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622Y1 - 가구 부착물 - Google Patents

가구 부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622Y1
KR0140622Y1 KR2019950034883U KR19950034883U KR0140622Y1 KR 0140622 Y1 KR0140622 Y1 KR 0140622Y1 KR 2019950034883 U KR2019950034883 U KR 2019950034883U KR 19950034883 U KR19950034883 U KR 19950034883U KR 0140622 Y1 KR0140622 Y1 KR 0140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dowel
furniture
attachment body
fron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4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510U (ko
Inventor
후버 에드가
Original Assignee
브룸 헤르베르트
줄리어스 블룸 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룸 헤르베르트, 줄리어스 블룸 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브룸 헤르베르트
Publication of KR9600235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5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6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47B88/938Means for connecting rails or rods to drawers
    • A47B2088/939Means for connecting rails or rods to drawers to the front panel of a draw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11Attachment fittings mounted in blind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47B88/938Means for connecting rails or rods to drawer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다월(6), 다월(6)을 위한 팽창부(10), 그리고 부착물동체(8,28)등을 가지는데, 이러한 부착물동체는 고정부착물을 위한 연결요소로서 예를 들어 박스카 난간(26)의 지지부로서 실행되어있는 가구부착물 특히 연결부착물 팽창부(10)가 부착물동체(8,28)와 경사짐으로써 팽창 및 이완위치로 보내질 수 있다. 이완위치에서 다월(6)의 투입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부착물동체(8,28)가 후크(40)를 보유하는데, 이때 후크는 다월(6)의 언더컷(42)의 이완위치에서 연동가능하다.

Description

가구 부착물
제1도는 정면스크린이 본 고안에 따른 부착물을 통해 박스카 노치에 고정되어 있고 난간이 정면스크린에 고정되어 있는 박스카를 가지는 가구의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부착물동체의 실시예의 개략도로 더우기 이완위치에서 박스카의 정면스크린을 위한 지지부의 개략도.
제3도는 긴장된 위치에서의 동일한 부착물동체의 개략도.
제4도는 이완위치에있는 부착물의 측면도.
제5도는 이완위치에있는 부착물의 절단면도.
제6도는 정면스크린을 단면 도시하면서, 다월의 당김위치나 압입위치(indentation position)에 있는 난간의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난간의 절단면도.
제8도는 확대 척도로된 제7도의 단면도 A.
제9도는 꺽쇠로 고정된 그러나 팽창되지는 않은 위치에서 다월과 함께 있는 난간의 측면도.
제10도는 꺽쇠로 고정된 그러나 팽창되지 않은 위치에서 다월과 함께 있는 난간의 종단면도.
본 고안은 가구부착물(furniture fittings), 특히 연결부착물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다월(dowel), 다월을 위한 팽창부 그리고 부착물동체등을 가지는데, 이러한 부착물동체는 고정부착물을 위한 연결요소로서 예를 들어 박스카(box car) 난간의 지지부로 실행되어 있고, 다월을 통해 가구부분에 고정가능하고 또 다른 부착물 부분에 접속가능하다.
AT-PS 391 409와 AT-PS 391 987에서는 박스카의 정면스크린(front screen)을 박스카 노치(notch)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착물이 이미 알려져있다. 이러한 부착물은 지지부를 형성하는 부착물동체와 버팀부로 구성되는데, 부착물동체는 정면스크린에 고정되어 있고, 버팀부는 박스카 노치안에 고정되어 있고 지지부가 그 안에 매달려 있을 수 있다.
AT-PS 391 063에서는 박스카 난간(breastwork)을 정면스크린에 고정하기위한 연결부착물이 알려져있다.
DE-A1 26 10 200에서는 직각으로 마주보고 서 있는 두개의 플레이트형 가구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착물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연결부착물은 가구부분들중 하나에 고정가능한 다월과 두번째 가구부분의 보링속에 투입가능한 원주꼴의 로크요소(lock element)를 보유한다. 다월과 로크요소는 팽창부를 통해 서로서로 연결되어 있고, 로크요소를 구부림으로써 다월이 펴지는데, 이때 두개의 플레이트형 가구부분은 서로 잡아당겨진다. 연결부착물은 단지 두개의 가구부분과 함께해야 효과적이다. 그것은 가구부분중 어느 하나에만 고정될 수는 없다.
