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715Y1 - 과수원용 전동식 카트 - Google Patents

과수원용 전동식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715Y1
KR0140715Y1 KR2019960058667U KR19960058667U KR0140715Y1 KR 0140715 Y1 KR0140715 Y1 KR 0140715Y1 KR 2019960058667 U KR2019960058667 U KR 2019960058667U KR 19960058667 U KR19960058667 U KR 19960058667U KR 0140715 Y1 KR0140715 Y1 KR 0140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art
handle
orchards
orch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8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5525U (ko
Inventor
이현숙
Original Assignee
변재욱
주식회사서광프로젝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욱, 주식회사서광프로젝트 filed Critical 변재욱
Priority to KR2019960058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715Y1/ko
Publication of KR199800455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5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7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03Adaptations for loading in or on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53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고안은 과수원에서 수확한 과일을 운반하거나, 비료, 퇴비 등의 운반 등에 사용되는 과수원용 전동식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차대 전측의 샤프트 양측단에 작, 우 구동륜과 그 내측에 클러치와 베어링을 내삽설치하고, 후측의 고정판상에 설치된 케스터상에 장착된 바퀴와, 상기 작, 우 구동륜에 동력를 전달하기 위한 모우터와 배터리와, 상기 모우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시키기 위한 커플링을 축설한 감속기어와, 급속한 출발을 방지하기 위한 저속 출발회로를 내장한 콘트롤러로 구성되어 손잡이에 장착된 볼륨스위치를 회동시켜, 상기 모우터의 온, 오프 및 무단 또는 다단으로 변속조작이 이루워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과수원용 전동식 카트
본 고안은 과수원에서 수확한 과일을 운반하거나 비료, 퇴비 등을 운반할 때 사용되는 과수원용 전동식 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사진 지형의 과수원에서도 각종 물건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밧데리를 동력원으로하여 운행토록 함으로써 공해 배출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사용이 간편한 과수원용 전동식 카트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농촌에서는 농업에 종사하는 인력이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임금도 지나치게 상승하는 등 야러 가지 사회적인 제반 문제점으로 인하여 기계화 영농이 적극 추진되고 있음과 동시에 점차적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각종 과수원에서는 경사진 지형과 과수나무 등의 외적인 환경으로 인하여 일반 농지와 같이 영농기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가 어려워 상태적으로 수작업에 의존하는 경향이 많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영농기계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지형적인 조건으로 사고의 위험성이 높고 사용의 불편함이 야기되는 것이었다.
즉, 과수원에서 수확된 과일을 운반한다거나 또는 비료, 퇴비 등을 운반하고자 할 경우에는 경사진 과수원의 지형 때문에 트랙터라던지 경운기 등과 같은 기계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과수원에서는 누구라도 자유자재로 조작이 가능하고 기동성있게 사용할 수 있는 카트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여, 특히 이러한 카트는 과수원의 험한 지형에서도 안전한 기동력과 운전이 가능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나무를 보호하기 위하여 공해의 배출이 없어야 하는 등의 조건을 갖추어야 하는 것이나, 현재까지는 과수원에만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카트가 전혀 없기 때문에 다른 용도의 영농기계를 대체 사용한다거나 또는 수작업에만 의존함으로써 효율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경사진 지형의 과수원에서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카트를 제공함과 동시에 공해배출이 없고, 조작이 간편하며 확실한 제동력과 뛰어난 등판 능력을 가진 과수원용 전동식 카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카트는 차대에 각종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함을 구동시에 이의 적재함의 전면에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적재함에는 밧데리에 의해 구동되는 모우터를 동력원으로 회전작동되는 구동륜과 캐스터를 구비함으로써 카트의 운전 및 자유로운 조향조작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며, 또한 동적전달의 차단과 변속에 따른 조작으로 브레이크 작동이 되도록 함으로써 확실한 제동력과 더불어 저속출발이 가능토록 하는 등 과수원의 경사진 지형에서도 안전하고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01 : 차대
10 : 적재함 20 : 손잡이
21 : 제어노브 22: 레버
23 : 콘트롤러 30,30a :구동륜
31 : 회전축 32,32a : 구동륜
33,33a : 클러치 40 : 캐스터
50 : 밧데리 60 : 모우터
