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972Y1 -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 - Google Patents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972Y1
KR0139972Y1 KR2019960014255U KR19960014255U KR0139972Y1 KR 0139972 Y1 KR0139972 Y1 KR 0139972Y1 KR 2019960014255 U KR2019960014255 U KR 2019960014255U KR 19960014255 U KR19960014255 U KR 19960014255U KR 0139972 Y1 KR0139972 Y1 KR 0139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m drive
compact disc
disc rom
main body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4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4018U (ko
Inventor
정태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14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972Y1/ko
Publication of KR9700640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40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9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3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는, 그 구성 부품수가 감소되어 부품비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그 조립공정에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가 투입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조립 공정에서의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
제1도는 종래 샤시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제3도 및 제4도는 제2도의 Ⅲ-Ⅲ선 개략적 결합단면도로서,
제3도는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가 삽입되는 도중의 상태를 보이며,
제4도는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가 삽입완료된 상태를 보인다.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된 본체부재의 하판부 내면을 보이는 개략적 평면도이다.
제6도는 제5도의 Ⅵ-Ⅵ선 단면도이다.
제7도는 제5도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샤시 60 : 본체부재
61 : 상판부 62 : 측판부
63 : 하판부 67 : 탄성 걸림턱
69 : 안내돌기 70 : 전면판부재
본 고안은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CD-ROM DRIVE)를 감싸서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샤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결합구조가 개선된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에 관한 것이다.
컴팩트 디스크 롬의 정보를 재생하는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는 통상적으로 샤시에 의해 감싸여져서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된다. 상기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는 일반적으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부(21) 및 양 측판부(22)를 가지는 덮개부재(20)와, 하판부를 형성하는 받침부재(30)와, 전면판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부재들(20,30,40)의 상호결합을 위하여는, 먼저 받침부재(30) 상면에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1)를 올려두고 덮개부재(20)를 덮는다. 그후 나사(11)들을, 받침부재(30)의 하측에서 그 받침부재(30)의 관통공(31) 및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1)에 마련된 관통공(1a)을 통해 삽입하여, 덮개부재(20)의 양 측판부(22)에 대해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1) 측으로 돌출된 돌출편(23)의 나사공(23a)들에 각각 체결한다. 이에 따라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1)는 덮개부재(20)와 받침부재(30) 사이에 고정된다. 그 후, 전면판부재(40)에 형성된 후크(41)들을 덮개부재(20) 및 받침부재(30)에 형성된 걸림부(24,32)들에 각각 끼워 걸어서 그 전면판부재(40)를 덮개부재(20) 및 받침부재(30)에 대해 고정하게 되면,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10)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는, 상기 덮개부재와 받침부재가 각각 별도로 제작되고 이들이 나사들에 의해 상호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그 구성에 필요한 부품수가 많아지게 되어 부품비의 상승 및 그 조립에 따르는 작업공수가 증대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 샤시를 구성하는 조립공정에서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가 개제되어야 하므로 즉, 덮개부재와 받침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들이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의 일측을 관통하여야 하므로, 그 조립공정에서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의 주요 부품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구성에 필요한 부품수가 감소되어 비용이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제작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해질 수 있으며, 또한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를 개재시키지 않고도 그 제작이 완료될 수 있도록 개선된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는,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를 감싸서 보호하는 것에 있어서,
금속판이 수차례 절곡된 후 그 양단이 용접에 의해 상호 고정되어 상하판부 및 양 측판부를 가지는 중공관형을 이루며 그 후방 개구 단부로부터 상기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가 끼워지는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의 전방 개구단부에 결합되는 전면판부재와,
상기 본체부재 내부로 끼워진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가 그 본체부재의 후방 개구단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수단을 구비하여 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며, 제3도와 제4도는 제2도의 Ⅲ-Ⅲ선 결합단면도로서, 제3도는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가 삽입되는 도중의 상태, 제4도는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100)는 본체부재(60)와, 전면판부재(7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부재(60)는, 금속판이 수차례 절곡된 후 그 양단이 예를 들어 스폿용접 등에 의해 상호 고정된 것으로서, 상판부(62)와 하판부(63) 및 양 측판부(62)를 구비하는 사각형단면의 중공관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상판부(61)와 하판부(63) 및 양 측판부(62)에는 각각 걸림공(6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판부재(70)에는 상하좌우에 각각 후크(7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후크(71)들이 본체부재(60)의 걸림공(66)들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그 전면판부재(70)가 본체부재(60)의 전방 개구단부에 고정되게 된다. 한편, 본체부재(60)의 후방 개구단부를 통해서는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2)가 본체부재(60)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끼워지게 된다.
