릴레이(R4)가 온되므로 릴레이(R5)가 온되어 릴레이(R6)는 오프된다.
그러므로 제 5 도에서 계측기(24)의 리세트 단자(Reset)가 공통 단자(COM)와 단락되어 계측기(24)는 측정을 완료하고 원상태로 복구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같이 불합격의 경우에도 릴레이(R15)(R16)가 온되면, 릴레이(R4)가 온되므로 릴레이(R5)가 온되어 릴레이(R6)는 오프되고, 이에 따라 제 5 도에서 계측기(24)의 리세트 단자(Reset)가 공통단자(COM)와 단락되어 계측기(24)는 원상태로 된다.
이와같이하여 절연 및 내전압 검사가 종료된 후 파레트가 슬랫 컨베이어(4)상에서 진행하면 리미트 스위치(LS1)이 먼저 오프된다.
리미트 스위치(LS1)가 오프되면 릴레이(R1)가 오프되고, 릴레이(R1)의 b점점에 의해 릴레이(R21)는 온되므로 릴레이(R23) 또한 온되며, 릴레이(R24)는 릴레이(R23)의 b점점에 의해 오프된다.
그러므로 이때 릴레이(R24)의 a점점에 의해 마그네트 스위치(MC)가 오프되어 제 5 도에서 접지저항 계측기(25)가 제품 본체(31)와 브러쉬(5)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 7 도의 (b)에서 릴레이(R8)의 b점점과 마그네트 스위치(MC)의 b점점 및 릴레이(R2)이 a점점에 의해 릴레이(R9)가 온되고, 릴레이(R9)가 온됨으로써 제 5 도에서, 접지 저항 계측기(25)의 검사단자(Test)와 공통단자(COM)가 연결된다.
따라서 접지 저항 계측기(25)는 제품(31)의 샷시와 비충전부-브러쉬로 제품에 연결-사이의 절연 접지 상태를 검사한다.
이 검사 결과 합격이면 출력단자(PASS)로 +24VDC를 제 7 도의 (b)와같이 출력하므로, 릴레이(R17)가 온되어 릴레이(R7)를 온시킨다.
릴레이(R7)가 온되면 그 a접점과 마그네트 스위치(MC)의 b점점에 의해 릴레이(R8)가 온되므로 제 5 도에서 접지 저항 계측기(25)의 공통단자(COM)와 리세트 단자(Reset)가 단락되어 계측기(25)는 검사를 종료하고 원상태로 복구된다.
그리고, 이와함께 릴레이(R17)가 동작하므로 릴레이 a점점이 온되어 DIO보드(23a)의 입력단자(DI3)로 +24VDC전압이 인가되고, 이를 제어기(23)가 인식하여 합격이므로 제 7 도에서, DIO보드(23a) 출력단자(COMO)로부터 +24VDC 전압을 출력하고, 이 전압에 의해 릴레이(R10)가 온되므로 그 a접점 또한 온된어 합격을 알리는 녹색 램프(G-L)를 점등시키고, 합격을 표시하는 'OK'표시를 모니터(21) 화면에 측정값과 함께 출력해 준다.
그러나, 불합격의 경우에는 접지 저항 계측기(25)의 출력단자(FAIL, WARN)에서 +24VDC를 출력함에 따라 릴레이(R18)(R18)와 그 a점점들이 온되고, 이에 따라 DIO보드(23a)의 입력단자(DI4)(DI5)를 통해 상기 전압이 제어기(23)에 인가되며, 제어기(23)가 이를 인식하고 DIO보드(23a)의 출력단자(COM1)에서 +24VDC 전압을 출력하여 릴레이(R11)와 그 a접점을 온시켜 불합격을 알리는 적색 램프(R-L)를 점등시키고 부저(29)(BZ)를 올리는 한편, 모니터(21) 화면에 'NG' 표시를 해주고, 또한 컨베이어 구동 모터를 정지시켜 제품 수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해 준다.