61 : 감속기어 62 : 콘트롤러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고, 제2도는 온 고안의 측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본 고안에 따른 카트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카트(100)는 크게 구분하여 물건을 적재토록 하는 적재수단과, 카트(100)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구동수단과, 그리고 상기 카트(100)를 조향하도록 하는 조향수단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카트(100)는 차대(101)의 상면에 각종 물건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함(10)이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적재함(10)의 전면에는 수동으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20)가 구비되고, 상기 적재함(10)의 하부에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한쌍의 구동륜(30)(30a)과 조향력을 제공토록 하는 캐스터(4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적재함(10)과 손잡이(20)는 금속파이프가 절곡 구비되면서 차대(101)에 용접으로 고정구비되는 것이고, 상기 적재함(10)내에는 도면에서는 미도시되어 있지만 합판 등과 같은 별도의 판체를 설치하여 함체형으로 구비함과 동시에 후면에 는 개폐가능한 도어를 구비하여 각종 물건을 용이하게 적재 및 하역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대(101)에는 밧데리(50)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모우터(60)가 설치되고, 이의 모우터(60)는 감속기어(61)를 통하여 구동륜(30)(30a)의 회전축(31)과 연결된다.
상기 밧데리(50)는 충전식으로써 모우터(6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으로, 이의 모우터(60)는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우수한 등판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직류 분권식 모우터로 구성됨과 동시에 급격한 출발로 인한 운행상의 불안전을 없애고 내리막길에서 부드러운 출발이 가능하도록 저속출발회로를 내장한 콘트롤러(62)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31)은 차대(101)의 하부에 베어링(32)(32a)으로서 연결됨과 동시에 이의 소정위치에는 회전축(31)을 회전을 제동토록 하는 브레이크(3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차대(101)의 하부 전방에는 방향전환을 위한 캐스터(40)가 구비되어 손잡이(20)의 움직이는 각도에 따라 방향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의 손잡이(20)에는 제어노브(21)가 구비되어 콘트롤러(62)를 통하여 모우터(60)를 온,오프 및 그 회전비를 다단으로 조작 가능토록 함으로써 카트의 운행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어노브(21)에 의해 카트(100)를 정지 및 전,후진은 물론 전진시 저속, 중속, 고속으로 그 속도를 제어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20)의 하부에는 브레이크 레버(22)가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의 레버(22)는 제동장치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것으로, 즉 전자식 콘트롤러(23)를 통하여 회전축(31)에 구비되는 브레이크(33)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전동식 카트(100)는 과수원에 전용으로 사용토록 하는 것으로, 이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적재함(10)내에 수확한 과일등을 적재한 후, 제어노브(21)를 필요로하는 위치 즉, 전진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진위치에 두고 브레이크 레버(22)를 온작동 시키게되면, 전자식 콘트롤러(23)에 의해 밧데리(50)의 전원이 모우터(60)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모우터(60)의 회전공력은 감속기어(61)를 거쳐 회전축(31)으로 전달됨과 동시에 차대(101)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는 구동륜(32)(32a)을 회전구동시키게 됨으로써 카트(100)는 해당속도로 전진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카트(100)의 주행속도는 제어노브(21)의 조작에 따라 모우터(60)의 구동을 정지 및 회전비에 따른 중립은 물론 다단으로 그 속도를 변속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고, 또한 레버(22)의 작동에 따른 브레이크(33)로서 카트(100)를 정지 및 출발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누구라도 간단한 조작만으로 카트를 손쉽게 운전할 수가 있게 되어 과수원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과수원에서 각종 물건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전용의 전동식 카트를 구비하되, 충전식 밧데리를 전원으로 구동되게 함으로써 공해의 배출 염려가 없어 농작물에 피해를 주지않고, 조작이 간편하여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등 사용성이 뛰어난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밧데리에 의해 구동되는 직류 분권식 모우터를 사용함에 따라 많은 화물을 적재하고도 경사진 지형을 가지는 과수원 등에서 용이하게 운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뛰어난 등판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저속 출발회로가 구비된 콘트롤러의 작동에 의해 급격한 출발을 예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리막길에서도 유연한 출발이 가능하고, 간단히 레버를 잡는 것만으로 제동을 할 수가 있음에 따라 제동력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차대(101)의 상부에는 물건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함(10)과 조향을 위한 손잡이(20)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의 하부에는 구동력을 가지는 한쌍의 구동륜(30)(30a)과 조향력을 가지는 캐스터(40)를 구비하고, 상기 차대(101)에는 충전식 밧데리(50)에 의해 구동됨과 동시에 손잡이(20)에 구비되는 제어노브(21) 및 저속출발회로를 내장한 콘트롤러(62)에 의해 제어되면서 감속기어(61)를 통하여 구동륜(30)(30a)의 회전축(31)에 회전동력을 제공토록 하는 직류 분권식 모우터(60)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31)에는 차대(101)의 하부와 연결되면서 원활한 회전을 위한 베어링(32)(32a) 및 손잡이(20)에 구비되는 레버(22)에 의해 작동되는 브레이크(33)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원용 전동식 카트.