본 고안의 과제는 시초에 언급산 형태의 가구부착물을 만드는데 있는데, 이것은 예를들어 박스카 후면보드(backboard)의 정면스크린을 박스카노치에 고정하거나 난간을 정면스크린에 고정하는데 쓰이고, 공구없이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해야한다. 동시에 부착물은 매우 콤팩트하게 실행되어야 하고 추가의 텐션 레버(tension lever)나 그와 같은 것을 보유하지 않는다.
고안에 따른 과제는 팽창부가 부착물동체의 경사짐을 통해 팽창 및 이완위치로 보내질 수 있고, 이완위치에서 다월의 삽입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부착물동체가 이완위치에서 다월의 언더컷(undercut)안에서 연동가능한 후크(hook)를 보유함으로써 해결된다.
다월의 부착물동체의 고안에 따른 형성을 통해 다월이 뽑아 낼때 팽창되는 것이 방치된다. 후크는 언더컷에서 직접 다월에 공격하고 이것이 가구부분에 있는 보링에서부터 끄집어내진다. 이때 팽창부는 다월에 상관하여 움직이지 않는다.
이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서는 가구동체는 참조번호(1)을, 박스카는 참조번호(2)를, 정면스크린은 참조번호(3)을, 박스카노치는 참조번호(5)를 달고있다. 박스카 난간은 참조번호(25)을 갖는다.
정면스크린(3)은 정면스크린 고정에 의해 박스카노치(5)에 조립되어있고, 정면스크린 고정은 박스카노치(5) 안에 배치되어 있지만 도시생략한 버팀부와 지지부로 형성되는 발명에 따른 부착물동체(8)로 구성되는데, 이때 부착물동체는 다월(6)을 통해 직접 정면스크린(3)에 고정되어 있다.
플레이트(7)을 통해 서로서로 연결되어있는 두개의 다월(6)이 설치되어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월(6)과 플레이트(7)는 플라스틱 재질의 일체형으로 도장(spray-coat)되어있다.
다월(6)안에는 원추형 단부를 가지는 피보트로 실행되어있는 패창부(10)가 존재한다. 팽창부(10)는 축(11)을 통해 부착물동체(8)의 플랜지(4)와 연결되어있다. 플랜지(4)는 둥글게 처리된 코너(9)를 보유한다.
부착물동체(8)가 제2,4,5도에서 경사 도시한 위치안에 있다면, 즉 동체가 대략 다월(6)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해 있다면, 팽창부(10)는 풀어져있고 전체 부착물동체(8)는 플레이트(7)와 다월(6)과 함께 정면스크린(3)안에 있는 보링(22)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부착물동체(8)가 제3도에서 도시한 기능위치로 기울어지면 팽창부(10)는 플랜지(4)를 통해 잡아당겨지고 다월(6)은 보링(22)내에서 팽창된다. 이제 정면스크린(3)이 부착물동체(8)와 함께 박스카노치(5)안으로 매달릴 수 있고(hang up), 이때 부착물동체(98)의 고정부(23)가 정면스크린 고정의 버팀부안으로 매달릴 수 있다. 도면의 형상에서는 또한 정면스크린(3)의 측면변위에 쓰이고 부착물동체(8)안에 놓여져있는 변위스크류(29)가 도시되어 있다.
난간(26)의 고정은 부착물동체(28)와 다월(6)로 구성되어있는 난간고정장치를 통해 실시된다. 다월(6)안에는 다시 팽창부(10)가 있고, 이것은 상기 기술한 실행대로 원추형 단부를 가지는 피봇으로서 실시되어있고 축(11)을 통해 부착물동체(28)에 놓여있다.
부착물동체(28)은 다월(6)에서 다시 측면의 플랜지(4)를 보유하는데, 이것은 서포트 애지를 갖추고 있다. 난간(26)이 부착물동체(28)와 함께 적어도 정면스크린(3)에 대해 거의 평행으로 정렬되어있는 위치로 경사지게되면, 다월(6)은 버팀상태가 풀어져 있어서 정면스크린(3)안에 있는 보링(22)안으로 삽입되고 그곳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난간(26)과 부착물동체(28)가 정면스크린(3)에 대해 수직인 위치로 급경사짐으로써 팽창부(10) 및 피봇이 잡아당겨지고, 다월(6)이 버팀상태가 되면서 전체 부착물동체(28)가 정면스크린(3)에 고정된다.
