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958Y1 - 캠코더의 라이트 전원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캠코더의 라이트 전원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958Y1
KR0139958Y1 KR2019950055244U KR19950055244U KR0139958Y1 KR 0139958 Y1 KR0139958 Y1 KR 0139958Y1 KR 2019950055244 U KR2019950055244 U KR 2019950055244U KR 19950055244 U KR19950055244 U KR 19950055244U KR 0139958 Y1 KR0139958 Y1 KR 01399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ase
power supply
ligh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5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8013U (ko
Inventor
이창희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55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958Y1/ko
Publication of KR9700480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80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9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9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접속이 간단하고 전원 접속부의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캠코더의 라이트 전원 접속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라이트(20)는 전원 공급에 의해 빛을 방출하는 램프 및 회로기판이 지지되는 제1케이스(30)와, 제1케이스와 결합되고 접속부가 소정의 결합수단에 의해서 결합되며 접속부(90)가 결합되는 중공부를 가지는 제2케이스(40)를 구비하고; 접속부는 소정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플러그(71)(72)와 이 플러그가 고정되는 고정블럭(50)을 구비하며; 전원공급부는 상기 각 플러그가 결합되는 소정깊이의 중공이 형성된 복수의 잭(91)(92)을 가지는 결합부(90);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캠코더의 라이트 전원 접속장치
제1도는 종래 라이트 전원 접속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접원 접속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우측면도.
제4도는 켐코더 하우징과의 록킹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제5도는 전원 접속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라이트 30 : 제1케이스
40 : 제2케이스 50 : 고정블럭
60 : 록킹부재 71,72 : 제1,2플러그
80 : 캡부재 90 : 결합부
91,92 : 제1,2잭
본 고안은 켐코더의 라이트 전원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원 접속이 간단하고 접속시 접속부의 손상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캠코더의 라이트 전원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코더에는 야간 촬영을 위한 라이트가 착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1도를 참조하면, 상기 라이트(10)의 케이스(5)에는 복수의 단자(2)가 형성되어 있고, 캠코더 하우징(미도시)내에 설치되는 회로기판(3)에는 상기 단자(2)와 접속되는 판 스프링부재(4)가 설치되어 있다. 참조번호 1a는 하우징과 록킹되는 록킹부이고 참조번호 1은 그 록킹부(1a)를 하우징으로부터 해제시키는 해제버튼이다. 이러한 접속장치는 해제버튼(1)을 누른 상태에서 라이트(10)를 하우징에 록킹시킴과 동시에 각 단자(2)는 판 스프링부재(4)와 접속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통상의 캠코더 라이트 접속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라이트(10)를 접속시키기 위해 하우징에 결합할시 단자(2)와 판 스프링부재(4)가 어긋나게 결합될 경우 판 스프링부재(4)가 변형되게 된다.
둘째, 회로기판(3)에 복수의 단자(2)를 납땜하여 조립할 경우 작업성이 저하되며, 납땜 위치오차 발생으로 불량발생율이 높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라이트의 전원 접속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안정하게 접속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캠코더의 전원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캠코더 하우징내의 전원공급부와, 상기 하우징과 소정의 록킹수단에 의해서 결합되는 라이트의 전원 접속부를 접속시키는 캠코더의 라이트 전원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는 전원 공급에 의해 빛을 방출하는 램프 및 회로기판이 지지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되고 상기 접속부가 소정의 결합수단에 의해서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는 중공부를 가지는 제2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는 소정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플러그와 이 플러그가 고정되는 고정블럭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각 플러그가 결합되는 소정깊이의 중공이 형성된 복수의 잭을 가지는 결합부; 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각 플러그는 그 일부분이 상기 고정블럭과 함께 사출성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2케이스의 내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럭에 상기 걸림턱에 록킹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록킹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스와 상기 고정블럭 사이에 절곡된채로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고정블럭에 탄력적으로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제2케이스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며 그 단부에 상기 록킹돌기와 록킹되는 록킹턱이 형성된 록킹부재를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전원 접속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결합부 잭에 라이트의 플러그가 결합되어 전원이 접속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그 접속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접속부의 부품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원 접속장치의 라이트 부분을 나타낸 제2도 및 제3도와, 캠코더 하우징과 라이트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면, 캠코더 하우징(100)내에는 소정깊이의 중공이 형성된 제1,2잭(91)(92)을 가지는 결합부(90)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결합부(90)는 미도시된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100)에는 라이트(20)가 소정의 록킹수단에 의해서 결합되고, 그 결합부(90)에 라이트(20)의 접속부가 접속되게 된다.
상기 라이트(20)는 전원 공급에 의해 빛을 방출하는 램프(31) 및 회로기판(32)이 지지되는 제1케이스(30)와, 상기 제1케이스(30)와 결합되고 상기 접속부가 소정의 결합수단에 의해서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와 중공부를 가지는 제2케이스(40)를 구비한다.
상기 접속부는 소정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1,2잭(91)(92)에 결합되는 제1,2플러그(71)(72)와 이 플러그(71)(72)가 고정되는 고정블럭(5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2플러그(71)(72)는 그 일부분이 상기 고정블럭(50)의 사출과 함께 성형되어 결합되게 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2케이스(40)의 내면에 걸림턱(4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럭(50)에 상기 걸림턱(41)에 록킹되는 걸림돌기(51)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록킹수단을 상기 하우징(100)에 록킹돌기(10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스(40)와 상기 고정블럭(50) 사이에 절곡된채로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고정블럭(50)에 탄력적으로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제2케이스(40)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며 그 단부에 상기 록킹돌기(101)와 록킹되는 록킹턱(61)이 형성된 록킹부재(60)를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2케이스(40)에는 결합공(42)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재(60)에는 상기 결합공(42)을 통하여 돌출되는 누름버튼(6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버튼(62)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록킹턱(61)이 하우징(100)의 록킹돌기(101)로부터 이탈되게 되며 이에 따라 라이트(20)를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결합부(90)를 개폐하는 캡부재(80)가 힌지(81)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라이트 전원 접속장치는, 라이트(20)의 제1,2플러그(71)(72)를 하우징(100) 결합부(90)의 제1,2잭(91)(92)에 결합시킴으로써 라이트(20)에 전원이 인가되게 한다.
이때 전원 접속은 제1,2플러그(71)(72)와 제1,2잭(91)(92)의 단순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전원 접속시 단자(2)와 스프링(4)의 접촉에 따른 스프링(4)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스프링(4)의 설치 공정시 스프링력 조정 및 납땜 공정등의 작업이 번거로웠던 것과는 달리 그 작업공정을 단순히할 수 있다.
또한, 라이트(2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결합부(90)를 커버할 수 있는 캡부재(80)를 하우징(100)과 연결한채로 구비함으로써 결합부(90)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캠코더의 라이트 전원 접속장치는 안정하고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6)

