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429Y1 - 티티엘 자동 초점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티티엘 자동 초점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429Y1
KR0140429Y1 KR2019940002879U KR19940002879U KR0140429Y1 KR 0140429 Y1 KR0140429 Y1 KR 0140429Y1 KR 2019940002879 U KR2019940002879 U KR 2019940002879U KR 19940002879 U KR19940002879 U KR 19940002879U KR 0140429 Y1 KR0140429 Y1 KR 01404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cident
photographing lens
mirro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2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633U (ko
Inventor
이춘곤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2019940002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429Y1/ko
Publication of KR9500256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6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4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4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10Viewfinders adjusting viewfinders fiel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12Reflex cameras with single objective and a movable reflector or a partly-transmitting mirr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cusing (AREA)

Abstract

피사체에 해당하는 빛을 입사시켜 상을 맺는 촬영렌즈와; 상기 촬영렌즈에서 입사되는 빛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파인더로 상방향 반사시키는 주미러와; 상기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의 광축의 아래나 위에 장착되어, 최적상면에 해당하는 빛을 초점조절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부미러와; 상기 부미러에 반사되는 빛을 입력으로 하여 초점조절을 수행하는 자동초점부로 이루어지는 티티엘 자동 초점조절 장치는, 일안리플렉스 카메라에 있어서,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 정보에 해당하는 빛을 반사시키는 부미러를 광축의 위나 아래에 장착하여, 최적상면에 해당하는 빛을 검출하여 그에 따라 초점조절을 수행하므로써, 중심광과 주변광의 차이에

