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060B1 -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060B1
KR0140060B1 KR1019930031978A KR930031978A KR0140060B1 KR 0140060 B1 KR0140060 B1 KR 0140060B1 KR 1019930031978 A KR1019930031978 A KR 1019930031978A KR 930031978 A KR930031978 A KR 930031978A KR 0140060 B1 KR0140060 B1 KR 0140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mposition
polyolefin resin
present
tal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1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226A (ko
Inventor
장정근
이한주
김진호
안연관
Original Assignee
김준웅
선경인더스트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웅, 선경인더스트리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준웅
Priority to KR1019930031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060B1/ko
Publication of KR95001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0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기본성분으로 하고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탈크, 왁스 및 안정제를 첨가하므로써 길이가 1m 이상되는 사출물의 칫수안정성, 도장성, 내충격성 및 각종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특히 부품의 씽크마크(Sink Mark)를 방지시킨 자동차의 웨이스트 라인(Waist Line) 사출물용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본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기본성분으로 하고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탈크, 왁스 및 안정제를 첨가하므로써 길이가 1m 이상되는 사출물의 칫수안정성, 도장성, 내충격성 및 각종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특히 부품의 씽크마크(Sink Mark)를 방지시킨 자동차의 웨이스트 라인(Waist Line) 사출물용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웨이스트 라인이란 자동차의 좌우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어 있어 가벼운 접촉사고시 충격을 완화시켜 차체를 보호하고, 외관상 미적효과를 도모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품이다.
종래의 웨이스트 라인은 비중이 1.5이상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를 압출공정에서 성형하므로 부착고리들을 일괄성형하지 않고 수공으로 별도 부착하여 자동차에 장착하므로써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었다.
종래의 사출용 수지로는 내충격용 폴리올레핀수지, 미네랄 첨가 폴리올레핀 및 일반 올레핀계 수지조성물 등이 사용되었으나, 이들은 길이가 긴 성형품으로 사출성형하였을 때 칫수안정성 및 도장성이 불량하고 제품의 씽크마크 등을 유발시켜 웨이스트 라인에 사용하기에는 적합치 못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89-3005호에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자동차 외장 및 내장품용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에 대하여 제시되어 있지만, 상기 발명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은 내충격성은 매우 우수하나 웨이스트 라인 적용시 기계적성질, 칫수안정성 및 도장성이 불량하고 씽크마크 등을 유발하므로 적합치 못하다.
이에, 본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PVC 압출물의 중량화, 외관불량 및 연결고리 작업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 자동차 외장품용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의 단점을 보완하기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탈크, 왁스 및 안정제를 첨가하므로써 본발명을 완성하였다.
본발명은 칫수안정성, 도장성 및 각종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특히 씽크마크를 해결할 수 있는 자동차 웨이스트라인 사출물용 폴리올레핀계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용융지수가 10 ~ 35인 폴리프로필렌수지 40 ~ 75중량%,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10 ~ 35중량%, 평균입자 1 ~ 15㎛인 탈크 10 ~ 40중량%, 분자량 1000 ~ 5000인 폴리에틸렌 왁스 1 ~ 10중량% 및 치환된 벤조트라아졸과 벤조페논계 산화방지제 0.3 ~ 1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은 각종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특히 씽크마크를 방지시켜 자동차의 웨이스트 라인 부품을 사출성형할 때 사용되는 사출물용 폴리 올레핀계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기본 성분으로 하고 내충격성, 도장성, 기계적성질 및 칫수안정성 보강을 위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와 탈크(활석분)를 첨가하고, 공정성, 이형성 및 씽크마크 개선을 촉진시키기 위해 왁스를 첨가하였으며,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정제를 첨가하였다.
본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용융지수(230℃/2160g) 10 내지 35인 수지로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5 ~ 25이다.
