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114B1 - 살포용 카트 - Google Patents
살포용 카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2114B1 KR101052114B1 KR1020100137596A KR20100137596A KR101052114B1 KR 101052114 B1 KR101052114 B1 KR 101052114B1 KR 1020100137596 A KR1020100137596 A KR 1020100137596A KR 20100137596 A KR20100137596 A KR 20100137596A KR 101052114 B1 KR101052114 B1 KR 1010521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t
- brake
- frame
- outlet
- wheel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2—Fertiliser distributors for hand us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6—Fertiliser distributors with distributing slots, e.g. adjustable openings for do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건을 실어 나르는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살포하기 위해 적재함에 적재한 재료를 살포하면서 옮겨 다닐 수 있게 구성한 살포용 카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살포용 카트는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의 저면에 삼각형으로 장착된 3개의 바퀴와, 3개의 바퀴 중에서 주행하는 쪽에 위치한 1개의 바퀴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자유 회전하는 나머지 2개의 바퀴의 회전속도를 각각 별개로 제어하는 제동시스템과, 상기 적재함의 바닥 또는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와, 선단은 상기 배출구와 대응하게 위치하고 회전하도록 적재함에 장착되며 후단은 적재함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배출구의 개도가 조절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살포용 카트는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의 저면에 삼각형으로 장착된 3개의 바퀴와, 3개의 바퀴 중에서 주행하는 쪽에 위치한 1개의 바퀴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자유 회전하는 나머지 2개의 바퀴의 회전속도를 각각 별개로 제어하는 제동시스템과, 상기 적재함의 바닥 또는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와, 선단은 상기 배출구와 대응하게 위치하고 회전하도록 적재함에 장착되며 후단은 적재함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배출구의 개도가 조절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건을 실어 나르는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재함에 적재된 재료를 살포하면서 옮겨 다닐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논밭에서 농작물을 재배함에 있어 농작물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해 토양에 비료를 뿌린다. 농사를 짓다보면 토양에 뿌려야 하는 재료가 비료뿐만 아니라 다양하다. 예를 들어 유기농 재배를 위해 톱밥, 왕겨, 씨앗 등 다양한 재료를 넓은 토지에 균일하게 살포하여야 한다.
넓은 토지에 다양한 재료를 균일하게 뿌리기 위해서는 재료의 양이 많으며 재료의 양에 비례하여 무게 또한 무겁게 된다. 이와 같은 재료를 논밭에 뿌리기 위해서는 재료들을 뿌리고자 하는 지점마다 몇 묶음씩 옮겨 두어야 작업이 한결 편리하다. 포장된 재료의 경우에는 포장되지 않은 재료를 옮기는 것보다 수월하다지만, 중량의 재료의 경우에는 옮기는 작업과 뿌리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다량의 재료를 적재한 상태에서 용이하게 옮겨 다니면서 적재된 재료를 넓은 구역에 살포할 수 있도록 구성한 살포용 카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뿌리고자 하는 재료를 적재한 후에 밀고 옮겨 다니면서 토지에 뿌릴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재료들을 옮기는 운반작업과 뿌리는 살포작업을 병행하도록 구성한 살포용 카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살포용 카트는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의 저면에 장착된 복수 개의 바퀴들과, 복수 개의 바퀴들 중에서 주행하는 방향의 전방에 장착된 바퀴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주행하는 방향의 후방에 장착되어 자유 회전하는 바퀴들의 회전속도를 각각 별개로 제어하는 제동시스템과, 상기 적재함의 바닥 또는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와, 선단은 상기 배출구와 대응하게 위치하고 회전하도록 적재함에 장착되며 후단은 적재함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배출구의 개도가 조절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퀴들은 3개로서, 전방에 1개의 앞바퀴가 장착되고, 후방에 2개의 뒤바퀴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퀴들은 2개로서, 전방에 1개의 앞바퀴가 장착되고, 후방에 1개의 뒤바퀴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재함의 저면에는 프레임이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는 상기 바퀴들이 장착되며, 프레임의 후방으로 좌측 손잡이와 우측 손잡이가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동시스템은 좌측 손잡이와 우측 손잡이에 각각 장착된 브레이크 레버와, 상기 뒤바퀴의 회전축에 각각 장착된 브레이크 디스크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부분을 감싸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안쪽면에 고정된 브레이크 패드와, 상기 클램프와 상기 브레이크 레버를 각각 연결하는 브레이크 와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동시스템은 좌측 손잡이와 우측 손잡이 중 어느 한 쪽 손잡이에 장착된 브레이크 레버와, 상기 뒤바퀴의 회전축에 장착된 브레이크 디스크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부분을 감싸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안쪽면에 고정된 브레이크 패드와, 상기 클램프와 상기 브레이크 레버를 각각 연결하는 브레이크 와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모터와 모터를 구동시키는 배터리와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기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는 스프로킷이 고정되고 앞바퀴의 회전축에는 스프로킷이 고정되며, 상기 두 스프로킷을 체인으로 