Description

티티엘 자동 초점조절 장치
제1a도는 종래의 티티엘 자동 초점 조절장치의 구성도이고, b도는 종래의 티티엘 자동 초점조절 장치의 정의 정보검출부의 평면도이고,
제2도는 종래의 티티엘 자동 초점조절장치의 렌즈특성에 따른 수차도이고,
제3a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티티엘 자동 초점조절 장치의 구성도이고, b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초점조절 장치의 정보 검출부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초점부 11 : 촬영렌즈
12 : 주미러 13 : 부미러
14 : 상면 15 : 파인더계
이 고안은 티티엘(TTL : Through The Lens) 자동 초점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에 따라 자동으로 초점을 조절하는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에 있어서, 촬영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피사체 정보 중 최적상면에 해당하는 피사체 정보를 검출하여 초점을 조절하기 위한 티티엘 자동 초점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의 촬영에 따른 초점 조절방식을 크게 수동 초점조절 방식과 자동 초점 조절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수동 초점 조절 방식은 크게 사용자가 손으로 거리 조절링을 회전시켜 초점을 맞추는 방식으로 주로 고급기에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자동 초점 조절 방식은 카메라에 대한 깊은 지식이나 상식이 없는 사람이라도 손쉽게 촬영이 가능하도록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어 촬영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주로 최근에 생산되는 카메라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자동 초전 조절 방식에는 액티브 방식과 패시브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액티브 방식은 빛이나 초음파 등을 발사하여 피사체에 도달한 후 반사되어 오는 빛 또는 파동을 감지하여 거리를 검출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방식이고, 상기 패시브 방식은 자연적인 조명 또는 인공적인 하에서 피사체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받아들여 상의 콘트라스트나 위상차등을 이용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는 상기 패시브 방식을 적용하여 초점을 조절하며, 티티엘 자동 초점 조절 장치 즉, 자연적인 또는 인공적인 광아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빚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초점을 조절하는 장치를 사용하여 피사체 거리에 따른 초점을 맞추게 된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하여 종래의 티티엘 자동 초점 조절 장치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의 티티엘 자동 초점 조절 장치의 구성은, 정보 검출 장치인 촬영렌즈(1)와, 상기 촬영렌즈(1)의 후단에 장착되어 입사되는 빛을 상방향으로 반사시켜 파이더계(5)로 입사시키는 주미러(2)와, 상기 촬영렌즈(1)에서 입사되는 빛을 하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입사되는 빛의 광축에 장착된 부미러(3)와, 상기 부미러(3)에서 반사되는 빛을 입력으로 하여 초점 조절을 수행하는 자동 초점부(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촬영 렌즈(1)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 정보에 해당하는 빛은 주미러(2)에 의하여 파인더계(5)로 반사되어, 사용자가 피사체를 인지한다. 또한, 촬영렌즈(1)를 통해 입사되는 빛의 중심광에 해당하는 빛은 광축상에 장착된 부미러(3)에 의하여 그 일부를 하방향으로 반사된다.
상기 부미러(3)에서 하방향으로 반사된 빛은 자동 초점부(10)로 입사되며, 자동 초점부(10)는 입사되는 빛의 정보에 따라 초점을 조절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촬영 광학계의 렌즈의 특성으로 인하여 첨부한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수차가 발생하게 된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의 중심광에 해당하는 상이 맺히는 근축 상면(A)에 있어서는 비점 수차나 상면 만곡 등이 존재하지 않게 되나, 근축광이 아닌 비축각에 의해 결상된 상면에는 상면 만곡 수차 등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티티엘 자동 초점 조절 장치의 부미러(3)는 광축상에 장착되어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의 중심광에 해당하는 빛만을 반사시키므로, 중심광에 해당하는 상과 비축광에 따른 상면과의 차이가 발생하여 정확한 초점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다시말하자면, 첨부한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입사되는 빛은 필름의 중심에 해당하는 근축 상면(A)인 경우에는 수치가 작으나, 필름의 중심면이 아닌 주변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비점 수치나, 상면 만곡 수차 등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수차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근축 상면에 해당하는 중심광만으로 초점을 조절하게 되면, 조리개 개폐량에 따라 수치가 발생하여 상면 차이에 따른 오차가 발생하여 정확한 초점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에 있어서, 촬영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 정보에 해당하는 빛을 반사키는 부미러를 광축의 위나 아래에 장착하여, 최적 상면에 해당하는 빛을 검출하여 그에 따라 초점 조절을 수행하므로써, 중심광과 주변광의 차이에 따른 초점 조절의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티티엘 자동 초점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구성은, 피사체에 해당하는 빛을 입사시켜 상을 맺는 촬영 렌즈와; 상기 촬영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파인더로 보내는 주미러와; 상기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의 광축의 상단 또는 하단의 최적 상면 위치에 장착되어, 초점 조절을 위하여 최적 상면에 해당하는 빛을 반사시키는 부미러와; 상기 부미러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입력으로 하여 초점조절을 수행하는 자동초점조절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최적 상면 위치는 상기 촬영 렌즈를 통하여 결상되는 피사체의 상고의 0.5 내지 0.7필드의 위치에 해당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a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티티엘 자동 초점 조절 장치의 구성도이고, 제3b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티티엘 자동 초점 조절 장치의 평면도이다.
제3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티티엘 자동 초전 조절 장치의 구성은, 입사되는 피사체에 해당하는 빛의 상을 맺는 촬영 렌즈(11)와, 상기 촬영렌즈(11)을 통하여 입사되는 빛을 파인더계(15)로 반사시키는 주미러(12)와, 상기 촬영 렌즈(11)를 통해 입사되는 빛의 광축의 아래나 또는 위에 장착되고 입사되는 빛을 하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부미러(13)와, 상기 부미러(13)를 통해 반사되는 빛에 따라 초점조절을 수행하는 자동 초점부(1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부미러(13)는 광축의 상단 또는 하단에 각각 장착되는 2개의 부미러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부미러만이 광축의 아래에 장착되어 입사되는 빛을 하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티티엘 자동 초점조절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촬영하기에 앞서 촬영렌즈(11)를 통하여 피사체에 해당하는 빛이 카메라로 입사된다. 상기 촬영렌즈(11)를 통하여 카메라에 입사되는 빛은 주미러(12)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반사되어 파인더계(15)로 입사된다.
상기 파인더계(15)로 입사되는 빛에 의하여 사용자는 피사체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촬영렌즈(11)를 통해 입사된 빛은 주미러(12)에 의해 반사되고, 또한, 그 일부는 부미러(3)에 의하여 하방향으로 반사되어 자동초점부(10)로 입사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촬영렌즈(11)를 통과한 빛의 상기 맺히는 곳에 필름이 놓이게 된다. 근축 상면에 있어서는 필름의 크기인 상고가 0이므로, 입사되는 빛의 중심광에 해당하는 상만이 존재한다.
따라서, 조리개의 개폐량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중심광과 주변광과의 차이로 인하여 정확한 상을 재현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입사되는 중심광과 주변광을 적절히 재현하는 첨부한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최적상면(B)에 해당하는 빛정보에 따라 조점을 초절하기 위하여, 부미러(13)를 촬영렌즈(11)를 통해 입사되는 빛의 광축의 아래나 위에 장착한다.
즉,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수차가 어느 정도 존재하고 입사되는 빛의 중심광과 주변광을 모두 보정하여 재현 가능한 최적상면의 빛정보를 검출하기 위하여, 입사되는 빛의 광축의 상단 또는 하단에 부미러(13)를 장착하여, 상기 촬영렌즈(11)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자동초점부(10)로 반사시킨다.
따라서, 상기 촬영렌즈(11)를 통해 입력되는 피사체의 정보에 해당하는 빛에 따라 자동초점부(10)는 렌즈를 구동하여 초점을 맞추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촬영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의 중심광이 아닌 최적상면에 해당하는 빛정보에 따라 초점 조절을 수행하므로서, 중심광과 주변광의 차이에 따른 자동초점의 오차를 감소시켜 피사체의 거리에 따른 정확한 초점조절을 수행하여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 티티엘 자동 초점조절 장치를 제 공할 수 있다.