만약,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융지수가 10미만인 경우 흐름성이 저하되어 미성형 및 씽크마크를 유발하게되고, 35를 초과하면 기계적강도 및 칫수안정성이 불량해진다. 또한 본발명에서는 상기의 용융지수범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수지를 40 ~ 75중량% 사용하는바, 그 사용량이 40중량% 미만이면 공정성 및 흐름성이 저하되고, 75중량%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 및 칫수 안정성이 저하되고, 씽크마크를 유발하게 된다.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는 무니점도(Mooney viscosity) ML1+4(100℃)가 30 내지 55인 것을 사용하며 무니점도가 30 미만이면 기계적강도 및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55를 초과하면 유동성이 저하되어 미성형 및 씽크마크를 유발하게 된다.
그리고 본발명의 조성물중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는 10 ~ 35중량% 함유되며 그 함유량이 10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 및 도장성의 저하는 물론 씽크마크 발생도가 높아지고, 35중량%를 초과하면 경제성 및 기계적 성질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의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는 60 ~ 80중량%의 에틸렌을 함유하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중의 에틸렌 함유량이 60중량% 미만이면 최종 수지조성물의 강도가 저하되고 80중량% 초과 포함되면 도장성 및 내충격성이 저하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갖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는 본발명의 조성물 제조를 위해 10 ~ 35중량% 사용하게 되는바, 만일 10중량% 미만 사용되면 내충격성 및 도장성의 저하는 물론 씽크마크 발생도가 높으며 35중량%를 초과하면 경제성 및 기계적성질 등이 저하된다.
또한, 본발명에서는 기계적강도 및 도장성 향상과 칫수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해 1 ~ 15㎛ 크기의 탈크(talc, 활석분)를 10 ~ 40중량% 사용하며 탈크의 평균 입자가 1㎛ 미만인 것을 사용하면 작업성이 불편하고 15㎛를 초과하면 표면불량 및 도장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탈크의 사용량이 10중량% 미만이면 탈크사용에 의한 효과를 얻을 수 없고, 40중량%를 초과 사용하면 도장성 및 내충격성이 저하된다.
또한, 공정성 및 이형성을 높이고 씽크마크 발생을 저하시키기 위해 분자량이 1000 ~ 5000인 폴리에틸렌 왁스 1 ~ 10중량5, 덜욱 바람직하기로는 3 ~ 6중량%를 사용하여 그 분자량이 1000 미만이면 공정성 및 강도에 문제가 있고 5000을 초고하면 이형성 및 씽크마크 개선효과가 적다. 그리고, 폴리에틸렌 왁스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기계적 강도 및 기타 물성에 영향을 준다.
이외에도 내후성 증가를 위해 치환된 벤조트리아졸과 벤조페논을 첨가하는 바 이들의 총함량은 0.3 ~ 1.0중량%가 바람직하다. 치환된 벤조트리아졸과 벤조페논의 사용량이 0.3중량% 미만이면 내후성 개선 효과가 없고, 1.0중량% 초과하면 경제성 및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
본발명에 따른 자동차 웨이스트 라인 사출물용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은 비중이 작아 가볍고, 길이가 긴 성형품의 칫수안정성이 좋으며, 도장성 및 내충격성을 비롯한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씽크마크 발생을 억제하여 우수한 외관을 가질 수 있기에 도장을 필요로 하는 자동차 웨이스트 라인에 사출성형용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5]
다음 표1에 주어진 조성비유에 의해 용융지수가 15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85℃에서 6시간 건조시킨다음, 무니점도가 35이고 에틸렌 함량이 8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평균입자가 5㎛인 탈크, 분자량이 2200인 폴리에틸렌 왁스 및 치환된 벤조트리아졸과 벤조페논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어서, 바렐온도 235℃, 직경45㎜인 트윈 스크류 압출기내에서 상기 혼합물을 용융·혼련시킨다음 냉각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 8]
다음 표1에 주어진 조성비유에 의해 용융지수가 25인 폴리프로필렌수지와 에틸렌 함량이 65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 5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3]
다음 표1에 주어진 조성비율에 의해 상기 실시예 1 ~ 5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 5]
다음 표1에 주어진 조성비율에 의해 용융지수가 3.5인 폴리프로필렌수지와 에틸렌 함량이 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 5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1) 시바 가이기사 제품
(2) 시바 가이기사 제품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1 ~ 5에 의해 제조된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의 펠렛을 바렐온도 230℃ ~ 235℃의 38㎜ 사출기에서 ASTM 규격의 시편으로 제작하여 물성을 측정하였고, 또한 상기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1 ~ 5에 의해 제조된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의 펠렛으로 웨이스트 라인을 성형하여 씽크마크 및 내후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2에 나타내었다.
