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955B1 - 다목적 자동 살포기 - Google Patents

다목적 자동 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955B1
KR101262955B1 KR1020130001676A KR20130001676A KR101262955B1 KR 101262955 B1 KR101262955 B1 KR 101262955B1 KR 1020130001676 A KR1020130001676 A KR 1020130001676A KR 20130001676 A KR20130001676 A KR 20130001676A KR 101262955 B1 KR101262955 B1 KR 101262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bar
spraying
bar
loading box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원
Original Assignee
송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원 filed Critical 송기원
Priority to KR1020130001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3/00Treating manure; Manuring
    • A01C3/06Manure distributors, e.g. dung distribu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자동 살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살포물질을 담을 수 있되 후방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적재함(100), 상기 적재함의 하부에 형성되는 전륜(200)과 후륜(300) 및 상기 적재함(100)으로부터 살포물질을 공급받아 자동으로 살포하는 살포장치(400)를 포함하되,
상기 후륜(300)은 한 쌍을 이루어 상하로 배치되어 좌우로 이동하는 슬라이딩바(310)의 바깥쪽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바(310)를 좌우로 이동시켜 후륜(300)의 간격을 조절한 다음 손잡이(500)를 잡고 밀거나 당겨 이동시키면서 살포장치(400)를 통해 살포물질을 자동으로 살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전륜과 후륜을 각각 한 쌍으로 구비함으로써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고, 후륜이 설치된 슬라이딩 바가 상하로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후륜의 폭을 조절하여 줄 수 있어서 편리하며, 적재함 전방에 형성된 드릴봉을 이용해 방향전환을 쉽게 하여 줄 수 있어서 편의성이 향상되는 다목적 자동 살포기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목적 자동 살포기{Multipurpose spreader}
본 발명은 살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말이나 입자 형태의 각종 물질, 예를 들어 비료, 퇴비, 흙, 씨앗 및 제설을 위한 염화칼슘, 모래 등을 살포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자동 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농가나 일반 가정 또는 공공기관에서는 다양한 물질을 살포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분말이나 입자 형태의 물질(이하 '살포물질'이라고만 한다.)을 살포하는 예가 빈번하였는바, 대표적인 예로 농가에서는 비료나 퇴비, 씨앗 등을 경작지에 살포하는 경우가 있고, 가정 또는 공공기관 등에서는 눈이 많이 오는 경우 제설을 위해 염화칼슘과 모래 등을 도로에 살포해야하는 경우가 있었던 것이다.
이에, 살포물질을 원활하게 살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살포기가 제안되고 있다. 사람의 힘으로 살포하는 것은 작업 속도가 느릴 뿐만 아니라 균일한 살포달성에도 무리가 있음에 따라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살포물질을 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계장치가 제안되고 있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 등에 지고 다니면서 공기압을 이용해 살포하는 장치와 수레 형태로 되어 밀고 다니면서 살포하는 장치가 제안된바 있다. 예로, 특허공개 제10-2011-0055150호(2011. 5. 25.) "비료살포기를 경함 에어분사 농약살포기"가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등에 지고 살포하는 장치는 기본적으로 무거운 기계장치를 등에 짊어지고 사용하여야 함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고, 나아가 살포물질이 고압으로 분사됨에 따라 넓은 면적에 빠르게 살포하는 것에는 장점이 있었으나 좁은 지점이나 농작물에 가려진 지점 등에는 세밀하게 살포하기가 어려웠으며, 특히 농작물이 심긴 지역에서는 살포물질이 농작물 위로 살포되어 농작물을 훼손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살포 지역 환경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수레 형태로 되어 밀거나 끌고 다니면서 세밀하게 살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살포기가 제안되었다. 대표적으로 특허공개 제10-2009-0116048호(2009. 11. 11.) "비료거름살포기"가 있다.