  1. 캠코더 하우징내의 전원공급부와, 상기 하우징과 소정의 록킹수단에 의해서 결합되는 라이트의 전원 접속부를 접속시키는 캠코더의 라이트 전원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는 전원 공급에 의해 빛을 방출하는 램프 및 회로기판이 지지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와 결합되고 상기 접속부가 소정의 결합수단에 의해서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가 중공부를 가지는 제2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는 소정길이를 가지는 복수의 플러그와 이 플러그가 고정되는 고정블럭을 구비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각 플러그가 결합되는 소정길이의 중공이 형성된 복수의 잭을 가지는 결합부; 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라이트 전원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플러그는 그 일부분이 상기 고정블럭과 함께 사출성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라이트 전원 접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2케이스의 내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럭에 상기 걸림턱에 록킹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라이트 전원 접속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록킹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스와 상기 고정블럭 사이에 절곡된채로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고정블럭에 탄력적으로 접촉되고 타측이 상기 제2케이스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며 그 단부에 상기 록킹돌기와 록킹되는 록킹턱이 형성된 록킹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라이트 전원 접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스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재에 상기 결합공을 통하여 돌출되는 누름버튼이 형성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라이트 전원 접속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상기 결합부를 개폐하는 캡부재가 힌지연결되어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라이트 전원 접속장치.
KR2019950055244U 1995-12-30 1995-12-30 캠코더의 라이트 전원 접속장치 KR01399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5244U KR0139958Y1 (ko) 1995-12-30 1995-12-30 캠코더의 라이트 전원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5244U KR0139958Y1 (ko) 1995-12-30 1995-12-30 캠코더의 라이트 전원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013U KR970048013U (ko) 1997-07-31
KR0139958Y1 true KR0139958Y1 (ko) 1999-05-01

Family

ID=19443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5244U KR0139958Y1 (ko) 1995-12-30 1995-12-30 캠코더의 라이트 전원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9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8013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0885B2 (en) Housing case for electronic circuit board
EP1005109B1 (en) Electronic control unit with electrical connector
JP2003304625A (ja) 電気接続箱
KR0138885B1 (ko) 전기 커넥터와 이를 이용한 열프린트 헤드(electrical connector and thermal printhead using the same)
JPH06325843A (ja) 電気部品用接続装置
KR20000071234A (ko) 커넥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및 플러그
JPH01235174A (ja) 表面実装コネクタ
KR0139958Y1 (ko) 캠코더의 라이트 전원 접속장치
JP6622753B2 (ja) 基板保持構造
KR100489973B1 (ko) 전기 접속기용 커넥터
KR101786334B1 (ko) 조인트 커넥터
KR200248172Y1 (ko) 휴대폰 충전기의 단자 고정구조
US20010044230A1 (en)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JP3274709B2 (ja) 速結端子
KR200338448Y1 (ko) 벌어짐 방지구조를 갖는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
JPH0562742A (ja) 基板用接続コネクタ
KR200394959Y1 (ko) 케이블 커넥터의 먼지 커버
JPH06231839A (ja) Smtコネクタ
JPS6236220Y2 (ko)
JP2000223220A (ja) 基板用コネクタ
KR200262553Y1 (ko) 통신용 단말기의 모듈러 잭 유동방지 장치
KR0113921Y1 (ko) 에어콘의 압축기단자용 전선터미널 커넥터
KR100791499B1 (ko) 커넥터의 단자 연결장치
JPH0735341Y2 (ja) プリント基板に対するコネクタの接続構造
KR0126487Y1 (ko) 접속 탄성을 갖는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