연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구는 적재함의 바닥 중심과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적재함의 외측에는 각 배출구들과 연결된 배출관이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절레버의 선단에는 폭이 달라지는 장공이 형성되어 배출구와 상기 장공이 대응하게 위치하며, 상기 조절레버의 선단은 적재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배출구와 대응한 장공이 조절레버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조절레버의 후단은 적재함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적재함의 가로방향으로 곧게 고정된 가로 바와, 길이의 중간이 절곡되며 일측단이 상기 가로 바에 끼워지며 타측단은 하향으로 위치하는 슬라이드 바와, 상기 슬라이드 바의 타측단이 끼워지는 세로 바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 바와 상기 슬라이드 바의 양측단 및 세로 바에는 상호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들이 대응한 상태에서 고정핀이 관통공들에 끼워져 상기 가로 바와 상기 슬라이드 바 및 세로 바의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로 바의 하단에 상기 뒤바퀴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재함은 상기 프레임에 탈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좌측 손잡이와 상기 우측 손잡이의 사이에는 게이지 패널이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좌측 손잡이와 상기 우측 손잡이 중 어느 한 쪽에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일측단에 형성된 관통공들은 2열로 직각을 이루어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살포용 카트는 논밭에 뿌리는 재료(이하 '비료'로 통칭한다.)를 적재함에 싣고 경작지를 이동하면서 비료를 뿌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살포용 카트는 비료를 뿌렸던 지역에서는 비료를 살포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으며 비료를 뿌려야 할 지역에서 비료를 살포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비료를 토양 전체에 균일하게 뿌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3개의 바퀴로 구성한 살포용 카트와 험한 농경지를 이동하기에 편리하도록 2개의 바퀴로 구성한 살포용 카트로 구분되어 있어, 경작지의 조건에 따라 2개의 바퀴를 구비한 살포용 카트 또는 3개의 바퀴를 구비한 살포용 카트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극도로 험한 농경지 또는 작은 회전 반경으로 회전하여야 할 경우에는 뒤바퀴를 접어 앞바퀴로만 주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농경지의 지면 조건에 맞게 뒤바퀴의 높이 및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a,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살포용 카트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살포용 카트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살포용 카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살포조절부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a, 도 5b는 도 1a에 도시된 뒤바퀴의 높이조절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a에 도시된 뒤바퀴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살포용 카트의 높이조절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살포용 카트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살포용 카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살포조절부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a, 도 5b는 도 1a에 도시된 뒤바퀴의 높이조절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a에 도시된 뒤바퀴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살포용 카트의 높이조절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살포용 카트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1a, 도 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살포용 카트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살포용 카트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살포용 카트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살포조절부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a, 도 5b는 도 1a에 도시된 뒤바퀴의 높이조절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a에 도시된 뒤바퀴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포용 카트(100)는 상부로 개방된 적재함(110)이 위치하고, 적재함(110)의 저면에는 프레임(120)이 고정되어 적재함(110)을 받쳐준다. 프레임(120)의 전방에는 모터(131)가 장착되고, 모터(131)를 구동시키는 배터리(134)가 적재함(110)의 저면 중간에 장착되며, 적재함(110)의 저면 후방에는 배터리(134)와 연결된 충전기(135)가 장착된다. 따라서 전원이 충전기(135)를 통해 배터리(134)에 충전되며 사용자는 스위치(136)를 작동시켜 배터리(134)의 전원으로 모터(131)를 구동시킨다. 모터(131)에는 감속기(132)가 장착되며, 감속기(132)의 회전축에는 스프로킷(133)이 고정되며 스프로킷(133)에는 체인(147)이 연결되고, 체인(147)은 프레임(120)에 장착된 앞바퀴(141)의 회전축에 고정된 스프로킷(145)에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131)의 작동에 의해 앞바퀴(141)가 회전하며 주행한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10)은 프레임(120)에 탈장착되는 구조로서 적재함(110)을 제거하고 다른 물건을 프레임(120)에 올려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프레임(120)의 선단에는 앞바퀴(141)가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20)의 선단에는 앞바퀴(141)를 감싸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포크(143)가 고정되고, 포크(143)에 끼워진 앞바퀴(141)가 포크(14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포크(143)의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축에 스프로킷(145)이 고정된다.