따라서 살포지역이 넓거나 농작물이 심기지 않은 지점에서는 등에 지고 살포하도록 하는 방식의 장치를 사용하고 살포지역이 비교적 좁거나 농작물이 심긴 지점 등에서는 수레 형태로 된 살포기로 살포물질을 살포하는 등 살포 환경과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살포기 중 수레 형태로 되어 밀거나 끌고 다니면서 살포물질을 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살포기를 개선하여 바퀴의 간격과 높이를 원활하게 조절하면서 안정적으로 운용하면서 살포물질을 자동으로 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는바, 이를 통해 경작지에서 비료 등을 살포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도나 폭이 좁은 골목길 등에서 제설용 염화칼슘이나 모래 등을 신속하면서도 편리하게 살포하여 줄 수 있는 다목적 자동 살포기를 얻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살포물질을 적재함에 담아서 자동으로 살포할 수 있도록 하되 바퀴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살포 장소의 환경에 따라 바퀴의 폭과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안정적으로 운용하면서 살포물질을 편리하게 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자동 살포기를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륜과 후륜을 각각 한 쌍으로 구비함으로써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고, 후륜이 설치된 슬라이딩 바가 상하로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후륜의 폭을 조절하여 줄 수 있어서 편리하며, 적재함 전방에 형성된 드릴봉을 이용해 방향전환을 쉽게 하여 줄 수 있어서 편의성이 향상되는 다목적 자동 살포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살포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살포기의 정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륜의 설치 구조를 발췌하여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륜의 간격을 넓히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후륜의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에 의한 후륜의 간격을 넓히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 11은 본 발명에 의한 드릴봉의 작동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수레 형태로 되어 밀거나 끌고 다니면서 자동으로 살포물질을 안정적이면서도 편리하게 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살포기를 얻기 위해 살포물질을 담을 수 있되 후방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적재함, 상기 적재함의 하부에 형성되는 전륜과 후륜 및 상기 적재함으로부터 살포물질을 공급받아 자동으로 살포하는 살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후륜은 한 쌍을 이루어 상하로 배치되어 좌우로 이동하는 슬라이딩바의 바깥쪽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바를 좌우로 이동시켜 후륜의 간격을 조절한 다음 손잡이를 잡고 밀거나 당겨 이동시키면서 살포장치로 살포물질을 자동으로 살포하게 되는 자동 살포기를 제안한다.
이하 본 출원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살포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살포기의 정면 예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살포기는 살포물질을 담을 수 있는 적재함(100)과 상기 적재함(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전륜(200)과 후륜(300) 및 적재함(100) 후방에 형성되는 손잡이(500), 그리고 상기 적재함(100)으로부터 살포물질을 공급받아 자동으로 살포하는 살포장치(400)를 포함한다. 금속으로 짜인 일정한 형태의 본체 프레임을 중심으로 상부에 적재함(100)이 안착되고 하부에는 전륜(100)과 후륜(300)이 설치되며 후방에는 손잡이(500)가 형성됨으로써 마치 수레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로써 손잡이(500)를 잡고 마치 수레를 끌듯이 움직이면서 살포물질을 살포하여 줄 수 있게 된다.
적재함(100)은 일정한 용량을 가지고 오목하게 형성된 함체로서 바닥에는 살포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스크류 형태의 구조물을 설치하여서 살포물질을 강제로 배출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살포물질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장치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전륜(200)은 한 쌍이 구비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일정길이로 되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리의 하단에 형성됨으로써 적재함(100)이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게 지지한다. 자동 살포기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무게 중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한바, 대략 적재함(100) 하부에서 적재함(100)보다 약간 앞선 위치에서 좌우 폭 방향으로 중간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륜(200)은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작동되게 할 수 있다.
후륜(300)은 한 쌍이 구비되어 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어 설치된다. 전륜(200)의 위치를 중심으로 두고 양쪽으로 서로 동일한 거리에 형성되는바, 적재함(100)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후륜(300)은 한 쌍을 이루어 서로 상하로 중첩되는 슬라이딩바(310)의 바깥쪽 끝단(적재함(100) 바깥쪽 방향, 이하 동일)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리 하단에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바(310)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딩바(310)를 좌우로 이동시켜 후륜(300) 사이의 간격을 좁히거나 넓힐 수 있게 된다. 슬라이딩바(310)의 좌우 이동은 도시되지 않은 모터를 이용해 기어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살포장치(400)는 적재함(100)에서 배출된 살포물질을 공급받아 살포를 하는 장치이다. 적재함(100)과는 관(도시되지 않음)으로 연결되어 살포물질을 공급받아 살포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달리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원반 형태의 판을 이용해 살포물질을 넓게 살포할 수 있는 등 공지의 기술을 참조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륜의 설치 구조를 발췌하여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륜의 간격을 넓히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륜(200)이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전륜(200)은 서로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 작동봉(210)을 채택할 수 있다.