(1) 인장강도 : ASTM638
(2) 굴곡강도 : ASTM790
(3) 충격강도 : ASTMD256(노치)
(4) 성형수축율 : ASTMD 955
(5) 씽크마크 :
○ : 웨이스트 라인 성형후 장착고리로 인한 제품 앞면에 씽크마크 발생이 없는 상태
× : 웨이스트 라인 성형후 장착고리로 인한 제품 앞면에 씽크마크 발생이 심한 상태
(6) 내후성 : 성형된 웨이스트라인을 옥외 자연상태로 12개월 방치후 제품표면을 관찰하였다.
○ : 제품 표면에 분해물질이 없고 매끄러운 상태
× : 제품 표면에 흰물질 및 크랙이 발생한 상태
(7) 비중 : ASTMD792

Claims (1)

  1. 폴리프로필렌 수지, 고무 중합체, 탈크 및 폴리올레핀 왁스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용융지수가 10 ~ 35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40 ~ 75중량%, 무니점도 ML1+4(100℃)가 30 ~ 55이면 에틸렌 함량이 60 ~ 8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10 ~ 35중량%, 평균입자 1 ~ 15㎛인 탈크 10 ~ 40중량%, 분자량 1000 ~ 5000인 폴리에틸렌 왁스 1 ~ 10중량% 및 치환된 벤조트리아졸과 벤조페논계 산화방지제 0.3 ~ 1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KR1019930031978A 1993-12-31 1993-12-31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KR0140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978A KR0140060B1 (ko) 1993-12-31 1993-12-31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978A KR0140060B1 (ko) 1993-12-31 1993-12-31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226A KR950018226A (ko) 1995-07-22
KR0140060B1 true KR0140060B1 (ko) 1998-07-01

Family

ID=19374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1978A KR0140060B1 (ko) 1993-12-31 1993-12-31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0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892B1 (ko) * 1995-10-23 2002-10-31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도장성이향상된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892B1 (ko) * 1995-10-23 2002-10-31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도장성이향상된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226A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6626A (en) Thermoplastic elastomer based on an ethylene/α-olefin copolymer and on polynorbornene
KR860000770B1 (ko)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EP0032804B1 (en) Film-forming thermoplastic elastomeric polymer compositions
US5654358A (en) Polyphenylene sulfide composition and shaped articles made therefrom
US4078020A (en) Thermoplastic elastomers comprising ethylene-α-olefin copolymer, polypropylene and polybutene
EP0204400A1 (en) Polypropylene-base resin composition
KR20090054346A (ko)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EP0069479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2932567B2 (ja) ブロー中空成形品
KR20190064875A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0140060B1 (ko)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KR20110054750A (ko) 자동차 카울탑커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678263B1 (ko) 유리섬유 보강된 경량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제조되는 성형품
JP3189477B2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成形品
KR102711173B1 (ko) 가교 수지를 포함하는 분말형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20180103573A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US5104940A (en) Thermoplastic elastomer based on ethylene/acrylate copolymer and polynorbornene
KR100286857B1 (ko) 내충격성보강용무정형폴리프로필렌계수지조성물
EP0411977B1 (fr) Composition caoutchoutique et élastomère thermoplastique à base de polynorbornène possédant une stabilité thermique améliorée
KR100475870B1 (ko) 자동차 외장재용 폴리올레핀계 복합수지 조성물
KR100373179B1 (ko) 압출 튜빙 성형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0792115B1 (ko) 강도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834639B2 (ja) 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KR20180076639A (ko) 내스크래치성이 개선된 자동차 내장부품용 수지 조성물
JP2770199B2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及びその射出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