샤시(100)에는 또한, 본체부재(60) 내측으로 끼워진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2)가 다시 본체부재(60)의 후방 개구단부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스토퍼수단으로서 본체부재(60)의 하판부(63)에 형성된 3개의 탄성 걸림턱(67)을 구비하고 있다. 각 탄성 걸림턱(67)은 본체부재(60)의 하판부(63)에 탄력적으로 상하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2)가 본체부재(60) 내부로 삽입되는 도중에는 금 삽입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측으로 탄력적으로 변형되고,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2)가 본체부재(60)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어 그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2)의 후단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100)는, 하나의 부재 즉 본체부재(60)에 상,하판부(61,63) 및 한 쌍의 측판부(62)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1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개의 부재 즉 덮개부재(20)와 받침부재(30)에 의해 상,하판부 및 양 측판부가 형성되는 종래 샤시(10)에 비하여, 그 구성에 필요한 부품수가 감소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100)는, 종래 샤시(10)와는 달리, 그 조립과정에서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2)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샤시(100) 자체만 별도로 조립될 수 있으며 나중에 그 샤시(100) 내부에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2)를 끼워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샤시(100)의 조립작업이 단순할 뿐만 아니라,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가 샤시의 조립공정에 투입됨에 기인하는 그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재(60) 내로 삽입되는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2)의 삽입경로를 일정하게 한정함과 그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2)의 삽입을 안내하도록, 본체부재(60)에는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부(63)에 대해 돌출되며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2)의 삽입시에 그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2)의 양 측면에 각각 접촉되는 안내 돌기(69)들을 형성하여 둘 수도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부재(60) 내부로 삽입된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수단으로서, 본체부재(60)의 하판부(63)에 탄성 걸림턱(69)들을 형성하였으나, 이 탄성 걸림턱들은 본체부재(60)의 측판부(62) 또는 상판부(61)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 걸림턱들이 반드시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2)의 후단면에 밀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그 후단면에 상당하는 적절한 면에 접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 걸림턱(69)과 유사한 구성의 걸림턱을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2) 측에 형성하고 본체부재(60)에는 상기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2)측의 걸림턱과 결합되는 걸림부를 형성하여, 그 걸림턱과 걸림부와의 결합에 의해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2)의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고안의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는, 그 구성부품수가 감소되어 부품비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조립공정에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가 투입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해질 수 있으며 그 조립공정에서의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를 감싸서 보호하는 샤시에 있어서, 금속판이 수차례 절곡된 후 그 양단이 용접에 의해 상호 고정되어 상하판부 및 양 측판부를 가지는 중공관형을 이루며 그 후방 개구단부로부터 상기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가 끼워지는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의 전방 개구단부에 결합되는 전면판부재와, 상기 본체부재 내부로 끼워진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가 그 본체부재의 후방 개구단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본체부재에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며 그 본체부재 내로 삽입된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의 후단면에 밀착되는 탄성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에는 상기 하판부에 대해 돌출되어 상기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의 진입경로를 한정하는 복수의 안내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
KR2019960014255U 1996-05-31 1996-05-31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 KR01399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4255U KR0139972Y1 (ko) 1996-05-31 1996-05-31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4255U KR0139972Y1 (ko) 1996-05-31 1996-05-31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018U KR970064018U (ko) 1997-12-11
KR0139972Y1 true KR0139972Y1 (ko) 1999-04-15

Family

ID=1945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4255U KR0139972Y1 (ko) 1996-05-31 1996-05-31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9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4018U (ko) 199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5746A (en) Female terminal for receiving plate-shaped male terminal
CA2193603C (en) Fuse box
JP3075555B2 (ja) ノイズ吸収装置
KR0139972Y1 (ko) 컴팩트 디스크 롬 드라이브용 샤시
JP3596215B2 (ja) アンテナケース
KR100667745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클램퍼 지지대
KR800000086Y1 (ko) 더스트커버 개폐용 경첩
KR0181530B1 (ko) 통신단말기 등의 하우징 고정개폐장치
JPH0888920A (ja) 電線保持機構
KR970003853Y1 (ko) 전자제품의 윈도우 조립체구조
KR200321599Y1 (ko) 테이프레코더의카세트하우징조립체
JPH0763284A (ja) グロメット付プロテクタ
KR19980050483A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클램핑 장치
KR19980064076U (ko) 디스크 적재장치
GB1577324A (en) Record disc package having a centre post
JPH0874819A (ja) 樹脂製部材の取付構造
KR0132013Y1 (ko) 배터리함의 배터리 터미널 취부구조
KR200175688Y1 (ko) 스크류 취출이 용이한 모니터의 음극선관구조
JPH07106146A (ja) コイル収納ケース
JPH0218638Y2 (ko)
KR970004719Y1 (ko) 슬라이드필름 케이스
KR19980012681U (ko) 프론트패널과 메인섀시의 조립구조
KR19990015142U (ko) 냉장고의 램프 커버 취부 구조
JPS6265209A (ja) 磁気ヘツド
JPH0946062A (ja) 電池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