부착물을 풀고 다월(6)을 다월의 홀보링(22)에서 끄집어내는 것을 간편하게하기 위해서, 부착물부분(8,28)은 후크(40)를 부착하고 있다. 축(11)은 부착물부분(8,28)의 길다란 구멍(41)속에 지지되어 있다. 길다란 구멍(41)은 부착물부분(8,28)및 난간(26)의 축방향에서 연장된다.
가구부착물이 정면스크린(3)에 의해 풀어져야 한다면, 부착물부분(8,28)은 경사지게된다. 즉, 제2,6,7,9,10도에서 도시한 위치로 보내지는 것이다. 축(11)을 지지하고 있는 길다란 구멍(41)은 난간(26)과 함께 나사로 죄여져 있는 부착물동체(28)를 제10도의 화살표 방향에서 밀어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후크(40)는 다월(6)의 언더컷(42)에서 맞물린다. 제6도 내지 제10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언더컷(42)는 바람직하게 스냅링(snap ring)으로 실시되어 있다. 이것은 플랜지(43)에 의해 제한되어지는데, 이때 플랜지는 다월이 투입된 상태에서 정면스크린(3)에 인접해있고 다월(6)이 드릴홀(drill hole)(22)안으로 깊숙히 파고드는 것을 방지한다. 이제 가구 부착물이 정면스크린(3)에서 끄집어내지고 이때 부착물부분(28)이 난간(26)과 함께 제6,7,9,10도에서 도시한 위치에 머물러있다면, 부착물부분(28)에서 다월(6)으로의 힘의 전달이 진행한다. 이때 후크(40)를 거치는 것이지, 팽창부(10)를 통하지는 않는다. 이를 통해 다월(6)을 끄집어낼때 다월이 우연하게 팽창되는 일이 방지된다.
특히 정면스크린 고정장치의 실시예에서 다월(6)이 플레이트(7)를 통해 구부러질 수 없게 지지되어 있으면, 언더컷은 바람직하게 틈새에 의해 형성되고, 이것(틈새)은 단지 다월(6)의 원주의 일부를 통해서만 연장된다(제2도 내지 제5도).
난간(26)의 고정장치를 보여주는 실시예에서는 난간(26)의 단부를 덮고있는 쉘(44)이 설치되어있다. 난간(26)이 부분적으로 부착물부분(28)에 의해서 나사가 풀어지게되어서 부착물부분(28)의 나사산(45)이 눈에 보이게되면, 이것(나사산)은 셀(44)에 의해 덮혀지게 된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다월(dowel), 다월을 위한 팽창부 그리고 부착물동체등을 갖되, 이러한 부착물동체는 고정부착물을 위한 연결요소로서 예를들어 박스카(box car) 난간의 지지부로 실행되어있고, 다월을 통해 가구부분에 고정가능하고 또 다른 부착물 부분에 접속가능한 가구부착물에 있어서 팽창부(10)와 부착물동체(8,28)가 경사짐으로써 팽창 및 이완위치로 보내질 수 있고, 이완위치에서 다월(6)의 투입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부착물동체(8,28)가 후크(40)를 보유하는데, 이때 후크는 다월(6)의 언더컷(42)이 이완위치 에서 연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착물.
  2. 제1항에 있어서, 팽창부를 덮개형태로 감싸는 부착물 동체(8,28)가 부착물동체(8,28)의 종방향에서 정렬되어있는 두개의 길다란 구멍(41)을 보유하는데, 그 안에는 축(11)이 가이드되어있고, 축 위에는 팽창부(10)가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착물.
  3. 제1항에 있어서, 언더컷(42)이 V자 형태의 스냅링으로 실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착물.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스냅링이 플랜지(43)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착물.
  5. 제1항에 있어서, 언더컷(42)이 틈새에 의해 형성되어있고, 이것(틈새)는 다월(6)의 원주의 일부를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착물.
  6. 제1항에 있어서, 부착물동체(28)가 나사산 스템(threaded stem)으로 실시되어있고, 그 위로 박스카 난간(26)이 나사못으로 죄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착물.
  7. 제1항에 있어서, 부착물 동체(8)가 박스카의 정면스크린(3)을 박스카노치에 고정 시키기위한 지지부로 형성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부착물.