상기 작동봉(210)은 일정한 길이로 되어 중심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대칭되게 형성되는바, 전륜(200)을 지지하는 다리의 상단이 상기 작동봉(210) 중심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등 간격을 이루게 결합 된다. 따라서 도 5에 ㅗ시된 바와 같이 작동봉(21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륜(20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며 간격 벌어지거나 좁아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케이스를 마련하여 작동봉(210)을 감싸줄 수 있다. 이 경우 전륜(200)을 지지하는 상기 다리의 상단과 작동봉(210)이 결합 된 지점이 자연스럽게 쌓여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보호되는바, 상기 다리 하부로는 어떠한 돌출 구조물도 형성되지 않게 되어 구조가 간단해지고 깔끔해지게 된다. 따라서 외부 구조물이나 수풀등에 상기 다리가 걸려 작업에 방해를 받는 것을 감소시켜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륜(20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압 또는 공기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장치를 수상기 작동봉(210)이 설치되는 것과 같이 수평방향으로 설치해서 유압 또는 공기압에 의해 전륜(200)의 간격이 조절되게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후륜의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에 의한 후륜의 간격을 넓히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륜(300)은 한 쌍이 마련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바(310)의 끝단에 각각 형성된다. 슬라이딩바(310)는 수평으로 배치되어 좌측과 우측으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바(310)는 수직으로 동일선상에서 상하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부에 배치되는 슬라이딩바(310a)의 하부와 하부에 배치된 슬라이딩바(310b)의 상부에 랙기어(312)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피니언기어(314)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기어(314)의 회전에 의해 두 슬라이딩바(310a)(310b)가 좌측과 우측으로 동일한 정도로 이동을 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후륜(300)이 피니언기어(314)가 설치된 지점에서 촤측과 우측으로 동일한 거리를 이루며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한 쌍의 슬라이딩바(310a)(310b)가 하중에 의해 어느 정도 기울어지더라도 피니언기어(314)가 상하로 배치된 슬라이딩바(310a)(310b) 사이에서 구동되므로 맞물린 기어가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동이 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바(310)는 연장바(320)를 더 포함하여 다단으로 길이를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바(310)는 내부가 빈 봉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바(320)는 봉 형태로 되어 상기 슬라이딩바(310) 내부로 끼워지게 된다. 마치 낚시대와 같은 형태를 이루어 길이를 연장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다.
연장바(320)는 상부를 따라 랙기어(322)가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딩바(310) 바깥쪽 끝단에는 상기 랙기어(322)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32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기어(324)는 슬라이딩바(310)를 따라 같이 이동을 하다가 필요한 상황에서 회전하여 연장바(320)를 슬라이딩바(310)에서 출몰시키게 된다.
상기 연장바(320)에 형성되는 랙기어(322)는 연장바(320) 내측으로 수용되어 상단이 연장바(320)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연장바(320)가 슬라이딩바(310) 내부로 진입할 때 상기 랙기어(322)가 슬라이딩바(310) 내부 벽면에 마찰되지 않게 함으로써 원활한 진출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연장바(320) 상부를 따라 랙기어(322)가 안착 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바(310)와 연장바(320)를 작동시키는 피니언기어(314)(324)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게 하거나 손잡이를 연결하여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륜(200)과 후륜(300)을 지지하는 다리는 필요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는바, 이러한 구성은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줄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상부에 배치되는 슬라이딩바(310a)와 하부에 배치된 슬라이딩바(310b)의 중간 지점에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두 슬라이딩바(310a)(310b)를 감싸며 잡아 줄 수 있도록 하는 부싱 및 기어박스와 같은 수단을 설치하여 줄 수 있는바, 기울어짐을 방지하면서도 좌측과 우측으로의 이동은 방해하지 않는 구성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 10, 11은 본 발명에 의한 드릴봉의 작동을 보여주는 예시도 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살포기는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적재함(100) 전방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드릴봉(600)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드릴봉(600)은 지름이 큰 관 내부에 작은 관이 끼워지는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수동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달리 기어장치를 형성하여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높낮이가 조절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체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그 위치는 적재함(100) 좌우 폭 방향으로 중간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드릴봉(600)을 이용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살포기의 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드릴봉(600)의 하단을 지면에 닿게 낮춘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손잡이(500)를 잡고 들어올리면 전륜(200)과 후륜(300)이 들리고 그 상태에서 드릴봉(600)을 축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드릴봉(600)은 말단을 뾰족하게 형성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해 지면에 일정 깊이로 구멍을 형성하는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케 할 수 있다.
이하,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살포기로 살포물질을 살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살포기를 사용할 장소로 이동한다. 적절한 위치가 선택되면 살포를 시작할 지점에서 적재함(100)에 살포물질을 채워준다. 그런 다음 안정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살포하여야 할 장소의 환경을 고려하여 전륜(200)과 후륜(300)의 폭을 조절하여 준다.
이후 도시되지 않은 스타트 버튼을 눌러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전륜(200)이 구동되게 하고, 적재함(100)에 적재된 살포물질이 배출구를 통해 살포장치(400)로 공급되어 자동으로 살포되게 하는 것이다.
이로써 적재함(100)에 어떠한 살포물질을 채우고 어디에서 사용하느냐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살포기를 경작지에 비료나 씨앗을 살포하거나 인도나 좁은 골목에서 제설용 염화칼슘이나 모래를 자동으로 살포하여 줄 수 있게 되는바,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0 : 적재함, 200 : 전륜,
210 : 작동봉, 300 : 후륜,
310 : 슬라이딩바, 312 : 랙기어,
314 : 피니언기어, 320 : 연장바,
322 : 랙기어, 324 : 피니언기어,
400 : 살포장치, 500 : 손잡이,
600 : 드릴봉.