또한 도 1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0)의 후단 양측에는 후방으로 연장된 2개의 손잡이(150R, 150L)가 형성되며, 손잡이(150R, 150L)에는 브레이크 레버(151)가 각각 장착된다. 여기에서는 제동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차후에 제동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한편 살포용 카트(100)의 조건 즉 배터리 충전 상태 및 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게이지 패널(159)이고, 우측 손잡이(150R)에는 모터(131)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즉 살포용 카트(100)의 주행속도를 제어하는 속도레버(157)가 장착된다.
좌측 손잡이(150L)에 장착된 브레이크 레버(151)를 잡아당기면 좌측 뒤바퀴(142L, 142R)의 회전이 감속되면서 좌측 방향으로 주행하게 된다. 그리고 우측 손잡이(150R)에 장착된 브레이크 레버(151)를 잡아당기면 우측 뒤바퀴(142R)의 회전이 감속되면서 우측 방향으로 주행하게 된다.
좌측 뒤바퀴(142L)와 우측 뒤바퀴(142R)는 프레임(12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0)의 후단 저면에는 프레임(120)의 횡방향으로 가로 바(121)가 고정되며, 가로 바(121)의 양단에는 가로 바(121)에 삽입되어 가로 바(121)의 길이방향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슬라이드 바(123)가 각각 끼워진다. 가로 바(121)와 슬라이드 바(123)는 원형 파이프 구조이며 가로 바(121)는 직선형이며 슬라이드 바(123)는 길이 중간이 절곡된 엘보우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로 바(121)의 양측단부 상면에는 관통공(121h)들이 형성되고 가로 바(121)에 끼워지는 슬라이드 바(123)의 단부에도 가로 바(121)에 형성된 관통공(121h)과 대응하는 관통공(123h)들이 2열로 직각을 이루며 슬라이드 바(123)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따라서 가로 바(121)의 안쪽으로 슬라이드 바(123)를 인입 또는 인출한 상태에서 상호 대응하는 관통공(121h, 123h)들에 고정핀(127)을 끼워 슬라이드 바(123)의 위치를 고정한다. 슬라이드 바(123)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고정핀(127)을 빼내고 슬라이드 바(123)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대응하는 관통공(121h, 123h)에 고정핀(127)을 끼워 슬라이드 바(123)의 위치를 변경한다.
한편, 슬라이드 바(123)의 단부는 하향으로 절곡되며, 하향으로 절곡된 슬라이드 바(123)의 하단은 세로 바(125)에 끼워진다. 슬라이드 바(123)의 하단에도 관통공(123h)들이 슬라이드 바(123)의 세로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세로 바(125)의 측면에도 관통공(125h)이 형성된다. 따라서 세로 바(125)를 상하로 이동시켜 슬라이드 바(123)의 관통공(123h)과 세로 바(125)의 관통공(125h)을 대응한 상태에서 고정핀(127)을 끼워 고정한다. 가로 바(121)와 슬라이드 바(123)의 체결관계와 같이 세로 바(125)와 슬라이드 바(123)의 체결관계도 동일하다. 단지 세로 바(125)가 슬라이드 바(12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는 것에 차이가 있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바(123)를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돌리더라도 2열로 배치된 관통공(123h)과 가로 바(121)에 형성된 관통공(121h)이 대응하며 관통공(121h, 123h)에 고정핀(127)을 끼워 뒷바퀴(142L, 142R)가 들린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세로 바(125)의 하단에는 포크(143)가 고정되고 포크(143)에는 뒤바퀴(142L, 142R)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도 6에 보이듯이, 포크(143) 외측으로 연장된 회전축에는 브레이크 디스크(152)가 고정되며, 브레이크 디스크(152)에는 자전거 브레이크 시스템과 동일한 클램프(153)가 세로 바(125)에 장착된다. 클램프(153)의 안쪽에는 브레이크 패드(154)가 고정되며 클램프(153)에 연결된 브레이크 와이어(155)가 손잡이(150R, 150L)에 장착된 브레이크 레버(151)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좌측 손잡이(150L)에 장착된 브레이크 레버(151)를 잡아당기면 좌측 뒤바퀴(142L)의 브레이크 디스크(152)에 장착된 클램프(153)가 좁혀지면서 브레이크 패드(154)가 브레이크 디스크(152)를 가압하면서 감속시킨다. 반대로 브레이크 레버(151)를 놓으면 가압하던 클램프(153)가 벌어지면서 좌측 뒤바퀴(142L)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한다.