Claims (2)

  1. 피사체에 해당하는 빛을 입사시켜 상을 맺는 촬영 렌즈(11)를 통하여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파인더계(15)로 보내는 주미러(12)와; 상기 촬영 렌즈(11)를 통해 입사되는 빛의 광축의 상단 또는 하단의 최적 상면 위치에 장착되어, 초점 조절을 위하여 최적 상면에 해당하는 빛을 반사시키는 부미러(13)와; 상기 부미러(13)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입력으로 하여 초점조절을 수행하는 자동초점조절부(10)로 이루어지며; 상기 최적 상면 위치는 상기 촬영 렌즈(11)를 통하여 결상되는 피사체의 상고의 0.5 내지 0.7필드의 위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티엘 자동 초점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티티엘 자동 초점조절 장치는 상기 촬영렌즈(11)를 통해 입사되는 빛의 광축의 상단 또는 하단에 각각 부미러를 장착하여, 입사되는 빛을 자동초점부(10)로 입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티엘 자동 초점조절 장치.
KR2019940002879U 1994-02-17 1994-02-17 티티엘 자동 초점조절 장치 KR01404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2879U KR0140429Y1 (ko) 1994-02-17 1994-02-17 티티엘 자동 초점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2879U KR0140429Y1 (ko) 1994-02-17 1994-02-17 티티엘 자동 초점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633U KR950025633U (ko) 1995-09-18
KR0140429Y1 true KR0140429Y1 (ko) 1999-05-15

Family

ID=19377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2879U KR0140429Y1 (ko) 1994-02-17 1994-02-17 티티엘 자동 초점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4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633U (ko) 199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5371A (en) Camera provided with a visual axis direction detecting portion
KR0153873B1 (ko) 콤팩트 줌 카메라의 시차보정장치
US4808808A (en) Focus detecting optical system including two prisms for light refraction
JPS6337367B2 (ko)
EP0655640B1 (en) Finder
US6822802B2 (en) Terrestrial telescope with digital camera
US6813442B2 (en) Autofocus system and camera system
US4370551A (en) Focus detecting device
KR0140429Y1 (ko) 티티엘 자동 초점조절 장치
JPS6246175Y2 (ko)
US4019191A (en) Photometric device for use in a single lens reflex camera
US6222622B1 (en) Photometering apparatus for a camera
US5426483A (en) Camera with a line of sight detecting device
JPH07114065A (ja) カメラのファインダの視度自動調節装置
JPH05100148A (ja) 視線検出装置を有するカメラ
JPH05100147A (ja) 視線検出装置を有するカメラ
JPH04267230A (ja) 視線検出装置を有するカメラ
JPH0456936A (ja) カメラの焦点検出装置
JPH10179521A (ja) 視線/接眼検出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JPH05333405A (ja) ファインダー装置
JP2756413B2 (ja) 視線検出装置を備える光学装置
JPS61149922A (ja) 光学系
JPS62156609A (ja) 焦点検出用光学系
US5839004A (en) Device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focusing of a camera
JPH09211310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8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