Claims (8)

  1. 살포물질을 담을 수 있되 후방에 손잡이(500)가 형성되는 적재함(100), 상기 적재함의 하부에 형성되는 전륜(200)과 후륜(300) 및 상기 적재함(100)으로부터 살포물질을 공급받아 자동으로 살포하는 살포장치(400)를 포함하고,
    상기 후륜(300)은 한 쌍을 이루어 좌우로 이동하는 슬라이딩바(310)의 바깥쪽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바(310)를 좌우로 이동시켜 후륜(300)의 간격을 조절한 다음 손잡이(500)를 잡고 밀거나 당겨 이동시키면서 살포장치(400)를 통해 살포물질을 자동으로 살포하되,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바(310)는 동일선상에서 배치되고 각 슬라이딩바(310a)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 랙기어(312)가 설치되는 한편 그 사이에 피니언기어(314)가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기어(314)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며 후륜(300)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자동 살포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바(310)는 수직으로 동일선상에서 상하로 배치되고 상부에 배치된 슬라이딩바(310a)의 하부와 하부에 배치된 슬라이딩바(310b)의 상부에 랙기어(312)가 설치되는 한편 그 사이에 피니언기어(31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자동 살포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바(310)는 연장바(320)를 더 포함하여 다단으로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자동 살포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바(320)는 슬라이딩바(310) 내부로 끼워지되, 상부를 따라 랙기어(322)가 형성되어 피니언기어(324)에 의해 출몰되며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자동 살포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322)는 연장바(320) 내측으로 수용되어 상단이 연장바(320)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자동 살포기.
  6. 제1 항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드릴봉(600)을 더 포함하여 상기 드릴봉(600)을 축으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자동 살포기.
  7. 삭제
  8. 삭제
KR1020130001676A 2013-01-07 2013-01-07 다목적 자동 살포기 KR101262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676A KR101262955B1 (ko) 2013-01-07 2013-01-07 다목적 자동 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676A KR101262955B1 (ko) 2013-01-07 2013-01-07 다목적 자동 살포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087A Division KR101433287B1 (ko) 2013-03-15 2013-03-15 다목적 자동 살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2955B1 true KR101262955B1 (ko) 2013-05-09

Family

ID=48665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676A KR101262955B1 (ko) 2013-01-07 2013-01-07 다목적 자동 살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9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28920A (zh) * 2022-08-18 2022-10-25 安徽建筑大学 一种生态环境综合修复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308A (ja) 2002-06-17 2003-02-18 Iseki & Co Ltd 苗移植機
KR101052114B1 (ko) * 2010-12-29 2011-07-26 서진모 살포용 카트
KR101119029B1 (ko) 2009-08-28 2012-03-13 유병옥 가변 전륜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자전거 주차대용 자전거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308A (ja) 2002-06-17 2003-02-18 Iseki & Co Ltd 苗移植機
KR101119029B1 (ko) 2009-08-28 2012-03-13 유병옥 가변 전륜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자전거 주차대용 자전거 거치대.
KR101052114B1 (ko) * 2010-12-29 2011-07-26 서진모 살포용 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28920A (zh) * 2022-08-18 2022-10-25 安徽建筑大学 一种生态环境综合修复系统
CN115228920B (zh) * 2022-08-18 2023-06-16 安徽建筑大学 一种生态环境综合修复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rra et al. Portable manure dispenser machine
RU75529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е орудие (варианты)
KR101433287B1 (ko) 다목적 자동 살포기
KR101262955B1 (ko) 다목적 자동 살포기
US4231678A (en) Paving machines
CN104488426B (zh) 一种施肥覆膜机
CN110637564A (zh) 一种大棚农作物种植自动化作业一体机
CN109479409A (zh) 一种激光控制水田平整机
US3095788A (en) Spreader and hitch therefor
US2839975A (en) Windrow type box
CN208113317U (zh) 一种农业生产用施肥装置
US20050115119A1 (en) Wheel track rut filler and compactor
CN106385816A (zh) 一种多功能农用机
WO2015179891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odenbearbeitung, -bewässerung und -aufbereitung
JP5462194B2 (ja) 目土散布機
KR20150017005A (ko) 벼씨 파종기
DE1004114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sbringung von flüssigen Stoffgemischen zur landwirtschaftlichen Boden-und Pfanzenbearbeitung
CN108934389B (zh) 一种葡萄种植用收放式施肥浇水装置
KR20150069601A (ko) 제설장치
CN217283970U (zh) 一种农业技术用土壤翻耕装置
US5573071A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soil on terrain with steep slopes
GB2042314A (en) Seed drill
RU2427122C1 (ru) Способ вспашки лесной почвы
CN219248523U (zh) 一种快速施肥装置
CN219182016U (zh) 一种颗粒肥料施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3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