우측 손잡이(150R)에 장착된 브레이크 시스템 또한 앞서 설명한 좌측 브레이크 시스템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이용자가 좌측 브레이크 레버(151)를 잡아당기면 좌측 뒤바퀴(142L)에 제동이 걸리고 우측 뒤바퀴(142R)는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반대로 우측 브레이크 레버(151)를 잡아당기면 우측 뒤바퀴(142R)에 제동이 걸려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적재함에 설치된 살포조절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10)의 바닥은 후방 즉 손잡이(150R, 150L)가 위치한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구조이다. 그리고 적재함(110)의 후방에는 좌측 배출관(161)이 적재함(110)의 바닥에 형성된 배출구(111)와 연통된 후 적재함(110)의 좌측으로 연장되고, 우측 배출관(163)이 적재함의 바닥에 형성된 배출구(111)와 연통된 후 적재함(110)의 우측으로 연장되며, 후방 배출관(162)이 적재함(110)의 바닥에 형성된 배출구(111)와 연통된 후 적재함(110)의 후방 즉 좌측 손잡이(150L)와 우측 손잡이(150R)의 사이로 연장된다.
좌측 배출관(161)과 우측 배출관(163) 및 후방 배출관(162)은 적재함(110)의 바닥에 형성된 배출구(111)와 연통된 것으로서, 적재함(110)에 적재된 비료는 좌측 배출관(161)과 우측 배출관(163) 및 후방 배출관(162)을 통해 적재함(110)의 좌측과 적재함(110)의 후방 및 적재함(110)의 우측으로 비료를 배출하면서 살포하게 된다.
한편, 적재함(110)에는 좌측 배출관(161)과 우측 배출관(163) 및 후방 배출관(162)을 통해 배출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각각의 조절레버(165)가 손잡이(150R, 150L) 위치방향으로 연장된다.
아래에서는 조절레버(165)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레버(165)의 단부는 손잡이(150R, 150L) 쪽을 향하도록 적재함(110)의 외측에 위치하며 조절레버(165)의 선단은 적재함(110)을 관통해 적재함(110)의 내부로 연장된다. 조절레버(165)의 선단은 평판 구조로서 적재함(110)의 후방 측면에 형성된 장공(113)을 관통하여 적재함(110) 내부로 연장되는데 장공(167)과 조절레버(165)의 선단 사이의 간격이 좁아 비료가 틈으로는 배출되지 않는다.
한편 조절레버(165)의 선단은 적재함(110)의 바닥에 형성된 배출구(111)와 대응하여 위치하며 조절레버(165)의 선단은 적재함(110)의 바닥에 피봇 체결되어 피봇(169)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다. 그리고 배출구(111)와 대응하는 조절레버(165)의 선단에는 호의 형태로 장공(167)이 형성되는데 상기 장공(167)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점차 폭이 커지는 구조로 구성된다.
조절레버(165)의 선단에 형성된 장공(167)은 배출구(111)와 대응하며 이용자가 조절레버(165)의 후단을 파지하고 어느 한 쪽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면 배출구(111)를 덮고 있는 조절레버(165)의 선단이 피봇(169)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배출구(111)와 대응하는 장공(167)의 폭이 조절레버(165)의 회전방향에 따라 작아지거나 커지게 된다. 여기에서 배출구(111)와 대응하는 장공(167)의 폭이 작을 경우에는 배출관(161, 162, 163)을 통해 살포되는 비료의 양이 작아지며, 반대로 배출구(111)와 대응하는 장공(167)의 폭이 클 경우에는 배출구(111)를 통해 살포되는 비료의 양이 많아진다. 장공(167)이 배출구(111)에서 벗어나며 배출구(111)는 조절레버(165)의 선단에 막혀 배출관(161, 162, 163)을 통해 비료는 배출되지 않는다.