KR2019950034883U 1994-12-07 1995-11-22 가구 부착물 KR014062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2275/94 1994-12-07
AT0227594A AT402597B (de) 1994-12-07 1994-12-07 Möbelbeschlag, insbesondere verbindungsbeschlag möbelbeschlag, insbesondere verbindungsbeschla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510U KR960023510U (ko) 1996-07-22
KR0140622Y1 true KR0140622Y1 (ko) 1999-04-01

Family

ID=353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4883U KR0140622Y1 (ko) 1994-12-07 1995-11-22 가구 부착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0140622Y1 (ko)
AT (1) AT402597B (ko)
DE (1) DE29518690U1 (ko)
ES (1) ES1032620Y (ko)
IT (1) IT23870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7333B (de) * 1997-05-02 2001-02-26 Blum Gmbh Julius Möbelbeschlag
DE19830740B4 (de) * 1998-07-09 2004-02-19 Grass Gmbh Relingbefestigung für Schubladen
DE102009013146A1 (de) * 2009-03-05 2010-09-09 Swg Schraubenwerk Gaisbach Gmbh Beschlagelement
DE202012012030U1 (de) * 2012-12-17 2014-03-24 Grass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Bauteils, zum Beispiel einer Reling an einem zweiten Bauteil sowie Relingsbefestigung für Schubladen mit einer Relingsbefestigung
CN203609053U (zh) * 2013-10-31 2014-05-28 广东泰明金属制品有限公司 抽屉用拉杆结构
DE202015008847U1 (de) 2015-12-22 2017-03-23 Grass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AT518790B1 (de) * 2017-02-21 2018-01-15 Blum Gmbh Julius Verbindungsstift für Möbelteile
AT520213B1 (de) * 2017-12-21 2019-02-15 Blum Gmbh Julius Relingstange für eine Schublade
AT520913A1 (de) * 2018-02-01 2019-08-15 Blum Gmbh Julius Möbelbeschla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10200C3 (de) * 1976-03-11 1980-01-31 Richard Heinze Gmbh & Co Kg, 4900 Herford Beschlag zum lösbaren Verbinden zweier Bauteile, insbesondere von plattenförmigen Bauteilen für Möbel
AT391063B (de) * 1987-01-08 1990-08-10 Blum Gmbh Julius Verbindungsbeschlag zur befestigung der reling einer schublade
AT391987B (de) * 1987-02-04 1990-12-27 Blum Gmbh Julius Befestigungsvorrichtung fuer einstellbare frontblenden von schublad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BZ950006U1 (it) 1997-06-06
AT402597B (de) 1997-06-25
ITBZ950006V0 (it) 1995-12-06
IT238708Y1 (it) 2000-11-13
KR960023510U (ko) 1996-07-22
ES1032620U (es) 1996-05-16
ES1032620Y (es) 1996-11-01
ATA227594A (de) 1996-11-15
DE29518690U1 (de) 199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0622Y1 (ko) 가구 부착물
PL180291B1 (pl) Lacznik do mocowania uchwytów PL PL PL PL PL PL PL PL PL PL PL
ES2058950T3 (es) Perno de anclaje compuesto.
CA2139051A1 (en) Connecting mechanism for tubular frame elements
US4971502A (en) Fastening bolt set
US6062785A (en) Anchoring fastener
RU2002111667A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H05193429A (ja) ガスバッグ拘束システム組立体
ATE97205T1 (de) Befestigungselement zum verankern in einem bohrloch eines betonteiles.
US6007285A (en) Cantilever fastener assembly
KR840007929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고정방법 및 이를 위한 지지체와 연결 슬리이브
JP5619497B2 (ja) 互いに直交するよう配向された2つの要素の強制固定用装置
RU2166903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5636491A (en) Frame construction with several rod elements
US20010049307A1 (en) Flexible all-steel shaft coupling
HU214393B (hu) Alkatrészkészlet, főként autóbuszokhoz
KR200365562Y1 (ko) 조립식 가구의 지주 및 그러한 지주로 구성되는 조립식가구
GB2219060A (en) A connector
US6602017B2 (en) Connector device assembly
KR200146528Y1 (ko) 옷걸이 기둥의 조절부 고정구
KR200160947Y1 (ko) 조립식 장식장용 연결장치
US3919917A (en) Fastener for mounting in through hole particularly in wall or ceiling panel or the like
PT955414E (pt) Fixacao de postes para semaforos ou equipamentos similares
ES1029800U (es) Soporte de estructura con nudo multidireccional.
KR200198588Y1 (ko) 텐트용 폴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