KR2019960058667U 1996-12-27 1996-12-27 과수원용 전동식 카트 KR0140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667U KR0140715Y1 (ko) 1996-12-27 1996-12-27 과수원용 전동식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667U KR0140715Y1 (ko) 1996-12-27 1996-12-27 과수원용 전동식 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525U KR19980045525U (ko) 1998-09-25
KR0140715Y1 true KR0140715Y1 (ko) 1999-03-20

Family

ID=19484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8667U KR0140715Y1 (ko) 1996-12-27 1996-12-27 과수원용 전동식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71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818B1 (ko) * 2006-12-18 2007-07-10 박운서 무인운반카트
KR100871087B1 (ko) * 2008-05-09 2008-11-28 이준서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그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KR100881215B1 (ko) * 2007-04-23 2009-02-0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제동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KR200450362Y1 (ko) * 2010-07-29 2010-09-27 정현욱 잎담배용 전동식 운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114B1 (ko) * 2010-12-29 2011-07-26 서진모 살포용 카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818B1 (ko) * 2006-12-18 2007-07-10 박운서 무인운반카트
KR100881215B1 (ko) * 2007-04-23 2009-02-0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제동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KR100871087B1 (ko) * 2008-05-09 2008-11-28 이준서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그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WO2009136722A2 (ko) * 2008-05-09 2009-11-12 Lee Jun Seo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그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WO2009136722A3 (ko) * 2008-05-09 2010-03-04 Lee Jun Seo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그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KR200450362Y1 (ko) * 2010-07-29 2010-09-27 정현욱 잎담배용 전동식 운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525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3959B2 (en) Implement having engine and transaxle module
US4289212A (en) Self-propelled battery powered cart for pushing disabled vehicles
KR200438679Y1 (ko) 운전 안정도가 유지되는 4륜구동 운반차
CA2284297A1 (en) Drive and steer vehicle
US20080038102A1 (en) Trash removal system
US4135592A (en) Four-wheel-drive articulated frame steering vehicle
US4429758A (en) Motorized cart
KR200435299Y1 (ko) 농업용 다용도 운반차
KR0140715Y1 (ko) 과수원용 전동식 카트
KR101883704B1 (ko) 독립운전이 가능한 트레일러형 전동운반기
KR200453679Y1 (ko) 덤프적재함이 구비된 4륜구동 운반차
CN113002639A (zh) 一种双向驾驶且能挂接推动类农机具的拖拉机
US5547035A (en) Powered hand truck
MX9700601A (es) Transportador rodante de carga.
EP2239182A1 (en) Electric tracked hand-truck
JP2000264213A (ja) 動力一輪運搬車
KR101387989B1 (ko) 무게중심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 일륜 전동운반차.
US10779464B1 (en) Self propelled electric broadcast spreader
US3692135A (en) Self-propelled pipe cart
KR101334304B1 (ko) 틸팅장치가 구비된 4륜구동 농업용 운반차.
GB2279934A (en) A device for transporting a load
JP3090386U (ja) 軌陸両用搬送台車
GB1318014A (en) Power tiller of walking type
DE3176028D1 (en) Power take-off means in refrigerated vehicles
JPH0538948A (ja) 搬送車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