또한 배출관(161, 162, 163)을 통해 비료가 배출되면서 적재함(110)에 적재된 비료는 적재함(110)의 바닥 구조에 따라 후방으로 모이면서 적재함(110)의 비료가 모두 없어질 때까지 자연스럽게 살포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살포용 카트의 사용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이용자는 비료를 적재함(110)에 담아 적재한다. 그리고 손잡이(150R, 150L)의 근처에 장착된 스위치(136)를 온(on)모드로 전환하면 모터(131)가 배터리(134)의 전원에 의해 구동하며 모터(131)의 동력은 체인(147)을 통해 앞바퀴(141)를 구동시킨다. 앞바퀴(141)가 구동하면서 살포용 카트(100)는 전방으로 주행하게 된다. 이때 이용자는 좌우측의 브레이크 레버(151)를 이용하여 주행방향을 전환하면서 비료를 살포하고자 하는 위치로 살포용 카트(100)를 이동시킨다. 살포용 카트(100)가 살포위치에 도착하면 이용자는 조절레버(165)를 회전 조절하여 배출관(161, 162, 163)을 통해 적재함(110)의 좌측, 우측 및 후방으로 비료를 살포한다. 이용자는 살포량에 따라 조절레버(165)를 회전 조절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출구(111)와 대응하는 장공(167)의 폭이 넓으면 살포량이 많아지고 장공(167)의 폭이 좁으면 살포량의 작아진다. 경우에 따라서 좌측 배출관(161)과 우측 배출관(163) 및 후방 배출관(162)을 통해 비료를 살포하거나 또는 살포지역에 해당하는 배출관(161, 162, 163)만을 선택하여 살포할 수 있다.
한편, 이용자가 살포용 카트(100)를 주행하기 이전에 도랑이 좁은 밭과 같은 경우에는 뒤바퀴(142L, 142R)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가로 바(121)에 체결된 고정핀(127)을 뽑고 슬라이드 바(123)를 가로 바(121)에 인입하거나 인출하여 뒤바퀴(142L, 142R) 사이의 폭을 조절한 상태에서 고정핀(127)을 끼워 고정한다.
한편 농경지가 경사진 경우에는 세로 바(125)에 체결된 고정핀(127)을 뽑고 세로 바(125)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앞바퀴(141)와 뒤바퀴(142L, 142R)의 레벨을 조절한 상태에서 고정핀(127)을 끼워 세로 바(125)를 고정한다.
[제2실시예]
앞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살포용 카트는 뒤바퀴가 2개로서 총 3개의 바퀴로 주행하거나 또는 뒤바퀴를 지면과 수평하게 접어 1개의 앞바퀴 또는 1개의 앞바퀴와 1개의 뒤바퀴로 주행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하지만, 제1실시예에서 1개의 앞바퀴와 1개의 뒤바퀴는 일렬로 정렬된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주행에 어려움이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2실시예는 뒤바퀴 1개와 앞바퀴 1개로 구성된 살포용 카트로서, 평상 시에는 앞뒤로 정렬된 뒤바퀴 1개와 앞바퀴 1개로 주행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뒤바퀴를 지면과 수평하게 접어 1개의 앞바퀴로만 주행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만한 경사지에서는 제1실시예의 살포용 카트와 같이 구성된 3개의 바퀴로 주행하는 것이 편리하지만, 급한 경사지의 경우에는 높이조절시스템으로 뒤바퀴의 높이를 조절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이 급한 경사지에서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제2실시예의 살포용 카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살포용 카트는 높이조절시스템에 장착된 뒤바퀴가 한 개인 것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요소는 동일하거나 유사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높이조절시스템에 장착된 뒤바퀴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7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살포용 카트의 높이조절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0)의 후단 저면에는 프레임(120)의 횡방향으로 가로 바(121)가 고정되며, 가로 바(121)의 일측단에는 가로 바(121)에 삽입되어 가로 바(121)의 길이방향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슬라이드 바(123)가 끼워진다. 가로 바(121)와 슬라이드 바(123)는 원형 파이프 구조이며 가로 바(121)는 직선형이며 슬라이드 바(123)는 길이 중간이 절곡된 엘보우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로 바(121)의 일측단부 상면에는 관통공(121h)들이 형성되고 가로 바(121)에 끼워지는 슬라이드 바(123)의 단부에도 가로 바(121)에 형성된 관통공(121h)과 대응하는 관통공(123h)들이 2열로 직각을 이루며 슬라이드 바(123)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따라서 가로 바(121)의 안쪽으로 슬라이드 바(123)를 인입 또는 인출한 상태에서 상호 대응하는 관통공(121h, 123h)들에 고정핀(127)을 끼워 슬라이드 바(123)의 위치를 고정한다. 슬라이드 바(123)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고정핀(127)을 빼내고 슬라이드 바(123)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대응하는 관통공(121h, 123h)에 고정핀(127)을 끼워 슬라이드 바(123)의 위치를 변경한다.