상기한 바와같이 검사 과정의 진행중에 구한 측정과 판정 데이타는 제어기(23)에서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여 두며, 1개의 검사 과정에서라고 불합격인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릴레이 접점(R12)이 온되어 컨베이어 구동 모터를 정지시키고 제품 수리를 시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슬랫 컨베이어상에서 제품의 전기 특성 자동 검사 장치에 의하여, 절연저항과 내전압 검사, 접지저항의 검사 작업이 자동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효율적이고 능률적인 검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른 작업성 향상과 생산성 향상은 물론, 검사 결과의 정보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생산 모델, 합격 및 불합격 판정 결과, 생산량, 불량 건수, 불량율 등의 제반 정보를 영상으로 표현해주는 모니터(21)와, 검사 작업자의 명령과 제반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22)와, 외부와의 입출력 및 계측기의 측정값을 읽어오기 위한 DIO보드가 내장되며, 측정 신소의 판정과, 램프와 부저 및 라인 스톱 스위치 출력을 제어하고 또한 검사정보를 상기 모니터(21)에 출력해주는 제어기(23)와, 제품의 절연저항과 내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23)에 공급하는 절연 내압 계측기(24)와, 제품의 접지 사항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23)에 공급하는 접지저항 계측기(25)와, 상기 각 계측기와 제어기 및 각종 센서 및 램프, 부저, 라인 스톱 스위치와의 신호 연결과 제어를 담당하는 릴레이 박스(26)와, 슬랫 컨베이어 상에 흐르는 파레트와 제품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릴레이 박스(26)에 공급하는 센서(27)와, 상기 릴레이 박스(26)와 연결되어 검사 결과를 표시하는 램프(28)와, 상기 릴레이 박스(18)와 연결되어 검사 결과를 경보음 신호로 출력하는 부저(29)와, 상기 릴레이 박스(26)와 연결되어 컨베이어 구동 모터를 구동 또는 정지 시키기 위한 라인 스톱 스위치(3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 컨베이어상에서 제품의 전기 특성 자동 검사 장치.
KR1019950000392A 1995-01-11 1995-01-11 슬랫 컨베이어상에서 제품의 전기 특성 자동 검사 장치 KR0140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392A KR0140929B1 (ko) 1995-01-11 1995-01-11 슬랫 컨베이어상에서 제품의 전기 특성 자동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392A KR0140929B1 (ko) 1995-01-11 1995-01-11 슬랫 컨베이어상에서 제품의 전기 특성 자동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799A KR960029799A (ko) 1996-08-17
KR0140929B1 true KR0140929B1 (ko) 1998-07-15

Family

ID=19406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0392A KR0140929B1 (ko) 1995-01-11 1995-01-11 슬랫 컨베이어상에서 제품의 전기 특성 자동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9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793B1 (ko) * 1998-03-30 2005-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제조장치
KR100361746B1 (ko) * 1998-12-30 2003-01-24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수송 식별 시스템
KR20030047070A (ko) * 2001-12-07 2003-06-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신호전달 제어장치와 신호전달 제어장치의 점검장치
KR101382418B1 (ko) * 2012-11-30 2014-04-08 박기주 복합 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의 절연 감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9799A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2853B2 (en) Tire defect tester having a fault indicator circuit
US20020079902A1 (en) Sensor for measur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a fluid medium
KR0140929B1 (ko) 슬랫 컨베이어상에서 제품의 전기 특성 자동 검사 장치
CN103197245A (zh) 伺服电机定子检测装置及工艺
KR0140931B1 (ko) 슬랫 컨베이어상에서 제품의 전기 특성 자동 검사 장치
KR0140932B1 (ko) 슬랫 컨베이어상의 제품 내전압 검사 장치
KR200336598Y1 (ko) 차량용 램프의 수밀 및 점등 검사 장치
KR0140933B1 (ko) 슬랫 컨베이어상에서 전자레인지의 디프로스트 발진 검사 장치
CN115684922A (zh) 电机控制器自动化测试方法及系统
US20040145374A1 (en) Automatic hi-pot, megohmeter and continuity, circuit tester
CN207502678U (zh) 检测接触器镜像触头的装置
KR101794886B1 (ko) 전원공급기 메인보드의 이동식 시험기
CN206339625U (zh) Scr空气辅助系统电控功能检测仪
KR100190657B1 (ko) 배터리 검사시스템
KR200268679Y1 (ko) 케이블의 통전 및 내압 검사기
CN106707137A (zh) Scr空气辅助系统电控功能检测仪
KR100317940B1 (ko) Plc 검사 시스템
JPH0224539Y2 (ko)
KR100187813B1 (ko) 리어 액슬 롤 내구성 시험장치
KR100231411B1 (ko) 배터리제조공정상에서의 가스켓 유무 검사장치 및 방법
KR100916419B1 (ko) 멀티헤드 유닛의 툴 파손 감지장치
KR19980037292A (ko) Tv절연 내압 무인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658382U (ja) 自動絶縁耐圧試験システム
JPH07346B2 (ja) 熱可塑性管手継手の電気溶着方法および装置
JP2011054522A (ja) 接触不良測定方法及び接触不良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