한편, 슬라이드 바(123)의 단부는 하향으로 절곡되며, 하향으로 절곡된 슬라이드 바(123)의 하단은 세로 바(125)에 끼워진다. 슬라이드 바(123)의 하단에도 관통공(123h)들이 슬라이드 바(123)의 세로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세로 바(125)의 측면에도 관통공(125h)이 형성된다. 따라서 세로 바(125)를 상하로 이동시켜 슬라이드 바(123)의 관통공(123h)과 세로 바(125)의 관통공(125h)을 대응한 상태에서 고정핀(127)을 끼워 고정한다. 가로 바(121)와 슬라이드 바(123)의 체결관계와 같이 세로 바(125)와 슬라이드 바(123)의 체결관계도 동일하다. 단지 세로 바(125)가 슬라이드 바(123)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는 것에 차이가 있다.
한편 슬라이드 바(123)를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돌리더라도 2열로 배치된 관통공(123h)과 가로 바(121)에 형성된 관통공(121h)이 대응하며 관통공(121h, 123h)에 고정핀(127)을 끼워 뒷바퀴(142)가 들린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제2실시예의 살포용 카트(100)는 1개의 앞바퀴(141)와 1개의 뒤바퀴(142)로 구성되며 1개의 앞바퀴(141)와 1개의 뒤바퀴(142)는 일렬로 배치되어 주행하게 되는데,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두 바퀴(141, 142)로 주행하는 살포용 카트는 3바퀴(141, 142L, 142R)로 주행하는 제1실시예의 살포용 카트보다 지면의 조건이 열악하더라도 주행에 어려움이 없다. 다만, 바퀴가 3개인 살포용 카트보다 무게 중심을 잡기에 어려움이 있으나 숙련자의 경우에는 제1실시예에 따른 살포용 카트보다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한편 뒤바퀴(142)에 장착된 제동시스템 중에서 브레이크 레버(151)는 우측 손잡이(150R)에 장착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우측 손잡이(150R)의 브레이크 레버(151)를 잡아 당기면, 뒤바퀴(142)에 제동이 걸린다.
100 : 살포용 카트
110 : 적재함
111 : 배출구
113 : 장공
120 : 프레임
121 : 가로 바
123 : 슬라이드 바
125 : 세로 바
121h, 123h, 125h : 관통공
127 : 고정핀
131 : 모터
132 : 감속기
133, 145 : 스프로킷
134 : 배터리
135 : 충전기
136 : 스위치
141 : 앞바퀴
142, 142L, 142R : 뒤바퀴
143 : 포크
147 : 체인
150R, 150L : 손잡이
151 : 브레이크 레버
152 : 브레이크 디스크
153 : 클램프
154 : 브레이크 패드
155 : 브레이크 와이어
157 : 속도레버
159 : 게이지 패널
161 : 좌측 배출관
162 : 후방 배출관
163 : 우측 배출관
165 : 조절레버
167 : 장공
169 : 피봇
110 : 적재함
111 : 배출구
113 : 장공
120 : 프레임
121 : 가로 바
123 : 슬라이드 바
125 : 세로 바
121h, 123h, 125h : 관통공
127 : 고정핀
131 : 모터
132 : 감속기
133, 145 : 스프로킷
134 : 배터리
135 : 충전기
136 : 스위치
141 : 앞바퀴
142, 142L, 142R : 뒤바퀴
143 : 포크
147 : 체인
150R, 150L : 손잡이
151 : 브레이크 레버
152 : 브레이크 디스크
153 : 클램프
154 : 브레이크 패드
155 : 브레이크 와이어
157 : 속도레버
159 : 게이지 패널
161 : 좌측 배출관
162 : 후방 배출관
163 : 우측 배출관
165 : 조절레버
167 : 장공
169 : 피봇
Claims (16)
-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의 저면에 고정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 장착된 복수 개의 바퀴들과,
상기 프레임의 후방으로 연결된 좌측 손잡이 및 우측 손잡이와,
복수 개의 바퀴들 중에서 주행하는 방향의 전방에 장착된 앞바퀴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주행하는 방향의 후방에 장착되어 자유 회전하는 뒤바퀴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동시스템과,
상기 적재함의 바닥 또는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와,
선단은 상기 배출구와 대응하게 위치하고 회전하도록 적재함에 장착되며 후단은 적재함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배출구의 개도가 조절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적재함의 가로방향으로 곧게 고정된 가로 바와, 길이의 중간이 절곡되며 일측단이 상기 가로 바에 끼워지며 타측단은 하향으로 위치하는 슬라이드 바와, 상기 슬라이드 바의 타측단이 끼워지는 세로 바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 바와 상기 슬라이드 바의 양측단 및 세로 바에는 상호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관통공들이 대응한 상태에서 고정핀이 관통공들에 끼워져 상기 가로 바와 상기 슬라이드 바 및 세로 바의 위치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용 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들은 3개로서, 전방에 1개의 앞바퀴가 장착되고, 후방에 2개의 뒤바퀴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용 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들은 2개로서, 전방에 1개의 앞바퀴가 장착되고, 후방에 1개의 뒤바퀴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용 카트.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시스템은 좌측 손잡이와 우측 손잡이에 각각 장착된 브레이크 레버와, 상기 뒤바퀴의 회전축에 각각 장착된 브레이크 디스크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부분을 감싸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안쪽면에 고정된 브레이크 패드와, 상기 클램프와 상기 브레이크 레버를 각각 연결하는 브레이크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용 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시스템은 좌측 손잡이와 우측 손잡이 중 어느 한 쪽 손잡이에 장착된 브레이크 레버와, 상기 뒤바퀴의 회전축에 장착된 브레이크 디스크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의 일부분을 감싸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안쪽면에 고정된 브레이크 패드와, 상기 클램프와 상기 브레이크 레버를 각각 연결하는 브레이크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용 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모터와 모터를 구동시키는 배터리와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용 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는 스프로킷이 고정되고 앞바퀴의 회전축에는 스프로킷이 고정되며, 상기 두 스프로킷을 체인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용 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적재함의 바닥 중심과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적재함의 외측에는 각 배출구들과 연결된 배출관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용 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레버의 선단에는 폭이 달라지는 장공이 형성되어 배출구와 상기 장공이 대응하게 위치하며, 상기 조절레버의 선단은 적재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배출구와 대응한 장공이 조절레버를 따라 회전하며, 상기 조절레버의 후단은 적재함의 외측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용 카트.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바의 하단에 상기 뒤바퀴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용 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은 상기 프레임에 탈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용 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손잡이와 상기 우측 손잡이의 사이에는 게이지 패널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용 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손잡이와 상기 우측 손잡이 중 어느 한 쪽에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용 카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일측단에 형성된 관통공들은 2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포용 카트.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7596A KR101052114B1 (ko) | 2010-12-29 | 2010-12-29 | 살포용 카트 |
PCT/KR2011/010272 WO2012091474A2 (ko) | 2010-12-29 | 2011-12-29 | 살포용 카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7596A KR101052114B1 (ko) | 2010-12-29 | 2010-12-29 | 살포용 카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52114B1 true KR101052114B1 (ko) | 2011-07-26 |
Family
ID=4492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7596A KR101052114B1 (ko) | 2010-12-29 | 2010-12-29 | 살포용 카트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2114B1 (ko) |
WO (1) | WO2012091474A2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2955B1 (ko) * | 2013-01-07 | 2013-05-09 | 송기원 | 다목적 자동 살포기 |
KR101277878B1 (ko) * | 2012-11-13 | 2013-06-21 | 서진모 | 살포기 |
WO2014119920A1 (ko) * | 2013-02-01 | 2014-08-07 | Seo Jin Mo | 살포기 |
KR101433287B1 (ko) | 2013-03-15 | 2014-08-25 | 송기원 | 다목적 자동 살포기 |
KR20160029384A (ko) * | 2014-09-05 | 2016-03-15 | 엘앤에스(주) | 약액살포장치 |
KR102011656B1 (ko) * | 2018-12-07 | 2019-08-19 | 안영후 | 수동식 왜건용 보조 전동장치 |
CN112970397A (zh) * | 2021-02-03 | 2021-06-18 | 代杰 | 一种用于农业种植的施肥设备 |
CN115384591A (zh) * | 2022-08-17 | 2022-11-25 | 张峻豪 | 一种方便爬坡的砂石运输推车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114582B (zh) * | 2016-06-27 | 2018-06-22 | 广德原野水果种植家庭农场 | 一种用于采摘葡萄的拖车 |
CN108407863A (zh) * | 2018-04-27 | 2018-08-17 | 广州乐倍科技有限公司 | 一种手拉车 |
CN110695075A (zh) * | 2019-09-30 | 2020-01-17 | 中地泓通工程技术有限公司 | 一种重金属污染土壤修复一体机 |
CN111962596B (zh) * | 2020-08-14 | 2022-10-11 | 新疆鑫岐公路工程有限公司 | 一种建筑工地用地基快速填土装置 |
US20230389466A1 (en) * | 2022-06-06 | 2023-12-07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Self-propelled outdoor tool bases and assemblie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5525U (ko) * | 1996-12-27 | 1998-09-25 | 변재욱 | 과수원용 전동식 카트 |
KR200424642Y1 (ko) * | 2006-06-07 | 2006-08-25 | 도미영 | 전동식 비료 살포기 |
KR200435299Y1 (ko) * | 2006-07-28 | 2007-01-16 | 권상현 | 농업용 다용도 운반차 |
KR20100103281A (ko) * | 2009-03-13 | 2010-09-27 | 정성원 | 비료살포기의 살포조절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33795A (en) * | 1993-10-21 | 1994-08-02 | Jessen Thomas F | Granular and liquid treatment material spreader |
US6142397A (en) * | 1998-09-29 | 2000-11-07 | Blue Marble Turf Products, Inc. | Self-propelled powered broadcast spreader |
JP4152651B2 (ja) * | 2002-03-19 | 2008-09-17 | 関東農機株式会社 | 農用多目的動力運搬車 |
-
2010
- 2010-12-29 KR KR1020100137596A patent/KR10105211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
- 2011-12-29 WO PCT/KR2011/010272 patent/WO2012091474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5525U (ko) * | 1996-12-27 | 1998-09-25 | 변재욱 | 과수원용 전동식 카트 |
KR200424642Y1 (ko) * | 2006-06-07 | 2006-08-25 | 도미영 | 전동식 비료 살포기 |
KR200435299Y1 (ko) * | 2006-07-28 | 2007-01-16 | 권상현 | 농업용 다용도 운반차 |
KR20100103281A (ko) * | 2009-03-13 | 2010-09-27 | 정성원 | 비료살포기의 살포조절장치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7878B1 (ko) * | 2012-11-13 | 2013-06-21 | 서진모 | 살포기 |
KR101262955B1 (ko) * | 2013-01-07 | 2013-05-09 | 송기원 | 다목적 자동 살포기 |
WO2014119920A1 (ko) * | 2013-02-01 | 2014-08-07 | Seo Jin Mo | 살포기 |
KR101433287B1 (ko) | 2013-03-15 | 2014-08-25 | 송기원 | 다목적 자동 살포기 |
KR20160029384A (ko) * | 2014-09-05 | 2016-03-15 | 엘앤에스(주) | 약액살포장치 |
KR101626557B1 (ko) * | 2014-09-05 | 2016-06-01 | 엘앤에스(주) | 약액살포장치 |
KR102011656B1 (ko) * | 2018-12-07 | 2019-08-19 | 안영후 | 수동식 왜건용 보조 전동장치 |
CN112970397A (zh) * | 2021-02-03 | 2021-06-18 | 代杰 | 一种用于农业种植的施肥设备 |
CN115384591A (zh) * | 2022-08-17 | 2022-11-25 | 张峻豪 | 一种方便爬坡的砂石运输推车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2091474A3 (ko) | 2012-11-29 |
WO2012091474A2 (ko) | 2012-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2114B1 (ko) | 살포용 카트 | |
CN110731255B (zh) | 水稻深根施肥设备 | |
CN201138934Y (zh) | 土豆播种机 | |
CN112930814A (zh) | 用于甜菜种植土壤增肥设备 | |
KR100973795B1 (ko) | 비료거름 살포기 | |
CN202269166U (zh) | 多功能播种施肥耧 | |
JP2014036623A (ja) | 水田作業機 | |
CN108093711B (zh) | 一种翻土增肥设备 | |
CN206423110U (zh) | 一种果蔬农业专用施肥车 | |
CN206559832U (zh) | 一种两用化肥播撒机 | |
FI127863B (en) | planting device | |
KR20190010688A (ko) | 무논 작업기 | |
CN205694228U (zh) | 甘蔗种植机 | |
CN213682063U (zh) | 一种多功能沙障铺设机 | |
JP2006217853A (ja) | 走行式動力散布機 | |
CN208159177U (zh) | 一种高效率的多功能农用松土施肥播种机 | |
CN109743935B (zh) | 一种手持式钵苗栽植器 | |
CN207410742U (zh) | 一种农业用小型播种机 | |
JP2004215592A (ja) | 走行型茶園管理機 | |
CN208227612U (zh) | 一种多功能农用动力推车 | |
CN205408495U (zh) | 一种谷子播种机 | |
CN217644214U (zh) | 一种农艺植株的自动施肥小车 | |
CN218536709U (zh) | 一种适用葡萄园运输的独轮车 | |
KR20080011453A (ko) | 비료살포기 | |
JPH0613632Y2 (ja) | ホッパカバー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